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PYRIGHT(C) 2016 BY DAEGU UNIVERSITY ALL RIGHT RESERVED.
INFORMATION
![]() | ||||||||||||||||||||||||||||||||||||||||||||||||||||||||||||||||||||
특수교육학과는 1973년 국내에서 최초로 특수교육학과 석사과정이 신설되면서부터 출발하였다. 그 이후 1975년에는 국내 최초의 특수교육학과 박사과정을 신설하여 수많은 특수교육의 전문가를 양성하였다. 현재에도 석사과정과 박사과정의 시각장애아교육전공, 언어·청각장애아교육전공, 지적장애아교육전공, 중복·지체부자유아교육전공, 정서·행동장애아교육전공, 학습장애아교육전공, 특수교육리더쉽전공의 7개 전공영역에서 70여명의 재학생이 학문을 연마하고 있다. | ||||||||||||||||||||||||||||||||||||||||||||||||||||||||||||||||||||
![]() | ||||||||||||||||||||||||||||||||||||||||||||||||||||||||||||||||||||
| ||||||||||||||||||||||||||||||||||||||||||||||||||||||||||||||||||||
![]() | ||||||||||||||||||||||||||||||||||||||||||||||||||||||||||||||||||||
|
★ 교과과정 및 교과목해설은 교육과정 변경에 따라 변동이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교과구분명 | 과목코드 | 과목명 | 이론시간 | 실기시간 | 학점 | 비고 |
연구 | 10000 | 개별연구지도 | 2 | 0 | 2 | 0 |
연구 | 10000 | 개별연구지도 | 1 | 0 | 1 | 0 |
전공 | 17379 | 경도장애아교육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2954 | 교육및심리통계 | 3 | 0 | 3 | 0 |
전공 | 19113 | 난독증연구 | 3 | 0 | 3 | 0 |
전공 | 19407 | 다문화특수교육연구 | 3 | 0 | 3 | 0 |
전공 | 17621 | 단일대상연구 | 3 | 0 | 3 | 0 |
전공 | 16549 | 두뇌연구및고급생리심리학 | 3 | 0 | 3 | 0 |
전공 | 17378 | 발달장애아교육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4207 | 보완대체의사소통 | 0 | 3 | 3 | 0 |
전공 | 10217 | 보행훈련 | 3 | 0 | 3 | 0 |
전공 | 17869 | 비교특수교육론 | 3 | 0 | 3 | 0 |
전공 | 19419 | 수질관리특론 | 3 | 0 | 3 | 0 |
전공 | 17620 | 수학장애연구 | 3 | 0 | 3 | 0 |
전공 | 10253 | 시각생리학 | 3 | 0 | 3 | 0 |
전공 | 13453 | 시각장애아교수학습론 | 3 | 0 | 3 | 0 |
전공 | 10215 | 시각장애아교육 | 3 | 0 | 3 | 0 |
전공 | 10254 | 시각장애아교육세미나 | 3 | 0 | 3 | 0 |
전공 | 18508 | 시각장애아교육연구법과통계 | 3 | 0 | 3 | 0 |
전공 | 17474 | 시각장애아교육의이론과실제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4789 | 시각장애아재활연구 | 3 | 0 | 3 | 0 |
전공 | 18925 | 심리및행동치료 | 3 | 0 | 3 | 0 |
전공 | 10222 | 언어지도 | 3 | 0 | 3 | 0 |
전공 | 13513 | 언어학특강 | 3 | 0 | 3 | 0 |
전공 | 17192 | 의사소통장애아교육연구 | 3 | 0 | 3 | 0 |
전공 | 17617 | 읽기·쓰기장애연구 | 3 | 0 | 3 | 0 |
전공 | 10233 | 임상행동치료 | 3 | 0 | 3 | 0 |
전공 | 17468 | 임상행동치료의이론과실제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8926 | 자폐스펙트럼장애연구 | 3 | 0 | 3 | 0 |
전공 | 17380 | 장애아동교육복지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7382 | 장애아동부모교육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7381 | 장애아동재활복지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7374 | 장애아동전환교육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7375 | 장애아동평가및진단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7376 | 장애아심리검사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7377 | 장애아언어지도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9921 | 장애학생을위한소프트웨어교육연구 | 0 | 3 | 3 | 0 |
전공 | 17837 | 장애학특강 | 3 | 0 | 3 | 0 |
전공 | 18390 | 저시력학생교육 | 3 | 0 | 3 | 0 |
전공 | 16567 | 정서.행동장애아교육세미나 | 3 | 0 | 3 | 0 |
전공 | 16564 | 정서.행동장애아교육실습 | 3 | 0 | 3 | 0 |
전공 | 17542 | 정서.행동장애아교육실습의이론과실제 | 2 | 0 | 2 | 박사보충 |
전공 | 16568 | 정서.행동장애아평가및중재 | 3 | 0 | 3 | 0 |
전공 | 16464 | 정서및행동장애아교육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8407 | 정서행동장애아중재특강 | 3 | 0 | 3 | 0 |
전공 | 18406 | 정서행동장애연구 | 3 | 0 | 3 | 0 |
전공 | 18420 | 정서행동장애와심리 | 3 | 0 | 3 | 0 |
전공 | 18401 | 정서행동장애질적연구법 | 3 | 0 | 3 | 0 |
전공 | 19157 | 정신지체아교육 적용 및 실습 | 3 | 0 | 3 | 0 |
전공 | 19916 | 중도중복장애학생교육방법론 | 0 | 3 | 3 | 0 |
전공 | 12320 | 중복.지체부자유아교육실습 | 3 | 0 | 3 | 0 |
전공 | 17198 | 중복.지체부자유아신체기능훈련 | 3 | 0 | 3 | 0 |
전공 | 17471 | 중복.지체부자유아신체기능훈련연구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2158 | 중복·지체부자유아교육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7197 | 중복·지체부자유아교육및심리연구 | 3 | 0 | 3 | 0 |
전공 | 14251 | 중복·지체부자유아교육세미나 | 3 | 0 | 3 | 0 |
전공 | 19338 | 중복·지체부자유아연구동향 | 3 | 0 | 3 | 0 |
전공 | 17200 | 중복·지체부자유아연구방법론 | 3 | 0 | 3 | 0 |
전공 | 16399 | 중복·지체부자유아재활지도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9463 | 지적장애아교수학습론 | 3 | 0 | 3 | 0 |
전공 | 19460 | 지적장애아교육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9462 | 지적장애아교육세미나 | 3 | 0 | 3 | 0 |
전공 | 19459 | 지적장애아교육실습 | 3 | 0 | 3 | 0 |
전공 | 19466 | 지적장애아교육실습의이론과실제 | 2 | 0 | 2 | 박사보충 |
전공 | 19465 | 지적장애아교육연구 | 3 | 0 | 3 | 0 |
전공 | 19461 | 지적장애아심리연구 | 3 | 0 | 3 | 0 |
전공 | 19482 | 지적장애아심리특강 | 3 | 0 | 3 | 0 |
전공 | 19464 | 지적장애직업전환교육 | 3 | 0 | 3 | 0 |
전공 | 19156 | 청각장애교육 설문조사 방법론 | 3 | 0 | 3 | 0 |
전공 | 17191 | 청각장애아교수학습론 | 3 | 0 | 3 | 0 |
전공 | 10241 | 청각장애아교육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0220 | 청각장애아교육및심리 | 0 | 3 | 3 | 0 |
전공 | 17472 | 청각장애아교육및심리평가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0259 | 청각장애아교육세미나 | 3 | 0 | 3 | 0 |
전공 | 10224 | 청각장애아교육실습 | 3 | 0 | 3 | 0 |
전공 | 10255 | 청각장애아교육연구 | 3 | 0 | 3 | 0 |
전공 | 10221 | 청각학 | 3 | 0 | 3 | 0 |
전공 | 19406 | 통합교육세미나 | 3 | 0 | 3 | 0 |
전공 | 10249 | 특수교육공학 | 3 | 0 | 3 | 0 |
전공 | 17718 | 특수교육공학및방법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3833 | 특수교육과정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7186 | 특수교육과정및지도 | 3 | 0 | 3 | 0 |
전공 | 16560 | 특수교육리더쉽세미나 | 3 | 0 | 3 | 0 |
전공 | 17870 | 특수교육리더십실습 | 3 | 0 | 3 | 0 |
전공 | 10239 | 특수교육방법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6555 | 특수교육법제연구 | 3 | 0 | 3 | 0 |
전공 | 13838 | 특수교육심리 | 3 | 0 | 3 | 0 |
전공 | 12760 | 특수교육연구법 | 3 | 0 | 3 | 0 |
전공 | 16558 | 특수교육정책연구 | 3 | 0 | 3 | 0 |
전공 | 18919 | 특수교육질적연구방법론 | 3 | 0 | 3 | 0 |
전공 | 10244 | 특수교육철학및역사 | 3 | 0 | 3 | 0 |
전공 | 10211 | 특수교육학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7871 | 특수교육학세미나 | 3 | 0 | 3 | 0 |
전공 | 10245 | 특수교육학특강 | 3 | 0 | 3 | 0 |
전공 | 10250 | 특수교육행정 | 3 | 0 | 3 | 0 |
전공 | 17540 | 특수교육행정연구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0238 | 특수아심리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3867 | 학습장애아교육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7574 | 학습장애아교육실습의이론과실제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6548 | 학습장애아교육연구 | 3 | 0 | 3 | 0 |
전공 | 17205 | 학습장애아세미나 | 3 | 0 | 3 | 0 |
전공 | 17618 | 학습장애아심리연구 | 3 | 0 | 3 | 0 |
전공 | 17473 | 학습장애아진단및평가의이론과실제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7619 | 학습장애연구동향 | 3 | 0 | 3 | 0 |
전공 | 19703 | 한국수어언어학연구 | 3 | 0 | 3 | 0 |
전공 | 16557 | 한국특수교육연구세미나 | 3 | 0 | 3 | 0 |
전공 | 10226 | 행동수정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7541 | 행동지원연구특강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7188 | 행동지원특강 | 3 | 0 | 3 | 0 |
"박사보충" 표시된 과목
- 석사과정생이 수강할 경우, 전공과목으로 인정되며,
- 박사과정생이 수강할 경우, 보충과목으로 인정됨
★ 교과과정 및 교과목해설은 교육과정 변경에 따라 변동이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과목코드 | 과목명 | 교과목 영문명 | 교과목 한글개요 |
10000 | 개별연구지도 | Research Works | 학위논문의 작성을 위하여 지도교수의 지도하에 각 개인별 연구주제에 관하여 연구한다. |
10000 | 개별연구지도 | Research Works | 학위논문의 작성을 위하여 지도교수의 지도하에 각 개인별 연구주제에 관하여 연구한다. |
17379 | 경도장애아교육 | Education for Mildly Disabilities | 시간제 특수학급, resource room, 또는 통합학급에서 교수학습을 수행하는 경도장애아동의 효율적인 진단.평가, 교수학습방법, 그리고 상담 및 지원방안 등을 구체적으로 알게 하여 교육의 통합과 함께 사회의 통합을 보장할 수 있는 전문성을 신장하게 한다. |
12954 | 교육및심리통계 | Educational & Psychological Statistics | 장애아의 교육적 임상심리학적 및 사회학적 연구를 진행시키기 위하여 통계적 방법의 기초를 습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19113 | 난독증연구 | Dyslexia Study | 읽기장애의 독특한 유형인 난독증의 연구를 다룬다. |
19407 | 다문화특수교육연구 | Study on Multi-Cultural Special Education | 다양한 문화, 민족, 성, 그리고 사회계층을 가진 특수교육 학생들이 동등한 교육적 기회를 얻고, 긍정적인 문화교류 태도와 인식 그리고 행동을 발달시키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연구한다. |
17621 | 단일대상연구 | Single Subject Study in Special Education | 이 강좌의 목적은 단일대상연구의 방법을 자세하게 다루고, 주요 설계방법론과 자료 분석 방법, 그리고 단일대상연구의 장점과 한계점 등을 논의한다. |
16549 | 두뇌연구및고급생리심리학 | Research in Brain Study and Advanced Physiological Psychology | 두뇌의 구조 및 기능을 탐색하고 두뇌와 학습장애영역의 관계를 연구분석하여 학습장애에 대한 이해 및 교육방법을 모색하고 탐색한다. |
17378 | 발달장애아교육 | Education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발달장애아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더불어 발달장애아의 독특한 교육적 요구 및 특성에 맞는 교육방법을 모색한다. |
14207 | 보완대체의사소통 | Augmentative Alternative Communication | 이 교과는 독립적으로 말이나 글로 의사소통하기 어려운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언어능력을 촉진하고 의사소통의 보완 및 대체적인 의사소통 수단을 지원하기 위한 이론적인 고찰과 실제 적용에 필요한 방법을 탐색한다. |
10217 | 보행훈련 | Mobility Training | 보행의 두가지 측면인 방향정위(Orientation)와 이동(Mobility)에 관한 이론과 기술을 기초로 운동 근육발달, 감각발달, 개념발달, 보행 보조기구의 평가 등을 연구한다. |
17869 | 비교특수교육론 | Comparative Study in Special Education | |
19419 | 수질관리특론 | Advancd Water Quality Management | 물의 특성을 이해하고, 하천, 댐, 지표수 등의 오염인자특성 및 흐름파악으로 오염발생에서부터 문제해결 방안을 학습한다. |
17620 | 수학장애연구 | Studies on Methematics Disabilities | 수학장애의 예방교육과 교정교육에 관련된 이론적 배경과 최근 동향을 논의하고, 세부 하위 기술에 관한 교수방법 및 평가방법에 대해 연구한다. |
10253 | 시각생리학 | Visual Physiology | 시각장애의 관리, 특히 저시력인의 시각관리의 제반문제에 대하여 문헌을 중심으로 정리, 검토한다. |
13453 | 시각장애아교수학습론 | Instruction of the Visual Impaired | 시각장애아 교육의 이론적 연구를 기초로 하여 시각장애아 교수 학습의 진단 및 평가, 수업계획, 교수.학습의 절차와 방법 등에 대하여 연구한다. |
10215 | 시각장애아교육 | Education of the Visually Impaired | 맹과 저시력의 개념, 원인, 특성 등을 교육적 측면에서 고찰하고, 시각장애아동의 학습매체인 점자, 큰문자, 촉각 자료 등에 중점을 두어 교육내용, 교육방법, 교육자료의 활용방안을 탐색한다. |
10254 | 시각장애아교육세미나 | Advanced Seminar in Education for the Visually Impaired | 시각장애아 교육의 이론적 연구를 기초로 하여, 최근 국내외의 연구문제를 분석하고, 그 문제점의 대안에 대하여 토론한다. |
18508 | 시각장애아교육연구법과통계 | The Research Methodology for the Visually lmpaired Education and Statistics | 시각장애교육 현장에서 요구되는 교육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 방법과 절차를 실제적으로 설계하여 타당성 있고 신뢰성 있는 연구방법을 고안하게 하며, 이를 위해 질적, 양적인 통계방법을 습득하여 연구의 분석 및 해석을 과학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한다. |
17474 | 시각장애아교육의이론과실제 | Theory and Practice Education of the Visually Impaired | 시각장애아 교육 현장에서 교사의 감독 하에 교과활동, 특별활동, 생활적응활동 등을 비롯한 모든 학교활동을 관찰하고 실습한다. |
14789 | 시각장애아재활연구 | Rehabiitatation Research for the visually impaired | 본 교과는 중도 실명자나 노인 시각장애인의 재활문제를 다루는 과목으로, 시각장애인의 재활의 역사적 발전과정, 재활 전문가의 양성, 재활과정, 재활평가 등을 중심으로 다룬다. 특히 이 재활 연구에서는 시각장애인의 재활의 법적, 철학적, 심리적 문제를 연구하고 시각장애인에게 재활시키는 교육내용과 직업훈련 등에 관하여 폭넓게 연구한다. |
18925 | 심리및행동치료 | Psychotherapy and Behavior Therapy | |
10222 | 언어지도 | Language Methodology | 언어습득과 발달에 대한 여러 이론을 알고 장애아동에게 이를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알게 한다. 그리고 장애아동의 특성에 맞는 구체적인 언어지도 교수학습 방법과 관련된 지식과 기술을 익히게 한다. 음운론, 형태론, 통사론, 의미론과 화용론 등의 발달에 따른 언어지도와 읽기와 쓰기지도 방안도 함께 알게 한다. |
13513 | 언어학특강 | Special Lecture for Linguistics | 본 수업에서는 생성문법이론의 틀 안에서 발전을 이룬 갈래 이론들(최소주의, 분산형태론, 카토그라피/나노통사론 등)에 대한 비교 분석을 통해 통사론에 대한 이해를 증진한다. |
17192 | 의사소통장애아교육연구 | Education Study for Children with Communication Disabilities | 청각장애 또는 언어장애가 있는 아동의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을 위한 진단평가 방법과 연구법을 알고 교육적과 치료적 접근의 차이점을 이해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중추신경장애와 관련된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게 한다. |
17617 | 읽기·쓰기장애연구 | Studies on Reading, and Writing Disabilities | 읽기 및 쓰기 장애 유형에 따른 예방교육과 교정교육에 관련된 이론적 배경과 최근동향을 논의하고, 세부 학위기술에 관한 교수방법 및 평가방법에 대해 연구한다. |
10233 | 임상행동치료 | Clinical Behavior Therapy | 특수아동의 행동치료에 관한 이론과 임상적인 기법을 익힌다. 수정행동 및 작동행동과 기법, 행동 측정과 연구 설계 응용 행동 수정 등의 내용을 연구한다. |
17468 | 임상행동치료의이론과실제 | Theory and Practice of Clinical Behavior Therapy | 특수아동의 행동치료에 관한 이론과 임상적인 기법을 익힌다. 수정행동 및 작동행동과 기법, 행동 측정과 연구 설계 응용 행동 수정 등의 내용을 연구한다. |
18926 | 자폐스펙트럼장애연구 | Studies on Autism Spectrum Disorders | |
17380 | 장애아동교육복지 | Education Welfare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 장애아동의 교육권 보장과 장애인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장애인 교육복지 대책을 다룬다. |
17382 | 장애아동부모교육 | Parents Educat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 발달적 결함이나 장애를 지닌 아동을 자녀로 둔 부모 가정에서 자신들의 자녀를 이해하고 지도를 할 수 있도록 부모를 교육할 수 있는 부모교육방법을 연구할 수 있게 한다. 이 강좌를 통하여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적용과 중재 방안도 연구개발 될 수 있다. |
17381 | 장애아동재활복지 | Rehabilitation Welfare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 장애아동의 교육.노동.생존권 보장과 장애인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복지정책, 복지전략 등 21세기 완전사회 통합에 부응한 장애인 복지 대책을 다룬다. |
17374 | 장애아동전환교육 | Transition & career Educat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 장애아동의 개인적.정서적 안정을 통한 사회의 참여로 경제적.직업적 안정을 이루는데 필요한 전반적인 교육내용을 다루고, 성과중심 진로교육의 총체적인 서비스와 지원활동에 필요한 지도방략을 탐색한다. |
17375 | 장애아동평가및진단 | Assessment and Evaluat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 장애아동의 학업적, 인지적, 사회.정서적 및 취학 전 능력을 진단.평가하는 방법과 평가결과를 적용하는 방법에 관한 이론과 실제를 연구한다. |
17376 | 장애아심리검사 | Psychology Testing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 특수아동의 발달 심리학적 기초와 사회심리학적 기초를 비롯하여 특수아동의 심리진단 평가에 대한 이론과 실제를 다룬다. |
17377 | 장애아언어지도 | Communication Skill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 언어장애의 유형을 알고 그 유형에 따른 치료방법(전통적인 치료방법, 행동수정 접근법, 의사소통 중심법 등)에 대한 기본적인 기법을 지도한다. 특수아동의 언어생활 환경에 적합한 언어지도 방법을 탐색하고, 실제 지도를 통하여 특수 아동에 대한 언어지도 능력을 습득한다. |
19921 | 장애학생을위한소프트웨어교육연구 | The Study on Softwar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 제4차 산업사회를 준비하는 특수교육 교육과정에 장애학생을 위한 소프트웨어교육 및 로봇 교육이 보편화되고 있고, 이를 교육과 생활에 적용하며 학습기회를 확대하고 있다. 이에 대한 현장의 요구와 연구동향을 살펴 향후 특수교육에의 적용에 대한 시사점을 탐구한다. |
17837 | 장애학특강 | Disability Studies | 장애학은 교육․실천․연구에 있어서 최근에 생겨난 학문 분야이며 패러다임이라 할 수 있다. 본 교과는 학문 분야로서의 장애학의 역사와 개념적 기초를 개관하고 비평적 분석을 제공한다. 역사적 정의와 현대의 정의, 분류, 이론, 적용 모델, 장애 경험에 대한 개인적 기술 등이 제시․논의․종합․비평된다. |
18390 | 저시력학생교육 | Education for students with low vision | |
16567 | 정서.행동장애아교육세미나 | Advanced Seminar for Students with Emotional-Behavioral Disorder | 정서.행동을 지닌 아동들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실제적 강화이다. 본 강좌는 수강생들에게 각 영역별 논문 주제에 따른 심층 연구가 가능하도록 지도 할 뿐만 아니라 발표를 겸한 세미나 강좌이다. |
16564 | 정서.행동장애아교육실습 | Internship of Children with Emotional-Behavioral Disorder | 정서.행동장애를 지닌 아동들의 지도에 필요한 지식, 기능, 태도를 습득하기 위하여 정서.행동장애학교 및 치료센터에서 교육적인 실습을 한다. |
17542 | 정서.행동장애아교육실습의이론과실제 | ||
16568 | 정서.행동장애아평가및중재 | Assessment and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Emotional-Behavioral Disorder | 본 교과목은 자폐성장애, 과잉행동장애, 학습관련장애, 정서관련장애, 등등의 다양한 문제행동, 사례들을 케이스별로 분석, 검토하여 중재적인 방안을 강구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16464 | 정서및행동장애아교육 | Education for the Emotionally and Behavior Disturbed | 정서 및 행동장애아와 학습장애아에 대한 다양한 이론적 접근방법과 최근의 교육 연구 경향을 고찰한다. |
18407 | 정서행동장애아중재특강 | advanced lecture of children with EBD | |
18406 | 정서행동장애연구 | research method for EBD | 정서.행동장애에 대한 다양한 이론적 접근방법과 최근의 연구 경향을 고찰한다. |
18420 | 정서행동장애와심리 | emotional. behavioral disorder and psychology | 정서.행동장애아에 대한 심리학적인 이해를 증진시키며 성격.행동면의 내적 혹은 외향적 특징에 대하여 기초적인 사항들과 기본적인 지식을 습득한다. |
18401 | 정서행동장애질적연구법 | qualitative research for EBD | |
19157 | 정신지체아교육 적용 및 실습 | Mentally Retarded Education and Practice applicable | 정신지체아 교육실습의 이론과 방법을 연구하고, 습득한 교육이론을 교육현장에서 실제로 적용, 검증하고 심화시켜 정신지체아 교육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도모함은 물론 현장 수련을 통해 교육기술의 경험을 체득케 한다. |
19116 | 중도중복장애학생교육방법론 | Teaching method for students with severe & multiple disabilities | 중도중복장애학생의 교육과정을 탐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중도중복장애학생의 교수학습방법 및 평가 방법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실제적인 중재 방법을 탐색하여 적용한다. |
12320 | 중복.지체부자유아교육실습 | Student teaching for the multipled and Physical Disabilities | 중복·지체부자유아의 교육에 관한 이론적 지식과 이해의 토대 위에 지체부자유아 학교 현장에서의 실제적인 지도(교수, 재활지도, 직업지도, 학급경영)등 실무기능을 익힌다. |
17198 | 중복.지체부자유아신체기능훈련 | Physical Function Training of the Multiple and Physical Disabilities | 중복.지체부자유아의 신체의 이완, 서기, 걷기, 상지의 동작, 일상생활기본동작, 응용동작, 작업동작 등의 기증훈련을 통하여 운동장애를 개선하는 교수전략을 이해하고 탐색한다. |
17471 | 중복.지체부자유아신체기능훈련연구 | Physical Function Training Study of the Multiple and Physical Disabilities | 중복·지체부자유아의 신체의 이완, 서기, 걷기, 상지의 동작, 일상생활기본동작, 응용동작, 작업동작 등의 기능훈련을 통하여 운동장애를 개선하는 이론과 실제를 탐구한다. |
12158 | 중복·지체부자유아교육 | Education of the Multiple and Physical Disabilities | 중복·지체부자유아교육에 있어서 현재의 주요 문제에 대하여 분석하며 지체부자유아의 교육 내용 및 교육방법, 교육자료의 활용 방법에 대하여 탐색한다. |
17197 | 중복·지체부자유아교육및심리연구 | Education and Psychology Study of the Multiple and Physical Disabilities | 중복·지체부자유아 심리에 관한 문헌을 낭독하며, 특히 뇌성마비아의 발달 지도법에 관한 내용과 방법 탐색에 주안점을 둔다. |
14251 | 중복·지체부자유아교육세미나 | Advanced Seminar in Education of the Multiple and Physical Disabilities | 지체부자유아 교육의 제반 현안문제, 과제, 최근의 이슈 등을 중심으로 테마를 선정해서 발표, 토의를 하여 결론을 도출함으로써 중복.지체부자유아 교육에 관한 조사, 발표, 토론 및 창의적 연구능력을 기른다. |
19338 | 중복·지체부자유아연구동향 | Recent Studies on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 중복·지체부자유아 교육 분야의 특정 학술문헌을 조사, 정리, 발표 및 토론하여 이 분야의 새로운 학문지식을 넓히고 최근 정책, 이론, 연구 등의 동향을 세미나식으로 토론한다. |
17200 | 중복·지체부자유아연구방법론 | Research Methodology of the Multiple and Physical Disabilities | 중복·지체부자유아의 제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절차와 방법의 실제를 연마하여 타당성있고 신뢰성 있는 연구방법을 구안한다. |
16399 | 중복·지체부자유아재활지도 | Rehabilitation Service of the Multiply physically Handicapped | 중복·지체부자유아학교 교육과정 편성에 있어서 재활훈련의 위치 및 실제적인 지도 내용인 감각.지각훈련, 물리적 훈련, 작업훈련, 언어훈련, 신체활동훈련, 사회.심리적 훈련의 지도 방법에 대한 지식을 습득한다. |
19463 | 지적장애아교수학습론 | Instruction for the Intellectual Disability | 지적장애아동의 특성을 연구 이해하도록 하며, 실제적인 교수 학습에 대한 기초적인 지도 내용을 탐구하도록 한다. |
19460 | 지적장애아교육 | Education of the Intellectual Disability | 지적장애아 교육에 관한 기초이론과 지식을 체계적으로 이해하도록 해서 이 분야의 보다 싶은 학문적 탐색을 위한 연구의 기초를 확립하고, 실제 장면에서도 이를 응용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한다. |
19462 | 지적장애아교육세미나 | Advanced Seminar in Education of the Intellectual Disability | 지적장애아 교육에 관한 특정 학술문헌을 조사, 정리, 발표 및 토론하여 이 분야의 새로운 학문지식을 넓혀감과 아울러 각종 연구문헌을 이해, 분석, 비판하는 능력을 배양하고 발표력도 함께 길러 학문적 자질을 기른다. |
19459 | 지적장애아교육실습 | Internship of the Intellectual Disability | 지적장애아 교육실습의 이론과 방법을 연구하고, 습득한 교육이론을 교육현장에서 실제로 적용, 검증하고 심화시켜 지적장애아 교육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도모함은 물론 현장 수련을 통해 교육기술의 경험을 체득케 한다. |
19466 | 지적장애아교육실습의이론과실제 | Theory and Practice of Clinical in Internship of Intellectual Disability | 지적장애아 교육실습의 이론과 방법을 연구하고, 습득한 교육이론을 교육현장에서 실제로 적용, 검증하고 심화시켜 지적장애 교육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도모함은 물론 현장수렴을 통해 교육기술의 경험을 체특케 한다. |
19465 | 지적장애아교육연구 | Education Study of the Intellectual Disability | 지적장애아 교육에 관한 기초이론과 지식을 체계적으로 이해하도록 해서 이 분야의 보다 깊은 학문적 탐색을 위한 연구의 기초를 확립하고, 실제 장면에서도 이를 응용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한다. |
19461 | 지적장애아심리연구 | Psychological Study of the Intellectual Disability | 지적장애아의 학습 및 기억과정의 특징을 중심으로 주의집중, 단기기억, 상위인지, 심리언어, 뇌기능 분화, 귀인 이론 등을 탐색하고 지적장애아의 심리진단 문제를 임상자료에 기초하여 검토, 논의한다. |
19482 | 지적장애아심리특강 | Psychology Adnanced Lecture for the Intellectual Disability | 지적장애아의 학습과 인지에 대한 탐색으로서 정보처리, 일반화와 전이, 문제해결, 인지의 사회적 측면, 중세와 교육 등을 폭넓게 다룬다. |
19464 | 지적장애직업전환교육 | Transition & Career Education of the intellectual Disability | 지적장애의 직업진로 및 직업재활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탐색하고 장애정도에 따른 지적장애 전환교육에 관한 내용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발달지체인들의 지원고용을 위한 방략을 탐색한다. |
19156 | 청각장애교육 설문조사 방법론 | Survey Methodology for Deaf Education | 청각장애교육에 있어서 조사연구를 수행하는 경우가 많다. 청각장애교육의 특성상 보편적인 방버으로는 조사연구의 신뢰도를 보장하는 데 한계가 있다. 청각장애학생의 문해 능력과 조사연구의 상관성,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전문적인 특성을 보장하기 위한 조사연구의 적절성을 연구한다. |
17191 | 청각장애아교수학습론 | Learning and Teaching Theories of the Hearing Impaired | 청각장애학교 교육과정의 개발과 운영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새교육과정의 개발 요소를 알게 한다. 또한 사고와 언어, 그리고 근접발달대에 초점을 둔 교수학습 방법의 필요성과 이중언어교수법을 통한 교과지도 방법의 이론과 실제를 알게 한다. |
10241 | 청각장애아교육 | Education of the Hearing Impaired | 청각장애아동과 건청아동의 차이를 알고 청각장애아동에게 알맞은 교수학습방법과 교육적 성취, 문화적 특성의 올바른 이해, 그리고 청각장애아동을 위한 공학적 접근과 평가 방법 등을 강의하게 된다. |
10220 | 청각장애아교육및심리 | Education and Psychology of the Hearing Impaired | 청각장애아 교육의 발달과정과 최근 동향, 청각장애아의 취학 전 교육과 학교교육에 있어 주요 쟁점들, 청각장애아의 언어발달, 인지발달, 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과 그것의 문화적·교육적 해석에 대해 논의한다. |
17472 | 청각장애아교육및심리평가 |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Assessment of the Hearing Impaired | 본 강좌는 청각장애아동의 교육적 심리적 사정을 위한 목적, 개념, 방법과 관련된 기술적 문제 등을 알게 하고 사정의 결과가 학교와 가정에서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를 알아본다. 또한 다양한 교육적.심리적 사정 자료를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을 익히게 하여 그 결과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
10259 | 청각장애아교육세미나 | Advanced Seminar in Education of the Hearing Impaired | |
10224 | 청각장애아교육실습 | Internship of the Hearing Impaired | 청각장애의 지도에 필요한 지식, 기능, 태도를 습득하기 위하여 청각장애학교에서 교육적인 실습이 이루어지게 한다. 본 실습을 통하여 언어와 사고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고 교과지도의 내용을 전달하기 위한 의사소통 방안을 이해하게 될 것이다. |
10255 | 청각장애아교육연구 |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Study of the Hearing Impaired | 청각장애아 교육에 대한 국내외의 최근 논문들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통해 청각장애아 교육에 대한 주요 현안 문제와 과제들에 대한 문제의식을 확충, 특히 한국농교육의 개선 대안탐색에 주안점을 둔다. |
10221 | 청각학 | Audiology | 청각을 이해하는 기본 지식을 제공하여 청각장애 유아, 아동, 성인을 위한 진단절차와 청각검사 결과를 이해하여 교육적, 사회적 목적에 맞게 의사소통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한다. |
19406 | 통합교육세미나 | Seminar on Integrated Education | 특수교육대상 학생을 일반학교에서 장애유형이나 장애정도에 따라 차별을 하지 않고, 비장애 또래학생들과 함께 개인 학생의 교육적 요구에 적합한 교육이 실현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10249 | 특수교육공학 | Technology of Special Education | 특수교육 공학의 내용과 방법을 개관하여, 장애아의 교수와 학습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교육공학적 방법을 어떻게 응용 할 것인가를 고찰한다. 학교현장에서의 교육기기의 취급 및 컴퓨터를 활용한 교재작성이 이루어지게 한다. |
17718 | 특수교육공학및방법 | Special Education Technology and Methodology | 특수교육 공학의 내용과 방법을 개관하여, 장애아의 교수와 학습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교육공학적 방법을 어떻게 응용 할 것인가를 고찰한다. |
13833 | 특수교육과정 |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 장애아 교육과정의 기초 이론을 이해하여 장애영역별 교육과정 내용의 구성원리, 구성 실제, 교수자료 및 교수방법과 유기적 관계 등을 연구하고, 아울러 실제 적용방법과 응용기술도 익혀 전문적 소양을 함양한다. |
17186 | 특수교육과정및지도 | Curriculum and Teaching of Special Education | 장애아 교육과정의 기초 이론을 이해하여 장애영역별 교육과정 내용의 구성 원리, 구성 실제, 교수자료 및 교수방법과의 유기적 관계 등을 탐색 하는 동시에 실제 적용방법과 응용기술을 익힌다 |
16560 | 특수교육리더쉽세미나 | Leadership Seminar on Special Education | 전반적인 교육 개혁 문제와 관련하여 특수교육이 주도적으로 어떤 역할과 기능을 수행해야 하는가를 특수교육 전문성과 관련하여 토론중심으로 전개한다. |
17870 | 특수교육리더십실습 | Internship on Leadership of Special Education | |
10239 | 특수교육방법 | Teaching Methodology of Special Eduation | 장애아동의 교육방법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일반 교육방법의 여러 이론들을 검토하면서 장애 아동의 특숭에 알맞은 교육방법이 응용될 수있도록 한다. |
16555 | 특수교육법제연구 | Legislative Study on Special Education | 특수교육 법률제정과 개정에 따른 주요 문제들을 다룬다. 특히, 미국의 P.L.94-142 이후의 법률제정과 개정과정의 주요쟁점, 우리나라 특수교육 진흥법의 제정과 개정에 따른 주요 쟁점과 과제를 다룬다. |
13838 | 특수교육심리 | Psychology of Special Education | 특수아동에 대한 심리학적 소양을 가지게 하는 교과목으로서, 특수아동에 대한 발달심리학 및 사회심리학적 기초 이론을 폭넓게 이해시키고, 아울러 특수아동의 다양성에 따른 심리학적 특성과 주요한 내용을 살펴본다. |
12760 | 특수교육연구법 | Research Method in Special Education | 사회과학의 한 분야로서 특수교육에서 연구방법의 문제를 문헌 고찰, 기술적 연구의 여러 방법들, 실험적 연구 방법, 질적 연구방법 등에 걸쳐 논의하고 이들 방법론에 대한 논문들을 리뷰한다. |
16558 | 특수교육정책연구 | Public Policy Study on Special Education | 공공정책으로서 특수교육 정책개발의 철학, 정책수립과 그 전개과정상의 주요쟁점들을 사례중심으로 논의.해석.비판 하는데 주안점을 둔다. |
18919 | 특수교육질적연구방법론 | Special Education Qualitative Research | |
10244 | 특수교육철학및역사 | Philosophy and History of Special Education | 현대에 이르기까지 전개해 온 장애인 처우 및 특수교육의 사상적 내용과 그 시대적 배경을 분석 검토해서 현대 특수교육사상의 본질적 구조와 철학적 기반을 탐색하고 이를 체계화함으로써 특수교육에 대한 올바르고 확고한 철학을 정립하게 한다. |
10211 | 특수교육학 | Study of Special Education | 장애아의 정의, 분류 및 특수교육학의 과제로부터 시작하여 시각장애, 정신지체, 지체부자유, 청각장애의 교육과 지도, 언어장애 및 정서·행동 장애 치료와 지도 등의 개론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킨다. |
17871 | 특수교육학세미나 | Seminar for Special Education | |
10245 | 특수교육학특강 | Advanced Lecture of Special Education | 특수교육의 기본적인 과제로부터 시각장애, 정신지체, 지체부자유, 청각장애 등의 교육에 관한 국내외의 기초문헌을 통하여 특수교육의 현실적인 문제를 파악하고 장래의 전망에 대하여 고찰한다. |
10250 | 특수교육행정 | Administration of Special Education | 현대 특수교육행정의 이론을 중심으로 우리나라 특수교육행정의 현황과 문제를 분석·검토하고 개선방안을 연구한다. |
17540 | 특수교육행정연구 | Administration study of Special Education | |
10238 | 특수아심리 | Psychology of Exceptional Children | 특수아동의 인지과정 및 사회심리학적 기초, 심리측정, 특수아동심리에 기초한 교수전략 그리고 장애별 심리와 상담 등을 중심으로 특수아동에 대한 기본적인 심리학적 소양을 가지게 한다. |
13867 | 학습장애아교육 | Education for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 학습장애에 대한 개념, 역사, 원인, 심리적.학습적 특성, 진단.평가, 판별방법, 교수.학습이론 등을 연구하고, 교수.학습 유형과 방법 등을 모색한다. |
17574 | 학습장애아교육실습의이론과실제 | Theory and Practice Internship for Children Learning Disabilities | 학습장애아 지도에 필요한 지식, 기능, 태도를 습득하기 위하여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에서 교육적인 실습을 한다. |
16548 | 학습장애아교육연구 | Educational Study for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 학습장애아 교육의 이론적 연구를 기초로 하여, 최근 국내외의 논문을 검토하고 연구 문제를 분석하여 학습장애아 교육의 문제점과 대안을 탐구한다. |
17205 | 학습장애아세미나 | Seminar on Learning Disabilities | 학습장애 분야의 최근 문헌, 연구동향 및 문제점을 분석 검토하고 새로운 연구과제를 토의한다. Journal Reading Group을 구성하여 운영한다. |
17618 | 학습장애아심리연구 | Studies on Psychology for the Learning Disabilities | 학습장애아의 교수.학습이론.인지 및 발달, 문제해결 전략, 지도방법 등을 심리와 진단.처방적인 측면에서 논의한다. |
17473 | 학습장애아진단및평가의이론과실제 | Theory and Practice Assessment and Evaluation of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 학습장애아의 학업적, 인지적, 사회-정서적 및 취학 전 능력을 진단.평가하는 방법과 평가결과를 적용하는 방법에 관한 이론과 실제를 연구한다. |
17619 | 학습장애연구동향 | Recent Studies on Learning Disabilities | 학습장애아 교육분야의 최근 정책, 이론, 연구 등의 동향을 세미나식으로 토론한다. |
19703 | 한국수어언어학연구 | Study on Korean Sign Language | 한국수어언어법에서 한국수어는 농인의 모국어로 규정하고 있다. 한국수어언어학 연구에서는 농인의 언어와 문화라는 관점에서 수어의 언어학적 특성을 강의하게 될 것이다. 본 강좌를 통하여 수어의 보편적 특성, 시각언어 특성, 비수지적 특성, 그리고 관용어 특성 등에 대하여 알게 될 것이다. |
16557 | 한국특수교육연구세미나 | Seminar on Korean Special Education | 한국특수교육의 역사성과 현실에 기초한 주요현안 문제들 중심으로 문제진단과 그 개혁방안을 다면적으로 논의.검토.비판하는데 주안점을 둔다. 이를 통해, 한국특수교육에 대한 문제의식과 질문제기를 풍부하게 한다. |
10226 | 행동수정 | Behavior Modification | 특수아동의 행동수정에 관한 이론과 기법을 익힌다. 수정행동과 기법, 작동행동과 기법, 행동측정과 연구 설계, 응용행동 수정(인지 행동수정) 등의 내용을 연구한다. |
17541 | 행동지원연구특강 | ||
17188 | 행동지원특강 | Adnanced Lecture of Behavior Support | 행동수정이론의 기초, 여러 가지 행동수정기법과 행동수정 연구 설계에 대해 연구하고 긍정적 행동지원 실제 적용을 통해 원리 이해와 기능을 습득하도록 한다. |
COPYRIGHT(C) 2016 BY DAEGU UNIVERSIT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