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PYRIGHT(C) 2016 BY DAEGU UNIVERSITY ALL RIGHT RESERVED.
INFORMATION
가. 연혁
상담학과 대학원은 2002년 10월 9일에 개설되었으며 현재 11명의 교수가 재직 중이다. 지금까지 총 116명의 박사학위 수료생과 57명의 졸업생을 배출했으며, 현재 박사과정 30명의 학생이 재학 중이다.
나. 교육목표
•체계적인 상담이론의 학습과 실천적인 상담의 숙련
•경제사회변화에 부응하는 고급전문상담인력 양성
•상담관련 교수요원의 양성
다. 교수명단
교수명 |
학위 |
전공 |
담당과목 |
---|---|---|---|
최웅용 |
철학박사 |
상담심리학 |
심리학특강, 상담심리학, 직업상담, 상담세미나, 상담지도감독 |
정소희 |
사회복지학박사 |
아동청소년복지 |
아동발달, 청소년발달,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
박재연 |
문학박사 |
청소년 상담ㆍ복지 |
청소년상담세미나, 가족치료연구, 상담사례지도, 집단상담세미나 |
윤민화 |
문학박사 |
아동청소년정책 사회복지행정 지역사회와청소년 |
청소년정책세미나 지역사회와청소년연구 질적연구방법론 |
이종구 |
심리학박사 |
산업 및 조직심리학 |
고급산업심리학, 다변량분석법, 고급조직심리학, 인사심리학 |
금명자 |
심리학박사 |
상담심리학 |
고급상담심리학, 집단상담, 상담현장실습 |
박은아 |
심리학박사 |
소비자 및 광고심리학 |
고급소비자심리학, 고급광고심리학, 광고효과연구법 |
석동현 |
심리학박사 |
사회심리학 범죄심리학 조직심리학 |
고급사회심리학, 고급집단심리학, 고급범죄심리학 |
임영진 |
심리학박사 |
임상심리학 |
인지치료, 고급심리평가, 신경심리평가, 중독심리학, 투사법검사 |
김근향 |
심리학박사 |
임상심리학 |
임상심리학, 신경심리평가, 이상심리학, 발달정신병리학, 건강심리학 |
김은석 |
심리학박사 |
상담심리학 |
고급상담심리학, 고급심리치료, 고급상담사례지도, 상담현장실습, 상담윤리 및 쟁점연구 |
박성원 |
문학박사 |
사회복지방법 |
사회복지개론, 사회복지법제론, 사회복지정책론 |
★ 교과과정 및 교과목해설은 교육과정 변경에 따라 변동이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교과구분명 |
과목코드 |
과목명 |
이론시간 |
실기시간 |
학점 |
비고 |
---|---|---|---|---|---|---|
연구 |
10000 |
개별연구지도 |
2 |
0 |
2 |
0 |
전공 |
11291 |
산업심리학연구 |
3 |
0 |
3 |
0 |
전공 |
11379 |
가족치료연구 |
3 |
0 |
3 |
0 |
전공 |
15056 |
건강심리학특강 |
3 |
0 |
3 |
0 |
전공 |
15915 |
연구설계및자료분석 |
3 |
0 |
3 |
0 |
전공 |
15916 |
고급상담및임상현장실습 |
3 |
0 |
3 |
0 |
전공 |
15917 |
고급상담사례지도 |
3 |
0 |
3 |
0 |
전공 |
16025 |
정신역동상담연구 |
3 |
0 |
3 |
0 |
전공 |
16026 |
인본주의상담연구 |
3 |
0 |
3 |
0 |
전공 |
16027 |
인지행동치료연구 |
3 |
0 |
3 |
0 |
전공 |
16030 |
고급상담통계 |
3 |
0 |
3 |
0 |
전공 |
16031 |
고급심리상담실제(1) |
3 |
0 |
3 |
0 |
전공 |
16032 |
고급심리상담실제(2) |
3 |
0 |
3 |
0 |
전공 |
16033 |
재난및위기상담연구 |
3 |
0 |
3 |
0 |
전공 |
16034 |
지역사회상담 |
3 |
0 |
3 |
0 |
전공 |
16035 |
상담윤리및쟁점연구 |
3 |
0 |
3 |
0 |
전공 |
16036 |
고급심리학세미나 |
3 |
0 |
3 |
0 |
전공 |
16037 |
심리진단평가 |
3 |
0 |
3 |
0 |
전공 |
16038 |
고급정신병리학 |
3 |
0 |
3 |
0 |
전공 |
16039 |
정신약물학 |
3 |
0 |
3 |
0 |
전공 |
16040 |
정신재활특강 |
3 |
0 |
3 |
0 |
전공 |
16041 |
신경심리학특강 |
3 |
0 |
3 |
0 |
전공 |
16043 |
진로상담연구 |
3 |
0 |
3 |
0 |
전공 |
16044 |
직업정보연구 |
3 |
0 |
3 |
0 |
전공 |
16045 |
산업상담제도연구 |
3 |
0 |
3 |
0 |
전공 |
16046 |
조직행동연구 |
3 |
0 |
3 |
0 |
전공 |
16687 |
고급상담심리학세미나 |
3 |
0 |
3 |
0 |
전공 |
16688 |
고급성격심리학세미나 |
3 |
0 |
3 |
0 |
전공 |
16706 |
고급학습심리학세미나 |
3 |
0 |
3 |
0 |
전공 |
16707 |
고급인지심리학세미나 |
3 |
0 |
3 |
0 |
전공 |
16708 |
고급사회심리학세미나 |
3 |
0 |
3 |
0 |
전공 |
16709 |
고급발달심리학세미나 |
3 |
0 |
3 |
0 |
전공 |
17888 |
아동발달과가족 |
3 |
0 |
3 |
0 |
전공 |
17889 |
청소년발달 |
3 |
0 |
3 |
0 |
전공 |
17890 |
고급범죄심리학세미나 |
3 |
0 |
3 |
0 |
전공 |
17891 |
고급집단심리학세미나 |
3 |
0 |
3 |
0 |
전공 |
17892 |
고급인간동기론 |
3 |
0 |
3 |
0 |
전공 |
17893 |
고급비교문화심리학세미나 |
3 |
0 |
3 |
0 |
전공 |
18218 |
고급질적연구방법론 |
3 |
0 |
3 |
0 |
전공 |
18501 |
긍정심리학특강 |
3 |
0 |
3 |
0 |
전공 |
18502 |
고급상담현장실습1 |
3 |
0 |
3 |
0 |
전공 |
18503 |
고급학습상담세미나 |
3 |
0 |
3 |
0 |
전공 |
18504 |
고급상담현장실습2 |
3 |
0 |
3 |
0 |
전공 |
18506 |
투사법검사 |
3 |
0 |
3 |
0 |
전공 |
19118 |
집단상담세미나 |
3 |
0 |
3 |
0 |
전공 |
19119 |
청소년상담세미나 |
3 |
0 |
3 |
0 |
전공 |
19120 |
고급사회과학통계분석 |
3 |
0 |
3 |
0 |
전공 |
19166 |
상담프로그램개발연구 |
3 |
0 |
3 |
0 |
전공 |
19793 |
집단상담활용 |
3 |
0 |
3 |
0 |
전공 |
19794 |
정신건강상담사례연구 |
3 |
0 |
3 |
0 |
보충 |
10824 |
연구방법론 |
3 |
0 |
3 |
박사보충 |
보충 |
11182 |
산업복지특강 |
3 |
0 |
3 |
박사보충 |
보충 |
11187 |
심리학특강 |
3 |
0 |
3 |
박사보충 |
보충 |
11201 |
노사관계론 |
3 |
0 |
3 |
박사보충 |
보충 |
11232 |
고급심리통계 |
3 |
0 |
3 |
박사보충 |
보충 |
11294 |
산업복지세미나 |
3 |
0 |
3 |
박사보충 |
보충 |
11551 |
의사결정론 |
3 |
0 |
3 |
박사보충 |
보충 |
11615 |
발달정신병리학 |
3 |
0 |
3 |
박사보충 |
보충 |
11630 |
정신병리학 |
3 |
0 |
3 |
박사보충 |
보충 |
11631 |
심리평가 |
3 |
0 |
3 |
박사보충 |
보충 |
11634 |
심리치료 |
3 |
0 |
3 |
박사보충 |
보충 |
11636 |
고급성격심리학 |
3 |
0 |
3 |
박사보충 |
보충 |
11637 |
고급사회심리학 |
3 |
0 |
3 |
박사보충 |
보충 |
11644 |
노사관계세미나 |
3 |
0 |
3 |
박사보충 |
보충 |
11660 |
조직행위이론 |
3 |
0 |
3 |
박사보충 |
보충 |
11663 |
고급인지심리학 |
3 |
0 |
3 |
박사보충 |
보충 |
11664 |
고급학습심리학 |
3 |
0 |
3 |
박사보충 |
보충 |
11730 |
산업카운셀링 |
3 |
0 |
3 |
박사보충 |
보충 |
12113 |
기업복지론 |
3 |
0 |
3 |
박사보충 |
보충 |
12222 |
기업복지세미나 |
3 |
0 |
3 |
박사보충 |
보충 |
13426 |
성격이론 |
3 |
0 |
3 |
박사보충 |
보충 |
13490 |
심리검사 |
3 |
0 |
3 |
박사보충 |
보충 |
14003 |
가족상담 |
3 |
0 |
3 |
박사보충 |
보충 |
14219 |
고급상담심리학 |
3 |
0 |
3 |
박사보충 |
보충 |
14398 |
광고심리학 |
3 |
0 |
3 |
박사보충 |
보충 |
14401 |
설득과태도변화 |
3 |
0 |
3 |
박사보충 |
보충 |
14434 |
인적자원관리론 |
3 |
0 |
3 |
박사보충 |
보충 |
15239 |
상담및심리치료이론 |
3 |
0 |
3 |
박사보충 |
보충 |
15240 |
직업상담학 |
3 |
0 |
3 |
박사보충 |
보충 |
15242 |
직업지도세미나 |
2 |
0 |
3 |
박사보충 |
보충 |
15244 |
집단상담 |
3 |
0 |
3 |
박사보충 |
보충 |
15245 |
노동시장론 |
2 |
0 |
2 |
박사보충 |
보충 |
15246 |
직업정보론 |
2 |
0 |
2 |
박사보충 |
보충 |
17481 |
정신재활 |
3 |
0 |
3 |
박사보충 |
보충 |
17482 |
인사심리학 |
3 |
0 |
3 |
박사보충 |
보충 |
17483 |
직무분석 |
3 |
0 |
3 |
박사보충 |
보충 |
17485 |
식스시그마 |
3 |
0 |
3 |
박사보충 |
보충 |
17486 |
소비자심리학 |
3 |
0 |
3 |
박사보충 |
보충 |
17490 |
산업및조직심리학특강 |
3 |
0 |
3 |
박사보충 |
보충 |
17899 |
심리상담실제1 |
3 |
0 |
3 |
박사보충 |
보충 |
17900 |
심리상담실제2 |
3 |
0 |
3 |
박사보충 |
보충 |
18341 |
상담사례지도 |
3 |
0 |
3 |
박사보충 |
보충 |
18854 |
청소년상담 |
3 |
0 |
3 |
박사보충 |
보충 |
19125 |
발달이론 |
3 |
0 |
3 |
박사보충 |
보충 |
19339 |
상담프로그램개발과평가 |
3 |
0 |
3 |
박사보충 |
"박사보충" 표시된 과목
- 석사과정생이 수강할 경우, 전공과목으로 인정되며,
- 박사과정생이 수강할 경우, 보충과목으로 인정됨
★ 교과과정 및 교과목해설은 교육과정 변경에 따라 변동이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과목코드 | 과목명 | 교과목 영문명 | 교과목 한글개요 |
---|---|---|---|
14003 |
가족상담 |
Family Counseling |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의 여러 개입모델과 개입기법을 살펴본 후, 이혼가족 상담, 청소년-부모관계 가족상담, 가정폭력 가족상담, 노인문제에 대한 가족상담, 분거가족을 위한 가족상담 등 가족의 문제영역에 따른 접근 방법을 배운다. |
11637 |
고급사회심리학 |
Advanced Social Psychology |
일반 사회심리학에서 다루었던 “나”를 포함한 이자간의 관계, 또는 3자간의 관계에서 일어나는 제반 현상들에 대한 보다 정교하면서도 포괄적인 연구를 하며 나아가 집단역학, 집단과정 그리고 조직심리학에 대한 기초를 제공한다. |
14219 |
고급상담심리학 |
Advanced Psychology of Counseling |
최근의 상담이론서나 논문들을 바탕으로 주요 상담 및 심리치료 이론들을 심층적으로 고찰과, 이러한 이론들과 개념들이 실제 상담현장에서 어떻게 적용되는가에 관해 발표 및 토론한다. |
11636 |
고급성격심리학 |
Advanced Psychology of Personality |
정신분석학, 행동주의, 현상학적 접근 등 주요 성격이론에 대한 이해를 기초로 하여 이론들 간의 논쟁점 그리고 성격이론의 최근 동향과 중요한 이슈를 논의한다. |
11232 |
고급심리통계 |
Advanced Psychological Statistics |
심리연구와 관련해서 자주 쓰이는 통계적 방법들을 학습한다. 각 방법 별로 실제 데이터를 분석하고 결과를 논의한다. 이러한 방법들과 관련된 컴퓨터 계 패키지를 학습한다. |
11663 |
고급인지심리학 |
Advanced Cognitive Psychology |
인간의 앎이 어떻게 해서 이루어지며, 그러한 지식들이 어떻게 구조화, 표상되어 있으며 다양한 문제 해결이나 의사결정 등 사고과정에 우리의 지식들이 어떻게 활용되는가를 이해하도록 한다. |
11664 |
고급학습심리학 |
Advanced Psychology of Learning |
다양한 학습 패러다임들에서 나타나는 학습현상들을 살펴보고, 그 기본원리들을 규명하며, 나아가 역사적으로 학습현상에 관한 여러 가지 설명이론들이 어떻게 진전해 왔는가를 이해하도록 한다. |
14398 |
광고심리학 |
Psychology of Advertisement |
광고의 본질과 목적을 이해하기 위하여 광고의 제작과 전달, 광고매체의 선정 그리고 수용자의 특성 등을 심리학적 지식을 기초로 하여 규명한다. |
12113 |
기업복지론 |
Occupational Welfare System |
|
12222 |
기업복지세미나 |
Seminars on Occupational Welfare |
본 과목은 기업복지에 관한 다양한 주제들을 다룬다. 다루는 주제들은 기업복지의 개념설정과정, 역사적 배경, 사회사업과 기업경영의 학제적 성격, 기업복지의 기능, 기업복지의 사회경제적 영향 등등을 포함한다. 각각의 주제는 대학원생이 개별적으로 연구조사하고 수업중에 깊이 있는 토론을 거친다. |
15245 |
노동시장론 |
Labour Market |
노동시장론은 노동력의 구매자인 기업(노동수요)과 판매자인 노동자(노동공급)로 구성되는 생산요소시장에서 임금과 고용량이 결정되는 메카니즘을 연구하는 분야임. |
11201 |
노사관계론 |
Industrial Relations |
노사관계론은 기업에서의 사용자와 노동조합과의 관계에 대한 제반 이론과 양자 간의 상호작용을 공부하는 과정이다. |
11644 |
노사관계세미나 |
Seminars on Industrial Relations |
노사관계론은 노동자와 사용자간에 발생하는 단체협약, 파업, 노사분쟁의 타결 등에 관하여 전반적인 지식을 습득하는 과목이다. 경영학에서의 노사관계론은 산업사회에서 문제시되고 있는 노사관계의 정립과 관련된 이론을 다루는 과목으로 노동력 및 노동시장 이론과 관련된 이론을 통하여 개인이 제공하는 노동력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촉진하고, 노사관계의 형성 및 발전에 대한 역사적 배경, 노사관계의 주체가 되고 있는 노동조합, 사용자, 정부, 노사관계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환경적 요인들, 노사관계의 주요과제 등에 관련된 내용을 공부하므로 노사관계에 대한 보다 균형된 감각을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
19125 |
발달이론 |
Development Theory |
인간발달에 관한 주요 이론들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이러한 이론적 특과 발달단계별 심리적 특성들을 바탕으로 다양한 상담기법들의 개발 및 적용에 활용 될 수 있도록 한다. |
11615 |
발달정신병리학 |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
아동 및 청소년기에 흔히 나타나는 정신장애를 학습한다. 이러한 장애의 출현에 미치는 발달적 요소의 영향을 탐색하고, 그것을 교정하는 방법을 다룬다. |
17490 |
산업및조직심리학특강 |
Advanced Lecture of Industrial & Organizational Psychology |
산업장면에서의 인간행동을 이해하고 여기서 밝혀진 원리들이 산업현장의 문제 해결에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전문 학술 연구들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
11294 |
산업복지세미나 |
Seminar on Industrial Welfare |
산업복지학과 석사과정의 학생이 연구하고자하는 관심분야 또는 과제를 체계적으로 정리 또는 요약한 다음, 세미나를 통하여 발표하는 교과과정이다. 즉 해당 분야에 대하여 구체적인 논제를 설정하고 한편의 논문을 체계화하여 논문을 작성하는데 도움을 주는 준비과정이다. |
11182 |
산업복지특강 |
Advanced Studies on Industrial Welfare |
산업복지의 기본 이론과 산업복지 정책, 공공 산업복지, 노동자복지, 근로청소년 복지, 근로여성 복지, 근로장애자 복지, 중.노년 근로자 복지 등을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과목이다. |
11730 |
산업카운셀링 |
Employee Counseling |
산업사회와 산업에서 상담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상담에 필요한 이론을 탐구하며, 상담 사례의 분석과 상담제도의 탐구를 통하여 상담업무 실천능력을 함양한다. 또한 근로자의 애로를 상담하가 위하여 상대방에 대한 공감적 이해와 자신의 내면에 대한 통찰을 깊게 함으로써 상담자의 자질을 함양한다. |
15239 |
상담및심리치료이론 |
Theorics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
이 과목에서는 상담 및 심리치료 이론이 핵심적인 내용을 다룸으로써 이의 실제적인 모습을 단기간에 파악하게 하고 각 이론들의 기본적 인 가정이나 치료 접근 방법, 그 효과에 대한 실제적인 연구 자료 등을 검토하게 되다. 이 과목의 목표 는다양한 상담 및 심리치료 이론들의 기본 가정이나 실행 방법 등과 친숙하게 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제 접근방식들에 대한 방법적이고 개념적인 비판도 행해지게 된다. |
18341 |
상담사례지도 |
Case Supervision in Psychological Counseling |
여러 가지 형태의 상담에서 경험할 수 있는 상담사례를 다양한 이론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토론한다. 수강생은 상담의 사례에 대해서 전문적이고 실제적인 교육 및 감동적 차원에서 사례지도를 받게 된다. |
19339 |
상담프로그램개발과평가 |
Counseling Program Development and Evaluation |
이 과목에서는 상담프로그램 개발과 평가에 대한 이론과 실천방법을 배운 후, 이를 바탕으로 학생들이 스스로 상담현장에 적용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창의적으로 개발하여 시행하고 평가해보는 것을 목표로 진행된다 |
14401 |
설득과태도변화 |
Persuasion and Attitude Change |
|
13426 |
성격이론 |
Personality Theory |
성격의 어떤 측면들은 타고난 것이며, 다른 측면들은 학습된 것이고, 일부는 묻혀진 갈등을 반영하고, 다른 일부는 자아실현 욕구를 드러내는 것이며, 그리고 또 다른 일부는 특정 문화의 세계관에 제한된 것이다. 여기서는 다양한 성격이론들을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각 이론 영역의 영향과 효과 등을 통해-전체로써의 인간-을 조망하도록 한다. |
17486 |
소비자심리학 |
Consumer Psychology |
구매행동이나 소비행동에 내재된 심리 적역동성이나 과정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marketing 전략 수립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
17485 |
식스시그마 |
Six Sigma |
모든 품질수준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문제해결 과정과 전문가 양성 등의 효율적인 품질문화를 조성하며, 품질혁신과 고객만족을 달성하기 위해 전사적으로 실행하는 21세기형 기업경영 전략으로 이를 연구, 적용하는 방법을 연구한다. |
13490 |
심리검사 |
Psychological Test |
이 강좌에서는 측정과 연구 목적의 통계프로그램이나 심리검사에 대해 사전지식이 많지 않은 학생들에게 심리검사에 대한 기본적 이해와 이의 개발 절차 등을 익히게 한다. |
17899 |
심리상담실제1 |
Practice in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1 |
심리상담의 전문적 능력을 갖추기 위하여 특정한 상담이론의 집중적 탐구와 기법의 증진을 목표로 한다. |
17900 |
심리상담실제2 |
Practice in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 |
심리상담의 전문적 능력을 갖추기 위하여 한가지 이상의 특정한 상담이론의 집중적 탐구와 기법의 증진을 목표로 한다. |
11634 |
심리치료 |
Psychotherapy |
주요 심리치료이론 및 상담이론의 세부적인 개념을 보다 깊이 고찰하고, 이 이론들과 개념들이 실제적인 심리치료 및 상담과정에서 어떻게 적용되는가를 학습한다. 그리고 심리치료 분야의 최근 논쟁점을 논의한다. |
11631 |
심리평가 |
Psychological Assessment |
심리검사의 이론과 활용법을 학습한다. 특히 자기보고형 성격검사, 집단지능검사 및 개인지능검사, 적성검사 등은 실습을 병행한다. 심리검사의 진단적 활용법을 익힌다. |
11187 |
심리학특강 |
Advanced Lecture of Psychology |
심리학에서 전반적으로 공통되는 문제점과 최근 심리학의 연구 주제 및 자료분석 등에 대한 세미나 식의 강의를 하는 과목이다. |
10824 |
연구방법론 |
Research Methods |
연구방법론의 기초이론에 따라 학생 개개인의 졸업논문 작성에 팔요한 여러 방법을 다룬다. 주요 내용은 연구 계획서의 작성법, 연구기획 및 설계방법, 표본설계 및 자료수집 방법, 그리고 각 전공분야별 연구분야 소개와 많이 쓰이는 분석방법이다. |
11551 |
의사결정론 |
Decision Support |
불확실성을 전제로 한 의사결정을 연구하며, 손실함수와 위험을 구하여 최적 의사결정을 위한 Bayes risk Analysis, Minimax Analysis, Invariance 등을 다룬다. |
17482 |
인사심리학 |
Personnel Psychology |
생산성의 극대화, 종업원 만족이라는 산업현장의 궁극적인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보다 효율적인 선발전략과 선발전략에 필수적인 예언변인을 집중연구하며 선발 결과를 평가할 수 있는 준거에 대해서 연구한다. |
14434 |
인적자원관리론 |
Human Resources |
이 과목은 조직이 필요로 하는 인력을 조달,유지,개발,활용 활동을 계획,조직,통제,관리하는 활동체계인 인적자원 관리를 다루는 과목이다. |
11630 |
정신병리학 |
Psychopathology |
정상과 이상의 차이점을 역사적, 문화적 맥락 내에서 이해한다. 정신장애에 관한 진단체계, 신경증, 정신병, 제 장애인들의 증상, 제 장애인들에 관한 원인론 등을 학습한다. |
17481 |
정신재활 |
Psychiatric Rehabilitation |
정신사회재활 분야의 역사, 철학, 방법론, 성과 등을 개관한다. 만성정신질환자를 위한 환자교육, 가족교육, 사회기술훈련, 직업재활 등을 학습하며, 환자협회지원, 가족협회지원, 대중계몽, 변화제정, 정부정책결정에의 참여 등 환자와 가족의 권익확대 방안을 학습한다. |
11660 |
조직행위이론 |
Advanced Studies on Organizational Theory |
이 과목은 조직을 미시적으로 접근하여 종업원의 태도 및 행동을 다룬다. 학생들은 종업원의 동기부여, 직무만족, 조직몰입, 의사소통, 의사결정, 리더십, 권력과 갈등 관한 이론을 공부함으로써 종업원의 태도 및 행동에 대한 이론과 실제를 이해하게 된다. |
17483 |
직무분석 |
Job Analysis |
산업현장에서 가장 기본적이고도 필수적인 직무에 대한 이해와 직무를 분석하는 방법을 연구함으로써 인사선발, 인사관리 및 평가 그리고 산업훈련 등에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
15240 |
직업상담학 |
Vocational Counseling |
직업상담이란 내담자가 자기자신에 대한 정보와 사실을 탐색 수용하고 자기에 관해 확인된 사실들을 토대로 적절한 직업을 선택하고 직장생활에 잘 적응하도록 도와주는 활동을 말한다. 이 과정에서는 직업상담에서의 예언과 발달, 처치와 자극, 결함과 장점 등의 과정을 다룸으로써 올바른 직업문제 인식, 현실적인 자아관 형성, 의사결정 능력배양, 실업 등 직업에 대한 위기관리능력배양, 생애 직업 설계에 대한 시도 등을 목표로 한다. |
15246 |
직업정보론 |
Vocational Information |
직업정보론은 노동시장에 대하여 학습한다. 노동시장은 노동의 수요와 공급, 고용정보, 직업정보의 관리, 직업훈련체계, 그리고 인적자원관리 등을 포괄한다. 이 과목은 학생들로 하여금 정부 및 민간부문에서 운영되는 직업정보체계(정보망)에 대하여 이해하고 실무적으로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
15242 |
직업지도세미나 |
Vocational Guidance Seminars |
직업지도에 필요한 이론적 실천적 이슈를 채택하여 연구 발표함으로써 연구 능력과 실천적 문제해결 능력을 제고시킨다. |
15244 |
집단상담 |
Group Counseling |
집단상담의 다양한 이론을 탐구하며, 집단상담을 경험함으로써 집단의 리더로서의 자질을 함양한다. |
18854 |
청소년상담 |
Youth Counseling |
이 과목에서는 청소년상담의 기본 개념과 특성, 청소년 상담자의 자질 등을 이해한 후, 실제 상담에 필요한 상담기술을 익힌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10000 |
개별연구지도 |
Research Works |
학위논문의 작성을 위하여 지도교수의 지도하에 각 개인별 연구주제에 관하여 연구한다. |
11379 |
가족치료연구 |
Research in Family Treatment |
가족의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고 가족 체계의 과정에서 야기되는 역기능을 사정하고 이를 치료할 수 있는 가족치료의 제 이론을 탐구한다. 가족치료 면접의 운영과 과정에서의 기법을 탐구하며 합동, 아위체계, 또는 단독 면접과 이들을 결합한 치료접근을 연구한다. |
15056 |
건강심리학특강 |
Topic in Health Psychology |
건강관리체계와 심리학의 관계를 구명하며, 신체적 및 정신적 건강을 증진시키고 행복감을 고양할 수 있는 방법을 탐색한다. 건강과 관련하여 조기진단과 예방적 접근법을 연구한다. 또한 이러한 주제에 관하여 이론과 실제적인 응용을 익힌다. |
16709 |
고급발달심리학세미나 |
Seminar on Development Psychology |
인간발달에 관한 주요 이론들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이러한 이론적틀과 발달단계별 심리적 특성들을 바탕으로 다양한 상담기법들의 개발 및 적용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 |
17890 |
고급범죄심리학세미나 |
Advanced criminal psycholosy seminar |
|
17893 |
고급비교문화심리학세미나 |
Seminar on cross-cultural psychology |
|
19120 |
고급사회과학통계분석 |
Advanced Social Science Statistics Analysis |
본 교과목은 현대 사회과학의 주요 연구방법 중의 하나인 계량적 통계분석 방법들에 대한 이론적 이해와 통계분석방법 능력을 훈련시키는 데 초점을 둔다. |
16708 |
고급사회심리학세미나 |
Seminar on Social Psychology |
개인과 타인간의 이자 및 다자관계, 개인과 집단, 집단관계 등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사회심리학적 현상들에 관한 주요 이론들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이러한 개념들이 상담 현장에 어떻게 적용되는가를 논의한다. |
15916 |
고급상담및임상현장실습 |
Advanced Field Practicum |
상담을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연구하기 위해 필요한 연구설계방법과 경험적 연구에서 필수적인 자료의 통계적 분석방법을 연구한다. |
15917 |
고급상담사례지도 |
Advanced Case Study in Counseling |
여러 가지 형태의 상담에서 경험할 수 있는 상담사례를 다양한 이론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토론한다. 수강생이 직접 하고 있는 상담의 사례에 대해서도 교육 및 감독적 차원에서 사례지도를 한다. |
16687 |
고급상담심리학세미나 |
Seminar on Psychology of Counseling |
최근의 핸드북이나 저널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상담심리학 주요 주제들을 확인하고 자신의 관심연구에 적용한다. |
16030 |
고급상담통계 |
Advanced Qualitative Methods in Counseling |
상담연구 등 현장연구에 필요한 다양한 연구방법을 연구한다. 예를 들어 다변량분석, 비모수적 분석법 및 중다회귀분석 등의 이론을 익히고 실제자료를 분석하는 연습을 한다. |
18502 |
고급상담현장실습1 |
Advanced Field Practicum1 |
|
18504 |
고급상담현장실습2 |
Advanced Field Practicum2 |
|
16688 |
고급성격심리학세미나 |
Seminar on Psychology of Personality |
최근의 성격이론관련교과서의 논문들을 바탕으로 주요 성격이론들의 논쟁점, 최근 동향 및 전망 등에 관해 논의한다. |
16031 |
고급심리상담실제(1) |
Advanced Psychological Counselling Practice(1) |
심리상담의 전문적 능력을 갖추기 위하여 특정한 상담이론의 집중적 탐구와 기법의 증진을 목표로 한다. |
16032 |
고급심리상담실제(2) |
Advanced Psychological Counselling Practice(2) |
심리상담의 전문적 능력을 갖추기 위하여 한가지 이상의 특정한 상담이론의 집중적 탐구와 기법의 증진을 목표로 한다. |
16036 |
고급심리학세미나 |
Advanced Seminar on Psychology |
심리학의 전반적인 동향과 현재의 주요쟁점을 이해하고, 그 중 몇 가지 연구주제를 집중적으로 조사, 발표, 토론한다. 이를 통하여 연구주제 설정, 문헌조사, 자료분석, 연구설계 등의 능력을 함양한다. |
17892 |
고급인간동기론 |
Advanced Theories on human motivation |
|
16707 |
고급인지심리학세미나 |
Seminar on Cognitive Psychology |
인간의 지식 획득 및 손상, 문제해결 과정 등의 제반인지과정에 대한 주요 이론들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이러한 인지심리학적 개념과 이론들이 상담현장에 어떻게 적용되는가를 논의한다. |
16038 |
고급정신병리학 |
Advanced Psychopathology |
정상과 이상의 차이점을 역사적, 문화적 맥락 내에서 이해한다. 증상론, 진단체계, 진단기준, 각 장애의 원인론과 치료법, 정신병리에 대한 연구법 등을 다룬다. 각 개인의 증상을 확인하고, 감별진단을 내리는데 필수적인 지식과 능력을 함양한다. |
18218 |
고급질적연구방법론 |
Advance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
질적연구방법론은 현장으로부터의 이론을 도출하는 귀납적 접근 방법을 통해 지식을 발견 하고, 인간의 삶을 이해하기 위한 연구방법론이다. 본 수업은 질적 연구에 대한 이해와 다양한 방법론, 실제적인 연구진행절차를 학습하는 것으로 구성한다. |
17891 |
고급집단심리학세미나 |
Seminar on group psychology |
|
18503 |
고급학습상담세미나 |
Seminar on Learning Counseling |
|
16706 |
고급학습심리학세미나 |
Seminar on Learning Psychology |
주요 학습 패러다임들에서 나타난 현상들과 그 기본원리, 설명이론들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이러한 학습이론들이 상담현장에서 어떻게 활용되는가에 관해 논의한다. |
18501 |
긍정심리학특강 |
Topics in Positive Psychology |
|
16045 |
산업상담제도연구 |
Systematic Studies of Employee Counseling Program |
산업상담이 이루어질 수 있는 제도적 장치인 산업상담 관련 프로그램 연구를 목표로 하여 근로자협조프로그램(EAP), 술.마약중독해소프로그램(OAP), 근로자증진프로그램(EEP) 및 기타 여러 프로그램의 발전과정, 형성단계, 기능, 모형, 기대효과 및 평가 등에 대해서 심층적으로 연구한다. |
11291 |
산업심리학연구 |
Research in Psychology of Industry |
산업 및 조직심리학은 심리학의 기본원리들을 산업현장과 다양한 조직운용에 응용하는 학문이다. 본 강좌는 특히 산업심리학에 중점을 두어 직무분석, 심리검사, 인사선발, 및 교육훈련을 주로 다룬다. |
16035 |
상담윤리및쟁점연구 |
Ethics and Issues in Counseling |
내담자의 정신을 돌보는 전문가로서 상담자의 직업적 윤리에 대하여 논의한다. 다양하고 급속하게 변화하는 현대사회에서 상담과 관계하여 야기될 수 있는 쟁점과 이와 관련된 주제들을 논의한다. |
19166 |
상담프로그램개발연구 |
Research for Counseling Program Development |
이 과목에서는 상담프로그램 개발과 평가에 대한 이론과 실천방법을 배운후, 이를 바탕으로 학생들이 스스로 상담현장에 적용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창의적으로 개발하여 시행하고 평가해보는 것을 목표로 진행된다. |
16041 |
신경심리학특강 |
Topics in Neuropsychology |
뇌의 기능과 직접 관련된 행동들을 이해하고 뇌기능 장애로 인한 다양한 정신질환 및 신경질환들을 평가하는 방법들과 그 논리를 이해하도록 한다. 또한 뇌 기능 및 조직화와 관련된 개인차에 관하여 학습한다. |
16037 |
심리진단평가 |
Psychological Assessment & Diagnosis |
정신과적 장애에 대한 평가 및 감별진단을 함양한다. 이를 위하여 진단적 면접기법과 심리검사 배터리 활용기법을 익힌다. 나아가 실제 상담사례 또는 임상사례를 바탕으로 면접, 심리검사 실시, 보고서 작성, 사례토론, 지도감독 등을 수행한다. |
17888 |
아동발달과가족 |
Child Developmental Psychology |
|
15915 |
연구설계및자료분석 |
Research Design and Qualitative Methods |
개념과 이론을 이해하고 문제의 본질과 인과관계 규명에 필요한 연구설계와 자료분석 방법을 학습하고 응용하여 지식 기반을 조성하고 현장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 |
16026 |
인본주의상담연구 |
Research in Counselling |
심리학에서 제3세력으로 지칭되는 인본주의의 심리치료적 접근인 인간중심접근, 게슈탈트치료, 실존주의적 접근을 탐구 연찬하며, 현상학적 접근의 참여, 실현경향과 성장경향, 자기결정, 개인에 대한 관심과 존중 등의 주제를 중심으로 한 심도 깊은 접근으로 상담에서의 적용방법을 연구한다. |
16027 |
인지행동치료연구 |
Studies in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
인지행동치료란 인간의 사고과정을 탐구하는 인지영역과 행동과정을 연구하는 행동영역이 결합되어 만들어진 치료기법이다. 최근 다양한 임상적 증세들에 대한 구조화된 인지행동치료들이 널리 보급되기 시작했고 그 치료효과 또한 매우 뛰어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여기서는 인지행동치료들의 이론적 접근과 함께 임상현장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실제들을 연구하고 실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16033 |
재난및위기상담연구 |
Studies in Disaster and Emergency Counseling |
재해 및 위기상황으로 인해 발생하는 정진적 고통을 감소시키고 조절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접근이 필요하고, 여기에는 포괄적이고 거시적인 접근과 함께 개인적, 미시적 접근이 병행되어야 하므로 이를 위한 다양한 중재방법들과 주요핵심요소들을 단기상담기법들을 중심으로 심층적으로 연구한다. |
16039 |
정신약물학 |
Psychopharmacology |
정신과적 치료를 위하여 사용되는 약물의 종류, 작용기전, 적응증 부작용, 약물복용 지침 등을 익힌다. 아울러 내담자를 대상으로 약물교육을 행하고 약물순응을 증진시키는 방법을 익힌다. 알콜, 담배, 마약 등 약물중독과 약물의존에 대한 치료법과 예방법을 학습한다. |
16025 |
정신역동상담연구 |
Research in Psychodynamic Counselling |
정신역동론에서 인간 이해의 기본으로 삼고 있는 심리와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힘과 그 상호작용을 이해하기 위하여 내담자의 생활사, 충동, 심적 갈등, 방어, 증상형성, 자아의 기능 등을 탐구하며 상담에서의 적용 방법을 연구한다. |
16040 |
정신재활특강 |
Topics in Psychiatric Rehabilitation |
정신재활의 역사와 철학을 개관하고, 환자교육, 가족교육, 사회기술훈련, 직업재활, 정책제안, 권익옹호 등의 방법론을 학습한다. 정신재활 프로그램의 개발과정을 이해하고, 기존의 프로그램을 개선하거나 새로운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과정을 경험한다. |
16046 |
조직행동연구 |
Studies in Organizational Behavior |
조직행동의 다양한 이론들을 연구하고, 특히 노사관계와 산업상담에 적용 가능한 이론들을 심층적으로 연구한다. |
16034 |
지역사회상담 |
Community Counseling |
우리에게 가장 밀접한 생태적 환경인 지역사회가 개인의 일상생활과 삶의 질에 미치는 심리학적 영향을 연구한다. 개인과 지역사회의 긍정적 상호작용을 촉진하여 보다 나은 삶을 영위하도록 한다. 이론뿐 아니라 지역사회 현장에서의 실제적 응용을 강조한다. |
16044 |
직업정보연구 |
Studies in Labor Market and Vocational Information |
직업정보론은 노동시장에서 그 수급이 이루어지는 각종 직업과 관련된 정보를 체계적으로 구성하고자 하는 실천적 연구분야이다. 연구대상을 광의로 보면 국가적 측면, 노동시장측면, 그리고 기업적 측면으로 구분되나, 협의의 연구대상은 개개인이 직업을 선택할 때 요구되는 최신의 구체적인 정보이다. 즉 (1) 어떠한 일이 있으며(직업분류), 하는 일이 무엇인지(직무분석), (2) 직업을 찾기 위한 정보(고용정보), (3) 직업을 얻기 위한 정보(직업훈련, 자격정보), (4) 직업정보체계(network의 활용, 직업알선체계)등이 연구대상이 된다. |
16043 |
진로상담연구 |
Studies in Career Counseling |
진로상담학이란 개인의 진로발달문제를 지원하기 위하여 복합적인 개인-정서적 문제를 포함한 직업선택, 취업처, 결정, 직업전화, 실업위기, 은퇴 등의 과정에서 내담자의 개인적 특성을 평가하고 다양한 외부정보자료를 제공하여 적합한 직업의 종류, 준비전략 등 대안을 탐구하게 하고, 직업적 가능성을 명효화하며 개인적 정보와 실제자료의 통합을 원활하게 함으로서 개인으로 하여금 의사결정을 하는데 도움을 주는 일련의 심리적 과정을 다루는 학문이다. |
19118 |
집단상담세미나 |
Group Counseling Seminars |
다양한 집단을 상담할 수 있는 능력과 집단 지도자를 지도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기 위하여 집단과정, 집단역학, 집단치료의 이론들을 연구하며, 집단의 참여와 지도의 실천에 대한 피드백을 통하여 실제적인 경험을 축적하고 기술을 증진시킨다. |
17889 |
청소년발달 |
Adolescent Development |
|
19119 |
청소년상담세미나 |
Youth Counseling Seminars |
이 과목에서는 청소년 상담의 기본 개념과 특성, 청소년 상담자의 자질 등을 이해한 후, 실제 상담에 필요한 상담기술을 익히고, 청소년 문제별로 상담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실제 사례들에 대해서 함께 다루어보면서, 향후 청소년상담사로서 내담자에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학습한다. |
18506 |
투사법검사 |
Projective Assessment |
이 강좌는 로샤검사, 주제 통각 검사, 투사 그림 검사, 문장 완성 검사 등의 투사법 검사를 다루며 투사법 검사와 관련된 이론, 실행방법, 해석, 모델 등에 대한 정보와 지식을 제시한다. |
19793 |
집단상담활용 |
Use of Group Counseling |
이 과목은 상담자가 여러 가지 유형의 집단상담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오늘날 여러 상담현장에서는 집단상담이 많이 활용되고 있고 앞으로도 더욱 많이 활용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상담자들은 집단상담을 계획하고 실행하고 평가하는 능력이 필요하다. 또한 상담자는 집단상담을 통해 개인이 가진 심리적 어려움과 사회적 기술부족을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 능력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 과목에서는 집단상담을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의 개발에 초점을 둘 것이다. |
19794 |
정신건강상담사례연구 |
case Study on Mental Health Counseling |
이 과목에는 현대사회에 많은 사람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정신건강문제(우울, 자살, 자해, 중독, 불안, ADHD 등)에 대한 상담에 대해 배운다. 또한 이 과목은 상담사례를 바탕으로 사례연구를 수행 해 봄으로써 상담학 연구자로서의 자질과 역량을 키우는 데에 목적이 있다. |
COPYRIGHT(C) 2016 BY DAEGU UNIVERSIT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