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영문학과는 1980년 11월에 석사과정을 설치하여 현재 54명의 석사학위를 배출하고, 1987년 11월에 박사학위과정을 설치하여 현재 22명의 박사학위를 배출하였음.
시대변화와 학문 발전에 능동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능력 배양
영미어문학에 대한 종합적 이해와 새로운 안목제고
세계화시대에 기여하는 전문학자로서의 자질함양
교수명
학위
전공
담당과목
강 희
문학박사
영미소설
현대영미소설세미나 영미소설세미나
손홍일
문학박사
드라마
영미희곡론 현대영미드라마
이동춘
문학박사
셰익스피어
셰익스피어,영미평론 중세영어
류혜경
언어학박사
응용언어학
응용언어학 사회언어학
윤관희
언어학박사
음성학 음운론
영어음성학세미나 영어음운론세미나
김윤경
문학박사
영미시
영미시연구, 현대영미시, 영국문화의 이해 미국문화의 이해
★ 교과과정 및 교과목해설은 교육과정 변경에 따라 변동이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fiogf49gjkf0d
교과구분명
과목코드
과목명
이론시간
실기시간
학점
비고
연구
10000
개별연구지도
2
0
2
0
연구
10000
개별연구지도
1
0
1
0
전공
10119
근대영미소설연구
3
0
3
전공
10156
근대영미시세미나
3
0
3
0
전공
16934
논문작성법
3
0
3
0
전공
18174
담화분석
3
0
3
0
전공
16942
문학비평
3
0
3
0
전공
16933
미국흑인드라마
3
0
3
0
전공
10111
사회언어학
3
0
3
0
전공
16941
셰익스피어
3
0
3
0
전공
10145
심리언어학
3
0
3
0
전공
10141
언어구조비교연구
3
0
3
0
전공
10107
언어학사
3
0
3
박사보충
전공
13513
언어학특강
3
0
3
0
전공
14896
영미문학연구방법
3
0
3
0
전공
15688
영미소설론세미나
3
0
3
0
전공
10132
영미소설세미나
3
0
3
0
전공
12153
영미시론
3
0
3
박사보충
전공
12152
영미시세미나
3
0
3
0
전공
15352
영미시인론세미나
3
0
3
0
전공
10150
영미희곡론
3
0
3
박사보충
전공
10131
영미희곡세미나
3
0
3
0
전공
18173
영어교육학연구
3
0
3
0
전공
18167
영어문법특강
3
0
3
0
전공
13534
영어음성학
3
0
3
0
전공
18171
영어음운론연습
3
0
3
0
전공
13536
영어통사구조연구
3
0
3
0
전공
10146
영어학연구과제
3
0
3
0
전공
10098
영어학연구방법
3
0
3
박사보충
전공
10112
응용언어학
3
0
3
0
전공
16937
중세영문학
3
0
3
박사보충
전공
10128
통사론세미나
3
0
3
0
전공
10104
현대문법이론
3
0
3
0
전공
16935
현대영미드라마
3
0
3
0
전공
10120
현대영미소설연구
3
0
3
박사보충
전공
10147
현대영미시세미나
3
0
3
0
전공
10138
형태론세미나
3
0
3
0
전공
17675
화용론세미나
3
0
3
0
"박사보충" 표시된 과목
- 석사과정생이 수강할 경우, 전공과목으로 인정되며,
- 박사과정생이 수강할 경우, 보충과목으로 인정됨
★ 교과과정 및 교과목해설은 교육과정 변경에 따라 변동이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과목코드
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교과목 한글개요
10000
개별연구지도
Research Works
학위논문의 작성을 위하여 지도교수의 지도하에 각 개인별 연구주제에 관하여 연구한다.
10000
개별연구지도
Research Works
학위논문의 작성을 위하여 지도교수의 지도하에 각 개인별 연구주제에 관하여 연구한다.
10119
근대영미소설연구
Studies in Pre-20th century British and American Novel
주로 18세기˙19세기 영미소설을 중심으로 근대 영미소설의 발달 배경과 함께, 텍스트의 면밀한 분석을 모색한다.
10156
근대영미시세미나
Seminar in Pre-20th CenturyEnglish Poetry
20세기 이전에 영미권에서 쓰여진 시 중 주요 작품을 선별하여, 시대별, 작가별로 일람하며 시라는 장르의 특성, 각 시인의 개성, 시대별 문학 사조등에 대해 알아본다.
16934
논문작성법
Writing Thesis
대학원 및 전문 학술지에서 요구하는 논문작성법의 연구
18174
담화분석
Discourse Analysis
담화분석의 핵심 개념과 방법론에 대한 이해를 목표로 이론적인 배경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형태의 담화를 분석하는 방법을 연습한다.
16942
문학비평
Studies in English Literary Criticism
영미문학비평의 일반적인 이론을 개관하고 시대적 특성을 연구하며 각 시대별 주요 비평가들의 비평이론을 읽고 비평이론에 입각하여 문학작품을 비평하는 능력을 기른다.
16933
미국흑인드라마
African American Drama
미국 노예 제도 시대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미국 흑인 작가에 의해 생산된 극작품을 중심으로, 미국 흑인 희곡 발달사, 주요한 이론 및 기교의 전개 양상, 미국 흑인 문화의 다른 분야와의 관련 등을 심층 분석, 연구한다.
10111
사회언어학
Sociolinguistics
사회언어학의 배경과 일반적인 이론 추이를 연구한다. 언어의 속성이 자체 충족적인 기호에만 국한되지 않고 사회·문화적 산물로서의 조직화된 체계임을 염두에 두고 이에 관한 이론들을 연구한다.
16941
셰익스피어
Shakespeare
세익스피어의 희극, 역사극, 비극 중에서 대표적인 작품을 위주로 하여 텍스트의 이해와 비평적인 안목을 기른다.
10145
심리언어학
Seminar in Psycholinguistics
인간의 주요한 인식체계에 속하는 언어가 그 발달과 운용에서 심리과정과 어떤 관계를 갖는가를 연구한다. 특히 언어를 통한 인간심리의 실체와 과정을 집중적으로 다룬다.
10141
언어구조비교연구
Comparative Analysis of Linguistic Structures
비교언어학의 이론에 입각하여 영어와 국어 기타 어족의 언어 간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연구한다.
10107
언어학사
History of Linguistics
본 수업에서는 언어학의 발달과정을 그리스시대부터 21세기에 이르기까지 시간순으로 살펴본다.
13513
언어학특강
Special Lecture for Linguistics
본 수업에서는 생성문법이론의 틀 안에서 발전을 이룬 갈래 이론들(최소주의, 분산형태론, 카토그라피/나노통사론 등)에 대한 비교 분석을 통해 통사론에 대한 이해를 증진한다.
14896
영미문학연구방법
Methodology in Literary Writings
문학의 기본토양은 이를 생성케 한 배경문화임을 인정하고, 해당문학의 역사와 문화적 형성요인들과 시대적 변천에 따른 문학양식의 전개를 작가 및 작품에 결부시켜 다룬다.
15688
영미소설론세미나
Seminar in Novel and Literary Theory
영미문학사에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소설 텍스트들을 면밀히 읽어내면서, 그들이 갖는 역사적, 문화적 배경, 서술구조, 성과 젠더의 역학, 모더니티 등에 각별한 관심을 가진다.
10132
영미소설세미나
Seminar in English Novel
19˙20세기 이후의 주요작품을 시대별로 선정하여 그들을 면밀히 분석하고 기존의 글읽기 전통에서 그것들을 이해하고 재 조망하는 기회를 가지면서, 동시에 작품들의 역사적˙문화적 중요성, 인종과 젠더이슈, 그리고 내러티브 구조 등에 각별한 관심을 가져본다.
12153
영미시론
Theories ofEnglish Poetry
17-20세기까지 생산된 영미시를 살펴 보며, 영미권의 비평전통과 함께 연구한다. 고전 문학 이론 및 현대 문학 이론을 함께 다룰 것이다. 각 문학 이론이 어떠한 문학작품과 함께 읽혀졌는지에 대해 토론하며 문학과 비평 사이의 관계 또한 토론할 것이다.
12152
영미시세미나
Seminar in English Poetry
17-20세기에 영어로 집필된 시 중 주요 작품을 뽑아 시대별로 읽어가면서 각 시대의 문화, 역사와 시가 어떻게 만나고 있는지, 각 시인들은 어떠한 시적 전통에서 시를 써갔는지 분석하며 사려본다.
15352
영미시인론세미나
Seminar in English and American Poets
Hopkins, Yeats, Pound, Eliot, Stevens, Auden, Dylan, D.Thomas 등 현대의 영미의 대표 시인들의 작품을 분석하고 현대시의 특징과 주제 및 기법을 연구한다. 현대라는 시대의 특성과 현대의 역사적, 문화적 배경 역시 함께 토론하게 된다.
10150
영미희곡론
Theories of American & English Drama
현대 영미희곡 이론 위주로 작품의 분석 이해를 추구하며, 비평적인 안목을 기르도록 한다.
10131
영미희곡세미나
Seminar in American & English Drama
영미희곡을 연구하는데 필요한 기본적 이론, 방법, 시대, 작가, 작품을 개관한다.
18173
영어교육학연구
Research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영어교육에 관련된 다양한 이론을 접하고 이해하며, 이론이 교육 현장에서 어떻게 적용되는지에 관한 토론과 이해를 목표로 한다.
18167
영어문법특강
Topics in English Grammar
현대 영어에서 중요한 학교 문법 항목을 살펴보고, 제반 문법 이론을 검토한 후 언어사용자들의 실제 발화 자료를 이론적 틀에서 검토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13534
영어음성학
English Phonetics
영어음성학의 종류, 기본 단위, 음성학적 원리를 소개하고 영어 음성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이론을 검증하는 방법을 다룬다.
18171
영어음운론연습
Seminar in English Phonology
음운론의 기본적 원리와 방법 등과 아울러 현대의 영어음운상의 주요문제를 여러 가지 관련 이론에 결부하여 심도 있게 토론 분석한다.
13536
영어통사구조연구
Syntactic Structures of English
본 수업은 형식통사이론 입문 수업으로, 참스키의 최소주의 이론에 입각하여 영어에서 발견되는 다양한 통사 현상을 살펴볼 것이다.
10146
영어학연구과제
Research in English Linguistics
영어학이 주요한 쟁점을 선택하여 과제별로 토의 연구한다.
10098
영어학연구방법
Approaches to English Linguistics
연구논문지도를 효율적으로 행하기 위하여 전공분야별로 전담교수가 연구방향, 과제선정, 논문작성 등의 세부사상을 철저하게 지도한다.
10112
응용언어학
Applied Linguistics
심리언어학, 사회언어학 및 신경언어학의 주요이론을 언어습득 및 언어교육이론에 결부하여 연구된다. 특히 이론을 바탕으로 실제 언어교육현장에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연구한다.
16937
중세영문학
Medieval English Literature
영문학 최초의 작품인 중세시대[베오울프](Beowulf)를 시작으로 16세기 이전까지의 영문학흐름을 통시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특히 각 시대의 정치, 사회, 경제적인 배경과 더불어, 주요작가 및 작품의 경향을 개괄적으로 알아보고자 한다.
10128
통사론세미나
Seminar in Syntax
본 수업에서는 일반적으로 통사이론 발전과 영어의 통사적 특징의 이해 증진에 큰 영향을 미친 논문들에 대해 토의한다.
10104
현대문법이론
Modern Grammatical Theories
본 수업은 최신 통사이론에 입각하여 영어에서 통사부와 형태부의 접합면에 대해 살펴본다.
16935
현대영미드라마
Modern American & English Drama
20세기초반부터 최근에 이르기까지 영미 대표 극작가의 심층 분석하며, 그에 필요한 배경 정보에 대해 연구한다.
10120
현대영미소설연구
Studies in Modern British and Americam Novel
20세기 영미 문학사에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주요 텍스트들을 면밀히 읽어내면, 그들이 갖는 역사적˙문화적 배경, 서술구조, 젠더와 섹슈얼리티, 모더니티 등에 각별한 관심을 가진다.
10147
현대영미시세미나
Seminar in Modern English Poetry
현대영미시의 내용과 형식을 분석적으로 감상하고. 그 내용과 형식이 반영하고 있는 사회성·역사성·철학성을 동시에 이해한다.
10138
형태론세미나
Seminar in Morphology
형태론의 기본 개념을 활용하여 심도 있는 연구방향을 제시하고 형태론이 갖는 음운론 및 통사론적 기능을 연구한다.
17675
화용론세미나
Seminar in Pragmatics
화용론의 기초 개념에 대한 이해와 다양한 이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실제 화용론의 주제와 관련된 연구들을 탐색하고 pilot study를 계획하는 목표를 가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