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PYRIGHT(C) 2016 BY DAEGU UNIVERSITY ALL RIGHT RESERVED.
INFORMATION
연혁
전자공학과는 1992년 인가된 후 1995년 전기전자공학부로 명칭 변경되었다가, 1997년 정보통신공학과로 다시 변경되면서 박사과정도 인가되었다. 이후 2006. 3. 1자로 정보통신공학과의 4개 전공 중 전자공학, 제어계측전공을 분리하여 전자공학과 석·박사과정이 신설되었다.
교육목표
미래 전자 산업을 선도할 전문기술인 양성
첨단이론과 기술 습득을 통한 전자기기 설계능력 배양
인류 복지사회 구현을 위한 전자 기술개발 전문가 양성
교수명단
교수명 |
학위 |
전공 |
연구분야 |
담당과목 |
---|---|---|---|---|
도용태 |
공학박사 |
로봇공학 |
지능로봇, 인공지능응용, 기계시각, 자동화용 센서 |
로봇공학 센서시스템설계 |
이대식 |
공학박사 |
제어공학 |
자동화시스템, 마이크로프로세서 응용, 전력전자, 지능제어시스템, 로봇제어 |
디지털제어 제어이론특론 |
박철영 |
정보과학박사 |
인공신경회로망 |
집적회로설계(지능형 소자, FPGA 설계), RFID/USN(RFID 리더기, USN 기반 가스 센서 시스템) |
인공지능특론 디지탈집적회로설계 |
최병재 |
공학박사 |
지능제어 |
지능제어및시스템, 지능로봇, 퍼지논리시스템 |
지능제어특론 적응제어 |
류정탁 |
공학박사 |
센서공학 |
센서시스템 및 나노전자기술 |
박막소자 전자물성특론 |
김경기 |
공학박사 |
SoC회로설계 및 설계자동화 |
지능형(인공지능) 시스템반도체 설계 및 설계 자동화 |
임베디드시스템 VLSI설계 |
문현원 |
공학박사 |
통신용 RF/Analog IC |
RF/Analog IC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bio-medical application, PMIC |
디지털신호처리시스템 통신이론 |
이강현 |
공학박사 |
전력전자 및 전력전송 |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무선 충전 시스템, 전력변환 회로 |
응용전자회로 전자회로해석특론 |
정영호 |
공학박사 |
집적회로설계 |
저전력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 |
아날로그집적회로설계 |
박상욱 |
공학박사 |
정보통신공학 |
전자파환경, 무선충전/무선통신, 자율주행자동차, 생체전자 |
전자장론 |
이호섭 |
공학박사 |
전자전기공 |
딥러닝 기반 영상처리 알고리즘, 실시간 영상 분석 및 화질 향상 디스플레이 시스템, 컴퓨터 비전 알고리즘 및 영상 / 비디오 처리 |
영상처리특론 |
정재우 |
공학박사 |
전기기기 |
전기자동차 구동 모터, 전동화 엑츄에이터, 에너지 변환 기기 |
자동제어 |
Office
Tel : 053-850-6610
Fax : 053-850-6619
Address : 공과대학 5호관, 5307
★ 교과과정 및 교과목해설은 교육과정 변경에 따라 변동이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교과구분명 |
과목코드 |
과목명 |
이론시간 |
실기시간 |
학점 |
비고 |
---|---|---|---|---|---|---|
연구 |
10000 |
개별연구지도 |
2 |
0 |
2 |
0 |
연구 |
10000 |
개별연구지도 |
1 |
0 |
1 |
0 |
전공 |
16817 |
RF집적회로설계 |
3 |
0 |
3 |
0 |
전공 |
16813 |
RF회로설계특론 |
3 |
0 |
3 |
0 |
전공 |
10014 |
VLSI설계 |
3 |
0 |
3 |
0 |
전공 |
12174 |
가변구조제어 |
3 |
0 |
3 |
0 |
전공 |
10729 |
견실제어이론 |
3 |
0 |
3 |
0 |
전공 |
10788 |
기계시각 |
3 |
0 |
3 |
0 |
전공 |
16543 |
나노공학개론 |
3 |
0 |
3 |
0 |
전공 |
16814 |
나노공학특론 |
3 |
0 |
3 |
0 |
전공 |
10724 |
다변수제어이론 |
3 |
0 |
3 |
0 |
전공 |
10799 |
데이터통신특론 |
3 |
0 |
3 |
0 |
전공 |
16818 |
디스플레이공학특론 |
3 |
0 |
3 |
0 |
전공 |
17097 |
디지털공학1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6810 |
디지털시스템설계특론 |
3 |
0 |
3 |
0 |
전공 |
17089 |
디지털신호처리시스템 |
3 |
0 |
3 |
0 |
전공 |
17093 |
디지털신호처리응용 |
3 |
0 |
3 |
0 |
전공 |
17087 |
디지털신호처리특론 |
3 |
0 |
3 |
0 |
전공 |
10725 |
디지털제어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7088 |
디지털집적회로설계 |
3 |
0 |
3 |
0 |
전공 |
18254 |
로봇공학 |
3 |
0 |
3 |
0 |
전공 |
18255 |
로봇공학특론 |
3 |
0 |
3 |
0 |
전공 |
10790 |
마이크로파소자 |
3 |
0 |
3 |
0 |
전공 |
17328 |
마이크로프로세스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6827 |
무기센서재료공학 |
3 |
0 |
3 |
0 |
전공 |
10762 |
박막소자 |
3 |
0 |
3 |
0 |
전공 |
10706 |
반도체공학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0759 |
반도체공학특론 |
3 |
0 |
3 |
0 |
전공 |
10798 |
분산시스템특론 |
3 |
0 |
3 |
0 |
전공 |
10780 |
비선형제어이론 |
3 |
0 |
3 |
0 |
전공 |
14819 |
산업체현장실습 |
3 |
0 |
3 |
0 |
전공 |
16811 |
산학세미나 |
3 |
0 |
3 |
0 |
전공 |
10705 |
선형시스템이론 |
3 |
0 |
3 |
0 |
전공 |
10708 |
센서공학특론 |
3 |
0 |
3 |
0 |
전공 |
14774 |
센서시스템공학특론 |
3 |
0 |
3 |
0 |
전공 |
10730 |
센서시스템설계 |
3 |
0 |
3 |
0 |
전공 |
16820 |
센서시스템응용 |
3 |
0 |
3 |
0 |
전공 |
16819 |
센서신호처리특론 |
3 |
0 |
3 |
0 |
전공 |
10761 |
센서재료공학 |
3 |
0 |
3 |
0 |
전공 |
16815 |
센서회로모델링 |
3 |
0 |
3 |
0 |
전공 |
10802 |
시스템시뮬레이션 |
3 |
0 |
3 |
0 |
전공 |
16806 |
신소재공학 |
3 |
0 |
3 |
0 |
전공 |
10721 |
신호및시스템 |
3 |
0 |
3 |
0 |
전공 |
10701 |
신호처리 |
3 |
0 |
3 |
0 |
전공 |
10709 |
아날로그집적회로설계 |
3 |
0 |
3 |
0 |
전공 |
10792 |
안테나공학 |
3 |
0 |
3 |
0 |
전공 |
17535 |
에너지변환공학 |
3 |
0 |
3 |
0 |
전공 |
17531 |
연구개발기획과관리 |
3 |
0 |
3 |
0 |
전공 |
16812 |
연구세미나 |
3 |
0 |
3 |
0 |
전공 |
10718 |
영상신호처리 |
3 |
0 |
3 |
0 |
전공 |
10776 |
영상처리특론 |
3 |
0 |
3 |
0 |
전공 |
10795 |
위성통신시스템 |
3 |
0 |
3 |
0 |
전공 |
10717 |
음성신호처리 |
3 |
0 |
3 |
0 |
전공 |
17537 |
음향공학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6816 |
응용전자회로 |
3 |
0 |
3 |
0 |
전공 |
17536 |
의용생체공학특론 |
3 |
0 |
3 |
0 |
전공 |
16209 |
이동통신공학특론 |
3 |
0 |
3 |
0 |
전공 |
10794 |
이동통신시스템 |
3 |
0 |
3 |
0 |
전공 |
12175 |
인공신경회로망 |
3 |
0 |
3 |
0 |
전공 |
10731 |
인공지능특론 |
3 |
0 |
3 |
0 |
전공 |
16824 |
임베디드시스템설계 |
3 |
0 |
3 |
0 |
전공 |
16825 |
자기센서공학 |
3 |
0 |
3 |
0 |
전공 |
17100 |
자동제어1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0713 |
재료과학특론 |
3 |
0 |
3 |
0 |
전공 |
16211 |
적응신호처리 |
3 |
0 |
3 |
0 |
전공 |
10782 |
적응제어이론 |
3 |
0 |
3 |
0 |
전공 |
12357 |
전기자기학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0786 |
전동기이론및설계특론 |
3 |
0 |
3 |
0 |
전공 |
10763 |
전력반도체 |
3 |
0 |
3 |
0 |
전공 |
10732 |
전력전자시스템 |
3 |
0 |
3 |
0 |
전공 |
10785 |
전력전자특론 |
3 |
0 |
3 |
0 |
전공 |
10757 |
전자물성특론 |
3 |
0 |
3 |
0 |
전공 |
17538 |
전자소자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0758 |
전자소자모델링 |
3 |
0 |
3 |
0 |
전공 |
10702 |
전자소자특론 |
3 |
0 |
3 |
0 |
전공 |
17532 |
전자시스템공학특론 |
3 |
0 |
3 |
0 |
전공 |
10791 |
전자장론 |
3 |
0 |
3 |
0 |
전공 |
17533 |
전자제어공학특론 |
3 |
0 |
3 |
0 |
전공 |
17098 |
전자회로1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0766 |
전자회로해석특론 |
3 |
0 |
3 |
0 |
전공 |
10728 |
제어이론특론 |
3 |
0 |
3 |
0 |
전공 |
10726 |
지능제어 |
3 |
0 |
3 |
0 |
전공 |
10781 |
지능제어특론 |
3 |
0 |
3 |
0 |
전공 |
10764 |
초고주파반도체 |
3 |
0 |
3 |
0 |
전공 |
16808 |
초고주파시스템 |
3 |
0 |
3 |
0 |
전공 |
17534 |
초음파공학특론 |
3 |
0 |
3 |
0 |
전공 |
10789 |
최적제어이론 |
3 |
0 |
3 |
0 |
전공 |
10720 |
컴퓨터비전 |
0 |
3 |
3 |
0 |
전공 |
10703 |
컴퓨터시스템 |
3 |
0 |
3 |
0 |
전공 |
10714 |
컴퓨터이용설계특론 |
3 |
0 |
3 |
0 |
전공 |
17099 |
통신이론1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0793 |
통신이론특론 |
3 |
0 |
3 |
0 |
전공 |
11038 |
패턴인식 |
3 |
0 |
3 |
0 |
전공 |
10778 |
패턴인식특론 |
3 |
0 |
3 |
0 |
전공 |
10775 |
필터설계 |
3 |
0 |
3 |
0 |
전공 |
10710 |
화합물반도체소자 |
3 |
0 |
3 |
0 |
전공 |
10733 |
확률제어 |
3 |
0 |
3 |
0 |
전공 |
17096 |
회로이론1 |
3 |
0 |
3 |
박사보충 |
"박사보충" 표시된 과목
- 석사과정생이 수강할 경우, 전공과목으로 인정되며,
- 박사과정생이 수강할 경우, 보충과목으로 인정됨
★ 교과과정 및 교과목해설은 교육과정 변경에 따라 변동이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과목코드 |
과목명 |
교과목 영문명 |
교과목 한글개요 |
---|---|---|---|
10000 |
개별연구지도 |
Research Works |
학위논문의 작성을 위하여 지도교수의 지도하에 각 개인별 연구주제에 관하여 연구한다. |
10000 |
개별연구지도 |
Research Works |
학위논문의 작성을 위하여 지도교수의 지도하에 각 개인별 연구주제에 관하여 연구한다. |
16817 |
RF집적회로설계 |
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 Design |
본 교과목은 무선통신 시스템에 적용학기 위한 radio frequency(RF) 집적회로 설계와 제작에 대해 다룬다. 무선통신 장치의 송수신단을 구성하는 각 부분들을 단결정 부품으로 만들 경우에 발생하는 문제점과 한계들에 대해 case study를 통해 설명한다. 회로설계에 대한 예제와 프로젝트는 Spice와 RF 시뮬레이션 도구(ADS)를 사용하며, 고주파 집적회로와 관련한 packaging과 테스트와 관련된 제반사항에 대해서도 설명된다. |
16813 |
RF회로설계특론 |
Advanced RF Circuit Design |
S-파라미터, 신호 흐름 선도, 멀티포트 네트워크,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로, 능동 RF소자, RF 증폭기 설계, RF 발진기, 믹서, RF 필터, RF 파워엠프, RF 저잡음증폭기, 스미스차트를 이용한 RF 회로설계등에 대해 공부한다. |
10014 |
VLSI설계 |
VLSI System Design |
NMOS와 CMOS공정을 이용하여 디지털 회로설계에 기본으로 사용되는 표준 셀들을 설계하고 모델을 구한 다음 Logic Simulation, Timing Verification, Cell Routing 등을 통하여 동작을 검증한다. 설계도 블록들을 이용하여 시스템을 구성하는 방법에 대하여 다룬다. |
12174 |
가변구조제어 |
Variable Structure Control |
가변구조제어(VSC)소개와 그 특성 및 VSC에 있어서 중요한 슬라이딩 면과 제어입력의 설계 방식에 대하여 고찰한다. |
10729 |
견실제어이론 |
Robust Control Theory |
선형시스템에서 모델 불확실성을 고려한 견실한 제어기 설계기법에 중점을 두며 신호와 시스템의 norm, controller parameterization, loop shaping, model match problem, 상태공간에서의 H 제어기 설계법, quadratic stabilization 등을 다룬다. |
10788 |
기계시각 |
Machine Vision |
2차원 혹은 3차원 작업환경과 대상체를 인식하고 유용한 정보를 추출하여 기계를 실시간 페루프 제어하기 위한 시각기법들을 다룬다. |
16543 |
나노공학개론 |
Introduction to nano engineering |
최근 나노기술을 이용한 새로운 이론과 소자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나노에 대한 전반적인 학문을 소개하고 적용 가능한 기술에 관하여 학습한다. 이를 통하여 미래의 나노세계에 대한 기초적 능력을 배양한다. |
16814 |
나노공학특론 |
Advanced Nano Engineering |
최근 나노기술을 이용한 새로운 이론과 소자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나노에 대한 전반적인 학문을 소개하고 적용 가능한 기술에 관하여 학습한다. 이를 통하여 미래의 나노세계에 대한 기초적 능력을 배양한다. |
10724 |
다변수제어이론 |
Multivariable Control Theory |
주파수 영역에서 다변수 제어시스템의 해석과 설계에 중점을 두어 전달함수 행렬의 Smith_Macmillan form, matrix fraction description, Nyquist array method, Youla parameterization 등을 다룬다. |
10799 |
데이터통신특론 |
Advanced Data Communication |
통신망구조, 전송방식, 전송로 공유기술, 디지털 전송기술, 트래픽 제어기술, 흐름제어 기법, 경로 선정 알고리즘, 프로토콜 분석. |
16818 |
디스플레이공학특론 |
Advanced Display Engineering |
멀티미디어시대에서는 정보의 전달 방법이 매우 중용하게 인식된다. 따라서 정보의 전달 수단중의 하나인 평판 디스플레이의 원리 및 제작법 등에 관하여 본 교과목에서 소개한다. |
17097 |
디지털공학1 |
Digital Engineering I |
|
16810 |
디지털시스템설계특론 |
Topics in Digital System Design |
하드웨어로의 구현이 가능한 VHDL을 이용하여 디지털시스템을 설계할 수 있는 능력을 부여하기위해 학부에서 다루지 않은 고급 디지털 시스템의 설계와 회로 시스템에서 고려해야할 주변 환경을 공부한다. |
17089 |
디지털신호처리시스템 |
Digital Singal Processing System |
디지털신호처리 알고리즘, DSP-Chip의 구조 및 종류, 특수목적 DSP Chip, 범용 DSP Chip을 이용한 시스템 구현 |
17093 |
디지털신호처리응용 |
Application of Digital Signal Processing |
고속지역망 구조, 계증간의 인터페이스, 성능분석, 디지털교환기술, 인터네트워킹 |
17087 |
디지털신호처리특론 |
Special Topics in Digital Processing |
통계적신호해석, 적응필터, 이산신호 및 시스템 해석, 음성신호처리, 레이다 신호처리, 소나 신호처리, 음향기기, 통신시스템의 신호처리, 지진 신호처리, 생체 신호처리 |
10725 |
디지털제어 |
Digital Control |
아날로그와 디지털, Z변환, 상태공간법, 시간역 해석방법과 주파수역 해성방법, controllability 및 observavbility, 디지털 제어기의 설계, 디지털 관측기 설계, 컴퓨터 제어 문제 등을 다룬다. |
17088 |
디지털집적회로설계 |
Digital Integrated Circuit Design |
CMOS 공정을 이용하여 디지털 집적회로를 구성하는 기초 논리블럭들을 설계, 해석하는 방법을 다룬다. VLSI와 시스템 수준의 설계를 위한 설계방법론과 이와 관련 기술들을 소개한다. |
18254 |
로봇공학 |
Robotics |
|
18255 |
로봇공학특론 |
Advanced Robotics |
|
10790 |
마이크로파소자 |
Microwave Devices |
마이크로파 트랜지스터, 반도체 증폭기, 발진기, 2단자 회로망, 신호흐름선도, 광대역 증폭기, 고출력 증폭기, 고주파 직접 회로 마이크로파 측정. |
17328 |
마이크로프로세스 |
Microprocessor |
|
16827 |
무기센서재료공학 |
Inorganic Sensor Material Engineering |
센서에 사용되는 무기재료들의 결정학적 특성과 작동 mechanism에 관한 기초 이론을 공부한다. 무기재료들의 제조 방법에 대한 소개를 거친 후, 결정들의 대칭성에 따른 전기, 자기, 탄성, 압전, 초전, 광 특성을 Tensor notation을 이용해 규명한다. |
10762 |
박막소자 |
Thin Film Devices |
표면 물리현상과 진공증착법 등의 각종 박막소자의 제조기술 및 그 특성을 소개하고 응용을 다룬다. |
10706 |
반도체공학 |
Semiconductor Engineering |
|
10759 |
반도체공학특론 |
Advanced Semiconductro Engineering |
고체의 밴드이론과 전도특성, 전자와 정공의 통계적 해석, 캐리어의 산란현상, 재결합현상, IC제작공정인 반도체의 에피성장, 에칭기술, 산화, 이온주입, 확산, 박막 및 후막기술 등을 다룬다. |
10798 |
분산시스템특론 |
Distributed Processing System |
중앙집중처리 및 분산처리 기법. Processor형 및 Scheduling, Processor 간의 통신 및 동기화기법, Deadlock 검출, Roolback 및 Recovery Strategy, 준산처리, 운용체제, Date security. |
10780 |
비선형제어이론 |
Nonlinear Control Theory |
비선형 시스템의 시간응답특성과 위상면해석, 인정도 문제, 고조파 선형화법 등 비선형 제어이론과 기법들을 다룬다. |
14819 |
산업체현장실습 |
Industrial Field Practice |
신경회로망의 역사, 기본적인 신경회로망 이론의 고찰, 여러 종류의 기본적인 신경회로망의 학습방법 및 testing 방법을 고찰한다. |
16811 |
산학세미나 |
Industral Seminar |
전공분야에서 필요한 첨단기술의 습득을 위하여 기술분야별로 전문가를 초청하여 강연을 듣는다. 혹은 자체적으로 산학관련 과제를 토의하는 교과목이다. |
10705 |
선형시스템이론 |
Linear System Theory |
상태방정식으로 표현된 선형 동적 시스템에서 제어시스템의 해석 및 설계기법을 공무하며, 리아푸노프 안전성 이론, 자제어성과 가관측성, 극점배치법, 관측기의 설계, LQR 문제 등을 다룬다. |
10708 |
센서공학특론 |
Advanced Sensor Engineering |
측정 대상의 량을 선택적으로 추출하여 유용한 전기적 신호 변환하여 출력하는 온도센서, 전자광학센서, 변위센서, 압력센서, 습도센서, 기체센서, 초음파센서 등의 동작원리를 이해하고 이들의 제조공정을 다룬다. 또한 이들이 실생활에 응용되는 분야와 응용방법 등을 다룬다. |
14774 |
센서시스템공학특론 |
Advanced Sensor System |
센서는 컴퓨터나 산업기기등 다방면에 유용하게 사용되는 소자로 센서를 구성하는 재료의 고유특성을 파악하며, 센서의 동작원리를 이해하고 각 센서들의 시스템의 설계기법 및 프로세싱을 다룬다. |
10730 |
센서시스템설계 |
Sensor System Design |
자동화용 센서들의 구조와 동작원리 및 활용기법에 대해 학습한다. 센서신호의 처리와 인터페이싱을 통한 센서 궤환 시스템의 설계기법을 다룬다. |
16820 |
센서시스템응용 |
Sensor System Applications |
센서소자 및 관련 회로의 기초지식과 특성을 학습한 수 실제 환경에서 센서시스템을 응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
16819 |
센서신호처리특론 |
Advanced Sensor Signal Processing |
센서에 사용되는 각종 센서소자들의 입력, 출력 신호들에 관하여 보다 정밀한 신호처리를 수행하므로 보다 감도가 높은 센서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학문에서는 센서신호처리법, 센서신호처리와 관련된 회로설계 등의 학문을 습득하여 고도화된 센서시스템을 구성 능력을 배양한다. |
10761 |
센서재료공학 |
Sensor Material Phenomena |
센서는 물리현상, 화학현상, 생물현상 등을 이용하여 컴퓨터, 산업기기, 공업계측에 필요한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소자이므로 센서를 구성하는 재료의 고유 특성을 고려하여 재료의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성질을 분석하여 센서로 응용할 수 있도록 한다. |
16815 |
센서회로모델링 |
Modeling of Sensor Circuit |
산업의 여러 분야에 사용되는 각종 센서소자를 실제의 동작 환경에 적합하도록 관련 회로를 개발하기 위하여 실제 환경을 고려한 센서 회로설계의 모델링에 관하여 다룬다. |
10802 |
시스템시뮬레이션 |
System Simulation |
시뮬레이션의 개요,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의 예, 문석기법, 프로그래밍, 기법, 시뮬레이션 언어, 시뮬레이션 실험, 모델링 기법, 검증방법. |
16806 |
신소재공학 |
Advanced Material Engineering |
신소재공학은 기초과학과 다양한 응용과학 모두에게서 매우 중요한 학문이다. 따라서 신소재 연구 및 그 산업은 공업 발전에 핵심적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정보통신 기술의 한계점은 새로운 재료의 개발로 더욱 발전되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본 교과목에서는 최근 새롭게 개발된 그리고 개발 되어져야할 신소재에 관하여 학습한다. |
10721 |
신호및시스템 |
Signals and Systems |
신호 및 시스템의 개념, 신호의 표현, 시스템의 표현, 시스템 해석, 컨벌루션, Fourier 적분, Laplace 변환, Z 변환, 선형공간, 선형상태 방정식, Controllability, Observability, 안정성문제, 비선형 시스템의 기초 |
10701 |
신호처리 |
Signal Processing |
신호처리에 필요한 각종 변환, correlation, convolution 등의 이론을 강의하며, 여러 가지의 디지털 설계 기법과 적응 필터 이론 그리고 spectrum 예측과 분석 등을 다룬다. |
10709 |
아날로그집적회로설계 |
Analog Integrated Circuit Design |
MOS소자를 이용한 연산증폭기, 아날로그 스위치, Computer, Current Mirror 등의 아날로그 기본회로를 설계하는 방법과 Spice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동작해석방법, 설계와 제조 기술과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다룬다. |
10792 |
안테나공학 |
Antenna Engineering |
전자파현상, 공중선 이론, 급전선, 정합, 지상파 대류권파, 전리층파의 전파, 잡음 |
17535 |
에너지변환공학 |
Energy Conversion Engineering |
전기에너지를 기계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기구들의 구조와 원리, 운동방정식, 과도현상해석, 제어, 응용분야 등을 탐구하며, 교류/직류변환장치(정류기), 직류/교류변환장치(인버터)의 회로구성, 파형분석, 시스템해석 등을 다룬다. 각각의 응용예로서 직류전동기의 구동, 교류전동기의 구동방법에 대해서도 강의하며 토폴로지설계, 컴퓨터시뮬레이션 등을 공부한다. |
17531 |
연구개발기획과관리 |
R&D Planning and management |
|
16812 |
연구세미나 |
Research Seminar |
현재 정보통신분야는 매우 급속하게 발전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관련 연구 또한 매우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현재의 연구 정보를 신속하게 받아 들려 질 높은 연구 결과를 산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교과목에서는 최신 정보통신 연구 기술을 바탕으로 석박사과정의 연구 테마 선정 및 연구 진행과정을 체계적으로 학습하고자 한다. |
10718 |
영상신호처리 |
Image Signal Processing |
영상신호처리는 우주 탐사위성으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영상의 화질 개선을 목적으로 시작하였지만, 요즘에는 의료, 기상분야 등 다방면에 이용되고 있다. 그 내용은 영상의 입력, 표현, 강조, 복원, 변환, 해석 등을 다룬다. |
10776 |
영상처리특론 |
Advanced Image Processing |
전처리, 경계출출, 그래프추적, 영산분할, Stereo scopic, 영상처리 시스템, MIMD, SIMD 구현조시스템, 피라미드 구조시스템 |
10795 |
위성통신시스템 |
Satellite Communications System |
양자화와 다중화, 동기위성통신, 위성 트랜스폰드 모델, multi-access earth terminals, time devision multiple access, coherent 송신방법, carrier-phase tracking, 비트동기기, delay-lock tracking. |
10717 |
음성신호처리 |
Speech Signal Processing |
음성신호 특성분석, 발성 기과의 모델링, 시간영역에서의 음성신호처리, 음성신호의 디지털적 표현, short-time Fourier 분석, 선형예측 음성부호화기, 각종 음성 부호화기 설계 등을 다룬다. |
17537 |
음향공학 |
Sound Engineering |
강유전체 재료의 개념과 특성을 익힌 후, 전기-기계-음향 시스템을 연결하는 등가회로에의한 음향, 초음파 트랜스듀서의 설계 및 성능 해석법을 공부한다. |
16816 |
응용전자회로 |
Appiled Electronic Circuit |
전자소자와 전자회로에 대한 지식을 가진 학생들에게 산업현장에 사용되는 여러 가지 응용회로를 분석, 설계하게 하여 폭 넓은 전자 회로 지식을 터득하게 한다. 이를 통하여 앞으로 당면하게 될 각종 회로의 설계 및 개발 응용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한다. |
17536 |
의용생체공학특론 |
Special Topics in Bioelectronics |
여러가지 전자공학적인 원리 및 기술을 의학의 여러 분야에 응용하여 의학의 발전을 추구하고 생체현상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는 과정을 다룬다. 특히 생체에 관련되는 현상과 임상 의학에 적용되는 연구 등을 위한 수학적인 분석과 신호 처리 기법, 전자 계측 그리고 컴퓨터 제어 등을 중점적으로 학습한다. |
16209 |
이동통신공학특론 |
Special Topic on Mobile Communication Engineering |
통신기술, 신호처리기술, 제어기술, RF기술 등이 복합적으로 적용되는 디지털 이동통신시스템의 기본 원리와 요소기술들을 익힘으로써 각 분야의 석사과정 연구 결과들을 이동통신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다룬다. |
10794 |
이동통신시스템 |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
채널할당방식, 셀분할, 주파수관리, 이동기지국, 안테나, 동일채널간섭, 인접채널간섭, Near-Far 현상, 핸드오프, 스위칭, 데이터링크, 이동통신채널환경, 페이딩현상, Multipath 현상. |
12175 |
인공신경회로망 |
Artificial Neural Networks |
신경회로망의 역사, 기본적인 신경회로망 이론의 고찰, 여러 종류의 기본적인 신경회로망의 학습방법 및 testing 방법을 고찰한다. |
10731 |
인공지능특론 |
Advanced Artificial Intelligence |
인공지능은 정보기술의 발달과 함께 사람들에게 커다란 흥미를 제공하는 분야이다. 인공지능용 언어에 대해 학습한 후 휴리스틱 탐색에 의한 문제해결기법, 지식 기반 시스템, 추론, 학습, 계획기법 등이 강의된다. |
16824 |
임베디드시스템설계 |
Embedded Systems Design |
PC가 일반적 컴퓨팅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과는 달리, 임베디드시스템은 특정 업무 또는 일의 수행을 위해 시용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기반의 시스템으로서 설계 시에 기능의 제어와 기능의 범위를 설정하면 사용자는 변경이 불가능한 특정 목적형 시스템이다. 임베디드시스템의 특징은 일반적으로 실시간 수행을 전제하고, OS나 응용소프트웨어가 ROM에 저장되어 있는 내장형 시스템으로서 소형 경량 이동성의 고려와 함께 소비전력의 제한성과 저가격화의 제한성도 요구되며 또한 효율적 설계를 위해 특화된 개발 도구가 사용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임베디드 시스템의 설계를 위해 특화된 개발 도구가 사용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임베디드 시스템의 설계를 위하여 본 교과목에서는 임베디드 프로세서, 메모리시스템, 기본적 주변장치, RTOS(실시간운영체제), 에뮬레이션 및 디버깅기술, 설계사례 등에 관해서 학습한다. |
16825 |
자기센서공학 |
Magnetic Sensors |
자기센서는 자성체의 자기적 현상을 이용하는 센서로 센서의 신뢰성이 우수하여 군사용 및 산업용으로 응용되고 있으며, 메카트로닉스의 발달로 그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주요 강의 내용은 자기센서에 활용되는 자기현상, 자기회로를 이용한 센서, 자기변형현상 및 그 역현상을 이용한 센서, 자기이력특성을 이용한 센서, 와전류를 이용한 센서 및 자기저항효과를 이용한 센서에 관하여 학습한다. |
17100 |
자동제어1 |
Automatic Control System I |
|
10713 |
재료과학특론 |
Advanced Material Science for Engineers |
원자의 결합, 결정 및 결정의 결함, 분자상 및 고용체 다상재료의 상평형, 재료의 상 변화 등 전기전자재료로 사용되는 분야뿐만 아니라 구조적, 공학적 응용분야에 대하여 광범위하게 다루고 미시적인 재료의 물리적, 화학적 성질과 응용분야를 다룬다. |
16211 |
적응신호처리 |
Adaptive Signal Processing |
신호처리과정에서 필요에 따라 시스템의 특성을 변화시키는 기능을 갖춘 신호처리를 적응신호처리라고 한다. 여기서는 적응필터, 각종 알고리즘, 최적신호처리 등에 대하여 배운다. |
10782 |
적응제어이론 |
Adaptive Control Theory |
동적인 환경이나 환경의 변화에 따른 시스템의 파라미터 변동을 조정하기 위한 기법들을 다룬다. 고정 및 가면 파라미터 조정법, 동적 최적화기법과 경사기법 등이 소개된다. |
12357 |
전기자기학 |
Electromagnetics |
|
10786 |
전동기이론및설계특론 |
Advanced Motor Theory and Design |
AC, DC 모터와 스탭퍼 모터의 설계기법과 제어기술을 다룬다. |
10763 |
전력반도체 |
Power Semiconductor Devices |
고전력 제어에 사용되는 Thyristor, BJT, Diode 등과 같은 반도체 디바이스의 물리적 특성과 구조, 제조공정, 응용설계와 관련된 기법 등을 다룬다. |
10732 |
전력전자시스템 |
Power Electronic System |
Converter와 inverter의 종류와 동작원리 및 운용기법을 다룬다. |
10785 |
전력전자특론 |
Special Topics in Power Electronic |
Harmonic analysis를 시작으로 각종 인버터의 동작과 communication 및 chopper의 동작과 운영기법을 다룬다. |
10757 |
전자물성특론 |
Advanced Material Science for Engineers |
Schroedinger 파동방정식과 섭동이론에 의한 근사해법과 결정구조, 에너지 밴드이론, 전류 전도 메커니즘, 캐리어의 거동, 강전계 효과, 광학적 성질 등을 다룬다. |
17538 |
전자소자 |
Semiconductor Devices |
|
10758 |
전자소자모델링 |
Modeling of Electronic Devices |
산업의 여러 분야에 사용되는 반도체, 유전체, 자성체 등의 전자소자를 실제의 동작 환경에 적합하도록 소자를 설계, 제조하기 위하여 실제 사용 환경을 고려한 소자설계와 시뮬레이션 기법, 모델링에 관하여 다룬다. |
10702 |
전자소자특론 |
Advanced Semiconductor Devices |
집적회로를 위한 트랜지스터, 초고주파회로를 위한 마이크로파용 소자인 MESFET, HEMT, IMPATT 다이오드, Gunn 다이오드, 마이크로파 트랜지스터, 광동신용 소자인 Laser Diode, LED, PIN, PD, APD와 전력제어용 소자인 SCR DIAC, TRIAC 등을 다룬다. |
17532 |
전자시스템공학특론 |
Topics in Electronics |
현재 전자공학 산업은 복합적인 기본 지식들이 필요하다. 예로서 전자공학의 기본 이론인 전기자기학이론, 전자회로이론, 전자시스템분석, 반도체공정 등과 통신시스템이론, 제어시스템 이론이 융합되어 첨단 전자시스템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데 본 교과목에서는 전자시스템에 적용되는 기본적 이론과 융합기술의 개념들을 다룬다. |
10791 |
전자장론 |
Electromagnetic Fields and Waves |
벡터해석, 회로이론과 전자파이론과의 관계, 전기 및 자기현상, 전자기파와 전송이론, 도파관과 공진기, 전자방해파와 그 대책 |
17533 |
전자제어공학특론 |
Topics in Automatic Control |
자동제어의 주요 주제인 고전제어이론과 현대제어이론, 지능제어이론 그리고 수학적 안정성 분석 등이 있는데, 여기서는 이들 제어 이론 및 수학적 안정성 분석의 각각에 대하여 다룬다. 특히, PID 제어, 적응제어, 퍼지논리제어는 물론 이들의 설계와 안정성 분석에 관하여 심도있게 공부한다. |
17098 |
전자회로1 |
Electronic Circuit I |
|
10766 |
전자회로해석특론 |
Analysis Techniques of Electronic Circuit |
상위 레벨에서 아날로그 및 디지털회로를 모델링하고 해석하는 기법들을 소개한다. BJT와 MOSFET의 모델 파라미터, 매크로모델링, AHDL과 VHDL을 이용한 전자회로 시스템의 해석방법에 대하여 다룬다. |
10728 |
제어이론특론 |
Special Topics in Control Theory |
비선형제어의 소개와 비선형제어 기법 등을 다루고 비선형 시스템의 신간응답특성과 Phase Plane 방식을 고찰한다. 또한 Describing function과 Lyapunov‘s method, Popov‘s criteria 등을 다룬다. |
10726 |
지능제어 |
Intelligent Control |
기존 제어기이 특성인 정량적인 제어에 전무가의 지식이나 경험 등을 이용한 정성적인 제어를 시스템의 폐루프 안에 두어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기법에 대해서 다룬다. |
10781 |
지능제어특론 |
Special Topic in Intelligent Control |
뉴로-퍼지 이론과 전문가 시스템 등 인공지능 기법의 베어공학에의 활용방안이 심층적으로 다루어진다. |
10764 |
초고주파반도체 |
Microwave Semiconductor Devices |
위성통신 및 지상전송 시스템에 이용되는 초고주파 반도체 소자인 MESFET, HFET, HEMT, HBT 등의 동작원리 및 MMIC 구현을 위한 각종 초고주파 소자의 특성에 대하여 취급한다. |
16808 |
초고주파시스템 |
Microwave Engineering System |
1GHz에서 30GHz까지의 초고주파 신호에 대하여 도파관을 포함하는 전송선로, 공진회로, Magnetorn, Klystron 등의 초고주파 잔자관, 초고주파측정, 초고주파안테나, 초고주파전파, 초고주파통신 시스템, 레이다 등에 관하여 다룬다. |
17534 |
초음파공학특론 |
Advanced Ultrasonic Engineering |
초음파를 사용한 시스템에서의 기본적인 이해와 문제해결을 위한 과목으로 초음파의 특성, 초음파의 발생 및 접속, 그리고 발진자, 표면탄성과 초음파의 응용 등을 다룬다. |
10789 |
최적제어이론 |
Optimal Control Theory |
파라미터 최적화 문제, 동적 시스템의 최적화문제, 최적화 문제의 해법, 통계적 최적화문제, 여러 가지 최적화 기법 연구. |
10720 |
컴퓨터비전 |
Computer Vision |
영상 데이터의 표현방법, 영상분석, 3차원 거리인식, morphology structure, 공간구조인식, 형태표현, 영상이해, 영상정합, 범용 비전시스템 모형 등을 다룬다. |
10703 |
컴퓨터시스템 |
Computer Systems |
Computer의 CPU를 중심으로 I/O, device comminocation 등에 관한 구조이해를 위하여 기본적인 내용을 다룬다. |
10714 |
컴퓨터이용설계특론 |
CAD of Integrated Circuit |
초집적도 설계방법론과 이를 지원하기 위한 CAD기법들을 소개하고 논리회로 시뮬레이션기법, VHDL과 같은 하드웨어 기술언어, Fault 테스팅 알고리즘, Layout 알고리즘 등에 대하여 다룬다. |
17099 |
통신이론1 |
Communication Theory I |
통신 시스템에 인터넷 시스템 레벨의 디지털 수신기를 해석하고 실제적인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효율적인 신호방식이 이해, 선형 및 비선형 변조방식, 가우스 채널에서의 변복조, 페이딩 채널 및 스펙트럼확신통신 |
10793 |
통신이론특론 |
Advanced Communication Theory |
통신 시스템에 인터넷 시스템 레벨의 디지털 수신기를 해석하고 실제적인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효율적인 신호방식이 이해, 선형 및 비선형 변조방식, 가우스 채널에서의 변복조, 페이딩 채널 및 스펙트럼확신통신 |
11038 |
패턴인식 |
Pattern Recongition |
패턴의 특징추출, 패턴공간의 선형.비선형 변환, 통계적 결정론, 추출된 특지의 정규화, 구조적 인식이론, 한글인식, 지문식별, 퍼지신경망 등을 다룬다. |
10778 |
패턴인식특론 |
Pattern Recognition |
외부 정보를 감각 기관을 통하여 두뇌에서 처리하는 과정을 공헌적으로 접근한 학문분야로서 특정한 응용을 위해 주어진 인식 작업이 가능한 인식 기기를 설계하는 이론 및 기술 개발 분야를 다룬다. |
10775 |
필터설계 |
Filter Design |
필터의 특성을 이해하고 시간과 주파수 영역에서 응답특성을 고려하여 필터를 설계한다. Lumped 소자를 갖는 수동필터, 크리스탈과 세라믹 필터, Computer-aided circuit optimization, Microwave filters, Lumped RC 회로를 갖는 능동 필터, Active distributer RC networks, N-path filters, Digital filters. |
10710 |
화합물반도체소자 |
Compound Semiconductor Devices |
Si보다 우수한 GaAs 등 화합물 반도체로 제작된 소자들의 특성연구, 이동도가 매우 큰 Inp특성과 소자 제작 방안 특히 우주 위성통신 및 군사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GaAs 소자에 대한 취급, 화합물 소자의 성장과 에너지대 구조에 관하여 다룬다. |
10733 |
확률제어 |
Stochastic Control |
Deterministic 제어문에서와는 달리 동적인 환경 하에서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새로운 정보가 입력될 때 이를 확률적 기법을 통해 처리하고 폐루프 제어하는 방법을 다룬다. |
17096 |
회로이론1 |
Circuit Theory I |
|
COPYRIGHT(C) 2016 BY DAEGU UNIVERSIT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