일반대학원 청소년상담복지학과는 1982년 11월22일 설치 운영된 학부 산업복지학과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40여년의 역사와 전통을 가지고 있고, 56명의 문학석사를 배출하였다. 2022년도 1학기부터 시대의 변화에 맞춰 학부 산업복지학과가 청소년상담복지학과로 개칭을 하면서 대학원 학과명도 청소년상담복지학과로 변화하고자 한다. 현재 5명의 교수진이 전공과목의 강의와 지도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교육목표
3차 산업혁명 시대에 더욱 필요가치와 효용가치가 높아지는 ‘복지’와 ‘상담’, 그리고 ‘청소년’ 분야의 융합된 전문가 양성
한층 폭넓고 심화된 심리상담이론 및 실제적 기술/기법 습득을 통한 현장중심형 인재 양성
이를 통해 대구대학교의 설립 목표인 시랑, 빛, 자유의 인성을 실천하는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만인복지의 실천적 자질 함양을 도모
청소년 관련 산학연계를 통한 지역사회에 공헌
교수명단
교수명
학위
전공
담당과목
최웅용
철학박사
상담심리학
심리학특강, 상담심리학, 직업상담,
상담세미나, 상담지도감독
정소희
사회복지학박사
아동청소년복지 가족복지
아동발달, 청소년발달,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박재연
문학박사
청소년 상담ㆍ복지 정신건강 가족치료
청소년상담이론과실제, 가족상담
상담사례연구, 상담프로그램개발연구
윤민화
문학박사
아동청소년정책
사회복지행정
지역사회와청소년
청소년정책세미나
지역사회와청소년연구
질적연구방법론
박성원
철학박사
사회복지방법
정신재활,
정신건강과사회복지실천연구,
정신건강론특강,
청소년정신건강론
전공과목
과목코드
과목 명
학점
시간
전공
11637
고급사회심리학(Advanced Social Psychology)
3
3-0
전공
14003
가족상담(Family Counseling)
3
3-0
전공
14219
고급상담심리학(Advanced Psychology of Counseling)
3
3-0
전공
15244
집단상담(Group Counseling)
3
3-0
전공
15522
가족치료세미나(Seminar in Family Therary)
3
3-0
전공
17481
정신재활(Psychiatric Rehabilitation)
3
3-0
전공
17895
정신건강론특강(Topics in Mental Health)
3
3-0
전공
18340
고급심리학연구(Advanced Research in Psychology)
3
3-0
전공
18341
상담사례지도(Case Supervision in Psychological Counseling)
3
3-0
전공
19010
청소년상담이론과실제(Theory & Practice of Counseling Adolescent)
3
3-0
전공
19011
발달심리(Developmental Psychology)
3
3-0
전공
19121
질적연구방법론(Qualitative Methods in Research)
3
3-0
전공
19123
정신건강과사회복지실천연구(Mental Health and Social Work Practice Research)
3
3-0
전공
19124
놀이치료및아동상담(Play Therapy and Child Counseling)
3
3-0
전공
19339
상담프로그램개발과평가(Counseling Program Development and Evaluation)
3
3-0
전공
20048
고급상담실습(1)(Practicum in Counseling(1))
3
3-0
전공
20049
고급상담실습(2)(Practicum in Counseling(2))
3
3-0
전공
20050
고급진로상담(Advanced Career Counseling)
3
3-0
전공
20051
고급상담세미나(Advanced Seminar on Counseling)
3
3-0
전공
20052
고급가족치료(Advanced Family Therapy)
3
3-0
전공
20053
고급상담지도감독(Advanced Supervision in Counseling)
3
3-0
전공
20054
상담연구방법론(Research in Counseling)
3
3-0
전공
20055
상담통계분석(Statistical Analysis in Counseling)
3
3-0
전공
20056
학교상담이론과실제(Theories and Practice in School Counseling)
3
3-0
전공
20057
상담사례연구(Counseling Case Study)
3
3-0
전공
20058
의료사회복지실천연구(Medical Social Welfare Practice Research)
3
3-0
전공
20059
청소년정책세미나(Seminar on Theory of Adolescent Policy)
3
3-0
전공
20060
청소년법규와행정(A Laws and Administration for the Youth)
3
3-0
전공
20061
청소년인권과참여연구(Study of Youth Rights and Participation)
3
3-0
전공
20062
지역사회와청소년연구(Study of Community and Youth)
3
3-0
전공
20063
청소년정신건강론(Youth Mental Health)
3
3-0
전공
20148
심리측정및평가(Psychological Tests and Assessment)
3
3-0
전공
13578
이상심리학(Abnormal Psychology)
3
3-0
연구
10000
개별연구지도(Research Works)
1
1-0
★ 교과과정 및 교과목해설은 교육과정 변경에 따라 변동이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과목코드
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교과목 한글개요
10000
개별연구지도
Research Works
학위논문의 작성을 위하여 지도교수의 지도하에 각 개인별 연구주제에 관하여 연구한다.
11637
고급사회심리학
Advanced Social Psychology
사회적 행동의 요인과 사회적 사고의 기제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사회적 상황에서 인간의 행동, 감정이 형성되는 데 영향을 미치는 제반 요인들, 이타행동, 공격성, 갈등과 중재, 그리고 집단역학 등에 대하여 학습한다.
14003
가족상담
Family Counseling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의 여러 개입모델과 개입기법을 학습한다. 이후 이혼가족 상담, 청소년-부모관계 가족상담, 가정폭력 가족상담, 노인문제에 대한 가족상담, 분거가족을 위한 가족상담 등 가족의 문제영역에 따른 접근 방법을 배운다.
14219
고급상담심리학
Advanced Counseling Psychology
상담의 목적과 역사를 간략하게 소개한다. 상담에 관련된 이론을 정신분석학, 행동주의 심리학, 인본주의 심리학, 인지심리학 등을 중심으로 개관한다. 상담의 일반적인 진행과정과 집단상담 그리고 각 상담이론에서 주로 사용하는 상담기법을 이해하도록 한다. 또한 상담 분야별 및 대상별 상담의 특성과 필요한 기법을 익히게 한다. 마지막으로 상담자의 윤리에 대해서도 강의한다.
15244
집단상담
Group Counseling
이 과목은 집단상담이론과 실제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목적이 있다. 집단역동의 기본적 원리, 집단지도자의 역할, 집단발달단계, 집단구성원의 역할 등에 대해 배우며 집단상담에 필요한 여러 가지 상담기술을 배우고 익힌다.
15522
가족치료세미나
Seminar in Family Therapy
이 과목에서는 가족치료의 기본 개념과 특성, 가족치료를 하는 상담자의 자질 등을 이해한 후, 실제 가족치료에 필요한 상담기술을 익히고, 가족문제별로 상담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실제 사례들에 대해서 함께 다루어보면서, 향후 가족치료사로서 내담자에게 적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
17481
정신재활
Psychiatric Rehabilitation
정신사회재활 분야의 역사, 철학, 방법론, 성과 등을 개관한다. 만성정신질환자를 위한 환자교육, 가족교육, 사회기술훈련, 직업재활 등을 학습하며, 환자협회지원, 가족협회지원, 대중계몽, 변화제정, 정부정책결정에의 참여 등 환자와 가족의 권익확대 방안을 학습한다.
17895
정신건강론특강
Topics in Mental Health
본 과목에서는 정신건강에 미치는 전반적인 요인을 탐색하며, 정신건강의 예방 요인을 살펴보고 정신장애로 고통 받고 있는 개인을 지원하기 위한 전반적 능력을 향상 하는데 목적을 둔다.
18340
고급심리학연구
Advanced Research in Psychology
심리학의 전반적인 동향과 현재의 주요쟁점을 이해하고, 그 중 몇 가지 연구주제를 집중적으로 조사, 발표, 토론한다. 이를 통하여 심리학이 개인과 사회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를 배우고 인간의 차이와 공통점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한다.
18341
상담사례지도
Supervision in Counseling Cases
여러 가지 형태의 상담에서 경험할 수 있는 상담사례를 다양한 이론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토론한다.
19010
청소년상담이론과실제
Theories and Practice in Youth Counseling
이 과목에서는 청소년상담의 기본 개념과 특성, 청소년 상담자의 자질 등을 이해한 후, 실제 상담에 필요한 상담기술을 익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불어 학교생활상담, 청소년 가족상담, 정신건강상담, 학업중단상담 등 청소년 문제영역에 따른 접근 방법을 배운다.
19011
발달심리
Developmental Psychology
이 과목은 아동기부터 후기 청소년기까지 개인의 발달에 대해 다룬다. 개인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적이고 생물학적 요인과 사회환경적 요인, 그리고 이 두 요인의 상호작용에 대해 학습한다. 세부주제로는 행동유전학, 기질, 부모-자녀 관계, 형제관계, 또래관계, 자아, 지능, 정서발달, 사회적 발달 등이 있다.
19121
질적연구방법론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질적 연구방법론은 현장으로부터의 이론을 도출하는 귀납적 접근 방법을 통해 지식을 발견하고, 인간의 삶을 이해하기 위한 연구방법론이다. 본 교과목에서는 질적 연구에 대한 개괄적 이해영역과 질적 연구의 다양한 방법론군별로 제시되는 연구논리와 방법에 대한 이해영역, 마지막으로 실제적인 연구진행절차를 학습한다. 이를 통해 자신이 무엇에 대해 궁금해하는지, 궁금함을 질적 접근을 통해 어떻게 접근하고, 연구할 수 있는지, 그 기초적 연구 역량을 키우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19123
정신건강과사회복지실천연구
Mental Health and Social Work Practice Research
본 과목에서는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정신건강과 관련된 문제에 대한 전문적 상담방법과 연구 능력을 향상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19124
놀이치료및아동상담
Play Therapy and Child Counseling
본 과목은 놀이를 통한 상담 및 치료에 대해 배우고, 실제적인 능력을 함양하도록 한다. 따라서 놀이치료 이론들의 체계적인 접근방법과 상담의 적용을 중점적으로 다루어 현장 적용능력을 증진시킨다.
19339
상담프로그램개발과평가
Counseling Program Development and Evaluation
이 과목에서는 상담프로그램 개발과 평가에 대한 이론과 실천방법을 배운 후, 이를 바탕으로 학생들이 스스로 상담현장에 적용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창의적으로 개발하여 시행하고 평가해보는 것을 목표로 진행된다.
20048
고급상담실습(1)
Practicum in Counseling 1
심리상담의 이론을 기반으로 실제적인 기술과 과정 등을 경험하기 위해서 실제 상담현장에서 상담업무 관련 실습을 수행하도록 한다.
20049
고급상담실습(2)
Practicum in Counseling 2
심리상담의 이론을 기반으로 실제적인 기술과 과정 등을 경험하기 위해서 실제 상담현장에서 상담업무 관련 실습을 수행하도록 한다.
20051
고급상담세미나
Advanced Seminar on Counseling
상담심리학의 전반적인 동향과 현재의 주요쟁점을 이해하고, 그 중 몇 가지 연구주제를 집중적으로 강의, 토론한다. 이를 통하여 연구주제 설정, 문헌조사, 자료분석, 연구설계 등의 능력을 함양한다.
20052
고급가족치료
Advanced Family Therapy
가족의 병리적 현상에 대한 진단과 치료의 이론과 기법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가족치료분야의 다양한 접근을 통한 통합적 시도를 하고, 부부, 부모자녀관계, 형제자매관계, 그리고 친인척간의 관계등의 하위체계에 대한 심층적 분석을 도모한다. 또한 가족의 병리적 현상의 발생에 대한 예방적 차원에서 건전가족에 대한 프로그램 개발에도 관심을 두고자 한다.
20053
고급상담지도감독
Advanced Supervision in Counseling
여러 가지 형태의 상담에서 경험할 수 있는 상담사례를 다양한 이론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토론한다. 수강생이 직접 경험하고 있는 상담의 사례에 대해서도 교육 및 감독적 차원에서 사례지도를 한다.
20054
상담연구방법론
Research in Counseling
연구방법론의 기초이론에 따라 학생 개개인의 졸업논문 작성에 필요한 여러 방법을 다룬다. 주요 내용은 연구 계획서의 작성법, 연구계획 및 설계방법, 표본설계 및 자료수집 방법, 그리고 각 전공분야 별 연구분야 소개와 많이 쓰이는 분석방법이다.
20055
상담통계분석
Statistical Analysis in Counseling
본 교과목은 현대 사회과학의 주요 연구방법 중의 하나인 계량적 통계분석 방법들에 대한 이론적 이해와 통계분석방법 능력을 훈련시키는 데 초점을 둔다.
20056
학교상담이론과실제
Theories and Practice in School Counseling
이 과목에서는 국내·외 상담환경의 변화에 따른 학교상담에 대한 이론과 실제에 대해 다룬다. 구체적으로는 학교상담에 대한 이해, 학교상담의 유형과 프로그램, 학교상담 접근 방법 별 이론, 사례연구와 현장실습에 관해 학습한다. 이를 통해 학교상담자로서 전문적인 상담과 프로그램들을 기획, 실천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운다.
20057
상담사례연구
Counseling Case Study
이 과목은 상담사례를 바탕으로 사례연구를 수행 해 봄으로써 상담학 연구자로서의 자질과 역량을 키우는 데에 목적이 있다.
20058
의료사회복지실천연구
Medical Social Welfare Practice Research
본 과목에서는 의료 현장에서 사회복지 실천에 필요한 중요한 전문 지식과 실천 기술 등을 제공함으로서 의료사회복지 실천의 전문성을 높인다. 의료현장에서 만날 수 있는 환자와 가족들에 대한 전문적 상담방법과 사회복지 서비스 제공 방법을 배우고 연구하게 된다.
20059
청소년정책세미나
Seminar on Theory of Adolescent Policy
사회환경의 변화에 따라 청소년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문제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한 청소년정책이 확대되고 다양해지고 있다. 본 교과목에서는 국내외 청소년 관련 정책을 살펴보고, 이를 이론적 분석틀을 활용하여 분석함으로써 청소년정책에 대한 이론적 분석능력을 갖추는 것을 일차적 학습목표로 한다. 나아가 청소년 정책 수립, 집행, 평가단계를 검토하여 현행 정책의 문제점과 발전방향에 대해 논의한다.
20060
청소년법규와행정
A Laws and Administration for the Youth
본 교과목에서는 청소년기본법 등 청소년과 관련된 주요 법령을 중심으로 법의 목적과 체계를 이해하고, 청소년 관련법을 통해 구체화된 각종 청소년 정책과 행정체계를 검토한다. 현재 시행되고 있는 청소년 관련 법규와 행정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향후 발전방향을 모색한다.
20061
청소년인권과참여연구
Study of Youth Rights and Participation
본 교과목에서는 청소년 인권과 참여에 관한 기초 개념과 관점을 탐색하고, 그동안 제기된 청소년 인권과 참여 이슈들을 다룬다. 이를 통해 청소년 인권과 참여에 대한 관점과 민감성을 높이는 데 학습목표가 있다.
20062
지역사회와청소년연구
Study of Community and Youth
지역사회는 청소년의 일상의 공간이며, 참여의 연결 공간이다. 지역사회와 청소년의 관계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펼치고 있는 다양한 국내외 청소년 활동 사례를 다룬다. 이를 통해 청소년이 살기 좋은 지역사회가 되기 위한 과제와 발전방향을 논의한다.
20063
청소년정신건강론
Youth Mental Health
청소년기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과 이 시기의 주요 정신건강 이슈를 이해하며 건강한 성인기로 이행을 지원하는 전문가로서 역량을 높이는 데에 목적이 있다.
20148
심리측정및평가
Psychological Tests and Assessment
심리측정 및 평가란 개인의 심리적 특성을 이해하기 위한 일련의 전문적인 과정으로서 심리검사, 면담, 행동관찰 등 여러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이 교과목에서는 의뢰된 문제를 분석하고, 적절한 평가 절차와 심리검사를 결정하고 검사를 시행, 채점하며, 심리검사 결과를 해석하고 그 외 다른 자료와 종합하여, 결과를 내담자나 의뢰 기관에 효율적으로 전달해주는 절차를 학습한다.
13578
이상심리학
Abnormal Psychology
이상심리학은 일반 사람들에게서는 보기 힘든 행동이나 신경증 혹은 정신병과 같은 심리장애를 연구하여 그 구조나 원인을 과학적으로 밝히는 심리학의 한 분야, 즉 인간의 이상행동과 정신장애를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이다. 이상심리학에서는 주로 이상행동과 심리장애의 기술과 분류, 원인과 발생과정, 치료와 예방을 다룬다. 본 교과목에서는 이상행동과 심리장애에 대한 생물학적 관점, 정신분석적 관점, 행동주의적 관점, 인지주의적 관점, 통합적 관점을 소개한다. 또한 이상행동 평가와 심리장애의 진단에서 주로 사용되는 분류체계인 세계보건기구(WHO)의 국제질병분류(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ICD)와 미국정신의학회에서 발표한 정신장애진단 및 통계편람 제5판(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5)을 통해 이상행동과 정신장애의 기준을 구체적으로 다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