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공학과 대학원은 2000년 11월에 교육인적자원부로부터 석사학위과정 설치 인가받으면서 시작된 신설학과로서 기계 및 자동차공학전공으로 구분되어 있다.
14인의 교수진으로 구성되어져 있으며, 기계 및 자동차공학의 다양한 분야에 대한 전문가로 이루어져 있다.
나. 교육목표
기계시스템의 역학분석 및 전문설계능력 배양
지역사회 및 국가발전에 기여할 창의적 기술개발능력 배양
기계 및 자동차 산업의 첨단기술을 접목한 전문연구인력 양성
다. 교수명단
교수명
학위
전공
담당 과목
김봉훈
공학박사
열공학
열전달특론
내연기관특론
김세호
공학박사
성형 및 충돌해석
생산기술특론
재료거동학
김종환
공학박사
경영과학
생산공학특론
김홍석
공학박사
소성역학 및 사출성형
고체역학
금형설계
남진현
공학박사
연료전지및에너지
내연기관
자동차공기조화
박철재
공학박사
제어공학
메카트로닉스
유재현
공학박사
정밀가공시스템
용접공학특론
윤강섭
공학박사
메카트로닉스
메카트로닉스응용
지능형차량
윤재웅
공학박사
기계가공 및
생산자동화
절삭가공특론
형상모델링 및 CAM
윤정환
공학박사
유체역학
유체역학특론
전산차체공기역학
이덕영
공학박사
기계진동
자동차부품설계
이재현
공학박사
제품정보관리시스템
연구기획및관리
조현우
공학박사
지능형 생산시스템
생산자동화특론
황우석
공학박사
구조역학
전산수조해석
차체구조설계
★ 교과과정 및 교과목해설은 교육과정 변경에 따라 변동이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교과
구분명
과목코드
과목명
이론시간
실기시간
학점
비고
연구
10000
개별연구지도
2
0
2
0
연구
10000
개별연구지도
1
0
1
0
전공
18237
CAM특별연구
3
0
3
0
전공
15599
계측및신호처리
3
0
3
0
전공
15597
고등공업수학
3
0
3
0
전공
10806
고분자분석특론
3
0
3
0
전공
15614
고체역학특론
3
0
3
0
전공
18225
공업재료
3
0
3
0
전공
18219
기계공학세미나(1)
3
0
3
0
전공
18220
기계공학세미나(2)
3
0
3
0
전공
17673
기계공학특론
3
0
3
0
전공
18224
기계설계특별연구
3
0
3
0
전공
15624
내연기관특론
3
0
3
박사보충
전공
18243
냉동공조시스템설계
3
0
3
0
전공
18244
대체에너지기관및설계
3
0
3
0
전공
15601
동적시스템해석
3
0
3
0
전공
10725
디지털제어
3
0
3
0
전공
15633
로봇특론
3
0
3
0
전공
15611
메카트로닉스응용
3
0
3
0
전공
18239
박판소성가공학
3
0
3
0
전공
18246
사출성형특별연구
3
0
3
0
전공
18242
산학협동세미나
3
0
3
0
전공
18303
생산공학특론
3
0
3
박사보충
전공
15613
생산기술특론
3
0
3
0
전공
15627
생산자동화특론
3
0
3
박사보충
전공
14590
생체역학
3
0
3
0
전공
15617
선형제어
3
0
3
0
전공
18238
신소재응용및설계
3
0
3
0
전공
15620
에너지방법론
3
0
3
0
전공
17672
연구기획및관리
3
0
3
0
전공
18227
열공학특별연구
3
0
3
0
전공
15598
열및물질전달
3
0
3
0
전공
10810
열전달특론
3
0
3
0
전공
18302
열처리특론
3
0
3
박사보충
전공
18229
용접공학특론
3
0
3
0
전공
18230
용접공학특별연구
3
0
3
0
전공
18233
용접자동화특론
3
0
3
박사보충
전공
18231
용접품질검사
3
0
3
0
전공
12031
유한요소법
3
0
3
박사보충
전공
17674
자동차공학특론
3
0
3
0
전공
15631
자동차부품설계
3
0
3
0
전공
15636
자동차진동소음
3
0
3
0
전공
18301
재료강도론
3
0
3
0
전공
15630
재료거동학
3
0
3
0
전공
18304
재료상변태
3
0
3
박사보충
전공
18300
재료탄성론
3
0
3
박사보충
전공
15619
전산구조해석
3
0
3
박사보충
전공
15622
전산열시스템설계
3
0
3
0
전공
19349
전산유기체계
3
0
3
박사보충
전공
15621
전산차체공기역학
3
0
3
0
전공
18232
전열공학특별연구
3
0
3
0
전공
15612
절삭가공특론
3
0
3
0
전공
18245
제작및자동화특별연구
3
0
3
0
전공
15632
지능재료
3
0
3
0
전공
15625
지능형차량
3
0
3
0
전공
15615
진동학
3
0
3
박사보충
전공
18226
차량안전설계
3
0
3
0
전공
15635
차체구조설계
3
0
3
0
전공
15618
최적제어
3
0
3
0
전공
15616
최적화설계
3
0
3
0
전공
15600
탄성학
3
0
3
0
전공
18240
프레스성형특별연구
3
0
3
0
전공
15628
형상모델링및CAM
3
0
3
0
"박사보충" 표시된 과목
- 석사과정생이 수강할 경우, 전공과목으로 인정되며,
- 박사과정생이 수강할 경우, 보충과목으로 인정됨
★ 교과과정 및 교과목해설은 교육과정 변경에 따라 변동이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과목코드
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교과목 한글 개요
10000
개별연구지도
Research Works
학위논문의 작성을 위하여 지도교수의 지도하에 개인별 연구주제에 관하여 연구한다.
10000
개별연구지도
Research Works
학위논문의 작성을 위하여 지도교수의 지도하에 개인별 연구주제에 관하여 연구한다.
18237
CAM특별연구
Selected Topics in CAM
초정밀 가공을 위한 수치제어 기계가공의 핵심으로서 CAM과 관련된 심화 주제를 상호 토의식으로 학습한다. 가공시간 단축 및 정밀도 향상, 가공 불량 회피를 위한 다양한 주제들이 논의된다.
15599
계측및신호처리
Measurements and Signal Processing
최근 기계, 자동차 및 전기/전자부품의 정밀화와 산업현장의 자동화 필요성 대두 등으로 인해 다양한 물리량의 정밀 계측이 필요로 되고 있다. 본 과목에서는 다양한 물리량을 측정하는 각종 계측기 및 센서 등의 작동원리와 활용 방법을 이해하고, 시간 영역 및 주파수 영역 등 다양한 영역에서의 신호처리 방법을 강의함으로써 센서에서 얻어 진신호의 분석과 계측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15597
고등공업수학
Advanced Engineering Mathematics
자동차를 포함한 기계 시스템을 해석 및 설계하기 위한 수학적 기법을 강의한다. 선형대수, 복소수, 텐서, 벡터방정식, 편미방, 수치해석 등을 더욱 깊이 있게 강의한다.
10806
고분자분석특론
Advanced Polymer Analysis
유체역학 분야를 보다 체계적으로 다루는 과목으로 유체역학의 기본원리, 비점성유동, 점성유동과 Navier-Stokes 방정식, 경계층 이론. 적분 운동량 해석법, 난류 유동 등을 학습한다.
15614
고체역학특론
Advanced Solid Mechanics
기계 재료의 변형, 응력 변형률의 3차원 일반화된 수학적 모델과 벡터 구성방정식을 공부하고, 선형대수를 이용한 구조해석을 기초를 공부한다.
15614
공업재료
Engineering Materials
기계공학분야에서 사용되는 철계 금속 및 비철금속, 고분자 재료, 세라믹 등에 대한 심화 주제를 학습한다. 물성치 확보를 위한 기계 시험 방법 및 조직 분석, 물성치 활용 설계 기술 등에 대해 학습한다.
18219
기계공학세미나((1)
Seminar in Mechanical Engineering (1)
기계공학 분야 최신 기술에 대한 세미나 형식의 수업을 통해 첨단 기술에 대한 이해도를 높인다. 산업 동향 파악 및 정보 수집, 논문 강독 및 발표를 통해 다양한 주제에 대한 이해도를 높인다.
18220
기계공학세미나(2)
Seminar in Mechanical Engineering (2)
기계공학 분야 최신 기술에 대한 세미나 형식의 수업을 통해 첨단 기술에 대한 이해도를 높인다. 산업 동향 파악 및 정보 수집, 논문 강독 및 발표를 통해 다양한 주제에 대한 이해도를 높인다.
17673
기계공학특론
Topics in Mechanical Engineering
기계공학과 관련된 관심 분야 혹은 최근의 신기술, 미래 기술 등의 주제를 선정하여 1학기 동안 선정된 주제에 관한 기초지식 확립, 심화 과정 학습, 응용 기술 연구 등의 과정을 진행한다.
18224
기계설계특별연구
Selected Topics in Mechanical Design
지정된 기계 요소를 대상으로 산업 활용 수준의 기계 설계를 수행함으로써 설계 기반 지식을 학습하고 실무 설계 능력을 배양한다.
15624
내연기관특론
Advanced Internal Combustion Engine
내연기관과 관련된 열역학적인 사이클 해석을 통하여 차량의 성능을 설계하는 방안과 내구성 유지를 위한 냉각, 흡배기 계통 설계이론을 강의한다.
18243
냉동공조시스템설계
Air Conditioning System Design
열역학 이론의 활용을 통하여 냉동공조 장치의 요소 및 시스템 설계를 수행한다. 이를 위한 이론 학습 및 설계 과제 수행을 통해 이론 및 실무 지식을 배양한다.
18244
대체에너지기관및설계
Alternative Energy Engine Design
내연기관을 대신할 수 있는 전기 모터 및 수소 연료 등의 대체 에너지 활용 동력원의 기반 지식 및 첨단 개발 기술을 학습한다. 에너지 절감 및 출력 향상을 위한 설계 요소 배치 및 최적화 기법을 학습한다.
15601
동적시스템해석
Dynamic System Analysis
질점과 강체의 운동 및 운동역학, Newton 역학, Lagrange 방정식, Hamilton의 원리와 Euler 방정식 그리고 동역학에서의 변환이론 등을 강의한다. 응용문제로 중심력 문제 궤도 역학, gyroscope 운동, 운동이 안정성, 충동, 진동 현상 등을 해석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10725
디지털제어
Digital Control
아날로그와 디지털, Z 변환, 상태공간법, 시간 역 해석방법과 주파수 역 해석방법, controllability 및 observability, 디지털 제어기의 설계, 디지털 관측기 설계, 컴퓨터 제어 문제 등을 다룬다.
15633
로봇특론
Advanced Robotics
차량용으로 적용될 수 있는 대체 연료의 열역학적 물성과 연소 공학적인 이론 및 세부 설계 방안을 학습하여 LPG 또는 CNG 기관에 관한 기존 연구와 연소제어 방법을 주제로 강의한다.
15611
메카트로닉스응용
Application of Mechatronics
메카트로닉스 시스템 구성을 위한 정보의 표현방식, 마이크로컴퓨터의 구조, 컴퓨터제 시스템의 구성, 각종 전지 전자 소자, 아날로그 및 디지털 회로의 기초, 센서, 구동기, 입출력 인터페이스와 제어 등을 다룬다.
18239
박판소성가공학
Mechanics of Sheet Metal Forming
박판 금속에 대한 프레스 성형 공정의 이론 및 설계 기술을 학습한다. 이방성에 따른 소재 특성을 분석하고 형상 변화에 따른 성형 품질 최적화 기법을 다룬다.
18246
사출성형특별연구
Selected Topics in Injection Molding
고분자 재료의 대량 생산 기법인 사출 성형의 이론적 배경 및 설계 기술을 학습한다. 성형 불량 방지 및 품질 최적화, CAE 해석 활용 설계 기법을 다룬다.
18242
산학협동세미나
Industrial Collaboration Seminar
산업체 재직자를 활용한 세미나 형식의 수업을 통해 기계공학분야의 실무 능력을 배양한다.
18303
생산공학특론
Advanced Productivity Engineering
기계가공 및 단조, 프레스, 주조, 용접, 열처리, 조립 등 기계 부품 및 시스템 제조를 위한 다양한 공업 생산 기법의 심화 주제를 학습한다.
15613
생산기술특론
Advanced Manufacturing Technology
재료의 기본적인 성질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생산 현장의 다양한 제작공정을 이해하는 것이 본 강의목표이다. 본 강의에서는 기본적인 재료의 성질 및 고체역학의 기본지식을 이용하여 주조, 소성가공, 절삭, 용접 등의 생산공정과 그에 필요한 핵심기술 등에 대해 강의하고 최종적으로 생산시스템에 대한 이해를 목표로 한다. 특히 새로운 제조 방법으로 각광받고 있는 MEMS 및 Rapid prototyping 등 다양한 제조공정 등도 강의하게 된다.
15627
생산자동화특론
Advanced Manufacturing System
최근 산업현장의 정보화와 고도화의 요구에 따라 생산방식의 컴퓨터화(Computerization)가 매우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특히 생산과정의 자동화는 제조업의 공통된 목표인 생산성 향상과 원가절감 및 품질향상과 맞물려 그 이용이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14590
생체역학
Biomechanics
운동 시 인체의 구조와 기능을 운동학적, 운동 역학적 원리와 방법을 통해 이해하고, 복잡한 스포츠 활동을 분석 연구함으로써 선수의 경기력을 향상시킨다.
15617
선형제어
Linear Control
동적선형시스템이 수학적 모델링, MIMO형태의 다변수 시변수시스템의 PID되먹임 제어 안정성 및 시스템인식기술을 강의한다.
18238
신소재응용및설계
Advanced Materials Applications and Design
소재 생산 기술의 발전에 따른 철계 금속 및 비철금속, 고분자, 세라믹 등 신소재를 활용한 고품질 기계요소 설계 기법을 학습한다. 신소재 특성을 분석하며 활용 시 발생 가능한 불량 회피 설계 기술을 다룬다.
15620
에너지방법론
Energy Method in Solid Mechanics
변형체 내부에 존재하는 에너지라는 개념을 이용하여 해석적인 방법으로는 해를 구할 수 없는 경우 근사해(approximate solution)를 구하는 방법으로 principles of virtual work, stationary and minimum potential energy, Hamilton‘s principle 등을 이용하여 탄성 구조물의 해석, 연속계 시스템의 해석, 유한요소법의 기본이론, 좌굴 이론 등을 소개한다.
17672
연구기획및관리
Planning and Management of Research
연구개발의 대외경쟁력과 효율성을 높이고 연구 결과의 불확실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연구기획을 수립하고, 과제의 원활한 진행을 위한 과제관리 방법을 학습한다. 또한, 연구를 통해 개발된 기술의 사업화 및 적용을 위해 기술의 완성도를 분석 평가하는 과정을 학습한다.
18227
열공학특별연구
Selected Topics in Thermal Engineering
열역학을 기반으로 에너지 활용 기계 요소의 고등 주제를 세미나 형식으로 학습한다.
15598
열및물질전달
Heat and Mass Transport
유동저항 및 소음감소, 열전달 및 연소효율 향상, 재료 공정개발 등 열, 유동 관련 문제들에 대한 형상 규명 및 모델링을 다루는 과목이다. 열 및 물질 전달과 관련된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유체기계나 자동차 분야에서 수반되는 여러 열, 유동 현상으로의 응용을 학습한다.
10810
열전달특론
Advanced Heat Transfer
전도 및 대류 열전달의 기초이론을 바탕으로 열전달 해석을 위한 수학적 이론과 설계를 위한 세부 이론을 학습한다.
18302
열처리특론
Advanced Heat Treatment
금속 재료의 기계적 특성 강화를 위해 현장에서 실행되는 다양한 열처리에 대한 이론적 내용 및 열처리 조건 설정에 따른 최적화 방안에 대해 학습한다.
18229
용접공학특론
Advanced Welding Engineering
자동차 및 조선 등 기계 시스템 제조에 활발하게 적용되는 용접 공정에 대한 심화 주제를 학습한다.
18230
용접공학특별연구
Selected Topics in Welding
산업계에서 활용도가 높은 실무 주제에 대한 세미나식 수업을 진행한다. 용접 자동화를 위한 로봇 기술 및 자동 검사 시스템, 하이브리드 용접 기술 등을 논한다.
18233
용접자동화특론
Advanced Welding Automation
수동, 반자동 그리고 자동 용접법들 간의 차이점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며 자동용접 공정을 이룩하기 위한 주요 변수들(용접 연결부 형상, 심추적 방식 등)을 나열하고 고려할 수 있도록 한다.
18231
용접품질검사
Weld Quality Inspection
용접 후 변형 및 균열 등 불량 요소를 예방 및 사전 탐지하기 위한 비파괴 검사 기법을 학습한다.
12031
유한요소법
Finite Element Method
컴퓨터 수치해석을 위한 유한요소법의 이론적 배경 및 수식화, 수치해석기법을 학습한다. 고체를 대상으로 한 정적 해석 및 동적 해석을 주로 다루며, 열유체 해석 주제도 일부 다룬다.
17674
자동차공학특론
Topics in Automotive Engineering
자동차 공학과 관련된 관심 분야 혹은 최근의 신기술, 미래 기술 등의 주제를 선정하여 1학기 동안 선정된 주제에 관한 기초지식 확립, 심화 과정 학습, 응용 기술 연구 등의 과정을 진행한다.
15631
자동차부품설계
Design of Automotive Component
자동차 설계의 개념과 설계 절차를 배우고 부품의 강도, 강성 등을 고려한 구체적인 설계 방법, 해석방법 및 평가 방법에 관하여 심도 있게 공부한다. 이를 위한 전산기의 필요성과 용도를 설명하고 다양한 설계사례를 소개하여 자동차 부품 설계자가 알아야 할 중요한 내용을 배워 실제 문제에 대한 적응 능력을 향상시킨다.
15636
자동차진동소음
Vehicle Vibration and Noise
자동차의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는 진동 소음 현상에 대한 발생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진동 소음을 저감하기 위한 다양한 접근방법을 소개한다. 진동 소음의 근원과 전달경로를 실험적인 방법과 해석적인 방법으로 분석한다. 동감쇠기부가, 음차음재적용과 구조변경 등의 사례를 이용하여 설계개선 방법에 대한 경험을 축적한다.
18301
재료강도론
Mechanical Behavior of Materials
하중 인가에 따른 기계 소재의 변형 거동을 학습한다. 탄성 및 소성, 점탄성, 점소성 등 거동 특성 분석 및 수학적 모델에 대해 학습한다.
15630
재료거동학
Mechanical Behavior of Solids
기계 재료의 미세구조와 작용하는 하중과 변형과의 상관관계, 탄성 및 소성변형, 피로, 파괴 등의 재료 거동을 주제로 공부한다. 여러 가지 기계 재료에 대하여 이론과 실험에 의한 재료 거동의 분석 방법과 이를 기초로 한 설계개념을 공부한다.
18304
재료상변태
Phase Transformation of Materials
열처리에 따른 금속 소재의 성상 변화를 학습한다. 상변태에 따른 결정 구조 변화, 요구 품질을 얻기 위한 열처리 조건 등의 고등 주제를 학습한다.
18300
재료탄성론
Theory of Elasticity in Materials
일반 기계 소재의 탄성 영역 재료 거동에 대해 학습한다. 응력-변형률 선도의 분석을 통한 재료 특성을 분석하고 완전 탄성체의 재료 거동과 비교 분석한다.
15619
전산구조해석
Computational Structure Analysis
기계의 구조 설계를 위한 설계의 개념과 설계 절차를 숙지시킨다. 중요한 설계단계인 모델링 단계, 해석단계, 평가 단계를 위한 여러 가지 기법들을 소개하고 각 기법의 용도를 강의한다.
15622
전산열시스템설계
Computational Design of Thermal System
수치해석을 이용하여 유동장과 운동장을 예측하거나 분석하는 능력을 배양하고 이를 토대로 자동차와 관련된 냉각시스템, 공조시스템, 연소 등을 해석할 수 있도록 하는 과목이다. 전산유체역학과 전산 열전달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상업용 프로그램 중의 하나인 STAR-CD의 응용을 학습한다.
19349
전산유기체계
Computational Turbomachinery
수치해석을 이용하여 유체의 유동 현상을 예측하거나 분석하는 능력을 배양하고, 이를 대로 산업용 유체기계에 수반되는 여러 유동 현상에 응용할 수 있도록 하는 과목이다. 전산유체역학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상업용 프로그램 중의 하나인 STAR-CD의 응용을 학습한다.
15621
전산차체공기역학
Computational Vehicle Aerodynamics
수치해석을 이용하여 자동차 주위의 유동을 해석하여 항력이나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자체를 효율적으로 설계하는 방법을 다루는 과목이다. 이를 위하여 전산유체역학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상업용 프로그램 중의 하나인 STAR-CD를 이용하여 실제로 자동차 차체설계를 수행한다.
18232
전열공학특별연구
Selected Topics in Heat Transfer Engineering
기계 요소 설계에 활용되는 열전달 관련 심화 주제에 대한 세미나식 학습을 수행한다. 방열 및 단열 시스템에 대한 설계 기법을 학습하고 실무 수준의 설계 학습도 병행한다.
15612
절삭가공특론
Advanced Metal Cutting Principle
제조업에서 가공이 차지하는 부분은 매우 다양하며 크다고 할 수 있다. 본 강의에서는 정밀가공의 기본이 되는 절삭가공과 특수가공으로부터 CNC 가공 등을 포함하는 가공의 자동화까지 전반적인 내용을 다루게 된다. 특히 본 과목에서는 절삭가공의 Mechanics 등을 심도 있게 강의하며, 다양한 Case study 그리고 절삭가공의 최신 동향 등도 다루게 된다.
18245
제작및자동화특별연구
Selected Topics in Manufacturing and Automation
기계 요소 및 시스템 설계, 양산을 위한 자동화 시스템 구성을 통해 특정 대상에 대한 제조 및 자동화 최적화 학습을 수행한다. 양산 기계의 배치 및 물류 자동화, 제조 공정 모니터링, 제조 데이터베이스 구축 등에 대해 학습한다.
15632
지능재료
Smart Material
진동, 소음원의 인지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작동기 기능을 동시에 할 수 있는 지능형 재료인 피에조 재료, 전기 및 자기유변 유체 형상기억합금들에 대한 모델링, 설계 및 제어 기법들에 관해 연구한다. 아울러 최신 응용사례들을 소개하여 지능재료에 대한 활용 가능성을 확인한다.
15625
지능형차량
Intelligent Vehicles
차량의 발전 방향은 지능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 차량의 전자제어장치, 안전장치, 운전지원시스템 ITS(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ASV(Advanced Safety Vehicle), AHS(Automated Highway System)등을 다룬다.
15615
진동학
Vibration Theory
기계운동에 수반되는 진동 현상을 규명하고 해석할 수 있도록 진동 문제의 공학적 감각을 확립한다. 적합한 기초이론으로써 일자 유도의 진동 개념을 복습하고 ek자유도계(이사계 및 연속계) 진동 문제의 이론적 해석방법을 공부한다.
18226
차량안전설계
Safety Design of Automobile
차량 안전도 향상을 위한 수동적, 능동적 설계 기술을 학습한다. 차체 구조 설계 최적화를 위한 안전도 향상 기법은 물론 운전 조건 모니터링을 통한 사고 예방 기술, 안전도 향상을 위한 자율 주행 기법 등의 심화 주제를 학습한다.
15635
차체구조설계
Structural Design of Car Body
차체구조설계는 최근 재질의 경량화에 따른 구조 설계 및 설계기법과 이에 대한 실제 차체의 구조, 성능의 실험 및 컴퓨터를 이용한 설계 자동화에 대한 기초 및 응용을 실습한다.
15618
최적제어
Optimal Control
동적시스템의 parameter 최적화기법의 기본이론 및 응용 기술을 강의한다. 적응제어 및 견실제어에 대하여 소개한다.
15616
최적화설계
Optimal Design
기계나 구조의 설계에 사용될 수 있는 최적 설계의 개념과 필요성을 강조하고, 다양한 최적 설계기법을 소개하며 그 사용 예를 보여줌으로써 기계나 구조 설계에 최적 기법을 응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15600
탄성학
Theory of Elasticity
하중이 작용하는 부재의 변형해석을 위한 수학적 이론을 공부하는 과목으로 텐서물리량의 이해와 연속체역학의 기초, 유한 변형 및 미세 변형에 대한 변위, 응력, 변형률의 표기와 구성방적식의 이론해를 구하는 방법과 간단한 실제 예로서 인장, 굽힘, 비틀림 등이 하중을 받는 보, 실린더, 평관 등을 다룬다.
18240
프레스성형특별연구
Selected Topics in Press Working
자동차 외판 성형을 중심으로 프레스 성형에 대한 심화 세미나 학습을 진행한다. 고장력강판 성형기술 및 금형 수명 예측, 온간성형 등의 고등 주제를 다룬다.
15628
형상모델링및CAM
Geometric Modelling and CAM
CAD/CAM 시스템의 엔진에 해당하는 형상모델링의 기본 개념과 그 적용성을 파악하는 것이 본 강의목표이다. 본 강의에서는 특히 곡면이 모델링에 대해 상세하게 강의하며, 실제로 곡면 모델링에 대한 기본적인 프로그램도 직접 만들어보게 된다. 또한 형상모델링에서 만들어진 정보를 이용하여 제품으로 가공하기 위한 공구 궤적의 생성과 가공계획 등에 관한 내용도 다루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