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학과는 1997년 환경공학과로 신설되어 2005년 건축·토목·환경공학과군(건축공학과, 토목공학과, 환경공학과)으로 통합된 이후 2006년 환경공학과로 명칭이 변경된 이래 오늘에 이르고 있다. 환경공학과 석사과정은 2001년 5월 신설되어 폐기물, 수질, 대기, 미생물 등 주요세부 전공의 역량 있는 교수진을 갖추고 있으며 국가 연구과제 뿐만 아니라 산업체가 필요로 하는 실용적 연구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 교육목표
◈ 환경공학 분야의 기본 소양, 전문지식, 실무능력 교육 ◈ 환경오염예방 및 처리기술을 실현할 유능한 전문 인력 양성 ◈ 환경 측정, 영향평가, 관리에 능통한 종합 환경 인력 양성
● 교수명단
교수명
학위
전공
담당과목
김문현
공학박사
환경공학
대기오염제어공학특론 환경촉매 대기물리화학
황인조
이학박사
환경공학
에어로졸공학 실내공기오염
★ 교과과정 및 교과목해설은 교육과정 변경에 따라 변동이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교과구분명
과목코드
과목명
이론시간
실기시간
학점
비고
연구
10000
개별연구지도
1
0
1
0
전공
16011
계면현상특론
3
0
3
0
전공
16007
고형폐기물처리기술
3
0
3
0
전공
16015
대기물리화학
3
0
3
0
전공
18421
대기오염모델특론
3
0
3
0
전공
16000
대기오염제어공학특론
3
0
3
0
전공
16010
막분리공학
3
0
3
0
전공
16001
생물반응공학특론
3
0
3
0
전공
16012
수질오염제어특론
3
0
3
0
전공
15999
수질화학특론
3
0
3
0
전공
18299
실내공기오염
3
0
3
0
전공
16013
에어로졸공학
3
0
3
0
전공
16009
유해폐기물처리기술
3
0
3
0
전공
16005
토양미생물학
3
0
3
0
전공
16008
폐기물자원화
3
0
3
0
전공
15998
폐기물특론
3
0
3
0
전공
18510
혐기성소화
3
0
3
0
전공
16003
환경위해성평가특론
3
0
3
0
전공
16006
환경전산모델링
3
0
3
0
전공
16014
환경촉매
3
0
3
0
전공
16004
환경통계학특론
3
0
3
0
"박사보충" 표시된 과목
- 석사과정생이 수강할 경우, 전공과목으로 인정되며,
- 박사과정생이 수강할 경우, 보충과목으로 인정됨
★ 교과과정 및 교과목해설은 교육과정 변경에 따라 변동이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과목코드
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교과목 한글개요
10000
개별연구지도
Research Works
학위논문의 작성을 위하여 지도교수의 지도하에 각 개인별 연구주제에 관하여 연구한다.
16011
계면현상특론
Interfacial Phenomena
환경에서 관심을 가지는 많은 현상은 고체, 액체, 기체들의 상호 계면에서 일어나는데 본 과목에서는 이러한 계면에서의 유체역학적 현상 및 물리화학적 반응과 관련된 이론과 환경분야에서의 응용기술을 다룬다.
16007
고형폐기물처리기술
Solid Waste Treatment Technology
생활 및 산업폐기물 중 고형폐기물을 중심으로 감량화, 인정화 및 무해화를 위해 매립, 퇴비화, 재활용, 소각, 해양투기 등 각종 처리기술에 대하여 강의한다.
16015
대기물리화학
Atmospheric Physical Chemistry
대기오염물질의 생성, 확산 및 거동에 영향을 미치는 대기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다룬다.
18421
대기오염모델특론
Advanced Topics in Air Pollution Modeling
Local, regional, global 규모의 대기오염 모델을 연구하기 위해, 모델 연구에 필요한 미기상학, 확산론, 편미분 및 통계학 등의 기초 학문을 학습한다. 또한 오염원으로부터 배출된 오염물질의 확산 및 오염원이 수용체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해 학습한다.
16000
대기오염제어공학특론
Advanced Air Pollution Control Engineering
입자상 및 가스상 대기오염물질의 배출을 제어하기 위한 기술적, 공학적 접근 방법에 관한 제반 분야를 다룬다.
16010
막분리공학
Application of Membrance Separation
막분리 공학에서는 분리막의 여과이론, 물리·화학적 특성, 막여과 정수, 하폐수 처리공정 기술현황 및 적용사례에 대해 학습한다.
16001
생물반응공학특론
Chemical Reaction Engineering in Biotechnology
환경 미생물학 및 수질화학, 생물학적 처리공정에서 응용되는 미생물 반응 이론을 기초로 하여 오염물질 유입에 따른 지표수 수자원의 부영양화 현상과 이에 관련된 물리, 화학, 생물학적 변화과정 등의 기초이론과 응용에 대하여 강의한다.
16012
수질오염제어특론
Water Quality Control
수질오염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으며 오염물질 종류도 더욱 다양화되고 있으므로 이러한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오염물질의 물리화학적 특성규명 및 고도의 제어방법이 요구된다. 본 과목은 이러한 수질오염물질의 특성 및 제어 방법에 관한 이론과 다양한 적용기술을 다룬다.
15999
수질화학특론
Aquatic Chemistry
수질환경에서 일어나는 화학적 현상과 관련된 산-염기반응, 화학평형, 신화-환원반응, 배위화학현상, 침전-용해 현상을 학습하며 컴퓨터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이러한 현상을 예측하고 검증하는 내용을 다룬다.
18299
실내공기오염
Indoor Air Pollution
현대인들은 하루 중 대부분을 다양한 실내공간에서 생활하며, 실내공기질에 대한 관심은 점차 커지고 있다. 따라서, 본 교과목에서는 실내 공간에서 생성된 오염물질의 측정 분석 및 특성을 학습하고, 나아가 실내공기질을 제어하는 기술에 관하여 연구하고, 토론한다. 또한 실내공기 오염물질의 발생원, 인체 영향 등에 대해 학습한다.
16013
에어로졸공학
Aerosol Engineering
도시 대기오염의 주원인으로 작용하는 여러 형태의 에어로졸의 생성, 성장, 이동 및 대기 역학적인 기동에 관한 이론과 응용을 다룬다.
16009
유해폐기물처리기술
Hazardous Waste Treatment
각종 산업분야에서 배출되고 있는 유해 폐기물을 물리적 성상, 화학성분, 유해성, 반응성 등으로 분류하여 적정처리방법의 선정과 처리효율 증진에 관한 내용을 다룬다.
16005
토양미생물학
Soil Microbiology
토양오염 및 오염 토양의 복원과 관계되는 토양 생태계 및 미생물 생태계에서 토양 미생물의 역할, 영양분 순환에서 미생물의 역할 등을 학습하고 토양 미생물 계량 실험법과 주요한 미생물학적 반응 과정에 대한 측정도를 학습한다.
16008
폐기물자원화
Recycling and Reuse of Waste
최근 폐기물의 처리는 매립 등의 처리.처분에서 자원을 보전하고 회수하기 위한 자원화 및 재활용 방안으로 크게 변화하고 있다. 유용자원의 회수와 재활용은 경제적으로나 환경적으로 커다란 장점을 제공한다. 이러한 활동은 자원의 존재년한을 연장시키고 자원의 해외의존도를 낮추며 매립부지 확보의 필요성을 최소화한다. 또한 직접적으로는 폐기물들을 유용한 물질로 전환하므로써 간접적으로는 자원채굴의 잔재물을 감소시킴으로써 환경오염을 피할 수 있다. 본 교과목은 현재의 폐기물 자원화 및 재활용 관련기술을 소개 및 평가하고 미래에 대한 전망을 진단한다.
15998
폐기물특론
Waste Management
폐기물의 배출, 수집, 운반 및 처리에 관한 이론적 관계를 연구하고 기술적 대책을 모색하는 방법을 모색한다.
18510
혐기성소화
Anaerobic Digestion
16003
환경위해성평가특론
Environmental Risk Assessment
환경오염물질 중 특히 발암성 혹은 돌연변이원성을 유발하는 독성물질의 환경내에서의 거동과 영향을 피폭평가 및 독성평가의 측면에서 고찰하여 종합적인 위해성을 정성, 정량화하는 과정에 대하여 강의한다.
16006
환경전산모델링
Computational Environmental Modeling
환경시스템에 대한 수학적 모델을 수치적으로 풀이하는 기법에 대한 이론적원리와 적용방법을 학습하는 과목이다. 환경시스템은 선형 미분방정식 혹은 비선형의 방정식으로 나타나는데 모델에 대해 전산모사를 통해 검증되고 해석적 검토가 이루어진다. 방정식에 대한 해석이 그래픽 방법으로도 검토된다. 과목의 주요목표는 학생들로 하여금 환경시스템 해석을 위한 수학적 해석기법을 제공하고 전산해석기법의 유용성을 훈련하는 데 있다.
16014
환경촉매
Environmental Catalysis
가스상 대기오염물질의 배출을 제어하기 위해 가장 경제적.효율적인 촉매이용기술에 관한 표면화학적 설계 및 그 특성들을 다룬다.
16004
환경통계학특론
Advanced Environmental Statistics
다양한 환경관리자료의 통계학적 분석과 해석을 위하여 확률, 분포함수, 추정과 검정 및 회귀분석 등에 관하여 강의하고, 시계열 및 다변량 해석의 이론과 실제응용 등에 대하여 고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