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8년 12월 30일에 석사학위과정 복지행정학과가 신설되었고, ’80년 11월 3일에 박사학위과정 행정학과가 신설됨과 동시에 석사학위과정에 행정학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2022년 4월 18일 현재 석사 62명, 박사 83명을 배출하였다.
교육목표
· 행정이론의 체계적 정리와 분석연구를 통한 이의 실제적 응용 및 개발 능력을 가진 행정전문가 양성
· 바람직한 행정이념의 구현을 목표로 복지지향적인 행정인의 자질개발 및 함양
· 사회과학 이론의 과학 철학적 기초를 검토하고 합리적 정책결정 기능을 연구함으로써 학문연구의 선도적 역할 담당]
교수명단
교수명
학위
전공
담당과목
조덕호
도시 및 지역계획학 박사
도시 및 지역계획 도시정보
행정정보 체계론 정책 분석 및 평가
송건섭
행정학박사
행정기획 및 방법론 행정계량분석
행정학 방법론, 기획이론및기법 사회과학 DATA분석법
이승철
행정학박사
지방행정, 지방재정
지방행정론 지방행정론특수연구
박길환
도시 및 공공정책학 박사
지역경제정책 정책계량분석 환경정책
행정통계분석 행정학방법론
서정욱
정책학박사
복지행정, 정책학
복지행정론, 정책학, 환경행정
장명준
도시및지역계획학박사
도시, 도시 및 지역계획
도시계획론, 지역개발론
권성문
도시학박사
도시공간구조, 도시성장관리
도시행정론, 행정정보체계론
★ 교과과정 및 교과목해설은 교육과정 변경에 따라 변동이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교과구분명
과목코드
과목명
이론시간
실기시간
학점
비고
연구
10000
개별연구지도
2
0
2
0
연구
10000
개별연구지도
1
0
1
0
전공
10413
경제학
3
0
3
박사보충
전공
10414
고급행정이론
3
0
3
0
전공
10389
도시계획론
3
0
3
0
전공
10419
관료제이론특수연구
3
0
3
0
전공
10442
관리과학
3
0
3
0
전공
10440
규제정책론
3
0
3
0
전공
16235
기획이론및기법
3
0
3
0
전공
17719
네트웍이론
3
0
3
0
전공
13114
도시행정론
3
0
3
박사보충
전공
10438
도시행정론특수연구
3
0
3
0
전공
10398
복지국가론
3
0
3
0
전공
10428
복지국가론특수연구
3
0
3
0
전공
10397
복지정책론
3
0
3
0
전공
10421
복지정책론특수연구
3
0
3
0
전공
13236
복지행정론
3
0
3
0
전공
10420
복지행정론특수연구
3
0
3
0
전공
19453
사회과학data분석법
3
0
3
0
전공
10395
사회보장론
3
0
3
박사보충
전공
10412
사회학
3
0
3
박사보충
전공
10824
연구방법론
3
0
3
0
전공
17720
유비쿼터스정부와거버넌스
3
0
3
0
전공
10400
인사행정론
3
0
3
박사보충
전공
10432
인사행정론특수연구
3
0
3
0
전공
10405
자치행정론
3
0
3
0
전공
10407
재무행정론
3
0
3
박사보충
전공
10434
재무행정론특수연구
3
0
3
0
전공
10435
정부예산론
3
0
3
0
전공
10436
정책결정론
3
0
3
0
전공
10437
정책분석및평가
3
0
3
0
전공
10401
정책학
3
0
3
박사보충
전공
10430
조직이론특수연구
3
0
3
0
전공
10431
조직행태론
3
0
3
0
전공
14912
지방자치행정론
3
0
3
박사보충
전공
11407
지방재정론
3
0
3
박사보충
전공
10403
지방의회론
3
0
3
0
전공
12164
지방행정론특수연구
3
0
3
0
전공
11417
지역개발론
3
0
3
0
전공
10402
한국정부론
3
0
3
0
전공
13915
행정기획론
3
0
3
박사보충
전공
16236
행정기획세미나
3
0
3
0
전공
10410
행정법
3
0
3
박사보충
전공
10416
행정이념및철학
3
0
3
0
전공
10387
행정이론
3
0
3
0
전공
10404
행정정보체계론
3
0
3
0
전공
10418
행정조사방법론
3
0
3
0
전공
10399
행정조직론
3
0
3
박사보충
전공
16237
행정책임및통제론
3
0
3
0
전공
10390
행정통계분석
3
0
3
0
전공
10415
행정학방법론특수연구
3
0
3
0
전공
10391
행정학사
3
0
3
0
전공
13929
행정학원론
3
0
3
박사보충
전공
10441
도시재생론
3
0
3
0
전공
10406
환경행정론
3
0
3
0
"박사보충" 표시된 과목
- 석사과정생이 수강할 경우, 전공과목으로 인정되며,
- 박사과정생이 수강할 경우, 보충과목으로 인정됨
★ 교과과정 및 교과목해설은 교육과정 변경에 따라 변동이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과목코드
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교과목 한글개요
10000
개별연구지도
Research Works
학위논문의 작성을 위하여 지도교수의 지도하에 각 개인별 연구주제에 관하여 연구한다.
10000
개별연구지도
Research Works
학위논문의 작성을 위하여 지도교수의 지도하에 각 개인별 연구주제에 관하여 연구한다.
10413
경제학
Economics
본 교과는 경제학에 대한 이해를 공고히 하고자 설계된 과목이다. 특히 향후 사회의 경제문제를 공공문제로서 접근하여 이에 대한 정확한 인식능력과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해결능력을 양성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경제학의 주요이론과 접근방법 그리고 현대사회에의 함의를 살펴보는 과목이다.
10414
고급행정이론
Advanced Theories of Public Administration
가장 진보된 행정이론과 최신행정이론에 관한 분석을 함으로써 행정학의 최근 흐름을 살펴 본다.
10389
도시계획론
Ubran Planning
도시의 문제를 파악하고 해결하기 위한 물리적 사회적 계획방식을 이론적 토대와 실천적 응용을 활용하여 학습한다.
10419
관료제이론특수연구
Special Research in Public Bureaucracy
근대 자본주의를 지탱하는 가장 합리적인 제도로서 기능을 수행하는 관료제에 대한 연구를 주목적으로 한다. 특히 관료제를 둘러싸고 있는 수십 년간의 찬.반 이론을 정리하는 것이 본 과목의 중요 목표이다.
10442
관리과학
Management Science
조직내의 원만한 인간협동체계의 구성과 생산성 향상을 극대화시키는 계량기법을 접목시켜 조직의 능력을 향상시키는 기법과 실무를 연결시키는 이론을 탐구한다.
10440
규제정책론
Regulatory Policy
규제란 민간의 활동에 대한 정부의 개입을 의미한다. 규제정책론에서는 규제에 관한 일반 이론들을 소개하고, 규제의 유형별로 현실 사례와 이론의 접목을 통한 이해를 시도한다. 이를 통해 규제라는 복잡한 현상을 체계적으로 파악하는 한편 현실정책에 대한 분석 능력을 함양한다.
16235
기획이론및기법
Planning Theory and Techniques
기획은 조직의 성패를 좌우한 만큼 중요하며 훌륭한 행정기획은 국가의 운명을 선도하고 정책의 성공을 유도할 수 있다. 정보조직에서 관리자가 되기 위한 필수적인 과정으로서 기획이론과 기획과정 및 기법 등을 학습 및 논의한다.
17719
네트웍이론
Network Theory
본 교과는 네트웍이론의 핵심내용과 분석 그리고 이의 함의를 종합적으로 정리해 나가며 연구하는 과목이다.
13114
도시행정론
Urban Administration
현대의 행정은 도시행정으로 대별되며 특히 우리나라처럼 도시화율이 80%을 넘어서고 있는 나라에서는 도시문제에 관한 전반적인 문제, 주택, 교통, 환경, 도시정보 등의 이론들을 소개하고 특히 정보화 시대에 행정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행정방향을 모색함으로써 학생들에게 미래의 도시행정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관리 능력을 제고시키고자 한다
10438
도시행정론특수연구
Special Work in Urban Administration
현대 대도시의 성장과 인구집중, 대도시 기능과 행정구역문제, 수도권의 광역행정기구와 도시계획 등의 대도시 제반 문제를 분석, 고찰한다.
10398
복지국가론
Welfare State
복지국가의 개념.특징 및 그 형성과정을 탐색, 그 문제점을 검토하고 복지국가의 장래를 전망한다.
10428
복지국가론특수연구
Special Work in Welfare State
복지국가의 개념, 특징 및 형성과정을 탐색 그 문제점을 검토하고 복지국가의 장래를 전망한다.
10397
복지정책론
Welfare Policy
복지정책의 수립과 형성과정을 분석하고 오늘날의 현황 및 그 개혁을 위한 문제점을 검토.연구한다.
10421
복지정책론특수연구
Special Work in Public Welfare Policy
복지사회의 실현을 위한 정부활동의 방침 및 미래행동계획의 제절차와 결정 방법 등을 특수 사례를 중심으로 비교 탐색하고자 한다.
13236
복지행정론
Welfare Administration
현대국가의 궁극적인 이념인 민주복지사회의 실현을 위한 이론적 그리고 실천적 영역의 행정적 대응을 체계있게 모색한다.
10420
복지행정론특수연구
Special Work in Public Welfare Administration
민주복지사회의 실현을 위한 보다 구체적인 특수사례를 중심으로 연구함.
19453
사회과학data분석법
Social Science Data Analysis
기초통계 회기분석과정 등을 통해 행정학 연구에 필요한 고급 통계기법과 최근의 발전된 계량이론을 습득한다.
10395
사회보장론
Social Security
사회보장에 관한 기본적 개념과 이론을 탐구하며, 사회보장제도의 발달을 선진국제도와 비교, 그 혁신정책과 그 전망을 탐색.연구한다.
10412
사회학
Sociology
현대사회는 빠르게 변화를 거듭하고 있으며, 사회가 변화함에 따라 사회학의 관심도 변화해 왔다. 현대사회는 변화 그 자체이다. 따라서 이과목은 사회는 어떻게 구조화되어 있으며 그러한 사회구조 속에서 개인들은 어떻게 행동하는가를 탐구할 뿐만 아니라 사회는 왜, 그리고 어떻게 변화하는가에 대해서 연구를 시도한다.
10824
연구방법론
Research Methods
연구방법론의 기초이론에 따라 학생 개개인의 졸업논문 작성에 팔요한 여러 방법을 다룬다. 주요 내용은 연구 계획서의 작성법, 연구기획 및 설계방법, 표본설계 및 자료수집 방법, 그리고 각 전공분야별 연구분야 소개와 많이 쓰이는 분석방법이다.
17720
유비쿼터스정부와거버넌스
Ubipuitous Government and Governance
21C 정보화사회에 필요한 행정 및 일반사회의 정보체계의 틀을 이해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함으로써 행정에 필요한 정보체계를 구축하고 행정에서 정보체계가 어떻게 활용되는 가를 인식하고 향후 정보화사회에서의 행정전문가에게 필요한 주요 이론을 연구하고자 한다.
10400
인사행정론
Public Personnel Administration
인사행정의 일반이론, 인사행정의 기초로서의 인사행정기관과 공무원제도, 채용, 사기 및 능력발전을 강의한다.
10432
인사행정론특수연구
Special Work in Public Personnel Administration
공무원 인사제도에 관한 합리적 방안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특히 여기에서 는 현대 공무원 인사제도와 관련된 여러 가지 합리적 방안을 각국의 공무원 인사제도와 관련하여 보다 심도있게 연구하고자 한다.
10405
자치행정론
Autonomy Administration
지방자치의 이론적 기초, 지방자치론의 역사적 고찰, 지방자치단체 내부의 조직(지방의회와 자치단체장, 교육자치기관 등 지방자치와 국가와의 관계, 주민과의 관계, 지방재정 및 자치단체 구역과 광역행정에 관하여 강의한다.
10407
재무행정론
Public Finance Administration
재무행정론은 정부재정의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방안을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정부는 일정한 재원을 바탕으로 국민들의 다양한 서비스 욕구를 충족시켜야 한다. 이러한 임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정부는 효과적으로 재원을 조달하는 방안과 이를 효율적으로 운영 및 관리하는 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 따라서 재무행정론은 정부의 민주적인 운영과 재원이 효율적인 방안을 제시하는 과목이다.
10434
재무행정론특수연구
Special Work in Public Finance Administration
현대 행정은 국민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야 하면서도 국민들에게 가능한 한 적은 부담을 주어야 한다. 재무행정론 특수연구는 정부재원의 사용이 사회 및 경제에 미치는 문제점을 분석하고 그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이다.
10435
정부예산론
Government Budgeting
정부예산론은 정부예산을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방안을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정부예산론은 정부예산과정에 필요한 이론과 예산운영과 관련한 정부조직 및 제도를 연구하는 과목이다.
10436
정책결정론
Public Policy Making
정책의제가 설정되고 정책목표와 정책수단이 결정되는 역동적 과정을 연구, 분석한다.
10437
정책분석및평가
Policy Analysis and Evaluation
정부가 수행하고 있는 모든 정책들은 국민들에게 다양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정부는 가능한 한 국민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정책들은 최소화하여야 하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정책들을 많이 수행하여야 한다. 본 과목은 올바른 정책이 입안될 수 있도록 정책을 분석하고 평가하는 이론과 기법을 제시하고 있다.
10401
정책학
Policy Science
정책학이론의 전 범위를 포괄하여 개략적으로 분석한다.
10430
조직이론특수연구
Special Research on Organizational Theories
현대조직이론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행정조직 형태에 대한 관찰력과 분석능력을 향상시키며, 주요 내용은 관료제, 조직과 환경, 행정구조, 기능, 소집단 등이다.
10431
조직행태론
Organizational Behavior
행태과학의 이론적 기초 위에 조직 속에서 개인의 형태, 집단 및 조직의 행태에 관한 이론을 소개하고 관리자로서 유용한 조직형태에 관한 이론과 실제를 체계적으로 연구한다.
14912
지방자치행정론
Local Autonomy and Public Administration
지방자치행정은 지방에서 자치적으로 이루어지는 행정으로서 궁극적으로는 지방정부가 지역주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일련의 행정을 말한다. 본 과목을 통행 지방자치 및 행정이 어떻게 지역에서 이루어지는가를 학습함으로써 지방자치의 가치, 역할 기능 등 전반
11407
지방재정론
Local Public Finance
지방재정론에 대한 개념, 재정학의 주요이론을 살펴본 후 한국의 지방재정의 현황을 세입, 세출로 구분하여 살펴보고, 재정관리에 대한 제도를 고찰하여 한국의 지방재정 현황분석을 기초로 바람직한 지방재정을 이해한다.
10403
지방의회론
Local Councils
지방정책결정기관인 지방의회에 대한 제반 이론과 실제를 학습한다. 지방의회제도의 원리와 의의, 역사와 현황, 우리나라 지방의회의 연혁, 지방의회의 조직, 지방의회의 지위, 기능 및 권한, 지방의회의 운영, 지방선거, 지방의회와 자치기관 간의 관계를 연구한다.
12164
지방행정론특수연구
Special Work in Local Administration
지방행정의 개념, 역사적 발전, 조직, 재무, 인사, 기획, 중앙통제 지역개발과 그 전략에 관한 연구를 한다.
11417
지역개발론
Theories of Regional Development
지역성장 및 개발정책과 관련된 제 이론을 살펴봄으로써 지역개발의 역할과 기능을 정립하여 정책적 차원에서 우리 나라와 외국의 경험을 비교.분석함으로써 지역개발의 이해를 높인다.
10402
한국정부론
Korean Government
정부의 경제, 사회생활에 대한 통제와 지도에 관련된 정치적 의의 및 행정적 가치 통제방법, 범위에 관련된 것을 분석
13915
행정기획론
Administrative Planning
16236
행정기획세미나
Seminar on Administrative Planning
기획에 대한 일반적인 이론을 바탕으로 실제 행정기획에 어떻게 적용되고 운영되며 기법 등을 적용하는지 심층적으로 학습하고, 문제해결을 위한 합리적인 대안을 토론한다.
10410
행정법
Administrative Law
본 과목은 법적 원리를 바탕으로 행정에 대한 이해를 시도한다. 특히 행정기관의 조직, 권한, 상호관계, 행정기관과 국민간의 법률관계, 일반적인 행정작용에 대해 초점을 맞춘다.
10416
행정이념및철학
Public Ideology and Philosophy
바람직한 행정질서의 구현을 목표로 이와 관련된 제반가치와 이념적 차원의 논의를 전개한다.
10387
행정이론
Theory of Public Administration
행정이론의 체계적 정리와 이해를 목적으로 행정학 분야에 대한 학문적 기초와 그들간의 연계 관계를 설명, 행정이론에 공헌한 문헌과 연구경향 검토한다.
10404
행정정보체계론
Public Management for Information System
행정조직관리와 정책분석에 필요한 정보수집, 관리, 검색, 전파를 컴퓨터운영을 통해 체계화시키는 논리를 개발한다.
10418
행정조사방법론
Administrative Research Method
사회과학 특히 사실과학으로써의 행정학을 연구하는데 필요한 방법론을 습득하게 하고, 이에 필요한 사회과학 접근방법, 모형설정, 예측방법, 이론의 구성, 체계이론을 학습한다.
10399
행정조직론
Administrative Organization Theory
조직 현상에 대한 일반적 이론의 기초를 종합적으로 정리하고 특히 행정조직 현상의 이론과 실제를 연구 분석한다.
16237
행정책임및통제론
Administrative Responsibility and Control
행정문제의 불확실성과 복잡성, 범위의 확장성 등으로 어느 때보다 행정관료의 역할이 중요해졌다. 이러한 행정환경의 변화에 공공의 책임성이 강조되며, 보다 합리적인 통제 등이 필요하다. 책임성과 행정통제에 대한 이론적인 논의와 바람직한 통제방법 등을 토론한다.
10390
행정통계분석
Statistics Analysis for Administration
행정현상과 관련된 여러 가지 문제점을 통계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해결하고자 함. 특히 이 분야에서 통계분석과 관련된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습득을 목적으로 한다.
10415
행정학방법론특수연구
Special Work in the Methodology of Public Administration
행정학 이론의 영역규정과 관련 접근법을 거시.미시.중범위적 차원과 사회과학의 방법론적 측면에서 행정학 이론의 역사적 발전과 관련시켜 분석.검토함으로써 방법론 체계를 습득한다.
10391
행정학사
History of Public Administration
역사의 흐름 속에서 행정환경, 제도 및 행정인의 행태와 행정에 대한 문제의식이 어떻게 바뀌어 왔는지 그 주요 맥락을 찾아본다.
13929
행정학원론
Introduction to Public Administration
행정학은 정부를 연구대상으로 한다. 정부가 공공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어떻게 할 것인지를 합리적인 대안을 제시한다. 특히, 정부관료제, 정부인사, 예산을 어떻게 관리할 것인지에 대한 과학적인 논의를 연구하게 된다.
10441
도시재생론
Ubran Regeneration
도시재생특별법의 도입에 따라 도시인구와 산업의 쇠퇴를 극복하고 도시를 재활성화 시키는 이론과 방법론을 학습한다
10406
환경행정론
Environmental Administration
도시화, 산업화과정에서 야기된 각종의 환경문제를 고찰하며 국토 개발과 도시계획에 있어서 전통적인 방법을 벗어나 인간과 자연의 조화된 발전패턴을 연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