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3년에 대학원 석사과정이, 1985년에 박사과정이 신설된 이후 현재까지 수십 명의 석박사를 배출하였다.
본과의 졸업생들은 4년제 대학과 전문대학의 교수, 국공립연구기관 등에서 연구원으로 또는 제약회사, 환경분야 산업체 등지에서 생물학 전공과 관련된 연구분야에서 연구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교육목표
·생명과학의 발전에 기여하는 고급 연구 인력 양성
·생명과학의 고등교육을 담당할 전문 인력 양성
·학제적 연구 및 교육을 위한 생명과학 분야의 지원
*교수명단
교수명
학위
전공
담당과목
유병제
이학박사
생리·생화학
생화학특론, 분자바이러스학
장천영
이학박사
계통분류학
동물계통분류학특론, 무척추동물학특론
장세헌
이학박사
분자생물학
유전자발현학, 분자생물실험학
이영옥
이학박사
환경미생물학
미생물학특론, 환경미생물학특론
조영준
이학박사
분자면역학
세포생물학특론, 분자면역학특론
이창우
이학박사
분자생리학
분자생리학특론, 생물정보학특론
원효식
이학박사
식물계통분류학
분지계통학, 진화생물학특론, 식물계통학특론
홍창수
이학박사
분자발생생물학
분자발생생물학, 분자신경발생학
하달수
이학박사
분자신경생물학
신경생물학특론, 분자의학
문동오
이학박사
세포생물학
면역학특론, 동물생리학특론
이정호
이학박사
식물분류, 생태학
식물형태학특론, 조류학특론 I.II
정진수
교육학박사
생물교육
신경생물학특론
조영석
이학박사
동물분류생태학
포유동물학특론, 야생동물관리학특론
★ 교과과정 및 교과목해설은 교육과정 변경에 따라 변동이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교과구분명
과목코드
과목명
이론시간
실기시간
학점
비고
연구
10000
개별연구지도
2
0
2
0
연구
10000
개별연구지도
1
0
1
0
전공
11819
군집생태학
3
0
3
박사보충
전공
17509
담수생태학
3
0
3
0
전공
16147
동물계통분류학특론
3
0
3
0
전공
13121
동물생리학특론
3
0
3
0
전공
19919
동물행동학특론
3
0
3
0
전공
13166
면역학특론
3
0
3
0
전공
11777
무척추동물학특론
3
0
3
0
전공
14498
미생물유전학
3
0
3
0
전공
13194
미생물학특론
3
0
3
0
전공
11540
바이러스학특론
3
0
3
0
전공
17505
보전생물학특론
3
0
3
0
전공
11815
부유생물학
3
0
3
0
전공
17778
분자계통학실습
3
0
3
0
전공
11795
분자면역학특론
3
0
3
0
전공
11797
분자바이러스학
3
0
3
0
전공
17500
분자발생생물학
3
0
3
0
전공
11794
분자생리학특론
3
0
3
0
전공
17501
분자생물실험학
3
0
3
0
전공
10981
분자생물학특론
3
0
3
0
전공
17780
분자신경발생학
3
0
3
박사보충
전공
17499
분자의학
3
0
3
0
전공
11830
분지계통학
3
0
3
박사보충
전공
17503
생물정보학특론
3
0
3
0
전공
17779
생물지리학특론
3
0
3
0
전공
17507
생태복원학특론
3
0
3
0
전공
13408
생태학특론
3
0
3
0
전공
10934
생화학특론
3
0
3
0
전공
10939
세포생물학특론
3
0
3
0
전공
12227
세포유전학특론
3
0
3
0
전공
17508
수질오염평가
3
0
3
박사보충
전공
12263
식물계통학특론
3
0
3
0
전공
17502
신경생물학특론
3
0
3
0
전공
19918
야생동물관리학특론
3
0
3
0
전공
11769
저서생물학
3
0
3
0
전공
11439
조류학특론
3
0
3
0
전공
17504
종양생물학특론
3
0
3
0
전공
17506
진화생물학특론
3
0
3
0
전공
19920
척추동물학특론
3
0
3
0
전공
19917
포유동물학특론
3
0
3
0
전공
11448
해양생물학특론
3
0
3
0
전공
11818
해양생태학
3
0
3
0
전공
11804
핵산화학특론
3
0
3
박사보충
전공
17510
형태학특론
3
0
3
0
전공
11814
환경미생물학특론
3
0
3
0
전공
13978
환경생물학특론
3
0
3
0
"박사보충" 표시된 과목
- 석사과정생이 수강할 경우, 전공과목으로 인정되며,
- 박사과정생이 수강할 경우, 보충과목으로 인정됨
★ 교과과정 및 교과목해설은 교육과정 변경에 따라 변동이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과목코드
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교과목 한글개요
10000
개별연구지도
Research Works
학위논문의 작성을 위하여 지도교수의 지도하에 각 개인별 연구주제에 관하여 연구한다.
10000
개별연구지도
Research Works
학위논문의 작성을 위하여 지도교수의 지도하에 각 개인별 연구주제에 관하여 연구한다.
11819
군집생태학
Community Ecology
군집개념의 전개, 종간경쟁에 의한 군집의 형성, 포식과 교란에 의한 군집의 다양성 유지, 군집의 구조적 법칙성, 군집의 파라메타와 다양성 지수, 군집의 동태와 안정성 등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이해시키고 그 연구방법을 인식시킨다.
17509
담수생태학
Freshwater Ecology
담수환경에 서식하는 동,식물플랑크톤, 어류, 세균의 기본적인 분류와 생태를 다루는 과목이다. DO, pH, BOD, 영양염류(질소, 인) 등 다양한 환경요인과 담수 생물 군집 동태간의 상관관계를 소개하고 수질오염(부영양화)이 야기하는 전반적인 수생태계의 변화에 대해 고찰한다.
16147
동물계통분류학특론
Advanced Systematic Zoology
종의 개념, 분류학적 형질, 명명법 등의 동물계통학의 기초이론을 교수하고, 계통탐구를 위한 현대 생물학의 다양한 방법론들을 고찰한다.
13121
동물생리학특론
Advanced Animal Physiology
동물의 생명 활동은 환경의 변화에 대처하기 위한 것이며, 외부 환경이 변화하여도 내적 환경의 변화는 최소화하는 것이 동물 생리의 주 목표이고, 동물 생리는 궁극적으로 세포의 활동에 기인한다는 것을 주지시킨다. 동물의 구조와 기능의 연관성을 이해시키며, 동물의 모든 활동은 기본적으로 에너지적인 benefit과 cost의 관계에 따른 효율성에 의한 것이다. 이런 바탕 하에, 신경, 근육, 감각, 항상성 유지 등을 중점적으로 강의한다.
19919
동물행동학특론
Advanced Animal Behavior
동물의 의사소통, 먹이획득, 피식과 포식, 교미, 양육 및 사회성 행동에 관한 수업
13166
면역학특론
Advanced Immunology
외래 물질에만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면역 반응의 원리를 설명하고 최근 분자 및 세포 면역학의 연구 동향을 소개한다. 주요 토픽으로는 백신의 원리와 작용, 면역 기능의 이상으로 생기는 질병, 종양 면역학 분야 그리고 면역학 연구를 위한 최신 실험 방법 등을 다룬다.
11777
무척추동물학특론
Advanced Invertebrate Zoology
무척추동물의 계통진화 과정을 중심으로 행동, 생태 발생 등을 다룬 논문들을 리뷰하고 토론함으로써 현대 동물학의 새로운 연구동향과 방법론을 습득케한다.
14498
미생물유전학
Microbial Genetics
본 강의는 미생물중 효모, 박테리아 등을 중심으로 이 생물체들이 갖는 특이한 여러 유전현상에 대해 세포 및 분자 수준에서 다루고자 한다.
13194
미생물학특론
Advanced Microbiology
미생물의 분류, 생리, 생태 및 유전 등 미생물학 전반에 걸친 생명현상을 이해시키고 유전공학, 환경미생물, 산업미생물, 식품미생물 및 의학 관련 미생물 등에 관한 최근의 토픽을 발췌, 공개 토의 함으로써 미생물학 전 분야에 관한 연구현황을 파악하고 이해력, 표현력을 고취시키고자 한다.
11540
바이러스학특론
Advanced Virology
바이러스의 구조와 유전자 특성에 따른 분류체계를 설명하고 유전자 특성에 따른 복제, 전사, 번역 및 분비기구를 설명하며, 바이러스에 의한 질병과 바이러스를 이용한 생명현상의 연구방법과 산업적 이용을 강의한다.
17505
보전생물학특론
Advanced Conservation Biology
지구온난화, 외래종의 침범, 서식지 파괴 등 생물 다양성 감소 현상을 소개하고 다양성의 유지 및 복원을 위한 전략, 경제와 윤리 사이의 균형 등 급속히 커가는 이 전공 분야에서 진행되는 논란에 초점을 맞추어 고찰한다.
11815
부유생물학
Planktology
다양한 부유생물(Plankton)들을 대상으로 하여, 이들의 형태와 분류, 생태계에서의 위치와 환경요인 및 타생물군과 관계, 수계환경에서의 지표성 등을 고찰하는 한편 채집, 프레파라아팅, 현미경관찰, 동정, 개체군동태 변화 측정 등의 실습을 병행한다.
17778
분자계통학실습
Practice in Molecular Systematics
최근 DNA 염기서열을 이용한 분자계통학의 발달은 생물 분류체계에 있어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본 과목에서는 분자계통학의 원리와 방법, 그 적용과 사례에 대해 강의 및 실습을 통해 DNA 추출부터 염기서열의 확보 및 분석, 기타 분자계통학적 자료의 분석 등에 대해 체계적으로 배우게 된다.
11795
분자면역학특론
Advanced Molecular Immunology
외부물질로부터 신체를 방어하는 면역기능을 분자수준에서이해한다. 면역반응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항체의 분자구조, 항체유전자의 구조 및 유전자 발현과정의 특성과 이에 기인하는 항체의 다양성, B 임파구로부터의 항체 합성 및 분비과정과 T 임파구의 역할, 그리고 항체와 항원의 상호작용 등을 강의한다.
11797
분자바이러스학
Molecular Virology
유전자 특성과 구조에 따른 감염 경로, 숙주세포에서의 바이러스 복제 및 분비, 바이러스 감염에 따른 숙주세포의 형질전환, 유전자 재조합 기술에 의한 바이러스 항원의 생산방법, 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되는 질병의 처치 등을 분자적 수준에서 설명한다.
17500
분자발생생물학
Molecular Developmental Biology
수정, 난할, 낭배형성, 신경배형성 및 기관형성 과정 등의 여러 발생 과정을 분자생물학적인 관점에서 이해한다. 본 과목은 강의와 연구논문의 발표 및 토론으로 이루어진다.
11794
분자생리학특론
Advanced Molecular Physiology
세포 및 기관의 전반적인 기능을 분자수준에서 규명하여 여러 생리학적 과정의 기구를 이해시킨다. 주로 근육과 세포내 운동기관의 성질 및 기능, 신경전달과정 및 생화학적 신호전달과정, 면역반응과정, 체액의 종류와 성질 및 혈액응고 과정 등을 강의한다.
17501
분자생물실험학
Experimental Molecular Biology
분자생물학에 필요한 기본적인 실험원리 및 방법들을 설명한다. 실험방법을 이용하여 유전공학 산물을 생성하는 데의 장점 및 문제점들에 대하여 강의한다.
10981
분자생물학특론
Advanced Molecular Biology
유전의 기본 원리들을 분자생물학적 수준에서 해석하는 기초 이론들을 주제별로 학습하며 최신 발견된 테마에 관해서 세미나를 겸한다.
17780
분자신경발생학
Molecular Neuroembryology
신경계 및 감각기관의 발생과 분화과정을 분자생물학적인 관점에서 이해한다. 본 과목은 강의와 연구논문의 발표로 이루어진다.
17499
분자의학
Molecular Medicine
분자의학은 질병에 대한 분자생물학적 지식을 기반으로 인간의 질병 중, 유전적 요인에 의해 일어나는 질병에 대하여 유전학적, 세포학적 치료법을 포함한 유전체학, 단백질체학, 생물정보학 분야를 모두 망라함으로써 질병치료를 위한 분자생물학적 기초를 이해하고 새로운 분자세포생물학적 시도가 가능하도록 시도하는 학문이다.
11830
분지계통학
Phylogenetic Systematics
분지계통학은 파생공유형질의 분석을 통하여 단계통군을 확인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형질변화의 계열과 분지의 순서를 정하고 계통의 계층구조를 파악하려 하는 현대 계통분류학의 총아로 떠오른 원리이자 방법론이다. 본 강좌에서는 분지계통학의 원리와 이론을 학습하고, 형질평가분석과 알고리즘, 계통수 작성과 분류 등의 제과정을 실습한다.
17503
생물정보학특론
Advanced Bioinformatics
생물정보학 분야의 기초지식을 습득하고, 논문검색과 생물정보 데이터베이스의 종류와 특성을 고찰하며, DNA 및 단백질의 특성과 역할을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을 중심으로 학습한다.
17779
생물지리학특론
Topics on Biogeography
지구상에 존재하는 생물의 공간적 분포 양상을 생물의 진화와 연계하여 이해하고자 하며, 이를 위해 다양한 생물분류군에 대해 이들 분류군의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 환경 요인, 지구의 지형 변화, 종분화와 계통 등을 종합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17507
생태복원학특론
Advanced Ecological Restoration
생태복원학은 환경과학에 토목, 건축, 토양, 환경공학 등의 공학분야가 접목된 다학제간 학문분야이다. 본 강좌에서는 주로 무분별한 개발로 인해 훼손된 생태계에 생태학의 원리를 적용하여 본래의 기능을 회복한 사례와 그 방안에 대해 고찰한다
13408
생태학특론
Advanced Ecology
개체의 생리상태, 개체군의 변동, 군집의 구조적 특성 및 그 안정성, 먹이연쇄, 에너지순환, 물질순환 등에 관한 제이론과 현상에 관한 최근의 연구주제를 발표하고 토의한다.
10934
생화학특론
Advanced Biochemistry
생체분자인 탄수화물, 지질, 단백질, 핵산의 구조와 기능을 다루고, 이들로 구성되는 세포소기관과 원형질막의 구조와 기능을 설명한다. 또한 물질대사를 설명하고 그것의 조절기구를 설명하며, 조절기구의 유형을 다룬다.
10939
세포생물학특론
Advanced Cell Biology
생명의 기본단위로서의 세포와 총체적인 유기체로서 생명체 사이의 관계를 중심으로 각 세포소기관의 미세구조와 기능, 세포주기, 세포분열 및 분화 등의 문제를 주제별로 고찰한다.
12227
세포유전학특론
Advanced Cellular Genetics
유전자를 담고 있는 염색체의 구조와 특성을 살펴보고 나아가서 염색체의 3차 구조와 기능을 학습한다. 세포분열과 염색체의 변화를 연결시켜 고찰하고 동물, 식물의 염색체 이상와 사람의 염색체 이상도 살펴본다.
17508
수질오염평가
Water Pollution Assessment
강, 호수, 해양 등 다양한 범주에 속한 수생태계의 특정 오염 사례들을 통해 해당생태계의 주된 오염 원인이 무엇인지를 평가하는 안목을 기른다. 즉 본 강의의 목표는 실제 오염된 수생태계를 분석하고 평가할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는 것이다.
12263
식물계통학특론
Advanced Plant Systematics
식물의 분포적 특징을 이해시키며 식물 개체군의 크기아 성장 및 식물군락의 구조적 특징을 연구하는 방법을 습득하게 한다. 아울러, 식물과 비생물적 환경과의 관계를 이해하게 한다.
17502
신경생물학특론
Advanced Neurobiology
신경세포의 다양한 구조와 기능을 익히고, 두뇌의 정보처리 메커니즘을 통합적으로 이해하는 데 이를 적용한다.
19918
야생동물관리학특론
Advanced Wildlife Management
야생동물관리를 위한 기초 생태학적 이론 및 이에 대한 관리, 보전, 유해조수 조절 및 수렵에 대한 적용 수업
11769
저서생물학
Benthic Biology
저서생물의 분포를 지배하는 생태적 요인을 파악하고, 저서 생태계의 특징, 저서생물의 다양성, 생활형, 생활사, 식성, 서식환경에 대한 적응적 특성 등을 이해시키고, 저서 생물에 관한 연구동향과 연구방법을 알게 한다.
11439
조류학특론
Advanced Phycology
조류는 수중 생태계의 일차생활자로서 가장 중요한 구성원이며 식용, 가축의 사료, 약용 등 중요산업 자료화합물의 자원생물로서 뿐 아니고 생물비료, 토양안정제, 생물학 연구 재료생물, 수질오염의 자료로서 이용되고 있다. 또 조류는 수상 운송선의 항해 방해, 식수 정화과정에서의 방해 등 이루 헤아릴 수 없을 만큼 우리에게 직.간접적인 중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들 생물에 대한 관심과 인식도가 날로 증가됨에 따라 선진국에서는 새로운 연구 대상으로 열기가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생물학 전공자로서 조류의 기초적인 지식을 습득하므로 자질을 향상코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17504
종양생물학특론
Advanced Cancer Biology
암세포가 가지는 특성을 세포 및 분자생물학적 측면에서 이해하고, 암 발생에 대한 중요기작 및 응용에 대해 강의한다.
17506
진화생물학특론
Advanced Evolutionary Biology
생물의 진화를 이해하기 위해 다양한 예제를 통해 진화의 양상 및 과정을 추적해? 본다. 특히, 소진화(microevolution)를 중심으로 분자수준에서의 진화 및 개체군? 수준에서 나타나는 진화의 양상과 과정, 그리고 종분화 등에 대해 이해한다.
19920
척추동물학특론
Advanced Vertebrate Zoology
척추동물의 분류, 형태, 생태, 비교생물학 및 야외모니터링 기법에 대한 수업
19917
포유동물학특론
Advanced Mammalogy
포유동물에 대한 분류, 분포, 자연사, 보전, 관리기술 및 야외조사법과 실험기법에 대한 수업
11448
해양생물학특론
Advanced Marine Biology
생물서식지로서의 해양환경의 특징, 해양의 이용, 해양생물의 다양성, 생활형, 서식지별 생태적 특징과 그 적응적 기작을 이해시키고, 우리 나라의 해양생물에 관한 최근의 연구동향과 해양생물의 자원학적 개발의 가능성을 인식시킨다.
11818
해양생태학
Marine Ecology
해양환경을 표영계와 저서계, 연성기질과 경성기질로 나누어 그 생태적 특징을 이해시키고, 일차생산과 이차생산 및 어업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해양생태계가 생물자원학작으로 중요하며 지상의 오염이 해양까지 미친다는 점을 인식시킨다.
11804
핵산화학특론
Advanced Nucleic Acids Chemistry
유전정보전달과정에 가장 중요한 물질인 핵산 특히 DNA의 이중나선구조를 생화학적으로 규명하고 uncleosome 및 염색체의 구조와 리보좀의 구조를 분자수준에서 이해시킨다. 아울러 핵 내에서 일어나는 DNA복제, transcription, translation 과정의 기작을 DNA 및 RNA의 구조에 기초하여 고찰한다.
17510
형태학특론
Advanced Morphology
형태학특론은 동,식물의 해부학적 구조를 이해하고 진화와 생명활동 전반에 대한 역동적인 기능을 규명하는 과목으로써, 전체 생물학의 기초가 되는 분야이다. 생태학과 생리학, 병리학 등 은 물론 첨단 유전공학의 연구와 학습에 필요한 생물의 형태와 구조에 대한 정확하고 기본덕인 이해를 목적으로 한다.
11814
환경미생물학특론
Advanced Environmental Microbiology
환경오염과 관련된 미생물군집의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고 아울러 이들 미생물의 다양한 생리적.유전적 기능을 이용한 난분해성 물질의 분해 등, 미생물의 산업적 이용에 관한 최근 연구동향을 소개한다.
13978
환경생물학특론
Advanced Environmental Biology
생물과 환경 사이의 상호관계에 적용되는 생태학의 원리에 기초하여 인간의 에너지 이용이 자연환경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지속 가능한 미래 환경을 위한 대책이 최근 연구 동향과 함께 소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