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PYRIGHT(C) 2016 BY DAEGU UNIVERSITY ALL RIGHT RESERVED.
INFORMATION
연혁
1997년 3월에 일반 대학원 석사과정 [5개 전공 : 직업재활, 언어치료, 물리치료, 재활심리, 재활과학 전공]이 설치되었고, 1998년 3월에 일반대학원 박사과정 [5개 전공 : 직업재활, 언어치료, 물리치료, 재활심리, 재활과학 전공]이 설치되었다. 이후 2011년 3월에 작업치료 전공이 추가로 설치되었다.
교육목표
장애인 재활에 관한 이론과 실제를 겸비한 재활 전문가 양성
재활의 응용 능력과 자율적, 창의적 능력을 갖춘 재활 전문인력 양성
국가 및 인류사회에 기여할 재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전문인력 양성
전공소개
직업재활전공
언어치료전공
물리치료전공
재활심리전공
재활공학전공
작업치료전공
교수명단
교수명 |
학위 |
전공 |
담당과목 |
---|---|---|---|
이달엽 |
재활학박사 |
재활상담 재활연구 |
직업평가론, 직업개발 및 배치연구 |
나운환 |
재활행정학박사 |
재활행정 및 정책 직업상담 |
재활상담, 재활정책 |
이근용 |
문학박사 |
정서행동장애 |
학습장애, 성인장애인직업교육론 |
조성재 |
철학박사 |
재활상담 |
장애인 의료심리사회적연구, 재활심리학 |
박정식 |
문학박사 |
특수교육 |
성인장애인 직업교육론, 성인장애인 재활훈련 |
최양규 |
문학박사 |
언어과학 |
고급응용언어과학,언어치료연구방법론 |
김화수 |
언어병리학 박사 |
언어장애, 읽기장애, 이중언어발달 |
언어발달지체세미나, 고급언어발달장애, 언어장애와 읽기장애 |
김정완 |
언어병리학 박사 |
신경언어장애 |
노화와의사소통장애, 삼킴장애, 신경언어장애, 음성장애 |
하지완 |
언어병리학 박사 |
조음 및 언어처리장애 |
조음음운장애, 말운동장애 |
허승덕 |
의학박사 |
청신경전기생리학 |
청각언어재활계획, 청각재활서비스의 윤리적 접근 |
김경 |
이학박사 |
물리치료진단학 |
신경재생학특론, 물리치료평가도구개발연구, 신경가소성론, 물리치료학특론, 심폐물리치료특론 |
황보각 |
이학박사 |
물리치료학 |
물리치료진단학특론(1), 물리치료진단학특론(2), 운동치료학특론, 재활및정보공학, 재활과학원론, 인체역학특론, 세포변성론 |
김명권 |
이학박사 |
신경물리치료학 |
운동생리학특론, 신경신호전달체계, 운동제어특론 |
김태호 |
이학박사 |
생체역학 |
소아물리치료특론, 기능운동, 소아운동장애, 응용물리치료정보학, 전기광선생리학특론 |
김홍근 |
철학박사 |
신경심리학 |
고급신경심리학, 고급심리연구법 |
최은영 |
문학박사 |
정서장애아교육 |
행동치료, 미술치료 세미나 |
박중규 |
철학박사 |
임상심리학 |
정신병리학/심리진단, 인지치료 |
공마리아 |
문학박사 |
재활미술치료 |
가족미술치료, 미술치료특강 |
송병섭 |
공학박사 |
의용전자 재활시스템 |
재활과 전자, 재활제어인터페이스 특론 |
이근민 |
교육학박사 |
재활 및 특수공학, 의공학 |
재활공학원론, 보조공학 |
김용철 |
공학박사 |
기계공학, 작업치료학 |
생체역학특론, 보조기기 제작 |
이혜림 |
이학박사 |
아동작업치료학 |
아동작업치료학 |
김환 |
재활과학박사 |
뇌손상재활 |
신경계작업치료 |
이선욱 |
철학박사 |
작업치료재활 |
정신사회작업치료 |
이선민 |
이학박사 |
물리치료 |
인체해부, 기능해부 |
최화순 |
공학박사 |
생체역학 |
생역학특론, 생체공학특론 |
★ 교과과정 및 교과목해설은 교육과정 변경에 따라 변동이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연구과목
교과구분명 |
과목코드 |
과목명 |
이론시간 |
실기시간 |
학점 |
---|---|---|---|---|---|
연구 |
10000 |
개별연구지도 |
2 |
0 |
2 |
연구 |
10000 |
개별연구지도 |
1 |
0 |
1 |
보충과목
전공명 |
과목코드 |
과목명 |
이론시간 |
실기시간 |
학점 |
---|---|---|---|---|---|
직업재활전공 |
11317 |
장애인고용대책론 |
3 |
0 |
3 |
11321 |
장애인사회교육론 |
3 |
0 |
3 |
|
11374 |
직업개발및배치연구 |
3 |
0 |
3 |
|
17030 |
직업재활과보조공학 |
3 |
0 |
3 |
|
19070 |
재활행정 |
3 |
0 |
3 |
|
11952 |
장애인직업진로지도론 |
3 |
0 |
3 |
|
언어치료전공 |
12013 |
유창성장애세미나 |
3 |
0 |
3 |
재활심리전공 |
11615 |
발달정신병리학 |
3 |
0 |
3 |
11619 |
인지행동치료 |
3 |
0 |
3 |
|
11636 |
고급성격심리학 |
3 |
0 |
3 |
|
12109 |
심리통계 |
0 |
3 |
3 |
|
12220 |
재활심리학 |
3 |
0 |
3 |
|
14197 |
장애의의료및심리사회적연구 |
3 |
0 |
3 |
|
17021 |
개인및집단심리치료 |
3 |
0 |
3 |
|
19708 |
창의적미술치료 |
3 |
0 |
3 |
|
19882 |
장애아동청소년심리재활 |
3 |
0 |
3 |
|
재활공학전공 |
15702 |
보조기기설계 |
3 |
0 |
3 |
15712 |
보조기기제작 |
3 |
0 |
3 |
|
17033 |
재활제어인터페이스특론 |
3 |
0 |
3 |
|
물리치료전공 |
11499 |
세포변성론 |
3 |
0 |
3 |
18051 |
물리치료진단학특론2 |
3 |
0 |
3 |
|
11979 |
소아물리치료특론 |
0 |
3 |
3 |
|
11982 |
운동생리학특론 |
3 |
0 |
3 |
|
11998 |
신경가소성론 |
3 |
0 |
3 |
|
작업치료전공 |
18612 |
신경계작업치료학 |
3 |
0 |
3 |
18613 |
아동작업치료학 |
3 |
0 |
3 |
|
18614 |
작업치료진단및평가 |
3 |
0 |
3 |
|
18615 |
일상생활동작 |
3 |
0 |
3 |
|
18616 |
감각통합치료 |
3 |
0 |
3 |
전공과목
전공명 |
과목코드 |
과목명 |
이론시간 |
실기시간 |
학점 |
---|---|---|---|---|---|
직업재활전공 |
19071 |
발달장애인재활론 |
3 |
0 |
3 |
14203 |
산업교육세미나 |
3 |
0 |
3 |
|
19073 |
인간발달과재활 |
3 |
0 |
3 |
|
16234 |
임상평가 |
3 |
0 |
3 |
|
14197 |
장애의의료및심리사회적연구 |
3 |
0 |
3 |
|
11317 |
장애인고용대책론 |
3 |
0 |
3 |
|
11321 |
장애인사회교육론 |
3 |
0 |
3 |
|
11952 |
장애인직업진로지도론 |
3 |
0 |
3 |
|
14200 |
장애인진로지도세미나 |
3 |
0 |
3 |
|
14198 |
재활상담특강 |
0 |
3 |
3 |
|
19070 |
재활행정 |
3 |
0 |
3 |
|
14204 |
중증장애인재활론 |
3 |
0 |
3 |
|
16233 |
지원고용세미나 |
3 |
0 |
3 |
|
11374 |
직업개발및배치연구 |
3 |
0 |
3 |
|
17026 |
직업배치및직업개발연구 |
3 |
0 |
3 |
|
11539 |
직업재활상담론 |
3 |
0 |
3 |
|
19072 |
직업재활실천론 |
3 |
0 |
3 |
|
16723 |
직업재활정책 |
3 |
0 |
3 |
|
11313 |
직업재활특강 |
3 |
0 |
3 |
|
14199 |
직업적응과정신건강론 |
3 |
0 |
3 |
|
11314 |
직업평가론 |
3 |
0 |
3 |
|
언어치료전공 |
19809 |
R통계와재활과학 |
3 |
0 |
3 |
19127 |
고급말과학 |
3 |
0 |
3 |
|
17046 |
고급신경언어장애 |
3 |
0 |
3 |
|
14077 |
고급언어발달장애 |
3 |
0 |
3 |
|
19052 |
고급언어진단실습 |
3 |
0 |
3 |
|
18249 |
고급언어치료통계 |
3 |
0 |
3 |
|
14075 |
고급유창성장애 |
3 |
0 |
3 |
|
14076 |
고급음성장애 |
3 |
0 |
3 |
|
14074 |
고급음운장애 |
3 |
0 |
3 |
|
19132 |
고급전기생리학 |
3 |
0 |
3 |
|
17045 |
고급청각재활학 |
3 |
0 |
3 |
|
15707 |
고등보완대체의사소통 |
3 |
0 |
3 |
|
19467 |
근거기반청각평가와재활세미나 |
3 |
0 |
3 |
|
19641 |
기억과인지 |
3 |
0 |
3 |
|
19050 |
노인언어재활 |
3 |
0 |
3 |
|
19639 |
노인의사소통장애 |
3 |
0 |
3 |
|
19053 |
다문화와의사소통세미나 |
3 |
0 |
3 |
|
14080 |
두개-안면기형 |
3 |
0 |
3 |
|
19126 |
말과학세미나 |
3 |
0 |
3 |
|
19640 |
말소리장애연구방법론 |
3 |
0 |
3 |
|
19417 |
말소리장애의감별진단과치료 |
3 |
0 |
3 |
|
19418 |
말-언어처리장애연구 |
3 |
0 |
3 |
|
18888 |
말운동장애세미나 |
3 |
0 |
3 |
|
19743 |
말지각및음운처리연구 |
3 |
0 |
3 |
|
19164 |
문제행동 언어재활 연구 |
3 |
0 |
3 |
|
19745 |
발달장애와의사소통세미나 |
3 |
0 |
3 |
|
14207 |
보완대체의사소통 |
3 |
0 |
3 |
|
18886 |
보청기학 |
3 |
0 |
3 |
|
19744 |
사회인지와의사소통연구 |
3 |
0 |
3 |
|
19643 |
사회적의사소통세미나 |
3 |
0 |
3 |
|
19638 |
삼킴장애고급세미나 |
3 |
0 |
3 |
|
14205 |
성인장애인재활훈련 |
3 |
0 |
3 |
|
17039 |
신경언어장애세미나 |
3 |
0 |
3 |
|
19131 |
신경언어장애연구방법 |
3 |
0 |
3 |
|
18889 |
신경학적의사소통장애고급세미나 |
3 |
0 |
3 |
|
19049 |
신경학적의사소통장애치료방법 |
3 |
0 |
3 |
|
19161 |
실어증 및 우반구손상 |
3 |
0 |
3 |
|
19162 |
실어증 언어평가 및 중재 |
3 |
0 |
3 |
|
19470 |
실어증치료절차 |
3 |
0 |
3 |
|
19128 |
아동청소년의언어재활 |
3 |
0 |
3 |
|
18882 |
언어발달과읽기쓰기언어처리 |
3 |
0 |
3 |
|
19810 |
언어발달세미나 |
3 |
0 |
3 |
|
19165 |
언어발달장애 연구방법론 |
0 |
3 |
3 |
|
19051 |
언어발달장애세미나 |
3 |
0 |
3 |
|
17043 |
언어임상관찰및실습 |
3 |
0 |
3 |
|
18912 |
언어재활관찰 |
1 |
0 |
1 |
|
18913 |
언어재활실습 |
1 |
0 |
1 |
|
19368 |
언어재활정책 |
3 |
0 |
3 |
|
18914 |
언어재활현장실무 |
1 |
0 |
1 |
|
19642 |
언어학과의사소통세미나 |
3 |
0 |
3 |
|
18881 |
언어학습및인지의발달장애 |
3 |
0 |
3 |
|
19594 |
외상성 뇌손상 세미나 |
3 |
0 |
3 |
|
12013 |
유창성장애세미나 |
3 |
0 |
3 |
|
12009 |
음성장애세미나 |
3 |
0 |
3 |
|
18887 |
음운및언어처리장애세미나 |
3 |
0 |
3 |
|
19054 |
의사소통장애상담연구 |
3 |
0 |
3 |
|
18891 |
의사소통장애연구방법론 |
3 |
0 |
3 |
|
19163 |
의사소통장애진단평가세미나 |
0 |
3 |
3 |
|
18821 |
인공와우이식세미나 |
3 |
0 |
3 |
|
19469 |
인지·행동·의사소통을위한고급신경학 |
3 |
0 |
3 |
|
19130 |
인지의사소통장애세미나 |
3 |
0 |
3 |
|
18247 |
읽기장애와언어장애 |
3 |
0 |
3 |
|
19056 |
자폐범주장애언어재활연구 |
3 |
0 |
3 |
|
18822 |
전기생리학세미나 |
3 |
0 |
3 |
|
19369 |
전생애적언어발달연구 |
3 |
0 |
3 |
|
17038 |
조음음운장애세미나 |
3 |
0 |
3 |
|
18918 |
중추청각생리학 |
3 |
0 |
3 |
|
19055 |
지적장애언어재활연구 |
3 |
0 |
3 |
|
19593 |
청각 재활 서비스의 윤리적 접근 |
3 |
0 |
3 |
|
19133 |
청각언어재활계획 |
3 |
0 |
3 |
|
12007 |
청각학세미나 |
3 |
0 |
3 |
|
18917 |
청각해부생리세미나 |
3 |
0 |
3 |
|
19129 |
학습장애언어재활연구 |
3 |
0 |
3 |
|
14079 |
한국어음성학및음운론 |
3 |
0 |
3 |
|
12005 |
한국어통사론및의미론 |
3 |
0 |
3 |
|
19468 |
후천적인지장애 |
3 |
0 |
3 |
|
재활심리전공 |
18878 |
가족미술치료 |
3 |
0 |
3 |
14003 |
가족상담 |
3 |
0 |
3 |
|
17021 |
개인및집단심리치료 |
3 |
0 |
3 |
|
11636 |
고급성격심리학 |
3 |
0 |
3 |
|
19064 |
고급신경심리평가 |
3 |
0 |
3 |
|
14231 |
고급신경심리학 |
3 |
0 |
3 |
|
18002 |
고급심리연구방법론 |
0 |
3 |
3 |
|
11232 |
고급심리통계 |
0 |
3 |
3 |
|
18190 |
고급심리평가 |
3 |
0 |
3 |
|
12906 |
고급임상심리학 |
3 |
0 |
3 |
|
17611 |
고급장애인심리학 |
3 |
0 |
3 |
|
19416 |
노년기놀이와의사소통 |
3 |
0 |
3 |
|
17997 |
놀이진단및평가 |
3 |
0 |
3 |
|
19897 |
놀이치료관찰및실습 |
0 |
3 |
3 |
|
17999 |
놀이치료세미나 |
3 |
0 |
3 |
|
19740 |
놀이치료실습및수퍼비전 |
3 |
0 |
3 |
|
17015 |
단일대상연구방법론 |
0 |
3 |
3 |
|
18013 |
동양심리치료 |
3 |
0 |
3 |
|
19712 |
매체연구및실습 |
3 |
0 |
3 |
|
18010 |
명상치유와긍정심리학 |
3 |
0 |
3 |
|
19741 |
모래놀이치료 |
3 |
0 |
3 |
|
19710 |
미술심리진단평가 |
3 |
0 |
3 |
|
19898 |
미술재활세미나 |
3 |
0 |
3 |
|
19762 |
미술재활프로그램개발및평가 |
3 |
0 |
3 |
|
19713 |
미술재활현장실습 |
3 |
0 |
3 |
|
16889 |
미술치료 |
3 |
0 |
3 |
|
19366 |
미술치료사례연구 |
3 |
0 |
3 |
|
17018 |
미술치료세미나 |
3 |
0 |
3 |
|
18006 |
미술치료연구동향분석 |
3 |
0 |
3 |
|
19706 |
미술치료학개론 |
3 |
0 |
3 |
|
18692 |
발달장애인재활심리 |
3 |
0 |
3 |
|
11615 |
발달정신병리학 |
3 |
0 |
3 |
|
19742 |
발달진단및심리평가 |
3 |
0 |
3 |
|
13252 |
부모교육및상담 |
0 |
3 |
3 |
|
18000 |
부모상담과부모-자녀관계증진 |
3 |
0 |
3 |
|
19365 |
생애주기별가족미술치료 |
3 |
0 |
3 |
|
18695 |
성인및노인미술치료 |
3 |
0 |
3 |
|
14096 |
신경심리세미나 |
3 |
0 |
3 |
|
18001 |
신경심리재활론 |
3 |
0 |
3 |
|
18505 |
신경심리평가 |
3 |
0 |
3 |
|
17023 |
신경심리평가및재활 |
3 |
0 |
3 |
|
11402 |
신경심리학 |
3 |
0 |
3 |
|
18009 |
심리기술훈련과부모훈련 |
3 |
0 |
3 |
|
11410 |
심리사회적재활 |
3 |
0 |
3 |
|
17545 |
심리연구방법론 |
0 |
3 |
3 |
|
14097 |
심리연구세미나 |
3 |
0 |
3 |
|
11634 |
심리치료 |
3 |
0 |
3 |
|
18011 |
심리치료사례연구 |
0 |
3 |
3 |
|
18012 |
심리치료실습및지도 |
3 |
0 |
3 |
|
18015 |
심리치료와종교 |
3 |
0 |
3 |
|
12109 |
심리통계 |
0 |
3 |
3 |
|
14101 |
아동심리치료세미나 |
3 |
0 |
3 |
|
19707 |
유아동미술치료 |
3 |
0 |
3 |
|
18880 |
인간과윤리 |
3 |
0 |
3 |
|
14062 |
인간행동의진단과치료 |
3 |
0 |
3 |
|
17024 |
인지치료세미나 |
3 |
0 |
3 |
|
11619 |
인지행동치료 |
3 |
0 |
3 |
|
18008 |
임상심리실습 |
3 |
0 |
3 |
|
19705 |
장애아동미술재활 |
3 |
0 |
3 |
|
19709 |
장애아동의이해 |
3 |
0 |
3 |
|
19882 |
장애아동청소년심리재활 |
3 |
0 |
3 |
|
18691 |
장애인가족의심리적재활 |
3 |
0 |
3 |
|
17610 |
장애인심리재활론 |
3 |
0 |
3 |
|
18689 |
재활상담의이론및실제 |
3 |
0 |
3 |
|
17019 |
재활심리세미나 |
3 |
0 |
3 |
|
12220 |
재활심리학 |
3 |
0 |
3 |
|
11630 |
정신병리학 |
3 |
0 |
3 |
|
14095 |
정신분석세미나 |
3 |
0 |
3 |
|
17022 |
정신역동치료 |
3 |
0 |
3 |
|
15789 |
집단미술치료 |
3 |
0 |
3 |
|
17544 |
집단심리치료 |
3 |
0 |
3 |
|
19708 |
창의적미술치료 |
3 |
0 |
3 |
|
17020 |
행동치료세미나 |
3 |
0 |
3 |
|
17547 |
행동치료특강 |
3 |
0 |
3 |
|
재활공학전공 |
15713 |
고등응용생체역학 |
3 |
0 |
3 |
19061 |
고령친화기기특론 |
3 |
0 |
3 |
|
15702 |
보조기기설계 |
3 |
0 |
3 |
|
15712 |
보조기기제작 |
3 |
0 |
3 |
|
18621 |
보조기및의지학특론 |
3 |
0 |
3 |
|
17031 |
응용장애진단및평가특강 |
3 |
0 |
3 |
|
19059 |
의용공학특론 |
3 |
0 |
3 |
|
19807 |
이동보조기기특론 |
3 |
0 |
3 |
|
19806 |
자세유지보조기기특론 |
3 |
0 |
3 |
|
17986 |
장애인자동차설계및운전자재활 |
3 |
0 |
3 |
|
17983 |
장애인편의시설특론 |
3 |
0 |
3 |
|
17037 |
재활공학과벤처산업 |
3 |
0 |
3 |
|
11224 |
재활공학및정보학 |
0 |
0 |
3 |
|
15705 |
재활공학특강 |
3 |
0 |
3 |
|
17984 |
재활과공학 |
3 |
0 |
3 |
|
19057 |
재활과학인턴쉽 |
3 |
0 |
3 |
|
17985 |
재활소프트웨어특론 |
3 |
0 |
3 |
|
17987 |
재활시스템계측과제어 |
3 |
0 |
3 |
|
19062 |
재활인간공학 |
3 |
0 |
3 |
|
17033 |
재활제어인터페이스특론 |
3 |
0 |
3 |
|
19808 |
정보접근보조기기특론 |
3 |
0 |
3 |
|
17030 |
직업재활과보조공학 |
3 |
0 |
3 |
|
물리치료전공 |
14090 |
기능운동 |
3 |
0 |
3 |
18050 |
물리치료진단학특론1 |
3 |
0 |
3 |
|
18051 |
물리치료진단학특론2 |
3 |
0 |
3 |
|
14086 |
물리치료평가도구개발연구 |
3 |
0 |
3 |
|
11873 |
물리치료학특론 |
3 |
0 |
3 |
|
11499 |
세포변성론 |
3 |
0 |
3 |
|
11979 |
소아물리치료특론 |
0 |
3 |
3 |
|
14085 |
소아운동장애 |
3 |
0 |
3 |
|
11998 |
신경가소성론 |
3 |
0 |
3 |
|
14092 |
신경신호전달체계 |
3 |
0 |
3 |
|
14087 |
신경재생학특론 |
3 |
0 |
3 |
|
17750 |
심폐물리치료특론 |
3 |
0 |
3 |
|
11982 |
운동생리학특론 |
3 |
0 |
3 |
|
17027 |
운동제어특론 |
3 |
0 |
3 |
|
11383 |
운동치료학특론 |
3 |
0 |
3 |
|
14091 |
응용물리치료정보학 |
3 |
0 |
3 |
|
12019 |
인체역학특론 |
3 |
0 |
3 |
|
11259 |
재활과학원론 |
3 |
0 |
3 |
|
17016 |
재활및정보공학 |
3 |
0 |
3 |
|
11175 |
재활연구방법및통계학 |
3 |
0 |
3 |
|
14084 |
전기광선생리학특론 |
3 |
0 |
3 |
|
작업치료전공 |
18616 |
감각통합치료 |
3 |
0 |
3 |
19471 |
근거중심재활 |
3 |
0 |
3 |
|
18618 |
근골격계작업치료학 |
3 |
0 |
3 |
|
18619 |
노인작업치료특론 |
3 |
0 |
3 |
|
19367 |
보조공학특론 |
3 |
0 |
3 |
|
18610 |
보조기및의지학 |
3 |
0 |
3 |
|
18612 |
신경계작업치료학 |
3 |
0 |
3 |
|
18627 |
신경계작업치료학특론 |
3 |
0 |
3 |
|
19074 |
신경과학특론 |
3 |
0 |
3 |
|
18613 |
아동작업치료학 |
3 |
0 |
3 |
|
19078 |
응용장애진단및평가특론 |
3 |
0 |
3 |
|
19076 |
인간작업모델특론 |
3 |
0 |
3 |
|
18615 |
일상생활동작 |
3 |
0 |
3 |
|
18622 |
일상생활동작특론 |
3 |
0 |
3 |
|
18609 |
임상운동학 |
3 |
0 |
3 |
|
18819 |
임상전문가추론과정 |
3 |
0 |
3 |
|
19075 |
작업과학 |
3 |
0 |
3 |
|
18626 |
작업치료세미나특론 |
3 |
0 |
3 |
|
19077 |
작업치료와장애학 |
3 |
0 |
3 |
|
18820 |
작업치료지식기반 |
3 |
0 |
3 |
|
18614 |
작업치료진단및평가 |
3 |
0 |
3 |
|
18620 |
작업치료진단및평가특론 |
3 |
0 |
3 |
|
18623 |
작업치료행정특론 |
3 |
0 |
3 |
|
18877 |
재활연구와지식전이 |
3 |
0 |
3 |
|
18611 |
직업재활작업치료 |
3 |
0 |
3 |
|
18876 |
최신재활문제및전문가의사소통과정 |
3 |
0 |
3 |
"박사보충" 표시된 과목
- 석사과정생이 수강할 경우, 전공과목으로 인정되며,
- 박사과정생이 수강할 경우, 보충과목으로 인정됨
★ 교과과정 및 교과목해설은 교육과정 변경에 따라 변동이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과목코드 |
과목명 |
교과목 영문명 |
교과목 한글개요 |
---|---|---|---|
10000 |
개별연구지도 |
Research Works |
학위논문의 작성을 위하여 지도교수의 지도하에 각 개인별 연구주제에 관하여 연구한다. |
10000 |
개별연구지도 |
Research Works |
학위논문의 작성을 위하여 지도교수의 지도하에 각 개인별 연구주제에 관하여 연구한다. |
18878 |
가족미술치료 |
Family art theraphy |
가족의 정신 병리를 이해하고, 가족치료의 체계적 접근법과 가족화에 의한 심리진단 및 집단미술치료 기법을 익힌다. 또한, 동적 가족화 진단 및 치료, 체계진단, 동그라미 중심 가족화, 그림에 의한 가족병리 진단 등을 다룬다. |
14003 |
가족상담 |
Family Counseling |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의 여러 개입모델과 개입기법을 살펴본 후, 이혼가족 상담, 청소년-부모관계 가족상담, 가정폭력 가족상담, 노인문제에 대한 가족상담, 분거가족을 위한 가족상담 등 가족의 문제영역에 따른 접근 방법을 배운다. |
18616 |
감각통합치료 |
Sensory Integration |
감각통합장애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와 감각통합치료의 원리 및 구체적인 치료방법을 익혀 임상현장에서 발달장애와 감각통합장애 아동을 치료하는데 응용하도록 개념과 기술 습득을 목표로 한다. |
17021 |
개인및집단심리치료 |
Individual/Group Psychotherapy |
개인 및 집단에 관한 주요 심리치료 이론들의 세부적인 개념들을 보다 깊이 고찰하고, 이 이론들과 개념들이 실제 심리치료 과정에서 어떻게 적용되는가를 학습한다. 그리고 심리치료 분야의 최근 논쟁점을 논의한다. |
19127 |
고급말과학 |
Advanced Speech Science |
음성산출과 음성인식에 관련된 음향학, 공기역학, 생체역학, 심리학 등의 내용들을 숙지하여 음성과학의 이론적 개념들을 임상적 응용과 기초연구에 통합하여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한다. |
11636 |
고급성격심리학 |
Advanced Psychology of Personality |
정신분석학, 행동주의, 현상학적 접근 등 주요 성격이론에 대한 이해를 기초로 하여 이론들 간의 논쟁점 그리고 성격이론의 최근 동향과 중요한 이슈를 논의한다. |
19064 |
고급신경심리평가 |
Advanced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
뇌손상 검사에 특화된 국내외의 여러 검사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한다. 이러한 검사들의 배경이 되는 이론을 학습한다. 이러한 검사들의 임상적 적용에 관해 학습한다. |
14231 |
고급신경심리학 |
Advanced Neuropsychology |
뇌의 기능과 직접 관련된 행동들을 이해하고, 뇌 기능장애로 인한 다양한 정신질환 및 신경질환들을 평가하는 방법들과 그 논리를 이해하도록 한다. 나아가 뇌 기능 및 조직화와 관련된 개인차에 대해서도 학습하도록 한다. |
17046 |
고급신경언어장애 |
Advanced Neurogenic Communication Disorders |
신경계 질환으로 발생하는 실어증, 운동구어장애, 연하운동장애학습장애, 학습장애 등에 심층 결과분석과 특성 관심장애의 사례의 연구 진단 및 치료프로그램을 개발한다. |
18002 |
고급심리연구방법론 |
Advanced Psychological Research Method |
|
11232 |
고급심리통계 |
Advanced Psychological Statistics |
심리연구와 관련해서 자주 쓰이는 통계적 방법들을 학습한다. 각 방법 별로 실제 데이터를 분석하고 결과를 논의한다. 이러한 방법들과 관련된 컴퓨터 계 패키지를 학습한다. |
18190 |
고급심리평가 |
Advanced Psychological Assessment |
심리검사의 제작원리 및 활용방법을 개관하며, 대표적인 임상심리검사의 실시, 채점, 해석 및 보고서 작성법을 익힌다. |
14077 |
고급언어발달장애 |
Advanced Study in Developmental Language Disorders |
정상언어발달 지식에 기초하여 언어발달 장애의 이론과 실제에 대해 심도 있는 연구를 한다. 구체적으로는 정신지체아, 자폐아 등의 언어발달 장애의 원인, 진단, 치료, 평가에 대한 도구와 치료 프로그램을 연구 개발한다. |
19052 |
고급언어진단실습 |
Advanced Clinical Practicum for Diagnosis in Language Disorders |
언어장애 진단의 이론을 실제에 적용하는 훈련을 함으로서 실제 임상에 적용하는 능력을 함양함을 목적으로 한다. |
18249 |
고급언어치료통계 |
Advanced Statistics for Speech Pathology |
본 과목은 언어치료연구와 이를 통한 석사 및 박사학위 논문 작성에 필수적인 통계분석 능력을 함양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기본적인 통계원리과 다변량분석과 같은 좀더 고차적인 통계분석 기법을 익힌다. 아울러 전통적인 SPSS를 비롯하여 최근 통계분야에서 핫이슈가 되고있는 R을 이용한 통계분석방법을 학습하므로써 의사소통장애 분야의 확장된 연구역량을 함양한다. |
14075 |
고급유창성장애 |
Advanced Study in Fluency Disorders |
최신 유창성장애에 대한 치료 및 연구들의 동향을 고찰한다. 특히 신경계 손상과 말더듬과의 관계, 청각 기능과 말더듬, 인지언어학적 측면에서 말더듬, 말더듬의 예방 등에 초점을 둔다. |
14076 |
고급음성장애 |
Advanced Study in Voice Disorders |
기질적, 기능적, 신경학적 음성장애에 대한 최신 연구물과 임상 케이스에 대해 학습한다. |
14074 |
고급음운장애 |
Advanced Study in Phonological Disorders |
음운장애 치료의 주요 쟁점을 비교.분석하여 새로운 치료의 방향을 탐색하며, 이에 기초한 치료방법과 치료 프로그램을 개발.실험.검증하는 고도의 학문적, 임상적 접근내용을 다룬다. |
12906 |
고급임상심리학 |
Advanced Clinical Psychology |
임상 심리학의 주요 연구 문제들을 중심으로 이의 고전적 연구들과 최근의 연구들을 개관한다. |
17611 |
고급장애인심리학 |
Advanced psycology of the disabled |
본 교과는 장애인의 심리적 특성 및 행동적 특성을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각종 성격이론들이 장애인의 심리행동적 특성을 이해하는데 어떤 조망을 주는지를 분석한다. 이러한 조망들을 통합하여 장애인 심리에 대한 종합적 접근의 방향을 모색한다. |
19132 |
고급전기생리학 |
Advanced Electrophysiology |
이 교과목은 청각언어재활 전공 분야에서 전기생리학적 지식을 응용한 학술 및 임상적 연구 방향과 창의적 연구 기획을 위한 토론 및 탐색 과정이다. |
17045 |
고급청각재활학 |
Advanced Auditory Rehabilitation |
이 교과목은 난청자의 청력손실 보상과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필요한 개인 휴대용 및 이식형 증폭장치를 이해하고, 임상적 적용과 학술적 연구 방향 등에 대해 토론한다.. |
15707 |
고등보완대체 의사소통 |
Advanced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
심한 의사소통 장애를 가진 사람을 의사소통기기 및 보상방법을 통해 결손된 기능을 회복할 수 있는 방법을 토의한다. |
15713 |
고등응용생체역학 |
Advanced Applied Biomechanics |
장애인을 위한 보조기기 및 인공장기의 개발에 생체역학이 응용된 사례를 토의한다. 특히 휠체어, 의지, 보조기, 인공시각, 인공와우, 인공후두 등의 지체 장애인 및 감각 장애인을 위한 재활공학 기기의 개발과 관련된 생체 역학적 관점을 토의한다. |
19061 |
고령친화기기특론 |
Advanced topics on age-friendly devices |
이 과목은 고령친화 용품과 기기를 개발하는 방법과 과정을 다룬다. 고령자를 위한 기기를 설계 및 개조하기에 앞서, 노인들이 그들의 생리적 변화에 대해 여러가지 서로 다른 방안으로 대처한다는 사실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
19467 |
근거기반청각평가와재활세미나 |
Seminar for Evidence based Audiological Evaluation & (re)habilitation |
이 교과목은 청각 및 언어병리학적 평가 결과 해석 등에 대한 기본 지식을 바탕으로 증례를 분석하고합리적 재활 방향을 모색하는 과정이다. 증례 분석은 경험적 증례, 학술 기사(article), 학술대회 회의록(proceeding) 등을 이용하며, 재활 진행 방향을 예측하고 이에 대한 대응도 함께 토론한다. |
19471 |
근거중심재활 |
Evidence-Based Rehabilitation |
근거중심재활은 최선의 연구근거를 치료사의 숙련도와 클라이언트의 가치에 접목시킨 것으로 본과목의 목표는 체계적 고찰과 메타분석방법을 배우고, 임상지침 개발과정을 익히는 데에 있다. |
18618 |
근골격계작업치료학 |
OT for Musculoskeletal Disorders |
근 골격계의 손상 또는 질환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고 작업치료의 목표, 평가, 치료, 역할에 대한 학습을 하며, 임상에서 사용되는 기술을 실습을 통해 습득한다. 이를 통해 근골격계 질환환장에 대한 효과적인 작업치료 중재를 계획하고 실행하는 방법을 익힐 것이다. |
14090 |
기능운동 |
Functional Movement |
인간이 일생을 살아가는 동안 일상의 생활에서 중요한 역할과 과제들을 완수하는 일과 관련된 효율적인 신체운동기능을 연구한다. |
19641 |
기억과인지 |
Memory and Cognition |
본 과목의 목적은 재활 및 노화와 관련하여 인간의 지식이 뇌에서 어떻게 표상되고 처리되는지에 관한 지식을 함양하는 것이다. |
19416 |
노년기놀이와 의사소통 |
A Study of Aging: Play and Communication |
생애 발달의 과정에서 노년기의 발달과 연구방법을 학습하고, 이 시기의 언어발달과정과 놀이의 중요성을 생활주기별로 고찰함으로써 고령화 사회에 따른 노화과정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 |
19050 |
노인언어재활 |
Geriatric Elderly Rehabilitation |
노인인구의 급격한 증가에 따라 노화과정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질환과 이로인해 발생되는 의사소통장애를 알아보고, 이에 대한 사례력 수집, 감별진단, 그리고 중재의 전과정에서 요구되는 언어재활사의 역할과 지식에 대해 탐구한다. |
19639 |
노인의사소통장애 |
Geriatric Communication Disorders |
본 강의는 노인 말-언어 병리학에서의 학생 교육에 대한 차원과 임상적 훈련을 다루고자 한다. 특히, 본 과정은 노인의 의사소통장애 파악 및 전문가적 중재와 관련된 임상적 훈련의 폭넓은 연습을 다루고 있다. |
18619 |
노인작업치료특론 |
Advanced Geriatric Occupational Therapy |
|
17997 |
놀이진단및평가 |
Play Diagnosis and Assessment |
|
19897 |
놀이치료관찰및실습 |
Play Therapy Observation and Practicum |
놀이치료실 현장과 전반적인 놀이치료과정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기 위한 실습과정으로, 놀이치료사의 역할과 놀이치료 과정에 대한 실제적인 역량 함양을 목적으로 한다. |
17999 |
놀이치료세미나 |
Play Therapy Seminar |
|
19740 |
놀이치료실습 및 수퍼비전 |
Play Therapy Practicum and Supervision |
놀이치료 전문가로서의 역량을 발휘하기 위하여 놀이치료 사례에 대한 실제적인 실습과 자신의 놀이치료 사례에 대해 수퍼비전을 받는 과정이다. |
19053 |
다문화와의사소통 세미나 |
Seminar for Multiculture and Communication |
언어병리학의 최근 연구에서 중요한 주제로 떠오르고 있는 이중언어가 논의되며 또한 다문화 가족을 위한 언어중재가 포함되어 있다. |
14206 |
다변량재활연구방법 |
Multivariate Rehabilitation Research Methology |
재활은 복잡한 현상 즉 하나 이상의 독립변수들에 대한 탐구를 중요시하여 여러 가지 실험 변수들의 독특한 효과와 상호작용 효과에 관해 해답을 얻을 필요가 있고 여기에 따르는 분석기법과 적용방법들을 연구한다. |
17015 |
단일대상연구방법론 |
Principles of Single Subject Research Design |
단일대상과 관련된 재활연구를 과학적으로 설계·실시·검증하는 방법을 토의하고 각종 연구 결과 및 자료를 분석 할 수 있는 지식과 기능을 다룬다. |
18013 |
동양심리치료 |
Oriental Psychotherapy |
|
14080 |
두개-안면기형 |
Cranio-Facial Anomalies |
두개, 구강, 안면의 구조적 기형과 결합으로 발생하는 의사소통장애의 양상을 심층분석하고 그에 대한 의학적 중재와 언어치료를 복합적으로 탐구한다. |
19126 |
말과학세미나 |
Seminar in Speech Science |
의사소통장애의 진단과 치료에 적용할 수 있는 말 산출의 조음 및 생리학, 말소리의 음향 특성, 청자가 말소리를 지각하는 과정 등에 관한 소양을 쌓는다. |
19640 |
말소리장애 연구방법론 |
Advanced study of speech sound disorders |
말소리장애에 대한 최근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구체적인 연구계획을 세워 실험을 진행한다. |
19417 |
말소리장애의 감별진단과치료 |
Differential Diagnosis and Treatment of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
말소리장애에 대한 최근의 이론을 살펴보고 말소리장애 하위유형분류를 위한 감별진단 절차를 숙지한다. 더 나아가 말소리장애의 하위유형별 중재접근법에대한 논의한다. |
19418 |
말-언어처리장애연구 |
Advanced Study of Speech-Language Processing Disorders |
구어산출과정에 대한 대표적인 말-언어처리 모델들을 숙지한 후 의사소통장애 환자가 보이는 다양한 결함들을 심리언어학적으로 분석하고 이에 대한 중재 계획을 수립한다. |
18888 |
말운동장애세미나 |
Seminars in Motor Speech Disorder |
중추신경계 및 말초신경계 손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마비말장애와 말실행증에 대한 진단 및 치료방법을 심층적으로 다룬다. |
19743 |
말지각 및 음운처리연구 |
Speech Perception and Phonological Processing |
말소리 입력과정의 가장 근간이 되는 말지각 처리과정에 대해 살펴보고, 이 과정에 결함이 발생하였을 경우 그것이 음운처리 및 말소리산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심층적으로 연구한다. |
19712 |
매체연구및실습 |
Art Therapy Materials |
미술매체가 가진 치료적 속성을 이해하고 이의 다양한 활용을 탐구함으로써 현장 적용력을 기른다. |
18010 |
명상치유와 긍정심리학 |
Meditation Based Approaches & Positive Psychology |
|
19741 |
모래놀이치료 |
Sandplay Therapy |
모래놀이치료의 기본 개념과 주요 이론을 익히고, 모래놀이과정에서 나타나는 상징의 의미를 이해한다. 또한 사례분석 및 실습을 통해 모래놀이치료를 아동에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
19164 |
문제행동 언어재활 연구 |
Language rehabilitation of problem behavior |
언어장애와 의사소통장애의 경우 특수한 문제를 동반하기 쉽다. 따라서 문제행동과 언어병리학을 접목시켜 바라볼 수 있는 기회를 갖고자 하였다. 특히 특수아동에게서 나타나는 의사소통장애에 관하여 알아보고 언어진단 및 언어중재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
18911 |
물리치료임상실습 |
PhysicaL Therapy Clinical Practicum |
이 과목은 학과 기준 실습시간 외 필요한 학습과정을 위해 임상병원의 현장에서 실시하는 과목이다. 물리치료와 관련된 여러 치료기법들의 임상적 효과를 임상현장교육을 통해 연구하여 물리치료 임상기법을 익힌다. 또한 전기치료, 운동치료, 수기치료 등 최근 각 분야별로 변화와 추이를 분석하여 물리치료의 효과를 상호분석하고 그 효과를 임상적으로 검증한다. 그로 인해 학생들은 효과적이고 실제적인 교육을 받는다. |
18050 |
물리치료진단학특론1 |
Advanced Physical Therapy Measurement & Evaluation 1 |
물리치료학의 기초가 되는 물리치료학적 진단 및 평가 방법에 대한 최근의 트렌드를 탐색하고, 보다 심도있는 학문적 탐구를 통하여 임상에서 평가할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완성하여 기초적 자료를 제공함으로 내원 환자에 대한 정확한 평가와 진료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다. |
18051 |
물리치료진단학특론2 |
Advanced Physical Therapy Measurement & Evaluation 2 |
물리치료학의 기초가 되는 물리치료학적 진단 및 평가 방법에 대한 최근의 트렌드를 탐색하고, 보다 심도있는 학문적 탐구를 통하여 임상에서 평가할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완성하여 기초적 자료를 제공함으로 내원 환자에 대한 정확한 평가와 진료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다 |
14086 |
물리치료평가도구 개발연구 |
Evaluation Tool Development for Physical Therapy |
물리치료노화판정의 중요성에 따라 보다 객관적이고 표준화된 평가도구가 필요하다. 본 과목은 임상에서 쉽고 올바른 방법으로 적용할 수 있는 물리치료 평가도구 개발을 위한 지침을 제공한다. |
11873 |
물리치료학특론 |
Advanced Physical Therapy |
물리치료학의 과학적 접근법과 변천하는 질병의 양상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여 새로운 물리치료법 등 물리치료전반에 관한 것을 연구한다. |
19710 |
미술심리진단평가 |
Psychological Diagnosis and Assessment of Drawings |
그림진단검사 및 미술치료기법을 중심으로 실시방법 및 해석기준을 알아보고, 그림을 통해 나타나는 개인의 심리적 특성을 연구 분석한다. |
19898 |
미술재활세미나 |
Art Therapy Seminar |
미술치료전문가로서 갖추어야할 관련분야 최근 지식과 연구동향 등에 대하여 연구 발표, 토론을 통해 전문적인 역량과 연구능력을 배양한다. |
19762 |
미술재활프로그램 개발및평가 |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rt rehabilitation Program |
다양한 장애 대상과 증상, 구성에 따른 미술재활 및 치료 프로그램을 학습한다. 이를 통해 보다 효과적인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구성하여 전문적인 역량을 배양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
19713 |
미술재활현장실습 |
Art Therapy Fieldwork |
미술치료 임상 현장에서 필요한 다양한 실무와 사례 관리법 등을 학습하고, 실습 경험을 통해 전문적인 현장 실무 능력을 갖춘 미술치료 전문가로 양성한다. |
16889 |
미술치료 |
Art Therapy |
미술치료에 대한 정의를 파악하고, 심신장애인의 특성에 따른 미술치료에 대해 공부한다. 이를 위해 DAP, HTP, KFD, KSD, LMT, 콜라쥬, 그림에 의한 가족체계진단 등의 미술치료의 구체적인 치료기법을 학습하게 되며, 또한 미술을 통한 심리 진단을 익힌다. |
19366 |
미술치료사례연구 |
Art therapy case study |
본 교과에서는 조형 활동에 필요한 각종 매체(회화,조소 등) 이해 및 실습을 통해 사례연구를 이해한다. 또한 내담자 특성 및 장애 특서엥 따른 미술치료 적용에 대해 연구하고, 실제적 측면에서 발생되는 정서 등에 대해 토의하며, 미술치료의 활용에 대해 연구하고 토의한다. |
17018 |
미술치료세미나 |
Seminar in Art Therapy |
미술치료 기법을 적용하여 아동과 성인이 직면한 문제와 심리적, 정서적 상태를 진단하고 미술적 표현과 상징적 체계를 기반으로 한 치료기법을 연구하고 개발한다. |
18006 |
미술치료 연구동향분석 |
Research Analysis in Art Therapy |
|
19706 |
미술치료학개론 |
Introduction to Art Therapy Counseling |
미술치료에 대한 정의, 미술치료의 요소, 미술치료의 역사, 미술치료의 단계와 사례 등 미술치료의 기반이 되는 미술치료 전반에 대한 기초적 개념을 다룬다. |
19745 |
발달장애와의사소통세미나 |
A Semimar on Developmental Disability and Communication |
본 세미나는 발달장애 의사소통에 기반을 둔 것이다. 발달장애 아동, 청소년 및 성인의 음성학, 음운론, 형태론, 구문론, 의미론, 화용론의 언어학 하위 영역에 대해 이해함으로써 발달장애의 언어 및 의사소통 중재 방법을 체계화되고 탐구한다. |
19071 |
발달장애인재활론 |
Advanced study of rehabilitation of the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이 과목은 발달장애인 지역사회 적응에 필요한 교수요목을 다룬다. 특히 학습자로 하여금 지적장애와 자폐성 장애를 가진 사람들을 돕기 위한 정보 ( 법, 정책, 서비스, 철학). 경험, 해결방안 그리고 통찰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
18692 |
발달장애인재활심리 |
Rehabilitation psychology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
11615 |
발달정신병리학 |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
아동 및 청소년기에 흔히 나타나는 정신장애를 학습한다. 이러한 장애의 출현에 미치는 발달적 요소의 영향을 탐색하고, 그것을 교정하는 방법을 다룬다. |
19742 |
발달진단및심리평가 |
Assessment and Evaluation of Children with Special Needs |
임상 현장에서 사용되는 아동 발달진단 및 심리평가와 측정방법들을 학습한다. 이 과정을 실제로 실시하고, 채점하며, 해석할 수 있는 기술을 익히고, 진단적 평가를 위한 평가 자료들을 통합하는 능력을 발달시켜 나간다. |
13252 |
부모교육및상담 |
Parents Education and Counselling |
부모됨 및 부모자녀관계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아동의 성장과 발달을 돕는 바람직한 부모역할 탐색을 목표로 한다. |
14207 |
보완대체의사소통 |
Augmentative – Alternative Communication |
중증 지체부자유, 중증 의사소통 장애인들이 사용할 수 있는 상징체계 및 공학적 보조기기를 사용한 의사소통방법을 탐구하고, 다양한 임상사례별로 보완-대체 의사소통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
19367 |
보조공학특론 |
Advanced Assistive technology |
장애인의 기능적 능력을 유지, 향상시키기위한 보조공학적 접근 방법을 이해하고 보조공학과 관련된 다양한 학문 분야의 기초적 이론과 응용 사례를 소개한다. |
15702 |
보조기기설계 |
Design of Assistive Devices |
장애인용 재활 및 보조기기 중에서 특정 품목을 선택하여 기기의 구성 재료, 구조, 작동 메커니즘, 설계사양, 제작 방법, 평가 방법 등을 토의하고, 개조 및 설계를 위한 창의적 아이디어 도출 및 설계도 작성과 실물 제작을 실습하고 토론한다. |
15712 |
보조기기제작 |
Manufacturing of Assistive Devices |
장애인용 재활 및 보조기기 중에서 특정 품목을 선택하여 기기의 구성 재료, 구조, 작동 메커니즘, 설계사양, 제작 방법, 평가 방법 등을 토의하고, 개조 및 설계를 위한 창의적 아이디어 도출 및 설계도 작성과 실물 제작을 실습하고 토론한다. |
18610 |
보조기및의지학 |
Orthotics and Prosthetics |
상하지 보조기, 척추 보조기, 휠체어, 보행보조기 등과 상하지용 의지의 제작, 기능평가 및 사용훈련 등에 대하여 학습하며, 구체적으로는 인체 운동의 기본요소(보행 특성) 및 병리적 운동 등에 대한 기본이해와 보조기 및 의지의 기본원리 및 그 유형, 그리고 적용방법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
18621 |
보조기및의지학특론 |
Advanced Orthotics and Prosthetics |
|
18886 |
보청기학 |
Hearing Aids Sciences |
이 교과목은 청력손실 보상과 난청자의 삶의 질 향상에 크게 기여하는 보청기의 전반적 내용을 토론하는 과정이다. 여기에는 난청과 보청기의 이해, 청력손실 특성과 보청기 적응, 보청기 조절과 적응 평가, 사용 검증 등이 포함되며, 이에 관한 학술적 임상적 연구 결과를 함께 토론한다. |
18000 |
부모상담과부모-자녀 관계증진 |
Parent Counseling and Parent-Child Relationship Enhancement |
|
19744 |
사회인지와 의사소통연구 |
Social Cognition and Communication |
대인관계나 사회생활에 적응하는데 필요한 사회적 행동을 결정하는 자기인식, 자아개념, 자존감, 자기효능감, 자아인지, 성취동기, 정체성, 타인지각, 정서이해능력, 행동원인추론 등의 메타 인지 및 메타 언어기능과 마음이론 등을 다룬다. |
19643 |
사회적의사소통 세미나 |
A Seminar on Social Communication |
|
14203 |
산업교육세미나 |
Seminar on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of Employee |
직업훈련의 방법 및 기법, 직업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의 유형, 훈련과 평가, 장애인의 산업안전교육 및 훈련, 고용보험제도하의 장애인 평생 직업교육체계 등에 관한 이론과 실제를 다룬다. |
19638 |
삼킴장애고급세미나 |
Expert seminar in dysphagia |
본 과목은 삼킴장애의 평가와 실제적인 재활관리에 대해 다루고 있다. 수업 중, 비디오투시조영 삼킴검사 영상을 통한 임상적 인상과 평가 실시 및 근거 기반 재활 방법, 부가적 양식 등에 대한 주제를 포함한다. |
19635 |
생애주기별 가족미술치료 |
Family art therapy in life cycle |
가족은 생애주기에 따라 변화 발전한다. 처음엔 부부 중심이지만,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가족구성원은 자녀와 부부로 변화된다. 자녀가 태어나면서 부부의 생활방식도 변화하게 되는데, 이러한 변화는 자녀의 성장과 함께 지속된다. |
18695 |
성인및노인미술치료 |
Adult and elder art therapy |
|
14205 |
성인장애인재활훈련 |
Rehabilitation Training for the Disabled Adult |
성인으로서 직장생활을 하다가 중도에 장애가 된 중도장애인 특히 산업재해 장애인의 재활과정, 기법 특히 직업재활 프로그램을 알아보고 선진외국(미국, 독일, 일본 등)의 중도성인장애인 재활훈련 정책을 비교적인 관점에서 다룬다. |
11499 |
세포변성론 |
Cellular Degeneration |
세포가 여러 유해 인장에 의해 손상 받았을 때 세포는 변성을 야기할 수 있는데 세포변성시 수반되는 세포학적 미세구조 변화와 세포내 미세환경 변화를 병리학적 연구방법, 생화학적 변화 관찰 및 분자 생물학적 접근을 통해 이해한다. |
11979 |
소아물리치료특론 |
Advanced Pediatric Physical Therapy |
물리치료 대상자 중에서 소아 연령층에 해당하는 질환과 치료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게 한다. |
14085 |
소아운동장애 |
Pediatric Movement Disorders |
소아기에 발생하는 질병이나 상해로 인하여 초래된 신체운동의 장애와 그와 관련된 관리나 치료에 대하여 연구한다. |
11998 |
신경가소성론 |
Neural Plasticity |
중추신경계의 가역적 손상 뒤 여러 인자와 조건에 의해 기능의 회복을 비롯한 구조의 변화와 재배열을 조직이식법, 면역조직화학법, 전자현미경적 관찰 및 분자약리학적 접근을 통해 이해한다. |
18612 |
신경계작업치료학 |
OT for Neurological Disorders |
뇌졸중, 뇌손상, 척수손상 환자 등의 성인에게 발생되는 신경학적 손상 환자에 대하여 다양한 치료이론을 통한 작업치료의 접근방법과 치료방법에 대하여 학습한다. 이 강좌를 통해 학생들은 각 신경계 질환에 대한 정의 및 특성, 주요증상, 작업치료 평가와 작업치료 중재의 형식을 체계적으로 학습하여 신경계질환 환자들을 치료하는 작업치료사로서의 전문성을 함양할 수 있다. |
18627 |
신경계 작업치료학특론 |
Advanced OT for Neurological Disorders |
|
19074 |
신경과학특론 |
Advanced Neural science |
신경과학의 궁극적인 목표는 신경회로를 흐르는 전기적 신호들에 의해 우리가 지각하고, 행동하고, 생각하고, 배우고, 회상하는 과정을 이해하는 것이다. |
14092 |
신경신호전달체계 |
Signal System of Neuronal Transmission |
근육의 활동을 포함한 거의 모든 말초 장기의 운동 또는 작용은 신경계의 지배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신경계의 관여가 어떤 방법으로 진행되는지에 대한 관심이 최근 괄목할만한 성장을 하고 있고 새로운 이론과 정보가 빠르게 산출되고 있는 추이이다. |
14096 |
신경심리세미나 |
Seminar in Neuropsychology |
신경계의 생리에 대해 살펴보고 심리연구에서 신경학적 접근의 연구 성과를 공부한다. 주의, 언어, 시공간, 기억 그리고 관리능력 등이 주요 토픽이다. 주로 동물실험결과보다 인간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살펴보며 뇌손상 환자의 임상적 검사에 대해서도 공부한다. |
18001 |
신경심리재활론 |
Neuropsychological Rehabilitation |
|
18505 |
신경심리평가 |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
신경심리평가에 필요한 이론과 실제를 익힌다. 주요 신경심리기능을 주의, 기억,언어, 시공간, 관리기능으로 나누어 접근한다. 신경시리평가 보고서를 쓰는 방법을 학습한다. |
17023 |
신경심리평가및재활 |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and Rehabilitation |
뇌손상 환자의 심리평가 및 재활에 관한 임삱거 훈련을 시키는 것이 목적이다. 강의 내용은 뇌손상 환자의 심리평가에 필요한 이론적 토대, 신경심리평가를 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신경심리평가를 실시하고 보고서를 쓰는 방법에 관해 사례별로 실전적 경험을 쌓는다. |
11402 |
신경심리학 |
Neuropsychology |
인간 신경심리학의 주요 연구 결과들과, 언어, 공간력, 시지각, 수이적 운동, 기억, 정서, 전두엽-관리기능에 대한 뇌연구를 학습하고, 뇌손상 환자의 심리검사에 필요한 이론적 배경을 이해한다. |
17039 |
신경언어장애세미나 |
Seminar in Neurogenics |
중추신경계 및 말초신경계의 병리현상으로 발생하는 언어 및 구어장애 양상의 감별진단과 치료접근법을 토의한다. |
19131 |
신경언어장애 연구방법 |
Research Methods in Neurologic Communication Disorders |
신경언어말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한 실험 및 조사 연구에서 적용할 수 있는 연구방법에 대해 익히고, 기초 실험설계 후 자료수집, 통계분석, 결과해석, 논의의 전 과정에 이르는 연구 과정에 대해 연습한다. |
14087 |
신경재생학특론 |
Advanced Neuro-Regenderation |
중추신경계 손상 후 뇌가 변화하고 재생되는 일련의 과정을 신경 생리적 연구 방법을 통해 관찰하고, 임상에서 다루어지는 여러 뇌의 기능 강화 또는 재교육 기법들을 검증하고 논의하며, 그 재생기전과 활용도의 장단점을 규명한다. |
18889 |
신경학적 의사소통장애 고급세미나 |
Sminar in neurogenic communication disorder |
신경학적 인지-의사소통장애 장애 환자에 대한 고급세미나 과목으로서 신경기초에 대한 지식 습득과 더불어 다양한 신경 언어 및 말장애 환자 진단과 중재 기술에 대한 최신 지견을 습득할 수 있다. |
19049 |
신경학적 의사소통장애 치료방법 |
Therapy Methods in Neurogenic Communication |
신경학적 의사소통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한 진단과 치료의 근거기반실제를 학습하는 과목으로서 성인 신경 말-언어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한 다양한 치료이론과 중재 방법, 실험 설계 등에 대해 종합적으로 고찰하고 탐색한다. |
19161 |
실어증 및 우반구손상 |
Aphasia And Right Hemisphere Damage |
실어증이나 우반구손상이 있는 환자들을 평가할 수 있는 지식과 기술, 언어 또는 인지-의사소통장애에 대한 교육과 상담 방법에 대해 연마한다. 치료와 관련된 기능적, 효능적 접근데 대해 알아본다. |
19162 |
실어증 언어평가 및 중재 |
Language Assessment And Inter Vention: aphasia |
신경언어장애를 보이는 성인(청소년~노인)들의 평가와 중재에 대한 최신 이슈와 접근방법에 대해 고찰한다. |
19470 |
실어증치료절차 |
Therapeutic Procedures in Aphasia |
본 과목은 실어증 환자가 보이는 특정 문제에 대한 상세한 치료기법을 정립하고 적용함으로써 실어증 성인 중재에 있어 이론적 기반을 확립하고자 한다. 특정한 중재 적용을 위한 임상 검사와 절차들이 모색될 수 있다. |
18009 |
심리기술훈련과 부모훈련 |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 Parent Trainin |
|
11410 |
심리사회적재활 |
Psychosocial Rehabilitation |
장애인이 재활의 과정 중에 가지는 욕구, 정서, 관심, 가치감, 태도 등 심리적 요인과 사회환경적 요인에 대한 접근으로써 장애인 자신과 주변사람들의 심리사회적 문제를 다룬다. |
17545 |
심리연구방법론 |
Psychological Research Methods |
심리학적 연구에 필요한 방법론들을 리뷰한다. 문헌 연구, 연구 설계, 연구 수행, 결과 분석, 논문 작성의 각 단계에서 필요한 사항들을 논의한다. 재활심리연구의 맥락에서 행해지는 연구에 강조점을 두며, 단일사례 연구 방법론도 포함하여 논의한다. |
14097 |
심리연구세미나 |
Psychological Research Seminar |
심리연구 프로젝트의 수행을 위한 전 과정에 대해 논의한다. 연구 방법의 이론적인 측면을 토대로 실제 연구를 강조한다. 자신의 석사 혹은 박사학위 논문의 기획에 관해 발표한다. |
11634 |
심리치료 |
Psychotherapy |
주요 심리치료이론 및 상담이론의 세부적인 개념을 보다 깊이 고찰하고, 이 이론들과 개념들이 실제적인 심리치료 및 상담과정에서 어떻게 적용되는가를 학습한다. 그리고 심리치료 분야의 최근 논쟁점을 논의한다. |
18011 |
심리치료사례연구 |
Study of Psychotherapy Cases |
|
18012 |
심리치료실습지도 |
Psychotherapy Supervision |
|
18015 |
심리치료와종교 |
Psychotherapy and Religion |
|
12109 |
심리통계 |
Statistical in Psychology |
심리학적 연구에 필요한 통계 방법들을 리뷰한다. 기술통계, t검증, 변량분석, 상관관계 등의 통계기법을 시리연구에서 얻어진 자료의 분석에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는데 중점을 둔다. |
17750 |
심폐물리치료특론 |
Advanced Cardiopulmonary Physical Therapy |
본 교과는 노인, 근 골격계, 호흡 순환계, 신경계 질환을 가진 환자의 산-염기, 환기, 관류와 같은 호흡 생리학적 특성을 이용하여 운동처방, 기도 청결에 필요한 흉부 물리치료, 가동성 운동, 복식호흡, 설인호흡법, 능동순환호흡, 국소 폐 분절 확장운동, 흡기근 훈련 등의 심폐물리치료를 연구한다. 심장 재활에 필요한 성인 및 소아의 트레드밀 검사, 운동 부하 검사, 심전도, 걷기 검사와 같은 다양한 평가도구 및 운동 방법 등을 연구한다. |
19128 |
아동과청소년의 언어재활 |
Language Rehabilitation for Children/Adolescent with Language Disorders |
이 교과목에서는 아동기에서부터 청소년기까지의 발달단계에서 접근할 수 있는 의사소통 문제를 들여다보고, 발달과 관련된 각 단계에서 적절한 진단과 평가, 중재를 다루고 있다. |
14101 |
아동심리치료세미나 |
Seminar in Child Psychotherapy |
아동기 정신 병리적 현상들에 대한 다양한 치료접근법에 대해 연구하고, 이를 현장에 적용하고, 그 결과를 토의하고 발전시키는 과목이다. |
18613 |
아동작업치료학 |
Occupational Therapy for Children |
아동작업치료학은 지체장애, 뇌성마비 등 소아성 장애를 가진 아동들과 청소년에게 다양한 치료이론을 통한 작업치료의 접근 방법과 치료방법에 대하여 학습한다. 이 과목을 통해 아동작업치료의 기초지식, 아동의 작업치료평가, 아동 작업치료의 중재 및 아동작업치료의 서비스 분야에 대해 학습할 수 있다. |
18882 |
언어발달과 읽기쓰기언어처리 |
Language Development & Language Processing in Reading and Writing |
학력기 아동 및 청소년 언어의사소통장애의 진단과 중재에 대해 언어발달 및 읽기 쓰기 언어처리과정 측면에서 논의한다. |
19165 |
언어발달장애 연구방법론 |
Research Methods in Language Developmental Disorders |
언어발달장애로 언어에 어려움을 보이는 아동, 청소년, 성인에 이르기까지의 의사소통장애를 진단하고 치료하는 언어치료임상에서 새로운 학문의 흐름을 파악하고 임상정보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해석하는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
19051 |
언어발달장애세미나 |
Seminar for Language Developmental Disorders |
언어발달장애의 화용론적, 의미론적 구문론적 측면을 고찰하고, 장애의 진단 및 치료방법을 학습한다. |
17043 |
언어임상관찰및실습 |
Clinical Observation and Practicum |
임상현장의 치료의 실제를 관찰하고, 대상자한 적절한 진단 및 방법을 계획하고 적용하는 방법의 훈련을 통해 임상가의 역할에 대해 토의한다. |
18912 |
언어재활관찰 |
Clinical Speech Therapy : Observation |
언어장애를 가진 대상자들을 평가하고 진단하며, 중재하는 임상현장에 대해 관찰하여 보고서 작성 방법에 대한 훈련과 다양한 관점으로 임상현장을 바라볼 수 있는 시야가 생길 수 있다. |
18913 |
언어재활실습 |
Clinical Speech Therapy Practicum |
본 과목에서는 다양한 의사소통장애를 가진 대상자들을 실제 평가, 치료설계 및 중재함으로써 임상경험 뿐 아니라 보다 다양한 최신 치료접근법에 대해 습득하여 이론적으로도 전문적인 언어재활사가 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할 수 있다. |
19368 |
언어재활정책 |
Language Rehabilitation Policy |
언어재활정책의 구성요소와 정책결정 및 실행, 정책평가 등을 이해함으로써 언어재활정책에 대한 이론과 실천을 체계화하여 언어재활정책의 방향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전반적인 사항과 최신동향에 대해 탐구한다. |
18914 |
언어재활현장실무 |
Clinical Speech-Therapy Field Practicum |
언어재활사의 직무와 윤리의식에 대해 논의하고, 다양한 언어재활현장의 실무감각을 익힌다. |
19642 |
언어학과 의사소통세미나 |
A Seminar on Linguistics and Communication |
본 세미나는 언어학적 접근을 위한 의사소통에 기반을 둔 것이다. 음성학, 음운론, 형태론, 구문론, 의미론, 화용론의 언어학 하위 영역에 대해 상세히 이해함으로써 언어 및 의사소통장애에 대한 이론을 체계화하고 탐구한다. |
18881 |
언어학습및인지의 발달장애 |
Developmental Disorders of Language Learning & Cognition |
이 과목에서는 언어학습 및 인지에 관한 발달장애에 대해 논의하며, 언어학습장애를 일으킬 수 있는 발달적 인지장애, 단순언어장애, 주의력결핍과잉운동장애등의 언어치료에 초점을 둔다. |
17042 |
연하장애세미나 |
Seminar in Swallowing Disorders |
정상 연하의 생리학적 측면을 대해 살펴 보고, 연하장애의 진단 및 평가와 치료 접근법에 대해서 토의한다. |
19594 |
외상성 뇌손상 세미나 |
Seminars in Traumatic Brain Injury |
이 과정에서는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인지-의사소통장애에 수반된 연결된 주의력, 기억력, 언어능력 및 집행능력에 대해 알아본다. 이 환자군에게서 관찰되는 의사소통 특징과 평가 및 치료 방법에 대해 다양한 방법론적 접근을 도모한다. |
11982 |
운동생리학특론 |
Advanced Exercise Physiology |
운동에 필요한 에너지의 개념과 에너지의 생성과 이용, 피로의 발생과 회복과정 그리고 신경과 근육의 운동생리를 다루는 과목이다. |
17027 |
운동제어특론 |
Advanced Motor Control Therapy |
중추신경계 환자의 신체기능과 운동능력을 회복시키기 위한 치료에 적용하고 있는 운동조절이론을 이해시킨다. |
11383 |
운동치료학특론 |
Advanced Therapeutic Exercise |
운동을 통해 건강을 증진하여 질환을 치료하는 학문으로 질환에 따른 운동처방법도 교육한다. |
19707 |
유아동미술치료 |
Art Therapy for Infants and Children |
유아동의 신체, 정서, 인지발달과 아울러 미술발달에 대해 익히고 유아동기 문제행동에 맞는 미술치료 이론과 실제 적용을 배울 수 있도록 한다. |
12013 |
유창성장애세미나 |
Seminar in Fluency Disorders |
말더듬 치료에 대한 방법들과 이론들 및 이러한 이론들간의 차이점과 실제, 말더듬치료에서 응용 및 치료 실제들을 다룬다. |
12009 |
음성장애세미나 |
Seminar in Vioce Disorders |
다양한 심도의 청각장애에 관하여 그 특성 및 검사방법을 다루고 보청기와 인공와우를 포함하는 재활 방법들에 대하여 토의한다. |
18887 |
음운및언어처리장애 세미나 |
Phonological Processing, Language Processing and Communication Disorder |
심리언어학 기반의 다양한 말-언어처리 모델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고, 이것을 발달성 및 후천성 말-언어장애에 적용하는 것이 본 강의의 목표이다. 언어처리 모델은 근거한 접근은 의시소통장애의 심층적 평가와 효과적인 치료방법의 세우는데에 매우 유용할 것이다. |
14091 |
응용물리치료정보학 |
Applied Physical Therapy Informatics |
날로 변화되어 가는 물리치료의 최근 정보를 컴퓨터를 이용하여 쉽게 접할 수 있는 방법과 CAI(Computer Assisted Instruction)에 대한 개념 그리고 재활분야에서의 컴퓨터 활용방법 등을 이해하도록 필요한 지침을 제공한다. |
17031 |
응용장애진단 및 평가특강 |
Special Topics on Applied Evaluation & Assessment for Disabled |
재활공학 영역에서 필요로 하는 장애의 각종 평가방법(운동기능평가, 근력평가, 호흡기계평가 등)에 대한 학문적인 원리 등을 강의한다. |
19078 |
응용장애진단 및 평가특론 |
Advaced Applied Evaluation & Assessment for Disavled |
|
19054 |
의사소통장애 상담연구 |
Advanced Counseling for Communication Disorders |
언어장애를 위한 중재를 포함하여 언어발달과 의사소통이라는 측면에서 이론적이며 실제적인 상담 지식을 형성하기 위한 문헌/텍스트 읽기와 토론, 실제 언어장애에 대한 중재와 관찰, 상담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
18891 |
의사소통장애 연구방법론 |
Research Methods in Communication Disorders |
과학적인 연구에 필수적인 자료수집, 실험설계, 통계분석, 보고서 작성에 관한 지식을 습득하여 의사소통장애 분야의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기본적인 소양을 함양한다. |
19163 |
의사소통장애 진단평가세미나 |
Seminars in Diagnosis & Evaluation in Communication Disorders |
언어치료 이론을 현장 실무에 적용하여, 언어장애 대상자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고 보고서를 작성할 수 있다. 그리고 대상자에 대한 장기 치료 목표와 치료 계획을 세우고 실시하여 치료 후 대상자의 변화를 서술할 수 있다. |
19059 |
의용공학특론 |
Advanced Biomedical Engineering |
|
18880 |
인간과윤리 |
Human and ethic |
치료사로써 인간에 대한 이해를 보다 깊게 하며 치료사의 윤리적 측면을 다뤄줌으로써 앞으로 미술치료사로써 자질을 함양을 꾀한다. |
19073 |
인간발달과재활 |
Human Development & Rehabilitation |
이 과목은 성인장애인을 위한 직업교육 프로그램, 직업재훈련 프로그램, 직장배치에 관한 이론과 실제를 배운다. |
19076 |
인간작업모델특론 |
Advanced MOHO in korea |
체계적으로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고, 작업치료 현대적 모델 중 최다 근거를 보유하고 있는 작업중심 치료적용 모델인 인간작업모델의 한국에서의 작업치료 적용방법에 대해 모색해본다. |
14062 |
인간행동의 진단과치료 |
Uncerstanding of Human Behavior |
인간의 다양한 문제 행동에 대한 이해와 진단 및 각종 치료방법과 예방법들을 학습한다. 정상행동에 대한 이해와 정상행동을 더욱 향상.증진시키는 방법도 학습한다. |
18821 |
인공와우이식세미나 |
Seminar for Cochlear Implantation |
인공와우는 난청자에게 가장 발전된 청각재활도구이다. 인공와우 이식 후보자와 이식 과정 그리고 이식 후 청각재활에 관한 이론적 배경 지식을 습득하고, 증례 중심의 재활 계획 등을 토론한다. |
19469 |
인지·행동·의사소통을 위한 고급신경학 |
Advanced Neurology of Cognition, Behavior, and Communication |
말, 언어 산출 및 지각, 삼킴능력에 기초가 되는 신경학적 지식을 종합적으로 확장하는 수업이다. 다양한 인지 및 행동장애를 갖고 있는 아동과 성인의 신경학적 의사소통장애에 대해 종합적인 설명을 제공한다. |
19130 |
인지의사소통장애 세미나 |
Seminar in Cognitive Communication Disorders |
치매, 우반구 손상, 외상성 뇌손상 등의 인지-의사소통 장애 환자의 인지-의사소통장애 평가와 중재 전반에 대해 알아보고, 이에 대해 종합적으로 탐색한다. |
17024 |
인지치료세미나 |
Seminar in Cognitive Therapy |
인간행동 및 심리적 장애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인지치료를 습득하게 하고, 인지-정서-행동간 연결고리를 찾는 방법에 대해 토의한다. |
11619 |
인지행동치료 |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
다양한 심리적 장애를 다루는데 사용되는 적극적이고, 지시적이며, 시간제한적이고 구조화된 현재 지향적이며 특정한 목표증상을 표적으로 하는 심리치료방법으로써, 내담자로 하여금 인지-정서-행동간의 관련성을 찾고, 왜곡된 인지의 수정 및 현실 대처능력을 기르도록 도와주는 방법을 배우는데 주안점을 둔다. |
12019 |
인체역학특론 |
Advanced Biomechanics |
인간운동의 과학으로 운동과 관련된 운동기관의 기전과 이의 장애 등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인체의 역학이라 할 수 있다. |
18615 |
일상생활동작 |
Activities of Daily Living |
|
18622 |
일상생활동작특론 |
Advanced Activities of Daily Living |
|
18247 |
읽기장애와언어장애 |
Language and Literacy Disorder |
이 과목에서는 언어병리학의 최근 연구에서 중요한 주제로 떠오르고 있는 읽기를 다루는 기술을 배운다. |
18008 |
임상심리실습 |
Clinical Psychology Practicum |
|
18609 |
임상운동학 |
Clinical Kinesiology |
|
18819 |
임상전문가추론과정 |
Advanced Clinical Reasoning in Occupational Therapy |
작업치료 이론 중심, 근거중심, 그리고 전 인간적 치료를 제공하는 작업 중심의 치료를 구현하는 임상전문가로서 추론과정을 다룬다. |
16234 |
임상평가 |
Assessment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
직업재활 전문 활동의 계획과 수행, 그리고 점검에 필수적인 평가는 상담 이전에 필요한 부분일 뿐만 아니라, 직업재활의 전 단계에 있어서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전문 활동이다. |
19056 |
자폐범주장애 언어재활연구 |
Advanced Course of Communication & Language Therapy for Autism Spectrum Disorders |
언어적, 비언어적 의사소통에서 어려움을 보이는 자폐아동들에 대한 기능 평가와 진단, 그리고 치료를 위한 여러 가지 방법들을 고민해 본다. |
19075 |
작업과학 |
Occupational science |
작업과학은 일상에 대한 과학이다. 전문학술분야로서 인간의 작업, 즉 생산적 활동, 사회적활동, 신체적활동이 어떻게 인간 삶에 유익을 끼치는지에 대한 연구에 초점을 둔다. |
18626 |
작업치료세미나특론 |
Advanced Seminars for Occupational Therapy |
|
19472 |
작업치료연구방법론 |
Research Methods in OT |
이 강좌는 작업치료 연구방법론 및 근거기반 임상적용에 초점을 맞추어 선행학위/교과과정에서 습득한 연구방법론 기본요소들을 복습하고 확장시키게 될 것이다. 선별 있게 연구근거를 채택하고 근거기반 임상을 행하는 임상가로서의 역량증진에 중점을 둘 것이다. |
19077 |
작업치료와장애학 |
Occupational Therapy and Disability Studies |
장애학은 최신 작업치료 패러다임에 영향을 주고 있는 중요한 영향원의 하나로서, 장애우의 인권과 자기옹호를 지지하는 작업치료학문과의 접점은 작업치료사 및 교육자가 고려해야 할 중요할 사항이다. |
18820 |
작업치료지식기반 |
Conceptual Found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
작업치료의 기원, 역사, 언어, 그리고 작업치료의 가치에 대해 소개한다. 수강자는 작업치료에 존재하는 이론적 기초와 임상에의 영향에 대한 이해가 증진할 것이다. |
18614 |
작업치료진단및평가 |
Physical Examination in Occupational Therapy |
작업치료를 위한 관절가동범위, 근력, 반사, 근긴장도, 감각 등의 신경근골격계 기능을 평가하는 방법에 대하여 강의하고 실습한다. 이를 통해 클라이언트의 신체 기능과 구조를 이해하고 임상 현장에서 실제 적용가능하도록 할 것이다. |
18620 |
작업치료 진단및평가특론 |
Advanced Physical Examination in Occupational Therapy |
|
18623 |
작업치료행정특론 |
Advanced Administration for Occupational Therapy |
|
19705 |
장애아동미술재활 |
Art Therapy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
장애 영역별 특성에 대해 이해하고 특성별 진단과 교육 및 치료적 접근법에 대해 학습한다. 이를 바탕으로 미술치료 기법과 프로그램을 이해하고 구성할 수 있으며 실제 실습을 통해 임상현장에서 구체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
19709 |
장애아동의이해 |
Understanding of Children with Special Needs |
장애아동을 지원하는 관련법, 장애아동의 정의 및 특성, 진단방법, 중재방법, 교수방법 및 전략, 지원환경 등에 대해 학습함으로써 관련서비스를 제공할 때 좀 더 효과적인 지원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
19882 |
장애아동청소년 심리재활 |
Psychological rehabilitat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disability |
장애아동의 심리적 재활을 위해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인지적 발달의 이해를 토대로 이들의 독특한 특성 및 요구에 따른 재활심리 서비스를 제공할 이론적 토대를 익힌다. |
14197 |
장애의의료 및 심리사회적연구 |
Mental and Psychosocial Aspects in Rehabilitation of Disability |
장애는 매우 복잡한 양상을 띠며, 그 종류나 크기 면에서도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진단·치료기능에 관한 문제뿐만 아니라 장애 발생에 의해 야기되는 심리사회적 특성들과 환경적 반응을 이해하고 연구한다. |
18691 |
장애인가족의 심리적재활 |
Psychological rehabilitation for family of people with disabilities |
|
11317 |
장애인고용대책론 |
Policy of Employment for The Handicapped |
장애인 고용을 위한 제반의 시책을 법, 제도, 행정, 정책을 중심으로 연구한다. |
11321 |
장애인사회교육론 |
Advanced Study of Social Education of the Handicapped |
장애인에 대한 이해. 태도를 함양하고 각종 사회매체로부터 소외된 장애인을 위한 사회교육의 의의. 프로그램과 방법들을 이해하고 개발한다. |
17610 |
장애인심리재활론 |
Psychological rehabilitation of the disabled |
장애인의 사회적 적응과 생활에서 심리적 측면은 매우 중요한 측면이다. 본 교과는 각종 심리치료 기법들이 장애인의 심리재활에 어떻게 응용될 수 있는지에 초점을 맞춘다. 사례들을 분석하여 장애인에 대한 심리재활에 실제적 도움이 될 수 있게 한다. |
17986 |
장애인자동차설계 및 운전자재활 |
Vehicle Desig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DriverRehabilitation |
|
11952 |
장애인직업진로 지도론 |
Advanced Study of Career Education for the Handicapped |
장애인의 진로의식과 진로지도, 진로지도의 제이론, 이행기교육의 중요성, 진로 의식에 관한 평가 등을 탐구한다. |
14200 |
장애인진로지도 세미나 |
Seminar on Career Education for the Handicapped |
장애유형별 직업전 요구와 발달단계별 직업지도 내용과 진로프로그램의 탐색,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직업진로지도 전개과정과 평생 사회 교육적 측면의 이론적 체계와 내용을 탐색한다. |
17983 |
장애인편의시설특론 |
Advanced Convenient facilit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
|
17037 |
재활공학과벤처산업 |
Rehabilitation and Venture Business |
국내 재활공학/보조공학 산업을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국산 재활공학/조공학기의 개발 현황 및 방법들을 학습하고 나아가서 벤처사업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방법들을 연구한다. |
11224 |
재활공학및정보학 |
rehabilitation technology & informatics |
장애인의 공학적 접근을 통한 재활동향과 내용 및 재활 공학적 방법에 대한 기초 기능을 다루고, 최신 재활정보를 공학적 과학적 방법을 통해 검색 활용하는 기능을 다룬다. |
15705 |
재활공학특강 |
Special Topics on Rehabilitation Engineering |
장애인의 재활에 관련된 공학적 접근 방법을 이해할 수 있도록 장애인과 관련된 다양한 학문 분야의 기초적 이론과 응용 사례를 소개하고 재활공학 분야의 최신 연구동향과 연구방법론을 살펴본다. |
17984 |
재활과공학 |
Rehabilitation and Engineering |
|
11259 |
재활과학원론 |
Principles of Rehabilitation Science |
재활의 개요, 재활프로그램의 발달, 재활과정 등 재활의 기초 이론과 재활대상자별 적절한 재활내용과 방법을 다룬다. |
19057 |
재활과학인턴쉽 |
Rehabilitation Science Internship |
|
17016 |
재활및정보공학 |
Rehabilitation and Information Technology |
재활분야에서 재활전문가 및 장애인들이 최신 정보공학을 어떻게 활용하고 접근할 수 있는지 그 방법에 대하여 학습한다. |
18689 |
재활상담의 이론 및 실제 |
Theory and practice of rehabilitation counseling |
|
14198 |
재활상담특강 |
Topic in Rehabilitation Counseling |
현대 상담이론의 접근법 및 상담과정 단계별 프로그램, 개별상담 및 집단상담 프로그램, 장애인 직업지도 프로그램, 직업배치 등 장애인 직업재활상담에 관한 이론과 실제를 다룬다. |
17985 |
재활소프트웨어특론 |
Advanced Rehabilitaion Software |
프로그래밍 언어를 집중적으로 습득해서 재활 및 특수학교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개발한다. |
17987 |
재활시스템계측과 제어 |
Measurement&Control of Rehabilitation System |
|
17019 |
재활심리세미나 |
Seminar in Rehabilitation Psychology |
심신장애인의 심리사회적 재활을 다루기 위한 이론 및 실제에 관해 학습하는 교과이다. 이를 위해 장애인의 심리특성과 생리적·병리적·기초, 대뇌의 기능, 심리측정 및 평가, 심리사회적 재활방법의 기초, 재활에서 참된 도움을 주는 방법, 장애인에 대한 태도를 변화시키기 위한 방법, 재활을 위한 심리 사회적 스트레스의 감소방법, 사회로의 통합, 성재활 등을 다루게 된다. |
12220 |
재활심리학 |
Rehabilitation Psychology |
본 교과에서는 장애인 및 노인을 포함한 재활대상자의 심리적 특성 및 이들의 행동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지식을 습득하게 한다. 또한 특정 영역별 재활심리의 실제적 능력을 함양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재활대상자별 원인과 특성에 따른 목표의 적합성, 재활심리치료 서비스의 계획, 평가에 관해 논의한다. |
11175 |
재활연구방법 및 통계학 |
Research Design & Statistical Method in Rehabilitation |
재활연구를 과학적으로 설계.실시.검증하는 방법을 토의하고 각종 연구결과 및 자료를 통계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지식과 기능을 다룬다. |
18877 |
재활연구와지식전이 |
Knowledge transfer in rehabilitation |
재활 연구를 통한 얻어진 새로운 지식과 근거들을 어떠헌 방법으로 전달할 수 있응지, 그 지식의 효과를 어떻게 배가시킬 수 있는지에 대해 연구하는 과목이다.벤치마킹, 의사결정구조 등에 대해서 학습할 것이고, 다양한 세례조사 및 지식전이 교재개발실습을 해볼 것이다. |
19062 |
재활인간공학 |
Rehavilitation Ergonomics |
재활인간공학은 노인이나 근골격계에 문제가 있는 환자들의 재활을 위해 인간공학이 어떻게 응용될 수 있는지를 다룬다. 이 과목을 통해 학생들은 장애인들의 활동 능력을 키우고 최적화하는 방안을 개발 할 수 있다. |
17033 |
재활제어 인터페이스특론 |
Advanced Rehabilitation Control Interface |
컴퓨터, 마이크로그로세서 등의 기기를 이용한 재활관련 기기의 제어에 필요한 이론 및 지식을 학습하며 제어 기기와 컴퓨터 및 재활기기 간의 원활한 통신을 위한 제어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공부한다. 이를 위해 마이크로프로세서 등 관련 하드웨어와 전자회로 그리고 이를 운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에 대한 학습을 실시한다. 이를 통하여 생체신호를 이용한 여러 가지 재활공학의 응용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향후 이를 이용한 재활공하기기의 연구에 이론적 배경을 제공한다. |
19070 |
재활행정 |
Rehabilitation Administration |
이 과목은 재활전문가들에게 재활기관이나 공공행정에서 필요한 행정의 실무적인 이론과 실천기술을 탐구하고자 하는 과목을 재활현장의 전문가들에게는 필수적인 교과목이다. |
14084 |
전기광선생리학특론 |
Advanced Electro&Photophysiology |
전기 및 광선치료의 기본이 되는 생리학적 원리를 깊이 연구하고 특히 통증의 발생과 전달기전을 이해하여 통증치료에 응용하도록 한다. |
18822 |
전기생리학세미나 |
Seminar for Electrophysiology |
전기생리학은 생체화학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생체에 대한 진단과 재활 등 다양한 접근이 가능한 학문이다. 유소아 평가 및 이식형 보청기 대상자 선정 등에 있어서 전기생리학의 역할과 응용에 관하여 토론한다. |
19369 |
전생애적 언어발달연구 |
Advanced study of Language Development a Lifespan perspective |
영유아에서 노인에 이르기까지 전 생애에 걸친 조망에서 언어발달이 어떻게 개인에게 영향을 주는지와 각 생애 주기별 언어발달 특성에 대해 탐구한다. |
11630 |
정신병리학 |
Psychopathology |
정상과 이상의 차이점을 역사적, 문화적 맥락 내에서 이해한다. 정신장애에 관한 진단체계, 신경증, 정신병, 제 장애인들의 증상, 제 장애인들에 관한 원인론 등을 학습한다. |
14095 |
정신분석세미나 |
Seminar in Psychoanalysis |
정신분석이론을 깊이 있고 체계적으로 학습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신병리와 심리치료 실제에 관한 지식을 넓혀간다. 또한 정신분석이론을 적용하여 일상생활에서 경험하는 정상적 정신과정과 현상에 대한 이해도 넓혀간다. |
17022 |
정신역동치료 |
Psychodynamically Based Pstcho-therapy |
아동기가 성인기의 성격에 미치는 충격은 심리치료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일반화된 지식이다. 특히 수태에서 생후 6세까지의 경험이 그 이후의 생활에 절대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이 교과목에서는 아동기 핵심감정의 형성과 아동기 핵심감정이 그 이후의 성격형성 및 생활에 미치는 효과를 다양한 임상사례와 축어록을 통해 이해한다. 도한 이러한 핵심감정을 내담자로부터 어떻게 파악하고 진단하는지 그리고 어떻게 치료해야 할 것인지를 연구하고 학습한다. |
17038 |
조음음운장애세미나 |
Seminar in Articulation and Phonological Disorders |
음운 장애를 포함하여 기능적. 기질적 문제로 인하여 발생하는 조음장애에 대하여 원인, 진단, 치료접근법을 토의한다. |
14204 |
중증장애인재활론 |
Advanced Study of Rehabilitation of the Individuals with a significant Disability |
중증장애인의 직업재활을 위한 지원고용의 제반시책, 즉 법, 제도, 행정.정책 및 프로그램의 계획과 실행, 관리와 평가를 중심으로 이해하고, 중증장애 유형별 직업진로지도와 직원고용을 위한 방향에 관해 탐구한다. |
18918 |
중추청각생리학 |
Physiology of Central Auditory System |
이 교과목은 두 귀가 들은 소리의 청각기관 및 청신경계통에서의 청각처리를 포함하여, 단이 청취, 양이 청취, 교대 청취 등에 따른 효과를 학습한다. 이와 함께 재활 설계 및 학술 연구 동향 등에 대해서도 고민하는 과정이다. |
16233 |
지원고용세미나 |
Seminar on Supported Employment |
최근의 장애인 직업재활의 추세가 시설중심의 보호 고용에서 지원고용으로 강조점을 두고 있다. 본 강좌는 지원고용의 이론적 기초, 지원고용의 계획, 탐구성, 프로그램구성, 실행, 지속적인 지원, 근로자의 훈련 및 통합, 한국적 지원고용모델 등의 문제를 관계하에서 다룬다. |
19055 |
지적장애 언어재활세미나 |
Seminar in Language Intervention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
지적장애아의 분류와 언어특성에 대한 이론을 고찰하고, 언어지체아의 언어 및 인지 진단 방법과 치료방법을 연구 및 지적장애의 언어치료에 필요한 치료사의 인격을 함양한다. |
11374 |
직업개발및배치연구 |
Advanced Study of Job Development and Placement |
장애인의 유형. 정도. 특성 등에 따른 다양한 직업을 개발하고 직업능력에 따른 배치에 관한 이론과 실제를 탐구한다. |
17026 |
직업배치 및 직업개발연구 |
Study of Job Placement and Job Development |
장애인의 유형, 정도, 특성등에 따른 다양한 직업을 개발하고 직업능력에 따른 배치에 대한 이론과 실제를 탐구한다. |
17030 |
직업재활과보조공학 |
Vocational Rehabilitation and Assistive Technology |
보조공학을 장애인 고용에 활용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방법과 사례에 대하여 연구한다. |
11539 |
직업재활상담론 |
Advanced Study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Counseling |
장애인 직업재활상담의 제기법과 프로그램, 장애인에 관한 평가 및 직업배치, 추수지도 등에 관한 이론과 실제를 배운다. |
19072 |
직업재활실천론 |
Vocational Rehabilitation practice |
이 과목은 산업체에 채용된 장애인 교육 및 훈련 그리고 장애인의 성공적인 직업적응을 위한 직업생활상담의 이론과 실제를 학습한다. |
18611 |
직업재활작업치료 |
Prevocational Occupational Therapy |
|
16723 |
직업재활정책 |
Vocational Rehabilitation Policy |
장애인 직업재활정책의 구성요소와 의제설정, 정책결정 및 실행, 정책평가 기법 등을 이해함으로써 장애인 직업정책 정착에 대한 이론과 실천을 체계화하여 장애인에 대한 효율적인 직업재활정책의 방향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전반적인 사항과 최신 동향에 대해 탐구한다. |
11313 |
직업재활특강 |
Topics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
직업재활의 최근의 이론 및 실제를 선진제국, 특히 선진 복지국가를 중심으로 탐구한다. |
14199 |
직업적응과 정신건강론 |
Advanced Study of the Vocational Adjustment and Mental Health |
직업과 여가, 현대산업 정신건강, 부적응의 양상과 직장적응문제, 산업상담의 본질과 구체적 문제, 장애인 직업생활상담의 원리와 방법, 장애인 고용관리기법, 장애인의 직장적응에 대한 이론과 실제를 학습한다. |
11314 |
직업평가론 |
Advanced Study of Vocational Assessment |
장애인에 관한 다양한 평가에 대한 이론과 실제(지필검사, 표본작업평가, 현장실습평가, 직무분석)를 이해하고 이에 대한 실제적 기능을 익힌다. |
15789 |
집단미술치료 |
Group Art Therapy |
집단미술치료 이론과 발달과정을 바탕으로 집단의 역동과 집단미술치료의 운영방법을 익히고, 집단미술치료 실습을 통하여 집단운영의 실제 능력과 집단미술치료자의 자질을 향상시킨다. |
17544 |
집단심리치료 |
Group Psychotherapy |
다양한 집단심리치료 이론들과 그 세부적인 개념들을 깊이 있게 고찰하고, 이 이론들과 개념들이 실제 집단심리치료 과정에서 어떻게 적용되는가를 학습한다. 집단심리치료 분야의 최근 논쟁점도 논의한다. |
19708 |
창의적미술치료 |
Art Therapy Fieldwork |
미술치료 임상 현장에서 필요한 다양한 실무와 사례 관리법 등을 학습하고, 실습 경험을 통해 전문적인 현장 실무 능력을 갖춘 미술치료 전문가로 양성한다. |
19593 |
청각 재활 서비스의 윤리적 접근 |
Ethical Approach in Field of Aural Rehabilitation Service |
이 교과목은 사람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재활의 규범적, 비규범적 도덕법칙과 전문직 종사자로서 정보제공이나 비밀 보장과 같은 공적 도덕에 대한 준수 의무 등에 대하여 학습한다. 아울러 현실적 이슈와 관련한 규범의 딜레마를 알아보고, 전문가가 이해하여야 할 윤리적 규범을 고찰하고 토의한다. |
19133 |
청각언어재활계획 |
Audiological Rehabilitation Design |
이 교과목은 청각학 및 언어병리학적 평가 결과를 해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청각언어재활 계획을 수립에 필요한 전반적 지식을 토론한다. 여기에는 계획의 검증, 예상되는 진전 평가 결과에 따른 재활 방향 수정, 난청자 및 가족 상담 등에 대한 학술적 임상적 연구 동향에 대한 내용도 포함한다. |
12007 |
청각학세미나 |
Seminar in Audiology |
이 교과목은 일상적 의사소통은 물론 환경 소리 청취에 어려움을 겪는 청력손실에 대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서비스 제공 방향 및 청력손실의 관리 등에 대한 청각학을 학습하고 토론하는 과정이다. |
18917 |
청각해부생리세미나 |
Auditory Anatomy and Physiology |
이 교과목은 언어병리전문가로서 청각재활 중재와 난청자 및 그 가족 상담 등에 필요한 청각해부 및 생리를 익히고, 학술 연구에 필요한 심층적 지식을 학습하는 과정이다. |
18876 |
최신재활문제 및 전문가의사소통과정 |
current rehabilitation issues & professional communication |
이 강좌는 작업치료학 관련 여러 최신 재활 문제들 탐구,비평,및 토론 역량을 키우는 것을 목표로 한다. 관련 주제는 작업치료윤리, 의학법, 장애학, 작업치료 최신흐름 등을 포함한다. 학생들은 자신의 관심분야를 조사하여 토론준비를 하도록 권장될 것이다. |
19129 |
학습장애 언어재활연구 |
Studies in Language Rehabilitation of Learning Disabilities |
이 교과목에서는 의사소통 영역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는 언어하습장애의 이론적 지식과 임상에서의 학습장애에 대한 평가 및 중재전략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14079 |
한국어음성학 및 음운론 |
Korean Phonetics and Phonology |
한국어의 자음과 모음을 발성생리학적.실험음성학적으로 고찰하고 음운론에 입각한 언어기술 및 분석 방법을 탐구한다. |
12005 |
한국어통사론 및 의미론 |
Korean Syntax and Semantics |
통사론 및 의미론의 특정주제를 선정하여 연구하고, 이론들의 제 분야와의 관계에 대하여 학습한다. |
17020 |
행동치료세미나 |
Seminar in Behavior Therapy |
학습원리에 기초한 행동치료의 기본 이론 및 실제적 능력을 함양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기본적 행동원리, 행동치료기법 및 절차 등에 대해 익히고, 효과적인 행동치료전략을 계획하도록 한다. 내담자에 대한 철자한 평가를 근거로, 아동의 현재 수준 및 특성을 파악하고 이에 따라 개별프로그램을 작성한다. 내담자의 현저한 문제 행동을 확인하고, 그에 적절한 처치방법, 작성된 프로그램의 적합성에 대해 논의한다. |
17547 |
행동치료특강 |
Behavior Therapy |
본 교과에서는 학습 원리에 기초한 행동치료의 기본 이론 및 실제적 능력을 함양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기본적 행동원리, 행동치료 기법 및 절차 등에 대해 익히고, 명확한 치료목표의 설정, 효과적인 행동치료 전략의 계획, 평가에 대해 논의하도록 한다. |
19468 |
후천적인지장애 |
Acquired Cognitive Disorders |
후천적 뇌손상 환자들의 재활의 기초부터 회복까지 급성기-아급성기를 거쳐 사회로 통합되는 전과정을 다루는 학문이다. 본 과목의 주요 목적은 인지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한 언어치료사의 역할을 파악하고 진단과 재활에 대한 지식과 기술을 연마하는데 있다. |
19805 |
비즈니스영어 |
Business English |
재활과학 전문가로서 학업수행을 위한 필수 영어 및 국내외 재활기관에 업무를 수행할 때 필요한 외국인과의 소통을위해 필요한 영어회화를 학업한다. |
19806 |
자세유지 보조기기특론 |
Advanced Assistive devices for sitting and positioning |
자세유지 보조기기를 적용하기 위한 사용자들의 장애 유형별 평가, 시뮬레이션에 대한 방법과 의료적 문제점들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고, 이를 기반으로 올바른 착석 자세에 필요한 자세유지 보조기기의 적용과 사후관리에 대해 고찰한다. |
19807 |
이동보조기기특론 |
Advanced Assistive devices for mobility |
이동보조기기의 종류, 특성, 구조, 효과, 사용자에 대한 이해, 지원체계, 사후관리 방법등을 체계적으로 학습함으로써 재활분야의 직무에서 가장 중요한 이동보조기기 서비스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여 응용할 수 있도록 한다. |
19808 |
정보접근 보조기기특론 |
Advanced ICT learning and rehabilitaion |
ICT 활용 학습 및 재활 이론은 장애인과 일반인들의 인지기능 발달에 전문적으로 접근하여 잔존능력을 최대로 만들고 두뇌 교육을 통해 집중도, 작업 기억력, 장기기억력과 같은 인지기능을 향상 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여 인지기술 향상을 위한 임상기술을 배운다. |
19809 |
R통계와재활과학 |
R Statistics for Sciences of Rehabilitation |
최근에 R은 통계처리와 도표작성을 위한 대표적인 탁월한 도구가 되었으며 주요 학술지의 논문들에서 통계처리를 위해 R을 사용하는 예가 점차 늘고 있는 추세이다. 이제는 재활과학과 데이터 과학 등의 첨단연구 분야에서 대부분 R이 사용되고 있다. 이에 본 과목은 재활과학분야의 자료탐색과 도표작성을 통한 통계분석을위해 R을 능숙하게 사용하는 능력을 함양하는 것에 목표를 둔다. |
19810 |
언어발달세미나 |
Seminar in Language Development |
본 과목의 목표는 언어발달 연구를 위한 이론적 지식 함양을 위해 기본적인 언어발달 단계와 과정, 언어체계의 성분들(음운론, 의미론, 통사론, 화용론) 및 각 성분들의 발달과정에 대해 알아보고 언어의 생물학적 기초와 말-언어 발달이론들을 서로 비교해보고, 아울러 전형적인 발달패턴, 다양한 언어발달장애, 청각장애 등에 관해 알아보면서 언어치료학석사학위 과정에 필요한 지식들을 함양하는 것에 있다. |
COPYRIGHT(C) 2016 BY DAEGU UNIVERSIT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