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PYRIGHT(C) 2016 BY DAEGU UNIVERSITY ALL RIGHT RESERVED.
INFORMATION
가. 연혁
경제학과 대학원은 1978년 2월 석사학위 과정을 신설하였고, 1979년 12월에는 박사학위 과정이 추가로 신설되었다.
나. 교육목표
엄밀한 경제이론의 학습 및 치밀한 실증분석 방법론의 습득을 통해 복잡다기한 경제문제들의 분석능력배양
효과성, 효율성, 형평성을 고루 고려한 정책대안의 탐구를 통해 국민경제의 복지 향상 제고
글로벌 경제원칙과 지역경제 균형발전의 조화를 통한 공동체 성장에 기여
다. 교수명단
교수명 |
최종학력 및 전공 |
담당교과목 |
연락처 |
---|---|---|---|
김용원 |
경제학박사 (노동경제학,경제발전론) Univ. of Frankfurt |
노동경제학 경제발전론 비교경제론 |
053-850-6218 |
김재훈 |
경제학박사 (산업사) 성균관대학교 |
사회경제학 지식경제론 시장경제사 |
053-850-6219 |
홍인기 |
경제학박사 (재정학, 환경경제학) Univ. of Taxas at Austin |
조세론 재정정책 환경경제학 |
053-850-6211 |
전승훈 |
경제학박사 (재정학, 복지경제학) |
복지경제학 재정정책 수리경제학 |
053-850-6214 |
김양희 |
경제학박사 (국제경제학) 도쿄(東京)대학교 |
국제무역론 국제금융론 동아시아경제론 |
053-850-6213 |
박승준 |
경제학박사 (화폐금융론, 계량경제학) 서강대학교 |
거시경제학 화폐금융론 계량경제학 |
053-850-6277 |
황진태 |
경제학박사 (화폐금융론, 경제성장론) Clemson Univ. |
거시경제학 화폐금융론 자본시장론 |
053-850-6217 |
Office
Phone +82-53-850-6210
Fax +82-53-850-6279
Address the College of Business 1109A
★ 교과과정 및 교과목해설은 교육과정 변경에 따라 변동이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교과 구분명 |
과목 코드 |
과목명 |
이론 시간 |
실기 시간 |
학점 |
비고 |
---|---|---|---|---|---|---|
연구 |
10000 |
개별연구지도 |
2 |
0 |
2 |
0 |
연구 |
10000 |
개별연구지도 |
1 |
0 |
1 |
0 |
전공 |
19173 |
거시경제학(1) |
3 |
0 |
3 |
0 |
전공 |
19227 |
거시경제학(2) |
3 |
0 |
3 |
0 |
전공 |
19352 |
거시경제학기초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6101 |
거시경제학세미나 |
3 |
0 |
3 |
0 |
전공 |
15446 |
게임이론 |
3 |
0 |
3 |
0 |
전공 |
19359 |
게임이론기초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9213 |
게임이론세미나 |
3 |
0 |
3 |
0 |
전공 |
12873 |
경제발전론 |
3 |
0 |
3 |
0 |
전공 |
19191 |
경제발전론세미나 |
3 |
0 |
3 |
0 |
전공 |
10479 |
경제사 |
3 |
0 |
3 |
0 |
전공 |
19193 |
경제사세미나 |
3 |
0 |
3 |
0 |
전공 |
19217 |
경제성장론세미나 |
3 |
0 |
3 |
0 |
전공 |
19180 |
경제수학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0001 |
경제예측론 |
3 |
0 |
3 |
0 |
전공 |
19174 |
경제예측론세미나 |
3 |
0 |
3 |
0 |
전공 |
19187 |
경제정책 |
3 |
0 |
3 |
0 |
전공 |
19188 |
경제정책세미나 |
3 |
0 |
3 |
0 |
전공 |
12341 |
경제통합론 |
3 |
0 |
3 |
0 |
전공 |
19200 |
경제통합론세미나 |
3 |
0 |
3 |
0 |
전공 |
12891 |
경제학설사 |
3 |
0 |
3 |
0 |
전공 |
19176 |
경제학설사세미나 |
3 |
0 |
3 |
0 |
전공 |
10450 |
계량경제학(1) |
3 |
0 |
3 |
0 |
전공 |
10488 |
계량경제학(2) |
3 |
0 |
3 |
0 |
전공 |
19354 |
계량경제학기초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9203 |
계량경제학세미나(1) |
3 |
0 |
3 |
0 |
전공 |
19212 |
계량경제학세미나(2) |
3 |
0 |
3 |
0 |
전공 |
19357 |
공공경제학기초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6258 |
관리경제학 |
3 |
0 |
3 |
0 |
전공 |
19186 |
관리경제학세미나 |
3 |
0 |
3 |
0 |
전공 |
11400 |
국제경제학 |
3 |
0 |
3 |
0 |
전공 |
19356 |
국제경제학기초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9198 |
국제경제학세미나 |
3 |
0 |
3 |
0 |
전공 |
13044 |
금융경제학 |
3 |
0 |
3 |
0 |
전공 |
19224 |
금융경제학세미나 |
3 |
0 |
3 |
0 |
전공 |
11654 |
노동경제학 |
3 |
0 |
3 |
0 |
전공 |
19355 |
노동경제학기초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9189 |
노동경제학세미나 |
3 |
0 |
3 |
0 |
전공 |
19182 |
도시및지역경제학 |
3 |
0 |
3 |
0 |
전공 |
19183 |
도시및지역경제학세미나 |
3 |
0 |
3 |
0 |
전공 |
19171 |
미시경제학(1) |
3 |
0 |
3 |
0 |
전공 |
19172 |
미시경제학(2) |
3 |
0 |
3 |
0 |
전공 |
19350 |
미시경제학기초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6100 |
미시경제학세미나 |
3 |
0 |
3 |
0 |
전공 |
13231 |
복지경제학 |
3 |
0 |
3 |
0 |
전공 |
19195 |
복지경제학세미나 |
3 |
0 |
3 |
0 |
전공 |
19192 |
비교경제론 |
3 |
0 |
3 |
0 |
전공 |
19231 |
비교경제론세미나 |
3 |
0 |
3 |
0 |
전공 |
19232 |
사회경제학 |
3 |
0 |
3 |
0 |
전공 |
19233 |
사회경제학세미나 |
3 |
0 |
3 |
0 |
전공 |
11320 |
산업조직론 |
3 |
0 |
3 |
0 |
전공 |
19358 |
산업조직론기초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9222 |
산업조직론세미나 |
3 |
0 |
3 |
0 |
전공 |
13444 |
수리경제학 |
3 |
0 |
3 |
0 |
전공 |
19351 |
수리경제학기초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9197 |
수리경제학세미나 |
3 |
0 |
3 |
0 |
전공 |
19220 |
실험경제학 |
3 |
0 |
3 |
0 |
전공 |
19221 |
실험경제학세미나 |
3 |
0 |
3 |
0 |
전공 |
19210 |
연산경제학 |
3 |
0 |
3 |
0 |
전공 |
19211 |
연산경제학세미나 |
3 |
0 |
3 |
0 |
전공 |
19184 |
유통및물류경제학 |
3 |
0 |
3 |
0 |
전공 |
19185 |
유통및물류경제학세미나 |
3 |
0 |
3 |
0 |
전공 |
13626 |
재정정책 |
3 |
0 |
3 |
0 |
전공 |
19208 |
재정정책세미나 |
3 |
0 |
3 |
0 |
전공 |
19214 |
정보경제학 |
3 |
0 |
3 |
0 |
전공 |
19215 |
정보경제학세미나 |
3 |
0 |
3 |
0 |
전공 |
19225 |
정치경제학 |
3 |
0 |
3 |
0 |
전공 |
19226 |
정치경제학세미나 |
3 |
0 |
3 |
0 |
전공 |
19206 |
조세론 |
3 |
0 |
3 |
0 |
전공 |
19194 |
조세론세미나 |
3 |
0 |
3 |
0 |
전공 |
19204 |
지식경제론 |
3 |
0 |
3 |
0 |
전공 |
19205 |
지식경제론세미나 |
3 |
0 |
3 |
0 |
전공 |
18542 |
한국경제론 |
3 |
0 |
3 |
0 |
전공 |
19177 |
한국경제론세미나 |
3 |
0 |
3 |
0 |
전공 |
19178 |
한국경제사 |
3 |
0 |
3 |
0 |
전공 |
19179 |
한국경제사세미나 |
3 |
0 |
3 |
0 |
전공 |
19218 |
행태경제학 |
3 |
0 |
3 |
0 |
전공 |
19219 |
행태경제학세미나 |
3 |
0 |
3 |
0 |
전공 |
13967 |
화폐금융론 |
3 |
0 |
3 |
0 |
전공 |
19353 |
화폐금융론기초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9202 |
화폐금융론세미나 |
3 |
0 |
3 |
0 |
전공 |
19181 |
확률과통계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2381 |
환경경제학 |
3 |
0 |
3 |
0 |
전공 |
19209 |
환경경제학세미나 |
3 |
0 |
3 |
0 |
"박사보충" 표시된 과목
- 석사과정생이 수강할 경우, 전공과목으로 인정되며,
- 박사과정생이 수강할 경우, 보충과목으로 인정됨
★ 교과과정 및 교과목해설은 교육과정 변경에 따라 변동이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과목 코드 |
과목명 |
교과목 영문명 |
교과목 한글개요 |
---|---|---|---|
10000 |
개별연구지도 |
Research Works |
학위논문의 작성을 위하여 지도교수의 지도하에 각 개인별 연구주제에 관하여 연구한다. |
10000 |
개별연구지도 |
Research Works |
학위논문의 작성을 위하여 지도교수의 지도하에 각 개인별 연구주제에 관하여 연구한다. |
19173 |
거시경제학(1) |
Macroeconomics(1) |
거시경제이론의 전반부인 GDP, 물가, 실업을 다룬다. |
19227 |
거시경제학(2) |
Macroeconomics(2) |
거시경제이론의 후반부인 경제성장 및 개방경제를 다룬다. |
19352 |
거시경제학기초 |
Foundations of Macroeconomics |
학부 및 대학원 석사과정에서 경제학을 전공하지 않은 학생이 대학원 과정을 이수하는 경우 필요한 기초적인 거시경제학 지식을 습득할 수있는 강의이다. |
16101 |
거시경제학세미나 |
Seminar on Macroeconomics |
거시경제학의 세부 주제들을 심도 있게 다룬다. 거시경제학(1)과 거시경제학(2)를 수강한 석·박사 고학년 학생들을 위한 세미나 과목이다. |
15446 |
게임이론 |
Game Theory |
전략적 의사결정의 이론적 기초 및 응용 사례를 공부한다 |
19359 |
게임이론기초 |
Foundations of Game Theory |
학부 및 대학원 석사과정에서 경제학을 전공하지 않은 학생이 대학원 과정을 이수하는 경우 필요한 기초적인 게임이론 지식을 습득할 수있는 강의이다. |
19213 |
게임이론세미나 |
Seminar on Game Theory |
이미 게임이론 과목을 수강한 경제학과 석·박사 고학년 학생들을 위한 세미나 과목으로, 전략적 의사결정의 특수 주제들을 좀 더 세밀하게 살피고 정책적 함축성을 끌어내는 훈련에 집중한다. |
12873 |
경제발전론 |
Economics of Development |
경제발전의 추동 요인, 특성, 그리고 다양한 파급효과를 분석한다. |
19191 |
경제발전론세미나 |
Seminar on Economics of Development |
이미 경제발전론 과목을 수강한 경제학과 석·박사 고학년 학생들을 위한 세미나 과목으로, 경제발전의 양상과 특성을 심도있게 분석하여, 정책적 함축성을 끌어내는 훈련에 집중한다. |
10479 |
경제사 |
Economic History |
세계 경제의 역사적 변화와 특성을 강의한다. |
19193 |
경제사세미나 |
Seminar on Economic History |
이미 경제사 과목을 수강한 경제학과 석·박사 고학년 학생들을 위한 세미나 과목으로, 세계 경제의 역사적 변화와 특성 중 세부적인 사항을 심도 있게 분석하여, 정책적 함축성을 끌어내는 훈련에 집중한다. |
19217 |
경제성장론세미나 |
Seminar on Economic Growth Theory |
이미 경제성장론 과목을 수강한 경제학과 석·박사 고학년 학생들을 위한 세미나 과목으로, 경제성장을 설명하는 여러 이론들과 이들의 적용 문제를 좀 더 세밀하게 살피고 정책적 함축성을 끌어내는 훈련에 집중한다. |
19180 |
경제수학 |
Mathematics for Economics |
수학적 배경이 충분치 못한 석·박사 대학원 신입생들에게 경제학에서 널리 사용되는 수학을 강의한다. |
10001 |
경제예측론 |
Economic Forecasting |
경제예측과 관련된 기본 통계 및 계량경제학 이론들을 학습한다. |
19174 |
경제예측론세미나 |
Seminar on Econimic Forecasting |
이미 경제예측론을 배운 경제학과 석·박사 고학년 학생들을 위한 세미나 과목으로, 경제예측과 관련된 다양한 모형들을 직접 구축하고, 이를 바탕으로 경제예측보고서를 작성할 수 있도록 훈련한다. |
19187 |
경제정책 |
Economic Policies |
정부가 펼치는 다양한 경제정책들의 이론적 배경, 내용, 그리고 그 파급효과를 분석한다. |
19188 |
경제정책세미나 |
Seminar on Economic policies |
이미 경제정책 과목을 수강한 경제학과 석·박사 고학년 학생들을 위한 세미나 과목으로, 정부가 펼치는 다양한 경제정책들의 이론적 배경, 내용, 그리고 그 파급효과를 심도 있게 분석하여, 정책적 함축성을 끌어내는 훈련에 집중한다. |
12341 |
경제통합론 |
Economic Integration |
동아시아 경제 블록과 여타 전 세계 다양한 경제 블록들 간의 관계 및 그 영향을 살핀다. |
19200 |
경제통합론세미나 |
Seminar on Economic Integration |
이미 경제통합론 과목을 수강한 경제학과 석·박사 고학년 학생들을 위한 세미나 과목으로, 동북아시아 3개 국가들 간의 경제통합과 그로 인한 영향의 세부적인 사항을 파악하고 정책적 함축성을 끌어내는 훈련에 집중한다 |
12891 |
경제학설사 |
History of Economic Theories |
다양한 경제학 이론들의 역사를 강의한다. 각 이론의 특징은 물론이거니와 이론들 사이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파악함으로써 지성사 차원에서의 연결 관계를 이해하도록 돕는다. |
19176 |
경제학설사세미나 |
Seminar on History of Economic Theories |
이미 경제학설사를 배운 경제학과 석·박사 고학년 학생들을 위한 세미나 과목으로, 경제학 이론들의 특성과 역사적 변화를 세밀한 부분까지 학습한다. |
10450 |
계량경제학(1) |
Econometrics(1) |
계량경제학의 기초 부분 중 전반부를 강의한다. 고전적 가정들 하에서의 추정문제를 다루고, 이러한 고전적 가정들이 위배되는 경우의 추정문제를 공부한다. |
10488 |
계량경제학(2) |
Econometrics(2) |
계량경제학의 기초 부분 중 후반부를 다룬다. 시계열분석, 패널분석 등을 다룬다. |
19354 |
계량경제학기초 |
Foundations of Econometrics |
학부 및 대학원 석사과정에서 경제학을 전공하지 않은 학생이 대학원 과정을 이수하는 경우 필요한 기초적인 계량경제학 지식을 습득할 수있는 강의 |
19203 |
계량경제학세미나(1) |
Seminar on Econometrics(1) |
이미 계량경제학(1)(2) 과목들을 수강한 경제학과 석·박사 고학년 학생들을 위한 세미나 과목으로, 계량경제학의 특수 주제들을 좀 더 세밀하게 살피고, 추정전략을 논의하며, 정책적 함축성을 끌어내는 훈련에 집중한다. |
19212 |
계량경제학세미나(2) |
Seminar on Econometrics(2) |
이미 계량경제학(1),(2)와 계량경제학세미나(1) 과목들을 수강한 경제학과 석·박사 고학년 학생들을 위한 세미나 과목으로, 비모수적 추정전략과 같은 계량경제학의 특수 주제들을 좀 더 세밀하게 살피고, 추정전략을 논의하며, 정책적 함축성을 끌어내는 훈련에 집중한다. |
19357 |
공공경제학기초 |
Foundations of Public Economics |
학부 및 대학원 석사과정에서 경제학을 전공하지 않은 학생이 대학원 과정을 이수하는 경우 필요한 기초적인 공공경제학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강의 |
16258 |
관리경제학 |
Managerial Economics |
기업부문의 운영 및 관리와 관련된 경제적 현안을 강의한다. |
19186 |
관리경제학세미나 |
Seminar on Managerial Economics |
이미 관리경제학을 수강한 경제학과 석·박사 고학년 학생들을 위한 세미나 과목으로, 기업부문의 운영 및 관리와 관련된 경제적 현안을 더욱 심도있게 분석하고, 구체적인 실증적 증거와 정책적 함축성을 끌어내는 훈련을 한다. |
11400 |
국제경제학 |
International Economics |
국가 사이에 벌어지는 무역과 금융거래를 이해하고, 그 효과를 분석한다. |
19356 |
국제경제학기초 |
Foundations of International Economics |
학부 및 대학원 석사과정에서 경제학을 전공하지 않은 학생이 대학원 과정을 이수하는 경우 필요한 기초적인 국제경제학 지식을 습득할 수있는 강의 |
19198 |
국제경제학세미나 |
Seminar on International Economics |
이미 국제경제학 과목을 수강한 경제학과 석·박사 고학년 학생들을 위한 세미나 과목으로, 무역 및 금융거래의 세부적인 사항을 파악하고 정책적 함축성을 끌어내는 훈련에 집중한다. |
13044 |
금융경제학 |
Financial Economics |
금융과 관련된 경제주체들의 의사결정 문제들 및 금융시장들의 작동원리와 제반 현안들을 공부한다 |
19224 |
금융경제학세미나 |
Seminar on Financial Economics |
이미 금융경제학 과목을 수강한 경제학과 석·박사 고학년 학생들을 위한 세미나 과목으로, 금융 관련 의사결정 및 금융시장들의 다양한 경제적 현안들을 좀 더 세밀하게 살피고 정책적 함축성을 이끌어내는 훈련에 집중한다. |
11654 |
노동경제학 |
Labor Economics |
생산과 분배 측면에서 생산요소인 노동의 특성과 여타 생산요소들과의 관계를 분석한다. |
19355 |
노동경제학기초 |
Foundations of Labor Economics |
학부 및 대학원 석사과정에서 경제학을 전공하지 않은 학생이 대학원 과정을 이수하는 경우 필요한 기초적인 노동경제학 지식을 습득할 수있는 강의 |
19189 |
노동경제학세미나 |
Seminar on Labor Economics |
이미 노동경제학 과목을 수강한 경제학과 석·박사 고학년 학생들을 위한 세미나 과목으로, 생산요소인 노동 및 노동시장의 특성과 영향을 심도있게 분석하여, 정책적 함축성을 끌어내는 훈련에 집중한다. |
19182 |
도시및지역경제학 |
Urban and Regional Economics |
도시 및 지역수준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경제문제를 다룬다. |
19183 |
도시및지역경제학세미나 |
Seminar on Urban and Regional Economics |
이미 도시및지역경제학을 수강한 경제학과 석·박사 고학년 학생들을 위한 세미나 과목으로, 도시 및 지역수준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경제문제를 더욱 심도있게 분석하고, 구체적인 실증적 증거와 정책적 함축성을 끌어내는 훈련을 한다. |
19171 |
미시경제학(1) |
Microeconomics(1) |
미시경제이론의 전반부인 소비자, 생산자, 비용, 완전경쟁을 강의한다. |
19172 |
미시경제학(2) |
Microeconomics(2) |
미시경제이론의 후반부 독과점, 일반균형, 복지, 외부성, 공공재, 조세, 정보를 강의한다. |
19350 |
미시경제학기초 |
Foundations of Microeconomics |
학부 및 대학원 석사과정에서 경제학을 전공하지 않은 학생이 대학원 과정을 이수하는 경우 필요한 기초적인 미시경제학 지식을 습득할 수있는 강의 |
16100 |
미시경제학세미나 |
Seminar on Microeconomics |
미시경제학의 세부 주제들을 심도 있게 다룬다. 미시경제학(1)과 미시경제학(2)를 수강한 석·박사 고학년 학생들을 위한 세미나 과목이다. |
13231 |
복지경제학 |
Welfare Economics |
일반균형, 공공재, 외부성, 투표를 통한 집단적 의사결정, 비용편익 분석 등을 다룬다. |
19195 |
복지경제학세미나 |
Sminar on Welfare Economics |
이미 복지경제학 과목을 수강한 경제학과 석·박사 고학년 학생들을 위한 세미나 과목으로, 다양한 경제주체들의 복지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과 그 효과에 대해 심도 있게 분석하여, 정책적 함축성을 끌어내는 훈련에 집중한다. |
19192 |
비교경제론 |
Comparative Economics |
자본주의와 사회주의 체제 및 자본주의 내 다양한 경제구조를 분석한다. |
19231 |
비교경제론세미나 |
Seminar on Comparative Economics |
이미 비교경제론 과목을 수강한 경제학과 석·박사 고학년 학생들을 위한 세미나 과목으로, 상이한 경제체제와 구조의 특성과 영향을 심도있게 분석하여, 정책적 함축성을 끌어내는 훈련에 집중한다. |
19232 |
사회경제학 |
Social Economics |
경제제도 및 정책의 사회학적 연원, 의미, 그리고 영향을 파악한다. |
19233 |
사회경제학세미나 |
Seminar on Social Economics |
이미 사회경제학 과목을 수강한 경제학과 석·박사 고학년 학생들을 위한 세미나 과목으로, 경제체제의 사회학적 구조의 특성과 영향을 심도 있게 분석하여, 정책적 함축성을 이끌어내는 훈련에 집중한다. |
11320 |
산업조직론 |
Industrial Organization |
여러 기업들로 구성된 산업의 특성과 산업 내 상호관계에서 나타나는 경제적 현안들을 분석하고, 그 정책적 함축성을 살펴본다. |
19358 |
산업조직론기초 |
Foundations of Industrial Organization Theory |
학부 및 대학원 석사과정에서 경제학을 전공하지 않은 학생이 대학원 과정을 이수하는 경우 필요한 기초적인 산업조직론 지식을 습득할 수있는 강의 |
19222 |
산업조직론세미나 |
Seminar on Industrial Organization |
이미 산업조직론 과목을 수강한 경제학과 석·박사 고학년 학생들을 위한 세미나 과목으로, 산업내 경쟁관계의 특수 주제들을 좀 더 세밀하게 살피고 정책적 함축성을 이끌어내는 훈련에 집중한다. |
13444 |
수리경제학 |
Mathematical Economy |
경제이론을 수리적 차원에서 분석한다. |
19351 |
수리경제학기초 |
Foundations of Mathematical Economics |
학부 및 대학원 석사과정에서 경제학을 전공하지 않은 학생이 대학원 과정을 이수하는 경우 필요한 기초적인 수리경제학 지식을 습득할 수있는 강의 |
19197 |
수리경제학세미나 |
Seminar on Mathematical Economics |
이미 수리경제학 과목을 수강한 경제학과 석·박사 고학년 학생들을 위한 세미나 과목으로, 수학을 이용한 경제모형의 설정과 경제이론의 수학적 분석을 심도 있게 다루며, 정책적 함축성을 끌어내는 훈련에 집중한다. |
19220 |
실험경제학 |
Experimental Economics |
다양한 실험 방법들을 사용하여 경제 현안을 분석하는 법을 배운다. |
19221 |
실험경제학세미나 |
Seminar on Experimental Economics |
이미 실험경제학 과목을 수강한 경제학과 석·박사 고학년 학생들을 위한 세미나 과목으로, 실험경제학적 방법론의 세부 사항들을 익히고, 이를 적용하여 현실 문제를 해결하며, 그 정책적 함축성을 끌어내는 훈련에 집중한다. |
19210 |
연산경제학 |
Computational Economics |
컴퓨터 연산능력의 발달을 이용하여, 이론 경제학과 계량경제학이 다루지 못하는 경제모형을 설정하고 연산을 통해 균형해를 찾는다. |
19211 |
연산경제학세미나 |
Seminar on Computational Economics |
이미 연산경제학 과목을 수강한 경제학과 석·박사 고학년 학생들을 위한 세미나 과목으로, 연산모형을 직접 구축하고, 그 결과를 이용하여 정책적 함축성을 끌어내는 훈련에 집중한다. |
19184 |
유통및물류경제학 |
Econimics of Distribution and Logistics |
이 강좌에서는 유통 및 물류 부문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경제 현안들과 그 파급효과들을 다룬다. |
19185 |
유통및물류경제학 세미나 |
Seminar on Economics |
이미 유통및물류경제학을 수강한 경제학과 석·박사 고학년 학생들을 위한 세미나 과목으로, 유통 및 물류 부문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경제 현안들과 그 파급효과들을 더욱 심도있게 분석하고, 구체적인 실증적 증거와 정책적 함축성을 끌어내는 훈련을 한다. |
13626 |
재정정책 |
Fiscal Policies |
정부의 재정지출과 관련된 경제행위가 경제의 다양한 측면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다. |
19208 |
재정정책세미나 |
Seminar on Fiscal Policies |
이미 조세론 과목을 수강한 경제학과 석·박사 고학년 학생들을 위한 세미나 과목으로, 조세제도의 다양한 특성과 영향을 심도 있게 분석하여, 정책적 함축성을 끌어내는 훈련에 집중한다. |
19214 |
정보경제학 |
Economics of Information |
정보의 비대칭성 문제로 야기되는 다양한 경제적 현안들을 공부한다 |
19215 |
정보경제학세미나 |
Seminar on Economics of Information |
이미 정보경제학 과목을 수강한 경제학과 석·박사 고학년 학생들을 위한 세미나 과목으로, 정보의 비대칭성 문제가 야기할 수 있는 다양한 경제적 현안들을 좀 더 세밀하게 살피고 정책적 함축성을 끌어내는 훈련에 집중한다. |
19225 |
정치경제학 |
Poltical Economy |
제도적 현실과 특성이 경제 현안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
19226 |
정치경제학세미나 |
Seminar on Political Economy |
이미 정치경제학 과목을 수강한 경제학과 석·박사 고학년 학생들을 위한 세미나 과목으로, 제도적 사회적 구조와 특성이 경제적 현안의 인식과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세부적으로 살펴보고, 그 정책적 함축성을 끌어내는 훈련에 집중한다. |
19206 |
조세론 |
Economics of Taxation |
국가 재정의 원천인 조세가 세부담, 효율성, 경제활동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다. |
19194 |
조세론세미나 |
Seminar on Economics of Taxation |
이미 조세론 과목을 수강한 경제학과 석·박사 고학년 학생들을 위한 세미나 과목으로, 조세제도의 다양한 특성과 영향을 심도 있게 분석하여, 정책적 함축성을 끌어내는 훈련에 집중한다. |
19204 |
지식경제론 |
Economics of knowledge |
이미 지식경제론 과목을 수강한 경제학과 석·박사 고학년 학생들을 위한 세미나 과목으로, 생산요소로서의 지식의 형성과 축적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심도 있게 분석하여, 정책적 함축성을 끌어내는 훈련에 집중한다. |
19205 |
지식경제론세미나 |
Seminar on Economics of Knowledge |
이미 지식경제론 과목을 수강한 경제학과 석·박사 고학년 학생들을 위한 세미나 과목으로, 생산요소로서의 지식의 형성과 축적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심도 있게 분석하여, 정책적 함축성을 끌어내는 훈련에 집중한다. |
18542 |
한국경제론 |
Korean Economy |
한국경제의 역사적 특성과 현황 및 미래 변화의 추세를 강의하고, 정책적 함축성을 찾아낸다. |
19177 |
한국경제론세미나 |
Seminar on Korean Economy |
이미 한국경제론을 수강한 경제학과 석·박사 고학년 학생들을 위한 세미나 과목으로, 한국경제의 특성과 변화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정책적 함축성을 끌어내는 훈련을 한다. |
19178 |
한국경제사 |
Economic History of Korea |
한국경제의 특성을 역사적 맥락에서 강의한다. |
19179 |
한국경제사세미나 |
Seminar on Economic History of Korea |
이미 한국경제사를 수강한 경제학과 석·박사 고학년 학생들을 위한 세미나 과목으로, 한국 경제사의 경험을 바탕으로 구체적인 실증적 증거와 정책적 함축성을 끌어내는 훈련을 한다. |
19218 |
행태경제학 |
Behavioral Economics |
표준적인 경제학 모형들의 한계를 살펴보고, 행태적인 차원에서 그에 대한 대안적 설명과 보완점 등을 공부한다. |
19219 |
행태경제학세미나 |
Seminar on Behavioral Economics |
이미 행태경제학 과목을 수강한 경제학과 석·박사 고학년 학생들을 위한 세미나 과목으로, 행태경제 모형들의 세부사항을 공부하고, 그 정책적 함축성을 끌어내는 훈련에 집중한다. |
13967 |
화폐금융론 |
Monetary Economics |
실물경제에서 화폐의 기능과 역할을 살펴보고 그로 인한 경제적 현안들을 분석한다. |
19353 |
화폐금융론기초 |
Foundations of Monetary and Financial Economics |
학부 및 대학원 석사과정에서 경제학을 전공하지 않은 학생이 대학원 과정을 이수하는 경우 필요한 기초적인 화폐금융론 지식을 습득할 수있는 강의 |
19202 |
화폐금융론세미나 |
Seminar on Monetary Economics |
이미 화폐금융론 과목을 수강한 경제학과 석·박사 고학년 학생들을 위한 세미나 과목으로, 화폐의 존재와 사용이 다양한 경제적 현안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정책적 함축성을 끌어내는 훈련에 집중한다. |
19181 |
확률과통계 |
Probability and Statistics |
확률과 통계학적 지식이 충분치 못한 석·박사 대학원 신입생들에게 경제학에서 널리 사용되는 확률 및 통계학 기초를 강의한다. |
12381 |
환경경제학 |
Enviromental Economics |
환경오염이 경제주체 및 경제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
19209 |
환경경제학세미나 |
Seminar on Environmental Economics |
이미 환경경제학 과목을 수강한 경제학과 석·박사 고학년 학생들을 위한 세미나 과목으로, 환경자원의 세부적인 남용으로 인한 다양한 경제적 영향을 심도 있게 분석하여, 정책적 함축성을 끌어내는 훈련에 집중한다. |
COPYRIGHT(C) 2016 BY DAEGU UNIVERSIT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