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공학과는‘88. 11월에 석사과정이 신설되었고, ’92. 7월에 박사과정도 신설되어 있다. 교수진은 생물공학의 다양한 분야를 전공한 전임교수 4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나. 교육목표
첨단생명공학 분야의 응용능력을 갖춘 실력있는 생명공학자 양성
생물산업 시스템 전반에 걸친 기술적 분석력과 공정설계능력을 갖춘 전문가 양성
생명과학 기술분야에서 국제화, 정보화 감각이 뛰어난 전문인력의 양성을 통해 지역 및 국가산업 경쟁력 제고
교수명
학위
전공
담당과목
강선철
이학박사
생물공학
유전공학특론
윤종원
공학박사
생물화학공학
단백질공학
구덕본
농학박사
가축번식생리학
줄기세포공학특론
장원구
이학박사
분자세포생물학
생화학특론
★ 교과과정 및 교과목해설은 교육과정 변경에 따라 변동이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교과구분명
과목코드
과목명
이론시간
실기시간
학점
비고
연구
10000
개별연구지도
2
0
2
0
연구
10000
개별연구지도
1
0
1
0
전공
19035
고급면역학
3
0
3
0
전공
11063
공업미생물학
3
0
3
0
전공
17708
기능성생물소재학
3
0
3
0
전공
10995
단백질공학
3
0
3
0
전공
16238
단백질체학
3
0
3
0
전공
10982
동물발생공학
3
0
3
0
전공
13194
미생물학특론
3
0
3
0
전공
11141
발효공학
3
0
3
박사보충
전공
11104
발효공학특론
3
0
3
0
전공
19034
분자대사조절특론
3
0
3
0
전공
11795
분자면역학특론
3
0
3
0
전공
10981
분자생물학특론
3
0
3
0
전공
11120
생물공학
3
0
3
박사보충
전공
10817
생물공학특론
3
0
3
0
전공
16194
생물정보학
3
0
3
0
전공
16953
생체막특론
3
0
3
0
전공
14211
생화학
3
0
3
0
전공
10934
생화학특론
3
0
3
0
전공
11090
세포공학
3
0
3
박사보충
전공
16946
세포공학특론
3
0
3
0
전공
10939
세포생물학특론
3
0
3
0
전공
16950
식물분자생물학특론
3
0
3
0
전공
10977
식물조직배양
3
0
3
0
전공
17710
영어논문작성법특강
3
0
3
0
전공
11115
유전공학
3
0
3
박사보충
전공
11025
유전공학특론
3
0
3
0
전공
16239
유전체학
3
0
3
0
전공
11114
유전학
3
0
3
박사보충
전공
10913
유전학특론
3
0
3
박사보충
전공
18144
응용생명공학특론
3
0
3
0
전공
17709
임상학연구
3
0
3
0
전공
18143
재생생물학특론
3
0
3
0
전공
11116
효소공학
3
0
3
박사보충
전공
10974
효소공학특론
3
0
3
0
"박사보충" 표시된 과목
- 석사과정생이 수강할 경우, 전공과목으로 인정되며,
- 박사과정생이 수강할 경우, 보충과목으로 인정됨
★ 교과과정 및 교과목해설은 교육과정 변경에 따라 변동이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과목코드
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교과목 한글개요
10000
개별연구지도
Research Works
학위논문의 작성을 위하여 지도교수의 지도하에 각 개인별 연구주제에 관하여 연구한다.
10000
개별연구지도
Research Works
학위논문의 작성을 위하여 지도교수의 지도하에 각 개인별 연구주제에 관하여 연구한다.
19035
고급면역학
Advanced Immunology
면역학은 생명체의 면역체계를 다루는 바이오의학 분야의 중요한 학문분야로서 주로 면역체계와 관련된 질병의 원리를 다룬다. 이 교과목에서는 면역체계의 기본 원리뿐만 아니라 면역체계의 물리적, 화학적, 생리학적 특성 등을 강의하게 될 것이다.
11063
공업미생물학
Industrial Microbiology
공업미생물학은 병원성 미생물, 발효 미생물, 환경 미생물학, 토양 미생물학 등 산업적으로 광범위하게 이용되는 미생물들의 특성을 다루는 학문이다.
17708
기능성생물소재학
Functional Biomaterials
기능성 생물소재학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지는 다양한 생물소재의 원료, 성분, 주요 기능을 다루는 학문이다.
10995
단백질공학
Protein Engineering
단백질공학기술은 물론 단백질공학, 게놈학을 다룬다. 1. 단백질공학기술의 근본원리 파악 2. 프로테오믹스와 게놈학 및 그 응용의 원리 이해
16238
단백질체학
Proteomics
단백질학은 단백질, 특히 그들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대규모 연구다. 단백질은 세포의 생리적 대사 경로의 주요 성분이기 때문에 살아있는 유기체의 필수적인 부분이다. 프로테오믹스라는 용어는 게놈 연구인 게놈학과 유추하기 위해 1997년에 처음 만들어졌다. 프로테오메라는 단어는 단백질과 게놈을 혼합한 것으로 1994년 마크 윌킨스가 박사과정 학생으로 개념을 연구하면서 만든 말이다.단백질은 유기체나 체계에 의해 생성되거나 변형된 단백질의 전체 집합이다.
10982
동물발생공학
Animal Developmental Biotechnology
본 교과목에서는 초기배의 발생과 관련된 기전과 초기배의 조작 등을 통해 다양한 유용 동물의 생산과 관련된 기술을 이해하고, 이러한 발생공학 기술은 궁극적으로 인간의 질병 치료로의 접근과 관련된 내용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13194
미생물학특론
Advanced Microbiology
미생물의 분류, 생리, 생태 및 유전 등 미생물학 전반에 걸친 생명현상을 이해시키고 유전공학, 환경미생물, 산업미생물, 식품미생물 및 의학 관련 미생물 등에 관한 최근의 토픽을 발췌, 공개 토의 함으로써 미생물학 전 분야에 관한 연구현황을 파악하고 이해력, 표현력을 고취시키고자 한다.
11141
발효공학
Fermentation Technology
발효공학은 미생물을 이용하여 유용물질을 생산하는데 관련된 다양한 기술이 적용되는 down stream 분야를 다루는 학문으로서 발효조의 설계 및 운전을 핵심적으로 다룬다
11104
발효공학특론
Advanced Fermentation Technology
발효공학특론은 미생물을 이용하여 유용물질을 생산하는데 관련된 다양한 기술이 적용되는 down stream 분야를 다루는 학문으로서 발효조의 설계 및 운전을 핵심적으로 다룬다. 특히 발효조설계에서 컴퓨팅기술 및 자동제어 시스템 등을 다룬다.
19034
분자대사조절특론
Advanced Molecular Metabolic Control
분자대사조절특론은 생체내 대사의 조절을 생리적, 병리적 관점에서의 이해를 목표로 한다. 또한 당, 지질, 골 대사이상 질환등의 주요 대사성 질환을 분자 수준에서 강의하여 기초의학 분야의 지식을 확대해 나가게 될 것이다.
11795
분자면역학특론
Advanced Molecular Immunology
외부물질로부터 신체를 방어하는 면역기능을 분자수준에서이해한다. 면역반응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항체의 분자구조, 항체유전자의 구조 및 유전자 발현과정의 특성과 이에 기인하는 항체의 다양성, B 임파구로부터의 항체 합성 및 분비과정과 T 임파구의 역할, 그리고 항체와 항원의 상호작용 등을 강의한다.
10981
분자생물학특론
Advanced Molecular Biology
유전의 기본 원리들을 분자생물학적 수준에서 해석하는 기초 이론들을 주제별로 학습하며 최신 발견된 테마에 관해서 세미나를 겸한다.
11120
생물공학
Biotechnology
이 과목은 발효, 분리 기술, 생물계통 유형 및 그 운영 전략과 주요 생물역동학 제품들을 포함한 일반적인 바이오프로세스를 다룬다.
10817
생물공학특론
Advanced Biotechnology
생명체의 물질변환, 정보변환, 에너지 변환 등의 생명현상을 인류의 복지를 위하여 응용하는 과학 기술로서 미생물, 동, 식물세포를 이용한 유용물질을 생산, 품종 및 품질 개량, 생명현상 규명 등에 관련된 내용으로 구성.
16194
생물정보학
Bioinformatics
DNA/RNA 서열, 단백질 서열 및 유전정보의 검색과 분석을 포함하는 생물학 연구자료의 검색, 분석 및 정보 발굴과 의미를 파악하고 활용하는 방법을 이해한다.
16953
생체막특론
Advanced Biomembrane
세포에서 신호전달 기전의 이해는 매우 중요하다. 다양한 신호전달이 세포의 증식과 분화에 관련되어 있어 특정세포로의 분화에 관련된 신호전달 기전을 구체적으로 이해함을 목적으로 한다.
14211
생화학
Biochemistry
생화학은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핵산 등의 생체내 거대분자의 합성 및 분해대사를 중심으로 다룬다. 또한 세포 단위를 중심으로 생체 항상성 유지를 위한 에너지의 사용 및 관련 인자들의 발현 및 활성에 대하여 논하게 된다.
10934
생화학특론
Advanced Biochemistry
생체분자인 탄수화물, 지질, 단백질, 핵산의 구조와 기능을 다루고, 이들로 구성되는 세포소기관과 원형질막의 구조와 기능을 설명한다. 또한 물질대사를 설명하고 그것의 조절기구를 설명하며, 조절기구의 유형을 다룬다.
11090
세포공학
Cell Technlogy
동물세포가 외부의 정보에 반응하여 여러 종류의 생리활성물질을 생산한다. 이 물질들 중에 목적으로 하는 특정 물질의 생산을 위해 조작된 유전자를 효율적으로 세포내 주입하는 방법을 추구한다.
16946
세포공학특론
Advanced Cell Technology
동물세포가 체내외에서의 증식과 관련된 양식을 조직학적, 생화학적, 생리학적, 유전학적으로 통합하여 설명하는 학문
10939
세포생물학특론
Advanced Cell Biology
생명의 기본단위로서의 세포와 총체적인 유기체로서 생명체 사이의 관계를 중심으로 각 세포소기관의 미세구조와 기능, 세포주기, 세포분열 및 분화 등의 문제를 주제별로 고찰한다.
16950
식물분자생물학특론
P1ant Molecular Biology
식물체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현상을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학문분야의 하나로서 주요 연구범위는 식물체의 형태와 구조, 발생, 성장, 생식, 유전, 물질대사, 질병, 진화와 계통, 그리고 환경과 생태 등에 대한 모든 분야를 포함한다.
10977
식물조직배양
Plant Tissue Culture
식물의 조직배양 특론에서는종·속간잡종의 육성, 바이러스 무병주의 생산, 우량 이형접합체의 증식방법 등을 강의한다.
17710
영어논문작성법특강
Writing scientific article
대부분의 대학원생들은 그들의 실험 결과들을 이용하여 원고를 쓰는데 있어서 서로 다른 점에 직면해 있다. 따라서 이 수업에서는 과학적 논문을 어떻게 써야 하는지에 대한 핵심 요인들이 강의될 것이다.
11115
유전공학
Genetic Engineering
본 과목에서는 DNA 재조합 DNA 기술, DNA 수정 효소, 유전자 복제, DNA 시퀀스 분석, 생물정보학 등 유전 공학과 관련된 기초 기술에 관한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다.
11025
유전공학특론
Advanced Genetic Engineering
동, 식물, 및 미생물 세포를 포함한 생체 시스템을 이용하여 인류가 필요로 하는 각종 유용물질을 생산하기 위해 요구되는 제반기술 즉, 유전자원의 확보, 발현벡터로 클로닝, 유전자 재조합, 유전자 도입, 재조합체 선별, 단백질 발현 및 조절, 대량생산, 정제 방법, 생물학 등을 학습한다.
16239
유전체학
Genomics
유전체란 특정한 생물체의 세포 속에 포함되어 있는 유전자 전체, 즉 세포핵 염색체를 이루고 있는 DNA의 전체 집합을 의미하는데, 유전체학은 이러한 유전체를 대상으로 하며, 어떤 유전자가 어디에 존재하가를 알아내는 것은 물론 기능과 네트워크를 유전자 전체라는 관점을 학습한다.
11114
유전학
Genetics
유전학은 생물의 형질 발현에 대한 원인을 구명하는 생명과학의 기본학문의 하나로서 유전자의 이동방식, 변화성, 소재, 물질적 기초, 외부시스템와의 관계 등을 연구한다.
10913
유전학특론
Advanced Molecular Genetucs
유전 형질의 작용 메카니즘과 최근 분자 유전학의 동향 그리고 집단 유전학에 관하여 광범위한 해석을 한다.
18144
응용생명공학특론
Advanced Applied Biotechnology
응용생명공학은 생물 자체를 생산 또는 제어하거나 생물이 산출하는 물질이 생성되는 원리와 그 산업적 응용성을 생물 및 화학적 이론을 바탕으로 교육, 연구하는 첨단 응용학문이다. 응용생명공학에서는 생명현상과 환경 전반에 대한 심층 지식과 아울러 이를 산업에 응용하기 위한 지식을 폭넓게 제공하는 학문이다.
17709
임상학연구
Clinical study
임상의학은 기초의학 ·사회의학 ·임상의학으로 대별되는데. 본 강좌는 주로 기초의학분야의 핵심내용인 해부 ·생리 ·병리 ·약리 ·생화학 등을 다룬다.
18143
재생생물학특론
Advanced Regenerative Biology
본 교과목에서는 손상된 장기, 세포 등에 대한 재생에 있어서 분자 및 세포 기전 등과 같은 기초 지식을 포함한 다양한 응용분야에 대해 폭넓게 학습한다.
11116
효소공학
Enzyme Engineering
이 수업에서는 다음과 같은 주제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인 주제들을 위해, 학생들은 적어도 학생 한 명당 두 번 세미나를 열 것이다. 1. 기초 효소학 2. 효소 운동학 3. 이모빌라이제 4. 효소생성자 5. 공업용 효소
10974
효소공학특론
Advanced Enzyme Engineering
이 수업에서는 다음과 같은 주제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인 주제들을 위해, 학생들은 적어도 학생 한 명당 두 번 세미나를 열 것이다. 1. 기초 효소학 2. 효소 운동학 3. 이모빌라이제 4. 효소생성자 6. 공업용 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