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PYRIGHT(C) 2016 BY DAEGU UNIVERSITY ALL RIGHT RESERVED.
INFORMATION
연혁
- 1998년 3월에 산림자원학전공, 임산공학전공, 농화학전공, 식량자원학전공의 4개 전공을 갖춘 석사과정개설
- 1999년 11월 13일자 박사과정 개설
- 2022년 3월 현재 식품환경안전학전공, 생명산업전공, 산림자원학전공, 동물자원학전공 등 4개 전공 운영 중
교육목표
- 세분화되고 심도있는 연구를 위한 전문인력의 양성
- 첨단화되고 있는 농림업 근간산업에 대한 정보화기술 적응능력 배양
- 1차, 2차, 3차 산업의 각 영역의 특성을 고려한 전문지식의 습득 및 실무능력함양
교수명단
교수명 |
학위 |
전공 |
담당과목 |
---|---|---|---|
정병룡 |
농학박사 |
작물생화학 |
광합성연구, 물질수송론 |
박상규 |
이학박사 |
분자생물학 |
분자생물학특론, 식물분자생물학 |
조익환 |
농학박사 |
초지학 |
초지관리학특론, 실험설계 및 분석법 |
서병부 |
농학박사 |
가축유전학 |
가축유전학특론, 가축번식학특론 |
강석남 |
농학박사 |
축산가공학 |
식육학특론, 축산물이용학특론 |
원승건 |
공학박사 |
축산환경학 |
축산폐기물처리이용학특론, 축산폐기물론 |
안세희 |
농학박사 |
목재화학 |
목재화학특론, 제지학특론 |
오세창 |
농학박사 |
목질재료목구조학 |
목질재료학특론, 목구조설계 |
이덕재 |
농림학박사 |
산림경영 |
경관․산림경영학특론, 임정학특론 |
박영대 |
농학박사 |
조림학 |
수목생리학특론, 산림생태학특론 |
김동엽 |
농학박사 |
산림공학 |
산림유역관리, 사방공학특론 |
★ 교과과정 및 교과목해설은 교육과정 변경에 따라 변동이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교과구분명 | 과목코드 | 과목명 | 이론시간 | 실기시간 | 학점 | 비고 |
---|---|---|---|---|---|---|
연구 | 10000 | 개별연구지도 | 2 | 0 | 2 | 0 |
연구 | 10000 | 개별연구지도 | 1 | 0 | 1 | 0 |
전공 | 가금번식학연습 | 3 | 0 | 3 | 0 | |
전공 | 11060 | 가금번식학특론 | 3 | 0 | 3 | 0 |
전공 | 17372 | 가금영약학세미나 | 3 | 0 | 3 | 0 |
전공 | 11041 | 가금영약학특론 | 3 | 0 | 3 | 0 |
전공 | 14708 | 가축번식학연구 | 3 | 0 | 3 | 0 |
전공 | 12184 | 가축번식학특론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4707 | 가축복지의이론과실제 | 3 | 0 | 3 | 0 |
전공 | 19889 | 가축분뇨처리공학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2727 | 가축영양학및실험 | 3 | 0 | 3 | 0 |
전공 | 10935 | 가축영양학특론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4634 | 가축유전학연구 | 3 | 0 | 3 | 0 |
전공 | 11094 | 가축유전학연습 | 3 | 0 | 3 | 0 |
전공 | 10986 | 가축유전학특론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4709 | 가축육종학연구 | 3 | 0 | 3 | 0 |
전공 | 11036 | 가축육종학연습 | 3 | 0 | 3 | 0 |
전공 | 11019 | 가축육종학특론 | 3 | 0 | 3 | 0 |
전공 | 11049 | 가축인공수정특론 | 3 | 0 | 3 | 0 |
전공 | 14891 | 고급생화학특론 | 3 | 0 | 3 | 0 |
전공 | 14655 | 광합성연구 | 3 | 0 | 3 | 0 |
전공 | 18958 | 구조용복합재 | 3 | 0 | 3 | 0 |
전공 | 14666 | 구조용복합제 | 3 | 0 | 3 | 0 |
전공 | 11721 | 기기분석 | 3 | 0 | 3 | 0 |
전공 | 14152 | 기내육종학 | 3 | 0 | 3 | 0 |
전공 | 19410 | 기능성식물학연습 | 3 | 0 | 3 | 0 |
전공 | 18058 | 기능성식물학특론 | 3 | 0 | 3 | 0 |
전공 | 19414 | 기능성축산물학특론 | 3 | 0 | 3 | 0 |
전공 | 14161 | 내병성육종 | 3 | 0 | 3 | 0 |
전공 | 15405 | 내분비학연구 | 3 | 0 | 3 | 0 |
전공 | 11023 | 내분비학특론 | 3 | 0 | 3 | 0 |
전공 | 14648 | 농약대사화학 | 3 | 0 | 3 | 0 |
전공 | 14649 | 농약작용기작론 | 3 | 0 | 3 | 0 |
전공 | 14138 | 농약잔류화학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4142 | 농업환경화학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1061 | 단백질대사학 | 3 | 0 | 3 | 0 |
전공 | 13086 | 단위가축영양학특론 | 3 | 0 | 3 | 0 |
전공 | 14179 | 도시임업특론 | 3 | 0 | 3 | 0 |
전공 | 13166 | 면역학특론 | 3 | 0 | 3 | 0 |
전공 | 14716 | 목가구및설계 | 3 | 0 | 3 | 0 |
전공 | 14189 | 목구조설계 | 3 | 0 | 3 | 0 |
전공 | 14663 | 목재기계적성질론 | 3 | 0 | 3 | 0 |
전공 | 14186 | 목재물리학특론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4185 | 목재보존학특론 | 3 | 0 | 3 | 0 |
전공 | 14190 | 목재열기건조특론 | 3 | 0 | 3 | 0 |
전공 | 14184 | 목재접착도장특론 | 3 | 0 | 3 | 0 |
전공 | 14665 | 목재해부학적성질론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4181 | 목재화학특론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4662 | 목질에너지전환 | 3 | 0 | 3 | 0 |
전공 | 14183 | 목질재료학특론 | 3 | 0 | 3 | 0 |
전공 | 14656 | 물질수송론 | 3 | 0 | 3 | 0 |
전공 | 11759 | 미생물유전학특론 | 3 | 0 | 3 | 0 |
전공 | 19477 | 바이오매스활용연구 | 3 | 0 | 3 | 0 |
전공 | 11057 | 반추가축영양학연습 | 3 | 0 | 3 | 0 |
전공 | 10994 | 반추가축영양학특론 | 3 | 0 | 3 | 0 |
전공 | 11050 | 반추미생물학특론 | 3 | 0 | 3 | 0 |
전공 | 14633 | 발생공학연구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6103 | 발생공학연습 | 3 | 0 | 3 | 0 |
전공 | 11020 | 발생공학특론 | 3 | 0 | 3 | 0 |
전공 | 19408 | 부숙학연구 | 3 | 0 | 3 | 0 |
전공 | 19412 | 부숙학특론 | 3 | 0 | 3 | 0 |
전공 | 11108 | 분자생물학세미나 | 3 | 0 | 3 | 0 |
전공 | 10981 | 분자생물학특론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2104 | 분자유전학 | 3 | 0 | 3 | 0 |
전공 | 10992 | 분자유전학특론 | 3 | 0 | 3 | 0 |
전공 | 11017 | 비타민및광물질대사 | 3 | 0 | 3 | 0 |
전공 | 14892 | 사료영양학세미나 | 3 | 0 | 3 | 0 |
전공 | 15406 | 사료작물학연구 | 3 | 0 | 3 | 0 |
전공 | 19888 | 사방공학특론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4177 | 산림경영학특론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4172 | 산림곤충학특론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4720 | 산림공학세미나 | 3 | 0 | 3 | 0 |
전공 | 14171 | 산림보호학특론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8963 | 산림보호학특수문제 | 3 | 0 | 3 | 0 |
전공 | 18961 | 산림생태학특론 | 3 | 0 | 3 | 0 |
전공 | 19887 | 산림유역관리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4722 | 산림자원정보시스템응용기술 | 3 | 0 | 3 | 0 |
전공 | 14176 | 산림자원정보시스템특론 | 3 | 0 | 3 | 0 |
전공 | 18064 | 산림자원학세미나 | 3 | 0 | 3 | 0 |
전공 | 14724 | 산림평가학특론 | 3 | 0 | 3 | 0 |
전공 | 18962 | 산림휴양및관광자원계획특론 | 3 | 0 | 3 | 0 |
전공 | 14671 | 산화특론 | 3 | 0 | 3 | 0 |
전공 | 14718 | 삼림생태학특론 | 3 | 0 | 3 | 0 |
전공 | 10817 | 생물공학특론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8063 | 생물실험설계학 | 3 | 0 | 3 | 0 |
전공 | 14166 | 생물학적방제론 | 3 | 0 | 3 | 0 |
전공 | 14721 | 생태적복원기술 | 3 | 0 | 3 | 0 |
전공 | 12199 | 생화학세미나 | 3 | 0 | 3 | 0 |
전공 | 10934 | 생화학특론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2186 | 생화학특론2 | 3 | 0 | 3 | 0 |
전공 | 14885 | 섬유및제지물성학 | 3 | 0 | 3 | 0 |
전공 | 14658 | 세포생물학연구 | 3 | 0 | 3 | 0 |
전공 | 10939 | 세포생물학특론 | 3 | 0 | 3 | 0 |
전공 | 18862 | 수목생리학특론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4170 | 수목학특론 | 3 | 0 | 3 | 0 |
전공 | 14668 | 수목학특수문제 | 3 | 0 | 3 | 0 |
전공 | 14719 | 수병학특론 | 3 | 0 | 3 | 0 |
전공 | 14167 | 수분생리학 | 3 | 0 | 3 | 0 |
전공 | 14653 | 식물병리학세미나 | 3 | 0 | 3 | 0 |
전공 | 10957 | 식물병리학특론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0907 | 식물병원균학 | 3 | 0 | 3 | 0 |
전공 | 10908 | 식물병원바이러스학 | 3 | 0 | 3 | 0 |
전공 | 10920 | 식물병원세균학 | 3 | 0 | 3 | 0 |
전공 | 11032 | 식물분자생물학 | 3 | 0 | 3 | 0 |
전공 | 14156 | 식물생장발육특론 | 3 | 0 | 3 | 0 |
전공 | 14642 | 식물세포신호전달 | 3 | 0 | 3 | 0 |
전공 | 10947 | 식물생리학특론 | 3 | 0 | 3 | 0 |
전공 | 14713 | 식물영양학세미나 | 3 | 0 | 3 | 0 |
전공 | 14141 | 식물영양학특론 | 3 | 0 | 3 | 0 |
전공 | 10910 | 식물조직배양학특론 | 3 | 0 | 3 | 0 |
전공 | 10973 | 식육냉동학특론 | 3 | 0 | 3 | 0 |
전공 | 14639 | 식육학세미나 | 3 | 0 | 3 | 0 |
전공 | 11111 | 식육학특론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1969 | 식품저장학특론 | 3 | 0 | 3 | 0 |
전공 | 14651 | 식품학특론 | 3 | 0 | 3 | 0 |
전공 | 14137 | 신농약개발론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4134 | 실험설계및분석 | 3 | 0 | 3 | 0 |
전공 | 10936 | 실험설계및분석법 | 3 | 0 | 3 | 0 |
전공 | 14173 | 야생동물학특론 | 3 | 0 | 3 | 0 |
전공 | 14178 | 야외휴양학특론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8062 | 약용식물학특론 | 3 | 0 | 3 | 0 |
전공 | 14705 | 영양소상호작용과사료가공 | 3 | 0 | 3 | 0 |
전공 | 14704 | 영양소의이론과실제 | 3 | 0 | 3 | 0 |
전공 | 14640 | 유가공세미나 | 3 | 0 | 3 | 0 |
전공 | 10966 | 유가공학특론1 | 3 | 0 | 3 | 0 |
전공 | 11102 | 유가공학특론2 | 3 | 0 | 3 | 0 |
전공 | 19476 | 유기성폐자원이용학연구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4657 | 유전공학연구 | 3 | 0 | 3 | 0 |
전공 | 11025 | 유전공학특론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0913 | 유전학특론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1068 | 육우생산생리학특론 | 3 | 0 | 3 | 0 |
전공 | 11082 | 육제품생산학특론 | 3 | 0 | 3 | 0 |
전공 | 14698 | 인간과동물의관계학 | 3 | 0 | 3 | 0 |
전공 | 14169 | 임목육종학특론 | 3 | 0 | 3 | 0 |
전공 | 14717 | 임목육종학특수문제 | 3 | 0 | 3 | 0 |
전공 | 14193 | 임산공학세미나 | 3 | 0 | 3 | 0 |
전공 | 14723 | 임정학특론 | 3 | 0 | 3 | 0 |
전공 | 14150 | 자원식물학 | 3 | 0 | 3 | 0 |
전공 | 14159 | 자화수정작물육종 | 3 | 0 | 3 | 0 |
전공 | 14654 | 작물보호학세미나 | 3 | 0 | 3 | 0 |
전공 | 14146 | 작물보호학특론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4619 | 작물생리학연구 | 3 | 0 | 3 | 0 |
전공 | 14145 | 작물생리학특론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4147 | 작물생화학특론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4148 | 작물학세미나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4195 | 재배학특론 | 3 | 0 | 3 | 0 |
전공 | 14187 | 제지학특론 | 3 | 0 | 3 | 0 |
전공 | 14168 | 조림학특론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1079 | 지방대사학 | 3 | 0 | 3 | 0 |
전공 | 14188 | 지류가공학특론 | 3 | 0 | 3 | 0 |
전공 | 14661 | 지류포장학 | 3 | 0 | 3 | 0 |
전공 | 15402 | 초지관리학연구 | 3 | 0 | 3 | 0 |
전공 | 11073 | 초지관리학특론 | 3 | 0 | 3 | 0 |
전공 | 14712 | 초지생태학연구 | 3 | 0 | 3 | 0 |
전공 | 11062 | 초지생태학특론 | 3 | 0 | 3 | 0 |
전공 | 15404 | 초지이용학연구 | 3 | 0 | 3 | 0 |
전공 | 10997 | 초지이용학특론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4711 | 축산물냉동학특강 | 3 | 0 | 3 | 0 |
전공 | 19409 | 축산물분석학연습 | 3 | 0 | 3 | 0 |
전공 | 19413 | 축산물분석학특론 | 3 | 0 | 3 | 0 |
전공 | 17539 | 축산물이용학특론 | 3 | 0 | 3 | 0 |
전공 | 19411 | 축산물저장학연습 | 3 | 0 | 3 | 0 |
전공 | 19415 | 축산물저장학특론 | 3 | 0 | 3 | 0 |
전공 | 14710 | 축산물제조학특강 | 3 | 0 | 3 | 0 |
전공 | 11010 | 축산부산물가공학특론 | 3 | 0 | 3 | 0 |
전공 | 11053 | 축산폐기물론 | 3 | 0 | 3 | 0 |
전공 | 15403 | 축산폐기물처리이용학특론 | 3 | 0 | 3 | 0 |
전공 | 14160 | 타화수정작물육종 | 3 | 0 | 3 | 0 |
전공 | 11034 | 탄수화물대사학 | 3 | 0 | 3 | 0 |
전공 | 14884 | 탈묵및고지재활용기술 | 3 | 0 | 3 | 0 |
전공 | 12185 | 토양비료학특론 | 3 | 0 | 3 | 0 |
전공 | 14182 | 특수임산물 | 3 | 0 | 3 | 0 |
전공 | 14180 | 펄프학특론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0996 | 한우사육학특론 | 3 | 0 | 3 | 0 |
전공 | 14157 | 환경생리학 | 3 | 0 | 3 | 0 |
전공 | 14725 | 환경임업특론 | 3 | 0 | 3 | 0 |
전공 | 16774 | 휴양및관광자원계획특론 | 3 | 0 | 3 | 0 |
"박사보충" 표시된 과목
- 석사과정생이 수강할 경우, 전공과목으로 인정되며,
- 박사과정생이 수강할 경우, 보충과목으로 인정됨
★ 교과과정 및 교과목해설은 교육과정 변경에 따라 변동이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과목코드 | 과목명 | 교과목 영문명 | 교과목 한글개요 |
---|---|---|---|
10000 | 개별연구지도 | Research Works | 학위논문의 작성을 위하여 지도교수의 지도하에 각 개인별 연구주제에 관하여 연구한다. |
10000 | 개별연구지도 | Research Works | 학위논문의 작성을 위하여 지도교수의 지도하에 각 개인별 연구주제에 관하여 연구한다. |
11060 | 가금번식학특론 | Advanced Poultry Reproduction | 가금 번식에 관여하는 생식기관, 생식세포, 성호르몬 등이 포유동물과 다른 점을 검토하고 산란주기, 수정율, 부화율, 점등효과, 인공수정 등에 관해 실험실습을 통해 숙지한다. |
17372 | 가금영약학세미나 | Avian Nutrition Seminar | |
11041 | 가금영양학특론 | Advanced Poultry Nurtition | 가금영양학은 사료학과 더불어 가금사양의 합리적, 나아가서는 양계 생산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기본적인 학문이다. 따라서 가금영양학의 보급과 발전은 진보발전을 위해 중요한 요인이 된다. 그동안 가금영양학의 진보와 새로운 견해를 체계적으로 정리, 이해하는 것이 본 강의의 목적이다. |
14708 | 가축번식학연구 | Seminar of Animal Reproduction | 가축번식에 관여하는 생식기관을 숙지하고 생식세포와 성호르몬을 검토하고 체외수정, 수정란이식, 체외배양에 대한 실험실습을 위주로 연구기반을 확립한다. |
12184 | 가축번식학특론 | Advanced Animal Reproduction | 가축번식에 관여하는 생식기관, 생식세포, 성호르몬 등에 관해 검토하고 성주기, 수정, 임신, 분만, 비유 등에 대해 실험 실습을 통하여 숙지한다. |
14707 | 가축복지의이론과실제 | Special Topics of Animal Welfare | 대량사육에서 생기는 가축복지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현재 진행중인 여러 가지 연구들을 분석 평가하고 연구한다. |
19889 | 가축분뇨처리공학 | Livestock Manure Treatment | 급변하는 농업환경과 농촌주변 거주시설 간의 악취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그 원인물질인 가축분뇨의 적절한 처리가 중요하다. 축산업에서 축종별 분뇨의 처리시설은 그 특성에 따라 배분구조를 달리하고 있으므로 본 교과목에서는 축종별 분뇨의 처리방법을 이해하고 악취의 저감을 위한 분뇨처리공정의 종류와 메카니즘을 다룬다. |
12727 | 가축영양학및실험 | Animal Nutrition and Lab | |
10935 | 가축영양학특론 | Advanced Animal Nutrition | 에너지, 아미노산, 지방산, 비타민 및 무기질 등 여러 가지 영양소의 흡수, 대사, 이용 및 상호작용과 가축의 생산성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최근에 연구된 지견을 강의 발표 혹은 토론한다. |
14634 | 가축유전학연구 | Seminar of Livestock Genetics | 각 가축별로 유전자의 특성과 유전원리를 파악하고 이를 가축 개량에 이용할 수 있도록 실험, 실습 위주로 연구기반을 확립한다. |
11094 | 가축유전학연습 | Livestock Genetics Lab | 각 가출별로 유전자의 특성에 따른 유전원리를 숙지하고 이를 가축개량에 응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도록 실험실습을 통해 숙지한다. |
10986 | 가축유전학특론 | Advanced Livestock Genetics | 각 가축별로 유전자의 특성과 유전원리를 파악하고 이를 가축개랑에 이용할 수 있도록 숙지한다. |
14709 | 가축육종학연구 | Seminar of Animal Breeding | 가축능력의 유전, 선발과 도태, 교배방법, 육종과 환경의 관계 등 가축 육종의 원리를 파악하고, 가 가축의 육종방법 및 가축 등록과 능력검정 등에 관한 실험 및 통계분석방법 등을 숙지한다. |
11036 | 가축육종학연습 | Animal Brddeing Lab | 가축 육종의 원리를 파악하고 각 가축의 육종방법, 능력검정, 선발과 도태, 육종과 환경과의 관계 등을 실험실습을 통하여 숙지한다. |
11019 | 가축육종학특론 | Advanced Animal Breeding | 가축능력의 유전, 선발과 도태, 교배방법, 육종과 환경의 관계 등 가축육종의 원리를 파악하고 각 가축의 육종방법 및 가축 등록과 능력검정 등을 숙지한다. |
11049 | 가축인공수정특론 | Advanced Artificial Insemination | 주요가축 및 가금의 생식생리와 생식현상을 파악하고, 이를 기초로 하여 소, 돼지, 닭의 인공수정에 필요한 기술과 소, 돼지, 산양의 수정란이식에 필요한 기술을 실험실습을 통하여 숙지한다. |
14891 | 고급생화학특론 | Specialized Biochemistry |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을 중심으로 하여 가축의 생리와 영양에 필요한 개념을 기반으로 한 생화학적 특징을 강의한다. 그리고 기본구조를 기반으로 한 세포단위 대사를 강의하며 이에 필요한 내분비계통과 생리분야의 연관성을 아울러 연구한다. |
14655 | 광합성연구 | Photosynthesis Research | 생명에너지의 가장 1차적인 광에너지의 식물체 내에서의 생화학적, 물리화학적, 에너지 역학적인 관점에서 고찰한다. |
18958 | 구조용복합재 | Structural Composite Lumber | 구조용복합재는 제재목의 대체재로서 구조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단판이나 스트랜드 또한 기타의 소형목재요소를 결합하여 만든 공학목재의 그룹을 말한다. 여기에는 LVL, PSL, LSL, COM-PLY 등과 같은 공학목재가 있으며 이들에 관한 제조 및 용도, 건축 법규적 허가사항, 설계 및 구조성능평가에 관한 이론적 고찰과 해석을 수업한다. |
14666 | 구조용복합제 | Structural composite Lumber | 구조용복합재는 제재목의 대체재로서 구조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단판이나 스트랜드 또한 기타의 소형목재요소를 결합하여 만든 공학목재의 그룹을 말한다. 여기에는 LVL, PSL, LSL, COM-PLY 등과 같은 공학목재가 있으며 이들에 관한 제조 및 용도, 건축 법규적 허가사항, 설계 및 구조성능평가에 관한 이론적 고찰과 해석을 수업한다. |
11721 | 기기분석 | Instrumental Analysis | 물질의 조성에 관한 정성 및 정량분석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분석기기의 효과적인 선정과 분석방법의 기본원리를 이해시키고자 한다. |
14152 | 기내육종학 | In Vitro Plant Breeding | |
18058 | 기능성식물학특론 | Special topics in Functional Plant | |
19410 | 기능성축산물학연습 | Functional Meat Product Lab | 축산식품의 품질향상을 위해 첨가되는 기능성물질과 품질향상방법에 대해 공부한다. |
19414 | 기능성축산물학특론 | Advanced Funtional Meat Products | |
14161 | 내병성육종 | Plant Breeding for Disease Resistance | 작물육종에 있어서 내병성품종의 육종방법 및 최근의 동향에 대해서 논한다. |
15405 | 내분비학연구 | Seminar of Endocrinology | |
11023 | 내분비학특론 | Advanced Endocrinology | |
14648 | 농약대사화학 | Pesicide Metabolism | 농약 모화합물의 동식물 및 환경 중 생화학적 변환 반응, 대사산물의 독성학적 중요성 및 신농약 개발에의 응용에 대하여 일반적 원리 및 최신 연구 동향을 해설한다. |
14649 | 농약작용기작론 | Mode of Action of Pesticide | 농약의 목적 병해충과 잡초에 대한 약효 발현기작을 주요 농약군에 따라 생리 및 생화학적 측면에서 일반적 원리와 접근기법에 대하여 최신 연구동향과 함께 소개한다. |
14138 | 농약잔류화학 | Pesticide Residue Chemistry | 농약의 약효, 약해검정, 제품 및 잔류분석에 대해 최신의 연구동향과 함께 연구검토하며, 생물학적 특성과 환경학적 측면도 함께 소개한다. |
14142 | 농업환경화학 | Agricultural Environmental Studies | 농업과 관련된 주요 환경문제에 대한 현황을 분석하고 해결을 위한 접근방법을 검토한다. |
11061 | 단백질대사학 | Protein Metabolism | 단백질이 체내 대사와 함께 에너지로서의 대사관계 그리고 향체형성 등에 관해 강의한다. |
13086 | 단위가축영양학특론 | Advanced Simple Stomach Animal Nutrition | 각 동물(가축)은 소화기의 형태에 따라 소화의 형태와 이용되는 사료의 형태가 다르다. 이에 돼지와 같은 소화기를 갖는 가축에 대한 강의가 석사과정에서 필요하다. |
14179 | 도시임업특론 | Special topics in Urban forestry | 도시녹지 관리방안의 구성을 위해 외국의 도시림 개발과 관리사례를 조사하고 도시림의 유형별 분류, 도시토지관련 조직체계 사항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여 우리 나라의 설정에 맞는 도시림 조성방안과 관리체계를 검토한다. |
13166 | 면역학특론 | Advanced Immunology | 외래 물질에만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면역 반응의 원리를 설명하고 최근 분자 및 세포 면역학의 연구 동향을 소개한다. 주요 토픽으로는 백신의 원리와 작용, 면역 기능의 이상으로 생기는 질병, 종양 면역학 분야 그리고 면역학 연구를 위한 최신 실험 방법 등을 다룬다. |
14716 | 목가구및설계 | Wood Furniture and Design | 가구는 인간의 의식주에 있어서 중요한 생활도구로 사용되어 왔으며 의식주의 생활양식이 변화함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하여 왔다. 특히 목재를 이용한 가구는 안간에게 따뜻한 정감을 부여하고 보다 아름다운 모양을 만들 수 있기 때문에 그 가치가 높다고 할 수 있으며 목재 또는 목질재료의 3차 가공제품이다. 본 교과는 목가구와 그 설계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의 습득에 목적을 두어 목가구의 발달사, 목가구의 설계원리, 동서양 목가구의 구조와 형태, 배색과 마무리 등 목재 가구의 설계이론을 강의한다. |
14189 | 목구조설계 | Design of wood structure | 목구조의 구조설계와 연관된 세부 항목인 허용응력, 확률 및 신뢰성에 의한 설계법 및 내화와 차음구조에 대한 내용을 해설하여 전문적인 지식을 습득하도록 한다. |
14663 | 목재기계적성질론 | Mechanical Properties of wood | 목재의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성질을 평가하는데 있어, 물리적 성질을 평가하고 해석하여 목재의 고도 이용 및 가공을 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인 학습내용은 다음과 타다. 첫째 목재 및 목질복합재의 특성을 파악하고 목재만의 독특한 물리적 성질인 직교 이방성에 관한 성질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탄성학 이론을 목재에 적용시켜 해석을 실시한다. 둘째 목재의 유동학적 성질을 이해하고 정적 및 동적 특성을 파악하여 목재의 파괴 역학적 성질을 규명한다. |
14186 | 목재물리학특론 | Special topics in wood physics | 목재의 수분, 열역학적인 성질, 수축과 팽윤 및 기타 물리적 특성과 기계적 성질에 관한 전문적인 내용을 다룬다. |
14185 | 목재보존학특론 | Special topics in wood preservation | 목재열화원인과 그 방지를 위한 목재보존제의 종류 및 특성과 최근의 보존처리법 개발동향 등을 중심으로 전문적인 지식들을 습득코자 한다. |
14190 | 목재열기건조특론 | Special topics in kiln drying of wood | 목재의 건조특성, 영향인자, 건조응력의 발생과 건조결함과 연기건조실의 형태 및 특징, 건조실의 정비 및 조작에 관한 전문적인 내용을 다룬다. |
14184 | 목재접착도장특론 | Special topics in wood adhesion and finishing | 각종 접착제와 도장재료에 대해 재료의 특성, 제조이론, 적용방법, 성능평가에 관한 내용에 대해 세부사항에 관한 지식을 습득케 한다. |
14665 | 목재해부학적성질론 | Anatomical Properties of Wood | 목재를 구성하고 있는 세포의 조직을 이해하고 해석함으로써 목재가 지니고 있는 각종 물리적, 기계적 특성을 파악하고 목재의 각종 가공공정에 있어서 그 특성을 진단하는 기초적 성질이 되기 때문에 임산공학분야의 기초학문으로써 목재해부학은 중요하게 취급되고 있다. |
14181 | 목재화학특론 | Special topics in wood Chemistry | 목재의 화학 조성분의 분석, 각 조성분의 특성과 구조 및 화학반응에 관한 최근의 이론과 분석 방법에 대한 상세한 내용을 이해하고, 보다 전문적인 지식을 습득케 한다. |
14662 | 목질에너지전환 | Conversion of Biomass Energy | 목질에너지 전환 기술의 현황과 전망을 전통적으로 사용하여 왔던 직접 연소에 의한 에너지 전환기술과 그 시설, 열분해 기술과 그 생산물, 제반 가스화의 기술과 시설, 저열량 기체 및 메탄올과 탄화수소의 생성물, 목재의 액화기술과 그 생산물 등 열적 전환 기술과 목질의 전통적인 산 가수분해에 의한 목질다당류의 다당류 전환기술과 그 응용, 미술에 의한 메탄올과 메탄올의 생산기술과 생산물에 관하여 이론, 현황 및 문제점을 앞으로의 전망과 함께 강의한다. |
14183 | 목질재료학특론 | Special topics wood based materials | 목질재료에 관한 전문적인 지식의 습득과 목질재료의 제조에 관한 제조이론 및 이를 실제공정에 적용하기 위한 방법에 대하여 연구한다. |
14656 | 물질수송론 | Translocation | 식물 체내에서의 물과 양분의 이동, 무기영양분의 흡수와 대사, 광합성 및 기타 대사물질의 체내 이동 기작을 물리화학적, 생리학적 관점에서 고찰한다. |
11759 | 미생물유전학특론 | Advanced Microbial Genetics | 미생물과 virus들의 유전물질의 물리, 화학적 성질 및 변화, 전달과정 및 발현조절현상에 대한 학문이다. |
19477 | 바이오매스활용연구 | Recyclable biomass | 농축산업에서 발생하는 유기성 폐자원의 재활용을 위한 공정에 대한 개별연구와 최신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융·복합시스템 구성의 타당성 및 미래의 기술을 예측한다. |
11057 | 반추가축영양학연습 | Advanced Ruminology Lab | 반추가축영양학 특론에서 다룬 과제를 실천,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과 현장답사를 함으로 반추가축영양학에 대한 이해를 같이하고, 나아가서는 반추 동물의 보다 효율적인 이용방향을 모색하려 한다. |
10994 | 반추가축영양학특론 | Advanced Ruminant Nutrition | 반추가축은 인류의 고급 식량생산의 주류를 이루는 동물이다. 특히 반추위의 기능은 섬유 등 단위동물이 이용할 수 없는 물질을 이용하여 영양가 높은 식육생산에 관한 특이한 mechanism을 가지고 있다. 특히 제1위(Rumen)내에서 미생물이 작용하여 우육과 고기를 효율적으로 생산하는 과정에 관한 연구를 정리, 이해한다. |
11050 | 반추미생물학특론 | Advanced Ruminology | 반추동물의 제1위내에 서식하는 미생물을 반추미생물이라 한다. 이 반추미생물이 반추가축의 영양대사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cellulose의 분해이용과 타동물에서는 볼 수 없는 비타민 B군의 생성 등 특이한 대사작용을 반추위내 미생물이 하고 있다. 이러한 미생물에는 세균과 원충동물이 있다. 따라서 이 과목에서는 이러한 미생물들의 분류와 역할을 체계적으로 정리,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
14633 | 발생공학연구 | Seminar of Embryological Engineeing | 가축의 생식생리 및 생식세포 발생과정을 체외배양과 체외수정을 통하여 검토하고, 각종 유전자 조작기술과 핵이식 기술에 대한 응용기술을 실험, 실습하여 연구기반을 확립한다. |
16103 | 발생공학연습 | Advanced Embryological Engineering Lab | 동물의 생식세포와 수정란의 발생과정을 체외수정을 통하여 검토하고, 형질전환동물의 생산과 이용에 관한 실험, 실습을 하여 응용기술을 숙지한다. |
11020 | 발생공학특론 | Advanced Embryological Engineering | 가축의 생식생리 및 생식세포 발생과정을 체외배양과 체외수정을 통하여 검토하고 각좆ㅇ 유전자 조작기술과 핵이식 기술에 대한 응용기술을 숙지한다. |
19408 | 부숙학연구 | Advanced Composting | 가축으로부터 발생하는 분뇨의 처리 방법 중 퇴비화과정의 기초적인 개념을 정립하고 이를 통하여 농업분야의 물질순환을 이해하며 토양양분관리의 이슈와 방황을 연구함. |
19412 | 부숙학특론 | Special Topics in Composting | |
11108 | 분자생물학세미나 | Seminar on Molecular Biology | 최신 연구자료를 이용하여 식물 유전자의 구조 특성과 발현 양상 분야 및 분자 생물학의 응용분야의 연구동향과 최신 정보를 소개한다. |
10981 | 분자생물학특론 | Advanced Molecular Biology | 유전의 기본 원리들을 분자생물학적 수준에서 해석하는 기초 이론들을 주제별로 학습하며 최신 발견된 테마에 관해서 세미나를 겸한다. |
12104 | 분자유전학 | Molecular Genetics | |
10992 | 분자유전학특론 | Advanced Molecular Genetics | 각 가축별로 유전자의 특성에 따른 유전원리를 가축개량에 응용함에 있어서 전통적인 방법에서 탈피하여 DNA의 조작에 의한 유전자의 주입, 핵이식 등의 실험실습을 통하여 가축개량에 응용할 수 있도록 한다. |
11017 | 비타민및광물질대사 | Micro-Nutrients Metabolism | |
14892 | 사료영양학세미나 | Feed and Nutrition Seminar | 사료의 형태와 축종에 따른 소화이상을 대사학 기준으로 강의하고 연구한다. 풀사료와 곡류사료에 대한 영양학적 이론과 배경을 함께 연구한다. |
15406 | 사료작물학연구 | Seminar of Forage Crops | 각종 효소와 호르몬의 구성성분이 되는 비타민과 광물질의 생체 내에서의 화학 구조적 변화를 강의한다. |
19888 | 사방공학특론 | Special Topics in Forest Soil Erosion Control Engineering | 산지토사재해로 인한 피해를 저감하기 위한 사방 이론 및 기술, 최신 연구동향을 습득한다. |
14177 | 산림경영학특론 | Special topics in Forest management | 산림을 효율적으로 경영관리하기 위한 지식을 습득하는 과목으로 경영의 일반원칙을 산림자원을 대상으로 적용하여 임업이 갖는 특성을 반영, 실질적으로 산림경영방식을 습득하는 과목이다. |
14172 | 산림곤충학특론 | Special topics in Forest entomology | 산림에 피해를 주는 해충에 대해 그 발생원인과 방제책을 강구하여 항상 건전한 산림을 유지케 하는 이론과 기술을 습득시킨다. |
14720 | 산림공학세미나 | Seminar in Forest Engineering | 산림토목공학, 산림환경보전공학, 임업기계학 등 산림공학전반에 걸쳐 응용기술과 이론에 관한 폭넓은 이해를 통해 산림공학 분야의 연구능력과 안목을 배양한다. |
14171 | 산림보호학특론 | Special topics in Forest protection | 산림에 피해를 주는 제원인을 밝히고 그에 대한 방제책을 강구하여 항상 건전한 산림을 유지케 하는 이론과 기술을 습득시킨다. |
18963 | 산림보호학특수문제 | Special Problems in Forest Protection | 이 교과목은 학생들에게 산림생태계를 보호하기 위해 수목병과 산불의 관리에 대한 전문 지식을 제공한다. |
18961 | 산림생태학특론 | Special Topics in Forest Ecology | |
19887 | 산림유역관리 | Forest Watershed Management | 산림유역의 재해방지, 수자원 확보 및 경관조성 기능의 유지 및 증진을 목적으로 하는 유역관리 기법의 이론 및 최신 연구동향을 습득한다. |
14722 | 산림자원정보시스템응용기술 | Application of Forest Resources Information System | 산림자원분야의 각종 정보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지리정보시스템(GIS)의 응용기술에 대해 공부하며, 새로운 관련기술들에 대해 살펴본다. GIS 일반에 대한 이해를 필요로 하며, 산림자원정보시스템특론과도 연계되어 이루어지는 교과목이다. |
14176 | 산림자원정보시스템특론 | Special topics in Forest resources information system | 지리정보시스템(GIS)의 이론과 실기를 습득하고, 산림자원분야의 전반에 걸쳐 임의 선정된 실천과제들에 대해 몇 가지 GIS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해결책을 강구한다. |
18064 | 산림자원학세미나 | Seminar in forest resources | |
14724 | 산림평가학특론 | Special topice in Forest Evaluation | 자연공원체계 또는 야외휴양지에서의 야외휴양활동에 대한 이해와 자연휴양자원 경영에 있어서의 기법과 이론을 중심으로 연구한다. |
18962 | 산림휴양및관광자원계획특론 | Special Topics in Recreation and Tourism Resource | |
14671 | 산화특론 | Special topics in Forest fire | 산불의 원인과 산불이 수목 및 산림토양에 미치는 각종 영향을 연구하고, 이를 기초로 예방법과 소방법을 강구한다. |
14718 | 삼림생태학특론 | Special Topice in forest Ecology | 산림 생태계의 구조, 기능 및 물질생산, 생산된 물질의 이동경로, 생산량 추정 및 산림생태계의 경영관리 등을 연구한다. |
10817 | 생물공학특론 | Advanced Biotechnology | 생명체의 물질변환, 정보변환, 에너지 변환 등의 생명현상을 인류의 복지를 위하여 응용하는 과학 기술로서 미생물, 동, 식물세포를 이용한 유용물질을 생산, 품종 및 품질 개량, 생명현상 규명 등에 관련된 내용으로 구성. |
18063 | 생물실험설계학 | Experimental Designs | 생물실험에 대한 이론을 해설하며 통계프로그램을 통한 ANOVA 분석 및 분석 결과에 대한 해석에 관해 다룬다. |
14166 | 생물학적방제론 | Biological Control | 작물상호간에 있어서 각종 작물 병.해충에 대해 생물학적으로 방제하고자 하는 방향에 대해 논한다. |
14721 | 생태적복원기술 | Ecological Reclamation Technology | 최근 각종 인간 행위의 다양화로 인해 생활영역이 확대되면서 나타나는 여러 유형의 생태계 훼손현상에 대응하여 친자연적 혹은 자기유지적 생태계로의 회복에 관한 기법을 익힌다. |
12199 | 생화학세미나 | Seminar in Biochenistry | 생화학의 전반적인 내용 중 수강생의 관심분야에 따른 주제를 선정하고, 선정된 주제에 대한 최신의 연구동향을 조사, 토론한다. |
10934 | 생화학특론 | Advanced Biochemistry | 생체분자인 탄수화물, 지질, 단백질, 핵산의 구조와 기능을 다루고, 이들로 구성되는 세포소기관과 원형질막의 구조와 기능을 설명한다. 또한 물질대사를 설명하고 그것의 조절기구를 설명하며, 조절기구의 유형을 다룬다. |
12186 | 생화학특론2 | Topics in Biochemistry II | 생체분자물질의 합성과 대사, 에너지흭득 대사,생명현상에 관한 정보물질의 합성과 대사 등 최근 발전하고 있는 생화학의 중요문제에 대한 강의 및 연구한다. |
14885 | 섬유및제지물성학 | Fiber and Paper Physics | 본 교과과정에서는 각종 목재 섬유의 물성, 종이의 물성에 대한 고도의 이론과 연구방법을 교수한다. 또한 종이의 구조적, 강도적 특성을 이해하여 종이의 종류에 따른 가공방법의 선택, 제조공정의 선택 등 관련된 이론을 교수한다. |
14658 | 세포생물학연구 | Cell Biology Research | 생명체를 구성하는 세포의 구조, 기능, 구성성분들의 세포내 역할, 세포들 간의 신호전달 등에 관련된 최신 저널을 위주로 제반 지식을 습득함. |
10939 | 세포생물학특론 | Advanced Cell Biology | 생명의 기본단위로서의 세포와 총체적인 유기체로서 생명체 사이의 관계를 중심으로 각 세포소기관의 미세구조와 기능, 세포주기, 세포분열 및 분화 등의 문제를 주제별로 고찰한다. |
18862 | 수목생리학특론 | Special Topics in Tree Physiology | 수목생리학특론은 기초적인 생물, 화학, 물리를 이용하여 수목생리의 이론을 설명하고자 한다. 이 과목은 수목의 구조와 기능간의 필연적인 연관성을 기초로 하고, 수목생장을 형태학적이고 세포학적 관점에서 해석하며, 내정인 생리현상을 생화학적인 대사과정으로 설명하는 과목이다. |
14170 | 수목학특론 | Special topics in Dendrology | 수목학의 최근 학문조류에 관하여 토의하며, 수강하는 학생의 관심분야에 따라 특정 분류군에 관하여 조사, 토론을 한다. |
14668 | 수목학특수문제 | Special Problems in Dendrology | 수목학의 다양한 분야에 대하여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분류의 문제, 새로이 용도가 개발되고 있는 수목군의 분류 등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안목을 가질 수 있게 한다. |
14719 | 수병학특론 | Special topice in forest fire | 수목의 병을 일으키는 병원 및 수목에 나타나는 병징과 진단, 발병경과와 조건, 저항성 기작 등을 연구하고 이 지식을 응용하여 병의 방제 방법을 강구한다. |
14167 | 수분생리학 | Crop-Water Relation | 생명체의 기본요소인 수분과 식물과의 관계를 생리학적 측면에서 검토한다. |
14653 | 식물병리학세미나 | Plant Pathology Seminar | 식물의 건강과 생산성에 관한 학문으로써 식물과 병원체와의 상호관계를 연구하여 병에 의한 피해손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주로 다루는 학문으로써 병의 발생과 원인 및 식물고사의 상호관계에 대해서 세미나를 한다. |
10957 | 식물병리학특론 | Advanced Plant Pathology | 식물 질병에 의한 피해 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 질병에 관한 병원에 관하여 철저한 분석을 행함으로써 병원을 밝힘과 동시에 환경요인과 식물의 유전학적 요인에 관한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식물병해 방제의 기틀을 확립하게 한다. |
10907 | 식물병원균학 | Plant Pathogenic Mycology | 병원균류의 생태일반과 이들로 인하여 발생되는 병해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병해방제에 관한 이론과 실험실에서의 병원균류의 취급, 연구방법에 관한 기틀을 확립시킨다. |
10908 | 식물병원바이러스학 | Plant Pathogenic Virology | 병원 virus 각각의 성질 및 virus 병의 생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식물병원 virus의 성질과 동정 방법을 습득하게 함과 아울러 방제대책의 방법확보를 강구하도록 한다. |
10920 | 식물병원세균학 | Plant Pathogenic Bacteriology | 세균은 다른 병원체와는 생물학적, 생태학적 특성이 전혀 다른 것으로써 식물병원세균이 가지고 있는 원핵생물로서의 기본적인 성질을 이해시킴과 동시에 이를 기초로 한 방제대책을 재검토하게 한다. |
11032 | 식물분자생물학 | Plant Molecular Biology | 식물세포 유전자의 구조 특성 및 발현 양상에 대한 지식을 제공해 주는 분자생물학의 한 분야로서 미생물.동물 유전자의 구조 특성 및 발현 양상과의 비교와 새로운 품종 개발에의 응용에 대한 지식도 제공한다. |
10947 | 식물생리학특론 | Advanced Plant Physiology | 식물과 무기영양, 광합성, 영양의 흡수와 이동, 재생과 목초의 영양생리 및 대사생리 등을 강의한다. |
14156 | 식물생장발육특론 | Advanced Plant Growth and Development | 식물의 생장발육현상에 대하여 식물호르몬과 연계하여 검토한다. |
14642 | 식물세포신호전달 | Signal Transduction in Plant Cells | 식물에서의 주요 신호전달 현상에 관련된 기작을 다루며 최신 연구동향을 문헌 연구를 통하여 습득시킨다. |
14713 | 식물영양학세미나 | Seminar in Plant Mineral Nutrition | 식물무기영양분의 흡수와 동화에 관련된 최신 연구문헌을 이용하여 식물영양학의 최신 연구방법론 및 최신 연구동향을 소개하며, 식물과 무기영양, 영양소의 흡수와 이동, 재생과 목초의 영양생리 및 대사 생리 등에 관해 연구한다. |
14141 | 식물영양학특론 | Advanced Plant Nutrition | 식물 무기영양분의 흡수와 동화에 관련된 기작과 체내역할에 대한 일반적인 원리 및 최신 연구동향을 다룬다. |
10910 | 식물조직배양학특론 | Advanced Plant Tissue Culture | 식물조직배양이란 식물체에서 세포, 조직 또는 기관 등을 절취하여 영양분이 들어 있는 배지에서 무균상태로 배양하여 완전한 식물체로 재생시키는 것을 말한다. 식물조직배양을 이해하기 위해서 우선 번식에 대해 이해하고 이 기술을 산업화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하여 학습한다. |
10973 | 식육냉동학특론 | Advanced Frozen Meat | 냉동학의 기초이론을 강의하며 축산물 냉동저장 중에 일어나는 여러 가지 이화학적 변화에 관하여 강의한다. |
14639 | 식육학세미나 | Seminar in Meat Science | 고기의 생산과정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화학적 반응과 변화를 검토하고 도축과정과 유통이 육질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에 관하여 강의한다. |
11111 | 식육학특론 | Advanced Meat Processing | 축육자원과 원료육 생산 및 육의 기초과학을 강의하고 그 저장처리에 관하여 강의한다. |
11969 | 식품저장학특론 | Advanced in Food Preservation | 식품의 품질요소와 관리, 기타 저장 방법에 따른 식품의 변화와 변질요인, 위생관리, 화학적 변질등의 식품에 관계되는 저장기술 전반에 대하여 강의하고 토론한다. |
14651 | 식품학특론 | Advanced Food Science | 식품전반에 관한 최신의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특히 식품의 기능성 및 인체 내에서 생리활성 작용에 관한 연구내용을 중점적으로 다룬다. |
14137 | 신농약개발론 | Pesticide Development | 농약의 작용기작 및 농약의 개발과정, 합성, 주요 특성 및 신농약개발에 관해 최신의 연구동향과 함께 해설한다. |
14134 | 실험설계및분석 | Experimental Design and Statistical Analysis | 각종 실험계획법에 대한 이론을 해설하며 통계프로그램을 통한 ANOVA 분석 및 분석 결과에 대한 해석에 관해 다룬다. |
10936 | 실험설계및분석법 | Experimental Design and Statistics | 실험계획과 실험을 효율적으로 실시하기 위한 통계적 방법, 그리고 실제문제에 대처하는 요령에 대해서 강의한다. |
14173 | 야생동물학특론 | Special topics in Wildlife management | 산림생태계의 한 구성원인 야생동물에 대해 피해를 주는 동물의 구제책과 이익을 주는 동물의 보호 및 증식방안을 강구케 한다. |
14178 | 야외휴양학특론 | Special topics in Outdoor recreation | 야외휴양의 가치에 대한 고찰과 야외휴양의 역할에 관한 지식을 습득하고 산림자원을 휴양자원으로 이용할 때의 계획과 개발, 그리고 이에 따른 관리방안을 습득한다. |
18062 | 약용식물학특론 | Special Topics in Medicinal Plant | |
14705 | 영양소상호작용과사료가공 | Nutritional Interrelationship and Feed Technology | 미량영양소(비타민과 광물질)의 상호작용을 연구하고 이들이 열처리나 사료가공도중에 파괴되는 양을 측정하고 연구하도록 한다. 가축체내에서 중독성 광물질의 독자적인 영향과 상호관계에 대한 연구도 병행되도록 한다. |
14704 | 영양소의이론과실제 | Special Topics for Nutrients | 6대 영양소를 다시 세분하여 집중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분야를 최신연구를 중심으로 분류하도록 한다. 여기에서 생화학적 구조를 내분비 및 생리학과 연결시켜서 연구 평가한다. |
14640 | 유가공세미나 | Seminar in Milk Processing | 우유의 이화학적 변화와 여러 가지 미생물의 오염을 방지함과 아울러 우유처리시 영양분의 손실을 최소화하는 방법과 기능성 있는 우유생산 과정을 소개한다. |
10966 | 유가공학특론1 | Advanced Milk Processing I | 시유의 살균, CIP, 균질원리, cream 분리 및 butter 제도, ice cream 혼합, 냉동기, over-run등을 강의한다. |
11102 | 유가공학특론2 | Advanced Milk Processing II | 농축유 제조, 발효유제조, 천영 cheese와 가공 cheese, 유부산물 등에 관하여 강의한다. |
19476 | 유기성폐자원이용학연구 | Organic Waste Utilization | 농축산업에서 발생하는 유기성 폐자원을 살펴보고 재활용 증진방안을 학습함으로써 각 공정의 장단점을 파악하여 산업폐기물의 최소화와 환경친화적인 지속가능한 산업체계를 이해한다. |
14657 | 유전공학연구 | Genetic Engineering Research | 유전자 재조합 및 유전자의 생체 내 기능 탐색에 사용되는 기법과 응용분야에 관련된 최신 저널을 위주로 제반 지식을 습득함. |
11025 | 유전공학특론 | Advanced Genetic Engineering | 동, 식물, 및 미생물 세포를 포함한 생체 시스템을 이용하여 인류가 필요로 하는 각종 유용물질을 생산하기 위해 요구되는 제반기술 즉, 유전자원의 확보, 발현벡터로 클로닝, 유전자 재조합, 유전자 도입, 재조합체 선별, 단백질 발현 및 조절, 대량생산, 정제 방법, 생물학적 활성 검정, 유전산물의 안정성 등에 관한 내용으로 구성 |
10913 | 유전학특론 | Advanced Molecular Genetucs | 유전 형질의 작용 메카니즘과 최근 분자 유전학의 동향 그리고 집단 유전학에 관하여 광범위한 해석을 한다. |
11068 | 육우생산생리학특론 | Advanced Physiology and Production of Beef Cattle | 육우생산 생리학에 관한 연구는 근래에 와서는 특히 한우육의 고급화를 위하여 축산관계 뿐만 아니라 온 국민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쇠고기의 생산과정을 통해 고급육 생산을 위한 새로운 학문과 기술의 발달이 시급하다. 이를 육우의 생리를 이용하여 해결하려는 것이 본 강의의 목적이다. |
11082 | 육제품생산학특론 | Advanced Meat Production | 육가공 제품에 관한 기초이론을 강의하고 훈제육, 연제육 및 통조림 제품 등의 제조공정에 관하여 강의한다. |
14698 | 인간과동물의관계학 | Study of Human and Animal Relation | |
14169 | 임목육종학특론 | Special topics in Forest genetics | 임목육종학 각 단계별로 우리 나라의 현안문제에 관하여 토의하며, 수강하는 학생의 관심분야에 따라 특정 주제에 관하여 조사, 토론을 한다. |
14717 | 임목육종학특수문제 | Special Problems in Dendrology | 임목육종학의 다양한 분야에 대하여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생물공학 비법의 적용, 새로운 용도가 개발되고 있는 임목의 육종방법 등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기술을 익히게 된다. |
14193 | 임산공학세미나 | Seminar in Forest product | 임산공학 분야의 최근 연구동향 및 결과를 자신들의 전공과 관련된 주제를 선택하여 발표하게 하고 각 학문영역에 관한 폭넓은 이해를 도울 수 있도록 한다. |
14723 | 임정학특론 | Special topics in Forest policy | 자연자원정책과 경영을 개발하고 실행하는데 있어서 법적 원칙과 행정제도와의 상호관계를 이해하고 과거의 자연자원 정책과 경영을 고찰하여 문제점 파악과 향후 개선방안에 대하여 연구한다. |
14150 | 자원식물학 | Advanced Natural Plant Resources | 현재 작물로써 중요시되지 않고 있는 새로운 자원식물을 바탕으로 한 문헌의 검색과 이에 대한 자료를 바탕으로 서로 토의하고 연구하고자 한다. |
14159 | 자화수정작물육종 | Plant Breeding for Self Pollination Crops | |
14654 | 작물보호학세미나 | Plant Protection Seminar | 작물은 파종에서부터 수확 후까지 여러 가지 요인에 피해를 입을 수 있다. 본 과목 은 작물에 피해를 주는 각종 원인에 대해서 적절한 보호방법 세미나 형식으로 한다. |
14146 | 작물보호학특론 | Advanced Plant Protection | 작물은 파종에서부터 수확 후까지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피해를 입을 수 있다. 본 과목은 작물에 피해를 주는 각종 원인에 대해서 적절한 보호방법을 다루게 된다. |
14619 | 작물생리학연구 | Research in Crop Physiology | 작물체의 구성성분, 영양성분에 관한 개념, 작물체 내의 물질대사, 발아생리, 생장생리, 개화결실생리 및 작물의 생리를 이용한 생리촉진 및 억제, 개화 결실 촉진 및 억제 등의 연구와 원리를 이해토록 한다. |
14145 | 작물생리학특론 | Advanced Plant Physiology | 작물체의 구성성분, 영양성분에 관한 개념, 작물체 내의 물질대사, 발아생리, 생장생리, 개화결실생리 및 작물의 생리를 이용한 생리촉진 및 억제 개화결실촉진 및 억제 등의 인위조절 원리를 강의하고 이에 대한 실험을 겸한다. |
14147 | 작물생화학특론 | Advanced Plant Biochemistry | 식물이란 생명체에서 일어나는 현상들을 생화학적 측면에서 해석하여 작물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 |
14148 | 작물학세미나 | Seminar in Crop Science | 작물생리 및 재배에 관련된 문헌을 가지고 개개인이 정리하여 발표하고 서로 토론하는 시간을 가진다. |
14195 | 재배학특론 | Advanced Crop Production | 작물재배의 목적은 품질이 좋은 농산물을 많이 생산하는 것이다.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새로운 품종 육성, 작물이 잘 생육할 수 있는 재배환경, 그 품종과 환경에 알맞은 재배기술에 관하여 공부한다. |
14187 | 제지학특론 | Special topics in paper making | 제지기술의 전반적인 기술과 지식의 현장응용 및 공정관리 등에 관한 최신 정보를 전달하고, 종이제작기술의 진보된 기술을 습득하고자 한다. |
14168 | 조림학특론 | Special topics in Silviculture | 조림학의 각 단계별로 우리나라의 현안문제에 관하여 토의하며, 구상하는 학생의 관심분야에 따라 특정 주제에 관하여 조사, 토론을 한다. |
14188 | 지류가공학특론 | Special topics in paper converting technology | 도공지의 제조 및 설계와 관련된 이론과 그 응용에 대하여 체계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시키고 최신 도공기술의 동향과 문제점을 파악한다. |
14661 | 지류포장학 | Paper and Board Packaging Technology | 지류 및 펄프를 이용한 각종 상품의 포장 기술과 유통과정을 소개하고, 이에 사용되는 골판지 제조기술 및 물성 평가방법, 접음상자의 제조와 관련된 판지의 물성 평가, 펄프 몰드를 이용한 완충포장기술 등에 대해서 강의한다. 또 최신 포장 기술동향을 소개하고 선도유지 포장기술, 포장용 인쇄기술, 발수처리기술, 원지의 강도향상기법 등에 대해 소개한다. |
11079 | 지방대사학 | Lipid Metabolism | 저장성과 이용성 지방을 분리해서 기초 생화학의 기반에서 지방대사를 강의한다. |
15402 | 초지관리학연구 | Seminar of Grassland Management | |
11073 | 초지관리학특론 | Advanced Grassland Management | 초지의 계절생산 조절, 식생구조 조절, 초지 생산의 유지, 관리기술, 채초지 및 방목지 관리, 황폐 초지 회복, 예취와 재생 등을 강의한다. |
14712 | 초지생태학연구 | Study of Grassland Ecology Science | 목초의 상태, 초지의 군락 형태 및 구조와 생산, 환경과 식생과의 관계 초지 생산에 관한 식물생태학적인 문제 등을 연구한다. |
11062 | 초지생태학특론 | Advanced Grassland Ecology | 목초의 상태, 초지의 군락 형태 및 구조와 생산, 환경과 식생과의 관계 초지생산에 관한 식물생태학적인 문제 등을 연구한다. |
15404 | 초지이용학연구 | Seminar of Grassland Utilization | |
10997 | 초지이용학특론 | Advanced Grassland Utilization | 초지의 적절한 이용과 생산조절, 초류의 품질 평가, 초류의 건조, 매장, 성형 및 방목 이용법, 조제과정 중의 생화학적 변화 등을 강의한다. |
14711 | 축산물냉동학특강 | Freezing of Animal Products | 축산물을 장기 저장할 때 어쩔 수 없이 냉동을 하게 되는데 이때 냉동과정 중에서 발생하는 물리적 및 화학적 변화를 강의하고 냉동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영양분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을 연구 토의한다. |
19409 | 축산물분석학연습 | Meat Product Analysis Lab | 축산물의 품질을 평가하는 방법을 습득하는 과목으로 이화학적, 저장학적, 조직학적, 관능적 특성에 대한 내용을 공부한다. |
19413 | 축산물분석학특론 | Advanced Muscle Food Analysis | |
17539 | 축산물이용학특론 | Advanced Animal Products Utilization | |
19411 | 축산물저장학연습 | Meat Product Shelf-Life Lab | 축산식품의 저장성에 대한 최근 이슈에 대해 공부함. |
19415 | 축산물저장학특론 | Advanced Meat Product Shelf-Life | |
14710 | 축산물제조학특강 | Manufacturing of Animal Products | 육류소비의 패턴이 양과 질의 시대를 지나 사람들의 건강에 기여할 수 있는 기능성 식품을 요구함에 따라 이에 부응하기 위하여 축산물 제조시 기능성을 강화한 제품을 생산하는데 중점을 두어 강의한다. |
11010 | 축산부산물가공학특론 | Advanced Animal By-products Processing | 모 및 피혁제품을 제외한 모든 축산부산물에 관하여 식용, 약용 및 공업용으로 이용하고 있는 부존자원의 응용학적인 면을 강의한다. |
11053 | 축산폐기물론 | Management of Animal Wastes | 축산업을 행함으로써 배출되는 폐기물 중 특히 가축분뇨를 적절하게 이용하여 자원의 재활용, 경제적인 축산 및 환경오염방지 등을 위한 가축폐기물처리의 이론과 기술 습득을 목표로 한다. |
15403 | 축산폐기물처리이용학특론 | Advanced Treatment and Utilization of Animal Wastes | |
14160 | 타화수정작물육종 | Plant Breeding for Cross Pollination Crops | |
11034 | 탄수화물대사학 | Carbohydrate Metabolism | 에너지 사료의 주원인 탄수화물의 기본 대사과정과 이용을 세포단위에서 강의한다. |
14884 | 탈묵및고지재활용기술 | Deinking and Wastepaper Recycling Technology | 본 교과목을 통해서 새로이 부각되어 있는 인쇄방식과 관련되어 발생되는 난탈묵성고지의 탈묵기술,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해섬 및 정정기술, 초지기술 등과 관련된 이론을 교수한다. 또한 새로이 연구 중에 있는 고지재활용과 관련된 탈묵기술, 강도유지기술에 관련된 이론을 가르친다. |
12185 | 토양비료학특론 | Advanced Soil and Fertilizer Science | 산지 토양의 물리, 화학적 성질, 식생, 토양 미생물 그리고 식생이 초지 토양에 미치는 영향, 초지의 시비, 초지 토양의 개량법 등을 강의한다. |
14182 | 특수임산물 | Special forest product | 임산물 중에서 목재 지엽류의 정유 및 터펜, 페놀성 성분과 탄닌류, 칠 지방산과 그리고 기타 부성분의 추출분리법, 정제법 및 분석법에 관한 이론과 실험을 통해서 천연물 과학과 연계하여 의약.약물학에 관한 기초지식을 습득케 한다. |
14180 | 펄프학특론 | Special topics in pulping technology | 기계펄프화에 있어서 각 펄프화 공정의 특정, 마쇄이론, 마쇄의 영향인자, 크라프트화의 탈리그닌과 최근 개량증해법에 관한 고찰 및 각종 펄프의 표백법과 약품회수법을 해석한다. 특히 고지 재활용과 관련된 탈묵 이론, 섬유 특성 변화, 재활용 공정 및 표백기술 등의 최신 기술동향을 습득케 한다. |
10996 | 한우사육학특론 | Advanced Feed and Nutrition of Korean Cattle | 한우는 우리 나라에서 오랫동안 사육해 온 전래동물이며 우리민족의 문화와 식생활에 관한 중요한 역할을 해 왔다. 오늘날 우리 한우는 UR대책의 하나로 고급육 생산화를 기하고 있으며 이를 통하여 농민의 생활안정과 국민의 식량공급원으로 전환하려는 국가적인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본 강의는 이와 같은 문제를 중심으로 고급육 생산기술과 그 원리를 추구하는데 있다. |
14157 | 환경생리학 | Environmental Physiology | 식물과 환경과의 관계를 생리생화학적 측면에서 해설한다. |
14725 | 환경임업특론 | Special topice in Environmental Forestry | 계획에 대한 이론과 실질적인 적용, 의사결정과정으로써의 계획활동에 대한 이해를 기초로 기존휴양 및 관광자원계획/개발에 대한 역사와 최근의 동향에 대해 검토하고 계획의 필요성과 통합적인 휴양 및 관광시스템에 대한 개념에 대해 연구한다. |
16774 | 휴양및관광자원계획특론 | Special Topics in Recreation and Tourism Resource |
COPYRIGHT(C) 2016 BY DAEGU UNIVERSIT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