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과는 1981년 3월 석사과정의 신설로 출발하여 1988년 3월에는 박사과정도 개설되었다.
2008년 6월 현재 화학과에는 총 11명의 교수진이 재직 중이며 60 여 명의 석사와 13명의 박사를 배출하였다.
화학 관련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여 사회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전문인력 양성
화학 관련 학문을 수행하기 위한 이론과 분석 방법을 겸비한 전문 연구자 양성
교수명
학위
전공
담당과목
강태종
이학박사
물리화학
분자분광화학
분자양자화학
김장섭
이학박사
유기화학
유기화학특론2
유기반응특론1
김학중
이학박사
생화학
고급생화학
생화학특론1
심준호
이학박사
전기분석화학
분석화학특론
전기분석화학특론
이성호
이학박사
유기화학
유기반응특론2
유기분광학
김보혜
이학박사
무기화학
무기화학특론2
김은주
이학박사
유기화학
유기반응특론1
김인환
이학박사
분석화학
고급분리분석
송종원
이학박사
물리화학
물리화학특론1
차정호
교육학박사
유기화학
유기화학특론1
★ 교과과정 및 교과목해설은 교육과정 변경에 따라 변동이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교과구분명
과목코드
과목명
이론시간
실기시간
학점
비고
연구
10000
개별연구지도
2
0
2
0
연구
10000
개별연구지도
1
0
1
0
전공
17152
고급단백질화학
3
0
3
0
전공
17149
고급분리분석
3
0
3
0
전공
17154
고급분자생화학
3
0
3
0
전공
17141
고급생화학
3
0
3
박사보충
전공
17153
고급효소화학
3
0
3
0
전공
17140
기기분석특론1
3
0
3
0
전공
17148
기기분석특론2
3
0
3
0
전공
11768
레이저광화학
3
0
3
0
전공
17147
무기반응특론
3
0
3
0
전공
17146
무기합성특론
3
0
3
0
전공
11275
무기화학특론1
3
0
3
0
전공
11702
무기화학특론2
3
0
3
0
전공
11703
무기화학특론3
3
0
3
0
전공
13173
무기화학특수연구
3
0
3
0
전공
11207
물리화학특론1
3
0
3
박사보충
전공
17139
배위화학특론
3
0
3
0
전공
11219
분석화학특론1
3
0
3
박사보충
전공
11717
분석화학특론2
3
0
3
0
전공
11718
분석화학특론3
3
0
3
0
전공
17150
분석화학특수연구
3
0
3
0
전공
17137
분자분광화학
3
0
3
박사보충
전공
11681
분자양자화학
3
0
3
0
전공
17142
분자통계열역학
3
0
3
0
전공
10954
생화학특론1
3
0
3
0
전공
12186
생화학특론2
3
0
3
0
전공
17151
생화학특론3
3
0
3
0
전공
17155
생화학특수연구
3
0
3
0
전공
11646
유기반응특론1
3
0
3
박사보충
전공
11695
유기반응특론2
3
0
3
0
전공
17138
유기분광학
3
0
3
0
전공
12659
유기합성특론
3
0
3
0
전공
11233
유기화학특론1
3
0
3
0
전공
11690
유기화학특론2
3
0
3
0
전공
12661
유기화학특수연구
3
0
3
0
전공
11626
전기분석화학특론
3
0
3
0
전공
11706
전이금속화학
3
0
3
박사보충
전공
18057
초분자화학
3
0
3
0
전공
17144
표면계면화학
3
0
3
0
전공
17145
현대전기화학
3
0
3
0
전공
17143
화학반응동력학
3
0
3
0
전공
17156
화학세미나1
3
0
3
0
전공
17157
화학세미나2
3
0
3
0
전공
17158
화학세미나3
3
0
3
0
전공
17159
화학세미나4
3
0
3
0
전공
17160
화학연구1
3
0
3
0
전공
17161
화학연구2
3
0
3
0
"박사보충" 표시된 과목
- 석사과정생이 수강할 경우, 전공과목으로 인정되며,
- 박사과정생이 수강할 경우, 보충과목으로 인정됨
★ 교과과정 및 교과목해설은 교육과정 변경에 따라 변동이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과목코드
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교과목 한글개요
10000
개별연구지도
Research Works
학위논문의 작성을 위하여 지도교수의 지도하에 각 개인별 연구주제에 관하여 연구한다.
10000
개별연구지도
Research Works
학위논문의 작성을 위하여 지도교수의 지도하에 각 개인별 연구주제에 관하여 연구한다.
17152
고급단백질화학
Advanced Protein Chemistry
생체 고분자 물질 중 단백질은 생명 현상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이러한 단백질의 구조와 기능을 중점적으로 다룬다.
17149
고급분리분석
Advanced Separation Analysis
용매 추출, 크로마토그래피의 기본이론, 종이 및 얇은 막 크로마토그래피,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기체 크로마토그래피의 원리, 기기 및 응용을 다룬다.
17154
고급분자생화학
Advanced Molecular Biochemistry
생체 내의 유전 정보 전달에 관여된 DNA 복제, RNA 전사, 단백질 합성 과정 등을 배운다.
17141
고급생화학
Advanced Biochemistry
생화학에 대한 원리와 지식을 제공해주는 과목이다. 단백질의 구조와 기능, 물질대사 등을 중심으로 학부 과정에서 못 다룬 부분을 보다 심도 있게 배운다.
17153
고급효소화학
Advanced Enzyme Chemistry
효소는 생명체 내에서 일어나는 수많은 반응들을 원활히 일어나게 하는 생물학적 촉매이다. 이러한 효소의 구조, 기능과 조절 메커니즘에 대하여 배운다.
17140
기기분석특론1
Topics in Instrumental Analysis I
UV/visible. IR, NMR, MS, AA, AES, ICP, X선 분석법 등 분광화학적 분석방법의 이론과 실제를 익히고 이들로 화합물의 분석에 응용할 수 있게 한다.
17148
기기분석특론2
Topics in Instrumental Analysis II
UV/visible. IR, NMR, MS, AA, AES, ICP, X선 분석법 등 분광화학적 분석방법의 이론과 실제를 익히고 이들로 화합물의 분석에 응용할 수 있게 한다.
11768
레이저광화학
Laser Photochemistry
광화학 반응에 이용되는 레이저 광의 발생 원리 및 종류, 다양한 레이저 광반응의 이론 및 실험방법 등을 개관한다.
17147
무기반응특론
Topics in Inorganic Reactions
무기화합물의 반응 특히 전이금속 착물과 유기금속 화합물의 치환반응, 산화-환원반응, 촉매반응의 속도론과 메커니즘 등을 공부한다.
17146
무기합성특론
Topics in Inorganic Synthesis
여러 형태의 무기화합물의 합성, 분리 및 확인하는 방법을 다룬다. 즉 무기화합물의 합성을 이한 반응과 실험조건 및 장치, 화합물의 분리 및 구조의 확인방법에 관한 이론과 실제를 공부한다.
11275
무기화학특론1
Topics in Inorganic Chemistry I
타 전공분야의 연구와 관련성이 높은 무기화학의 최근 동향과 그 구체적인 내용을 주제별로 발표된 논문을 통해 이해한다.
11702
무기화학특론2
Topics in Inorganic Chemistry II
무기화학분야의 최근의 연구동향과 무기화학의 연구에 필요한 타 분야의 연구동향을 발표된 논문을 통해 알아본다.
11703
무기화학특론3
Topics in Inorganic Chemistry III
무기화학분야의 최근의 연구동향과 무기화학의 연구에 필요한 타 분야의 연구동향을 발표된 논문을 통해 알아본다.
13173
무기화학특수연구
Selected Research in lnorganic Chemistry
자신에게 부과된 연구주제에 대한 이론, 실험방법 및 결과 등에 대한 토론을 통하여 원만한 수행을 돕는다.
11207
물리화학특론1
Topics in Physical Chemistry I
화학의 여러 전공 분야에 공통적으로 필요로 하는 물리화학적 이론 및 접근방법을 다룬다.
17139
배위화학특론
Topics in Coordination Chemistry
학부과정에서 습득한 배위화학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전이금속과 회토류 금속의 착물 및 유기금속화합물의 결합, 특성 및 응용성에 대한 지식을 심화시킨다. 특히 이들 화합물의 성질에 미치는 리간드의 구조, 주개원자 및 금속의 성질의 영향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데 중점을 둔다.
11219
분석화학특론1
Topics in Analytical Chemistry I
분석화학의 기초이론을 바탕으로 실제적인 분석 문제 해결에 접근하는 방법론적 실력을 갖출 수 있게 분석에 관련된 여러 이론과 내용을 다루며 최근 진보된 분석방법에 대한 이해와 응용에 관해 고찰한다.
11717
분석화학특론2
Topics in Analytical Chemistry II
분석화학에 관한 기초이론과 응용을 바탕으로 분리 및 분석에 관계되는 여러 이론과 더불어, 최근 연구를 중심으로 새로운 분석 이론과 방법을 광범위하게 다룬다.
11718
분석화학특론3
Topics in Analytical Chemistry III
분석화학에 관한 기초이론과 응용을 바탕으로 분리 및 분석에 관계되는 여러 이론과 더불어, 최근 연구를 중심으로 새로운 분석 이론과 방법을 광범위하게 다룬다.
17150
분석화학특수연구
Selected Research in Analytical Chemistry
분석화학분야의 연구수행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최신 연구논문을 중심으로 연구에 필요한 자료를 비교 검토하며, 연구논문 및 실험의 진행에 관계되는 제 이론, 방법 및 문제를 토의하며, 교수와 학생이 연구논문 실험에 관련된 자료로의 활용여부를 검토한다.
17137
분자분광화학
Molecular Spectroscopy in Chemistry
현대 분자분광화학의 개념 및 방법들을 습득하고 분자와 방사광 사이의 동력학적 상호작용을 이해하는데 역점을 둔다.
11681
분자양자화학
Molecular Quantum Chemistry
Hartree-Fock 근사법 및 그와 유사한 ab initio 방법들을 분자의 성질 및 분자의 전자구조계산에 응용하여 본다.
17142
분자통계열역학
Molecular Statistical Thermodynamics
분자세계의 운동 및 성질로부터 거시적인 자연현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고안된 앙상블 평균방법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앙상블에서의 상태 합을 구하는 방법을 배우고 이들로부터 여러 가지 열역학적 성질들을 계산한다.
10954
생화학특론1
Topics in Biochemistry Ⅰ
생체분자물질의 합성과 대사, 에너지대사 등 생화학의 중요문제에 대하여 강의한다.
12186
생화학특론2
Topics in Biochemistry II
생체분자물질의 합성과 대사, 에너지흭득 대사,생명현상에 관한 정보물질의 합성과 대사 등 최근 발전하고 있는 생화학의 중요문제에 대한 강의 및 연구한다.
17151
생화학특론3
Topics in Biochemistry III
생명 현상을 분자적 기초 아래 설명하고 이해를 돕는다. 생화학에서 관심 있는 분야들에 대하여 심도 있게 다룬다.
17155
생화학특수연구
Research in Biochemistry
생화학 연구 수행에 필요한 방법 등에 대하여 배우는 과목이다. 생체 고분자 물질 중 중요한 단백질과 DNA를 다루는 방법 등을 중점적으로 배운다.
11646
유기반응특론1
Topics in Organic Reaction Mechanism I
유기반응 메커니즘에 대한 최신 연구논문을 중심으로 주제별로 강의와 토론을 한다.
11695
유기반응특론2
Topics in Organic Reaction Mechanism II
유기반응 메커니즘에 대한 최신 연구논문을 중심으로 주제별로 강의와 토론을 한다.
17138
유기분광학
Organic Spectroscopy
유기화합물의 구조 결정에 가장 흔히 이용하는 자외선 분광학, 적외선 분광학, 핵자기공명 분광학 그리고 질량분석의 기본 원리와 이들의 스펙트럼을 해석하여 화합물의 구조를 분석하는 능력을 배양한다.
12659
유기합성특론
Topics in Organic Synthesis
유기합성에 이용되는 새로운 반응을 소개하고 비대칭 합성과 천연물의 전합성에 대한 내용을 최신 연구논문을 중심으로 강의한다.
11233
유기화학특론1
Topics in Organic Chemistry I
분자구조와 형태, 입체화학, 반응 중간체, Pericyclic reaction 등의 여러 전공에 공통적으로 필요한 유기화학 지식을 강의한다.
11690
유기화학특론2
Topics in Organic Chemistry II
유기화학의 새로운 분야나 담당교수의 전공분야에 대해 강의한다.
12661
유기화학특수연구
Selected Research in Organic Chemistry
최근 유기화학의 연구동향에 맞추어 새롭고 흥미 있는 합성방법론과 전합성에 대하여 연구한다.
11626
전기분석화학특론
Topics in Electrochemical Analysis
물질의 전기 화학적 성질을 이용하는 분석 방법 중 전압전류법, 폴라로그래피법 등에 대한 분석 이론과 그 응용, 그리고 최근의 진보된 분석방법에 대한 이해와 그 응용에 대해 고찰한다.
11706
전이금속화학
Transition Metal Chemistry
전이금속 원소와 이온의 주기적인 성질과 이들의 화합물의 화학적인 성질 및 응용성을 공부한다.
18057
초분자화학
Supermolecular Chemistry
17144
표면계면화학
Surface and Interface Chemistry
액체계면의 열역학, 액체 막, 고체-액체상간의 접촉각, 흡착, Wetting, emulsion, flotation, detergency 등의 성질을 알아본다.
17145
현대전기화학
Modern Electrochemistry
전기분해, 전극의 성질, 전지, 전극 반응론, 전도도 이론과 응용, 전해질 운반, 계면전기화학, 반도체 전극 등을 다룬다.
17143
화학반응동력학
Chemical Reaction Dynamics
화학반응속도론을 기초로 한 기체분자운동론, 들뜬 중간체 화학종의 확인 및 소멸, 분자충돌이론, 에너지 분배 등을 다룬다.
17156
화학세미나1
Seminar in Chemistry I
외부연사의 초청강연이나 대학원생이 연구 논문 발표를 하도록 한다.
17157
화학세미나2
Seminar in Chemistry II
외부연사의 초청강연이나 대학원생이 연구 논문 발표를 하도록 한다.
17158
화학세미나3
Seminar in Chemistry III
외부연사의 초청강연이나 대학원생이 연구 논문 발표를 하도록 한다.
17159
화학세미나4
Seminar in Chemistry IV
외부연사의 초청강연이나 대학원생이 연구 논문 발표를 하도록 한다.
17160
화학연구1
Research in Chemistry I
자신에게 부과된 연구주제에 대한 이론, 실험방법 및 결과 등에 대한 토론을 통하여 원만한 연구의 수행을 돕는다.
17161
화학연구2
Research in Chemistry II
자신에게 부과된 연구주제에 대한 이론, 실험방법 및 결과 등에 대한 토론을 통하여 원만한 연구의 수행을 돕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