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년대 이후 한국 사회 장애인운동의 역동적 성장과 함께 장애학 담론이 국내에 조금씩 소개되어 왔고 장애학에대한 수요는 점점 늘어났으나, 국내에서 장애학을 수학할 수 있는 곳은 없었다. 이에 장애를 규정하는 정치적․경제적․사회적․문화적․역사적 요인과 맥락 등을 분석․탐구하는 장애학 연구자를 체계적으로 양성하기 위해 2018년에국내 최초로 석사 과정을 신설하였고, 2020년에 박사 과정을 역시 국내 최초로 설치하였다.
교육목표
장애학 발전에의 기여: 다양한 인문학적․사회과학적 방법을 동원하여 ‘장애를 만드는 사회’(disabling society)의 실체를 규명한다.
장애인의 삶의 질 개선에의 기여: 장애인의 사회적 배제․억압․차별을 제거하기 위한 대안을 마련한다.
통합사회 건설에의 기여: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통합하는 사회건설에 기여한다.
구체적으로는 석사․박사 과정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자 한다.
· 장애학적 관점에 근거하여 장애인의 전문능력 개발과 역량강화에 기여한다.
· 다양한 인문․사회과학 내의 다학문적․학제간 연구를 촉진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장애 이슈에 대한 학문적․실천적 지평을 넓힌다.
· 장애 관련 연구자와 장애인 당사자 그룹간의 상호 협력을 촉진한다.
· 장애학 커뮤니티를 활성화시킨다.
교수명단
교수명
학위
전공
담당과목
조한진
철학박사
사회복지정책, 장애학
장애학 Ⅰ
장애학 Ⅱ
조성재
철학박사
재활상담
장애의 심리적 측면
장애와 고용
김건희
철학박사
특수교육
질적연구방법론 Ⅰ
장애학과 교육 세미나
김문근
사회복지학박사
정신장애학
정신장애의 이해: 상징적 상호작용론적 관점
강종구
교육학박사
특수교육
장애학 세미나
이동석
문학박사
장애인복지
장애인 정책과 법률
장애권리운동과 임파워먼트
이선욱
철학박사
정신사회작업치료학
질적연구방법론 Ⅱ
★ 교과과정 및 교과목해설은 교육과정 변경에 따라 변동이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교과구분명
과목코드
과목명
이론시간
실기시간
학점
비고
연구
10000
개별연구지도
2
0
2
0
연구
10000
개별연구지도
1
0
1
0
전공
19603
장애인정책과법률
3
0
3
박사보충
전공
19604
양적연구방법론 Ι
3
0
3
박사보충
전공
19605
장애학과교육
3
0
3
0
전공
19606
장애와문화·예술
3
0
3
박사보충
전공
19607
장애의심리적측면
3
0
3
0
전공
19608
발달장애인의 권리와 지원
3
0
3
0
전공
19609
장애와종교
3
0
3
0
전공
19611
장애의사회학
3
0
3
0
전공
19612
장애학세미나
3
0
3
0
전공
19615
장애와고용
3
0
3
0
전공
19735
장애학1
3
0
3
박사보충
전공
19736
질적연구방법론1
3
0
3
박사보충
전공
19737
장애와대중문화
3
0
3
0
전공
19738
보조공학개론
3
0
3
0
전공
19739
장애인과함께하는코칭:이해와실제
3
0
3
0
전공
19795
장애권리운동과임파워먼트
3
0
3
0
전공
19796
장애인예술론
3
0
3
0
전공
19797
한국장애인사
3
0
3
0
전공
19798
장애학2
3
0
3
0
전공
19800
양적연구방법론2
3
0
3
0
전공
19801
장애재현에서의이슈
3
0
3
0
전공
19802
장애와현대철학
3
0
3
0
전공
19803
젠더,섹슈얼리티와장애
3
0
3
0
전공
19804
정신장애의이해
3
0
3
0
전공
19799
질적연구방법론2
3
0
3
0
전공
19942
장애정책세미나
3
0
3
0
전공
19943
장애학과교육세미나
3
0
3
0
전공
19944
장애와의사소통
3
0
3
0
전공
20120
장애와가족정책
3
0
3
0
"박사보충" 표시된 과목
- 석사과정생이 수강할 경우, 전공과목으로 인정되며,
- 박사과정생이 수강할 경우, 보충과목으로 인정됨
★ 교과과정 및 교과목해설은 교육과정 변경에 따라 변동이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과목코드
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교과목 한글개요
연구
개별연구지도
Independent Study in Research
논문 연구를 계획하고 논문의 초점을 전개하는 데 있어서 학생들을 준비시킨다.
연구
개별연구지도
Independent Study in Research
논문 연구를 계획하고 논문의 초점을 전개하는 데 있어서 학생들을 준비시킨다.
전공
장애인정책과법률
Disability Policies and Laws
본 교과는 장애인 정책과 법률의 기초를 제공하고, 정책 과정, 정책 형성, 복지국가의 제도들을 검토한다. 본 교과는 장애인 정책과 법률에 대한 서로 다른 정치적․이념적 접근법에 초점을 맞춘다.
전공
양적연구방법론 Ι
Quantitative Methods in Research Ⅰ
본 교과는 장애 연구에서 흔히 사용되는 모수․비모수 통계 방법을 검토하고, 교재와 강의 자료를 보충하기 위하여 컴퓨터 실습을 병행한다.
전공
장애학과교육
Disability Studies and Education
장애학을 교육에 연결시켜, 장애로 진단 받은 학생들을 교육시키는 전반적인 내용에 대해 이야기한다. 교육적 효과를 높이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들이 논의된다.
전공
장애와문화·예술
Disability in Culture and Arts
장애가 문화와 예술에서 어떻게 정의되고 의미가 부여되는지를 분석하고, 그 결과 얻게 되는 이해를 현실세계에서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대우와 연결시켜 본다.
전공
장애의심리적측면
Psychological Aspects of Disability
이 과목은 기존의 이상심리학적 접근을 지양하고 장애인의 삶을 구성하는 여러 가지 심리적 요인들을 사회․개인․인간의 관점에서 이해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장애를 보는 장애의 정의와 여러 가지 모델, 차별과 권리, 장애 수용과 대응 이론, 장애 정체성, 영성과 종교 등의 주제들을 깊이 있게 다루고자 한다.
전공
발달장애인의 권리와 지원
Supporting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ir Civil Rights
본 교과는 발달장애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발달장애인의 일상적 삶의 구현과 보편적 권리 실현을 위한 주요 정책적 이슈와 지원방안들에 대해 살펴본다. 이를 위해 자기결정권, 성적 권리, 의사소통 지원, 자기 권리옹호 운동 등을 둘러싼 쟁점들이 발달장애인의 관점에서 어떻게 재해석될 수 있는지, 그리고 어떤 사회적․실천적 함의를 지니고 있는지를 논의한다.
전공
장애와종교
Disability and Religions
본 교과는 세계의 주요 종교에 나타난 장애에 대하여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이를 위하여 종교학 이론과 역사를 학습하며, 주요 종교의 역사, 담론, 교리, 경전, 의례, 대내․외 실천에 나타난 장애 관련 텍스트를 해석하고 비판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를 토대로 이러한 종교현상들이 장애학에 갖는 함의를 논의한다.
전공
장애의사회학
Sociology of Disability
일반적으로 한 사회의 장애인은 사회의 주변부에 위치하며, 차별과 배제의 대상이 되고 있다. 한국 사회에서도 신체적․정신적 장애를 가진 개인의 인권 침해와 시민권 보장 등이 중요한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장애의 사회학은 어떤 사람들이, 누구에 의해 무슨 이유로 장애인의 지위를 갖게 되는지를 고찰한다. 또한 장애를 가진 개인을 차별하고 배제하는 사회적 기제와 일상생활 속에서 개인이 장애를 체험하는 복합적인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전공
장애학세미나
Disability Studies Seminar
장애학 세미나는 장애학에 대한 심화 수업으로서 장애학의 최근 이론, 특히 장애학이 가장 활발하게 다루어지고 있는 영국 장애학 이론을 중심으로 장애학과 관련된 다양한 논의를 다룬다. 이와 함께 장애학과 관련된 전문학술지 등에 나타난 장애학에서의 논쟁, 장애학의 발전 방향 등을 포함하여 장애학의 최신 경향을 다룬다.
전공
장애와고용
Disability and Employment
이 과목에서는 장애인 고용 문제에 있어서 법적․제도적 측면, 정책, 고용 형태, 고용의 유지․획득의 저해 요인, 다양한 고용 모델, 현안과 당면 과제 등의 주제들을 토론을 중심으로 다루고자 한다. 기존의 기능론적 접근과 더불어, 권리와 차별의 관점에서 장애인 고용 문제를 바라보는 시각을 기르는 데에 주안점을 두고자 한다.
전공
장애학1
Disability Studies Ⅰ
장애학은 교육․실천․연구에 있어서 최근에 생겨난 학문 분야이며 패러다임이라 할 수 있다. 본 교과는 학문 분야로서의 장애학의 역사와 개념적 기초를 개관하고 비평적 분석을 제공한다. 역사적 정의와 현대의 정의, 분류, 이론, 적용 모델, 장애 경험에 대한 개인적 기술 등이 제시․논의․종합․비평된다.
전공
장애학2
Disability Studies Ⅱ
본 교과는 장애학 관점이 주요 비판적, 문화적 쟁점에 제공해 줄 수 있는 가치 효용의 증거를 제공한다. 동시에 본 교과는 장애학의 핵심 이슈를 문화 연구, 문학 이론, 쿼어 이론, 젠더 연구, 비판적 인종 이론 등에서의 뛰어난 사상가들과 접촉시킴으로써 장애학이라는 신생 분야를 진전시킬 것이다.
전공
질적연구방법론1
Qualitative Methods in Research Ⅰ
장애학과 관련한 연구를 하기 위한 질적연구 방법의 연구절차, 그리고 논문을 작성하는 방법에 대한 지도와 토의를 한다. 연구절차 면에서는 연구대상 선정방법, 자료 수집방법, 그리고 자료 분석방법이 지도된다.
전공
장애와대중문화
Disabilities and Popular Culture
본 과목은 장애학적 시각에서 대표적 대중문화 형태인 영화, TV 드라마. 대중매체 등에서 확인할 수 있는 장애에 대한 생각과 태도를 분석해 보고 대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전공
보조공학개론
Introduction to Assistive Technology
보조공학에사용되는HAAT 모델의기본적인이해, 장애인에게 필요한 보조공학기기 전반에 대한 이해와 사용 방법, 보조공학 서비스 전달체계, 그리고의뢰인의요구를어떻게충족시켜줄수있는지에대해 학생들이 습득할 수 있도록 가르친다.
전공
장애인과함께하는
코칭:이해와실제
Coaching with People with Disabilities: Understanding and Practice
의사소통과 인적자원 개발에 효과적인 기법으로서 커리어 개발 및 일상생활 등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되고 있는 코칭과 관련된 다양한 이론적 측면을 탐구하고 이해하며, 나아가 실제로 장애인과 관련된 각종 현장에서 코칭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 등에 대한 다양한 방안을 학습한다.
전공
장애권리운동과임파워먼트
Disability Rights Movement and Empowerment
이 과목은 장애와 인권이 무엇인지를 탐구하고, 국내․해외 장애 운동의 역사, 관점, 현황 등을 파악․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UN에서 이루어진 장애 개념의 변화 과정 및 장애인권리협약 체결을 위한 과정, 결과 등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와 함께, 임파워먼트와 관련된 이론 등을 학습하고, 우리나라 장애인의 임파워먼트를 위한 구체적인 실천 방안 등을 모색하고자 한다.
전공
장애인예술론
Introduction to Disability Arts
장애인예술의 역사와 가치를 장애학 관점에서 학습함으로써, 이 과목은 학생들이 장애인예술의 수월성을 알리고 장애인예술의 이론을 정립하며 장애인예술 정책을 개발하고 장애인예술 분야의 전문가가 되도록 돕는다.
전공
한국장애인사
History of Koreans with Disabilities
장애인에 대한 모든 정책은 ‘인간’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고, 그래야만 각종 정책이 왜곡되지 않고 그 사람이 원하는 방향으로 실시될 수 있다. 이에 역사 속에서의 장애에 대한 규정, 장애인 복지정책, 각 장애유형별 생활상, 장애인의 시대적 업적 등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본 강좌는 한국 장애인의 그러한 역사를 자세히 살펴봄으로써 장애에 대한 인문학적 이해를 심화시키고자 한다.
전공
양적연구방법론2
Quantitative Methods in Research Ⅱ
본 교과목에서는 양적연구를 통해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기 위한 다양한 고급 통계방법론 이론을 학습한다. 또한 통계패키지(SAS, R 등)를 활용한 실습을 통해 자료 분석 능력을 배양하고자 한다.
전공
장애재현에서의이슈
Issues in the Representation of Disabilities
본 과목은 장애의 재현에 관한 주요 이론들을 살펴보고, 그것을 토대로 하여 장애 재현에 관계된 다양한 문화적 산물을 분석하면서, 장애의 사회적 구성성, 인권, 사회 정의, 소수자 정체성, 다양성 등과 같이 장애와 관련된 이슈들과 연계하여 이해하고 비평한다.
전공
장애와현대철학
Disability and Contemporary Philosophy
본 교과는 현대철학의 논의에 나타난 장애에 대하여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이를 위하여, 현대철학의 등장배경과 계보를 학습하며, 현대철학의 다양한 논의들 중 후기구조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에 근거한 장애학 이론들에 대하여 살펴보고 토론한다.
전공
젠더,섹슈얼리티와장애
Gender, Sexuality and Disability
페미니스트 장애학은 유럽, 남성, 비장애, 이성애 중심주의가 ‘정상성’을 중층적으로 구성한다고 보는 비판적 인식론에 뿌리를 둔다. 페미니스트 장애학은 장애학과 페미니즘을 단순 결합시키는 것을 넘어, 젠더․섹슈얼리티를 통해 장애정치를, 그리고 장애를 통해 젠더․섹슈얼리티 정치를 새롭게 재구성한다. 이 과목은 교차성의 관점에서 젠더, 섹슈얼리티와 장애를 넘나들고 연결하는 이론 및 실천적 개입의 가능성을 탐색한다.
전공
정신장애의이해
Symbolic Interactionism and the Understanding of Psychiatric Disability
본 강좌는 사회적 상호작용과 자아, 사회적 행동을 설명하는 상징적 상호작용론을 통해 정신장애의 독특성, 정신장애인의 손상 경험, 정신장애인의 자아의 손상과 회복, 정신장애인이 치료, 재활, 사회통합 과정에서 경험하는 사회적 상호작용의 비판적 이해와 개입전략 등에 대한 심층적 논의와 이해를 제공한다.
전공
질적연구방법론2
Qualitative Methods in Research Ⅱ
장애학 연구를 위한 내러티브 연구, 생애사연구방법 등 다양한 질적연구방법을 학습한다. 또 개인 연구를 위한 질적연구 실습과 피드백을 제공한다.
전공
장애정책세미나
Disability Policy Seminar
본 교과는 장애학적 관점에서 장애 관련 정책을 분석하고 필요한 정책을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정책분석이론 등에 대한 심화학습을 진행하고, 개별 정책에 대한 분석, 국가 비교분석 등을 시행한다. 또 이와 같은 분석을 위한 연구방법론에 대해 학습하고 논의한다.
전공
장애학과교육세미나
Disability Studies and Education Seminar
본 교과는 장애학적 관점에서 장애인 교육을 분석하고, 장애학생을 교육시키는 전반적인 내용에 대해 논의한다. 또 교육적 효과를 높이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들이 논의된다.
전공
장애와의사소통
Disability and Communication
과목의 미션은 의사소통 분야에서 기능 및 전반적인 복지를 유지․증진·향상시키는 장애 분야 전문가가 될 수 있도록 학생들을 준비시키는 것이다. 이 과목의 목표는 교육 및 보건․장애 관련 다양한 환경에서 취업에 적합한 자격을 갖춘 전문가, 더 나아가 고용이 되는 경우 역량, 리더십, 윤리, 서비스 및 평생학습에 대한 헌신을 인정받는 전문가로 준비시키는 것이다. 이 과목에서는 학생들이 의사소통의 차이나 장애를 가진 사람들에 대한 효과적이고, 문화적으로 민감하며, 증거에 기반한 서비스를 독립적으로 설계하고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전공
장애와가족정책
Disability and Family Policy
본 교과는 장애와 가족을 둘러싼 다양한 개념적․이론적 접근들을 이해하고, 생애사적 접근과 가족 전체적 관점에서 장애인과 그 가족이 경험하는 다양한 문제점들에 대하여 살펴본다. 이를 바탕으로 장애인가족 지원의 주요 정책적․실천적 과제들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도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