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공학과 대학원은 인류의 건강과 복지향상에 기여하고, 연구개발의 창의적 자질과 경쟁력을 갖춘 우수한 전문 인재를 양성하고자 설립되었으며, 현재 5명의 교수진아래 10여 명의 석·박사 과정 대학원생이 재학하고 있습니다. 본 학과는 식품공정 모델링 및 신제품 개발, 발효에 의한 bioconversion, 대사산물생산 및 발효식품개발, 식품안전 및 기준 규격 연구, 기능성 식품의 성분분리 및 구조결정, 생물전환 등의 분야에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교육목표
- 지식과 기술을 겸비한 식품산업을 주도할 지도자 양성
- 최첨단 식품개발 정보에 관한 지식습득과 과학적 연구를 바탕으로 창의적 연구 인력양성
- 식품산업정보의 응용 및 가공기술개발 연구를 통한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할 전문인력양성
교수명단
교수명
최종학위명
전공
담당과목
이준호
Ph.D.
식품공학 및 식품품질관리
식품공학특론(1)(2)
식품물성학특론(1)(2)
식품열전달특론
식품품질평가특론
응용통계학특론
김성호
공학박사
식품미생물학 및 발효공학
식품미생물학특론(1)(2)
발효공학특론(1)(2)
효소공학특론(1)(2)
생물공학특론(1)(2)
임무혁
농학박사
식품가공 및 미생물학
식품가공학특론(1)(2)
식품법령특론(1)(2)
식품저장학특론(1)(2)
식품기준규격특론(1)(2)
식품위생학특론(1)(2)
식품위생관리특론(1)(2)
김태훈
약학박사
천연물화학
천연물화학특론
천연물화학연구
김수일
공학박사
식품공학
식품포장공학특론(1)(2)
★ 교과과정 및 교과목해설은 교육과정 변경에 따라 변동이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교과구분명
과목코드
과목명
이론시간
실기시간
학점
비고
연구
10000
개별연구지도
2
0
2
연구
10000
개별연구지도
1
0
1
전공
10954
생화학특론1
3
0
3
박사보충
전공
11544
응용통계학특론
3
0
3
전공
11549
탄수화물화학특론
3
0
3
전공
11973
유지화학특론
3
0
3
전공
11974
단백질화학특론
3
0
3
전공
12186
생화학특론2
3
0
3
전공
12237
식품물성학특론
3
0
3
전공
13401
생물공학특론1
3
0
3
박사보충
전공
15958
식품화학특론
3
0
3
전공
17335
식품공학특론1
3
0
3
박사보충
전공
17336
식품공학특론2
3
0
3
전공
17337
식품가공학특론1
3
0
3
박사보충
전공
17338
식품가공학특론2
3
0
3
전공
17341
식품미생물학특론1
3
0
3
박사보충
전공
17342
식품미생물학특론2
3
0
3
전공
17343
생물공학특론2
3
0
3
전공
17345
대학원세미나1
3
0
3
전공
17346
대학원세미나2
3
0
3
전공
17349
식품포장공학특론1
3
0
3
박사보충
전공
17350
식품포장공학특론2
3
0
3
전공
17351
효소공학특론1
3
0
3
박사보충
전공
17352
효소공학특론2
3
0
3
전공
17353
식품저장학특론1
3
0
3
전공
17354
식품저장학특론2
3
0
3
전공
17355
생물유기화학특론1
3
0
3
전공
17356
생물유기화학특론2
3
0
3
전공
17357
발효공학특론1
3
0
3
박사보충
전공
17358
발효공학특론2
3
0
3
전공
17359
영양생리학특론1
3
0
3
전공
17360
영양생리학특론2
3
0
3
전공
17361
식품위생학특론1
3
0
3
전공
17362
식품위생학특론2
3
0
3
전공
17363
식품열전달특론
3
0
3
전공
17364
식품품질평가특론
3
0
3
전공
19038
식품법령특론1
3
0
3
전공
19039
식품법령특론2
3
0
3
전공
19040
식품기준규격특론1
3
0
3
전공
19041
식품기준규격특론2
3
0
3
전공
19116
천연물화학특론
3
0
3
전공
19117
천연물화학연구
3
0
3
전공
19689
생리활성물질특론
3
0
3
전공
19811
식품위생관리특론1
3
0
3
전공
19812
식품위생관리특론2
3
0
3
"박사보충" 표시된 과목
- 석사과정생이 수강할 경우, 전공과목으로 인정되며,
- 박사과정생이 수강할 경우, 보충과목으로 인정됨
과목코드
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교과목 한글 개요
10000
개별연구지도
Ph.D. Research
박사학위논문의 작성을 위하여 지도교수의 지도하에 각 개인별 연구주제에 관하여 연구한다.
10000
개별연구지도
M.E. Research
석사학위논문의 작성을 위하여 지도교수의 지도하에 각 개인별 연구주제에 관하여 연구한다.
10954
생화학특론1
Topics in Biochemistry I
생체분자물질의 합성과 대사, 에너지대사 등 생화학의 중요문제에 대하여 강의한다.
11544
응용통계학특론
Advanced Applied Statistics
식품공학 전공분야의 연구 및 결과에 분석에 필요한 실험계획법, 오차분석, 회귀분석, 분산분석 등에 관하여 강의한다.
11549
탄수화물화학특론
Advanced Carbohydrate Chemistry
각종 탄수화물의 주요 반응을 개관하고 특수용도의 저분자 탄수화물 및 고분자 탄수화물의 구조와 이들의 생물학적 반응 특성과 영양생리학적 영향 등을 강의한다.
11973
유지화학특론
Advanced Lipid Chemistry
동.식물성 지질의 종류와 물리, 화학적 특성, 지질종류에 따른 분리와 각 물질의 특성과 인체에 작용하는 특수지질 및 지방산의 특성과 타 물질과의 반응 등에 대해 연구한다.
11974
단백질화학특론
Advanced Protein Chemistry
식품에 함유된 각종 인체 유해물질과 이들 물질의 생성과정, 생성영향 인자들이 생체반응에 미치는 물리, 화학, 생물학적 영향과 각 유해단백질의 생리 활성적 성질 및 반응을 연구한다.
12186
생화학특론2
Topics in Biochemistry II
생체분자물질의 합성과 대사, 에너지흭득 대사,생명현상에 관한 정보물질의 합성과 대사 등 최근 발전하고 있는 생화학의 중요문제에 대한 강의 및 연구한다.
12237
식품물성학특론
Advanced Food Rheology
식품의 물리·공학적 물성과 식품의 유동특성, 뉴턴 및 비뉴턴유체, 유체식품의 점탄성 등에 관하여 강의한다.
13401
생물공학특론1
Advanced Biotechnology I
미생물, 동물 그리고 세포와 효소를 이용한 공업기술 그리고 Bioreactor 또는 Bioengine 등 생체세포 모방기술의 기초에 대하여 강의한다.
15958
식품화학특론
Advanced Food Chemistry
식품성분의 물리, 화학적 성질, 특성과 가공공정에서의 물질상호간의 화학적 반응 과정에 영향을 주는 각종 요인들과 이들의 영향에 대해 강의한다.
17335
식품공학특론1
Advanced Food Engineering I
식품공학특론의 Part I으로, 식품공학 분야에서의 수학적 모델링의 개념과 최신 건조기술, 반응속도론, 유체의 흐름과 유변학, 식품공학분야에서의 연구 및 개발 방법 등에 관하여 강의한다.
17336
식품공학특론2
Advanced Food Engineering II
식품공학특론의 Part II로, 식품시스템의 열 및 물질전달, 가열 및 비가열 식품가공, 식품포장 및 유통 등과 관련된 단위조작, 식품공학분야에서의 연구 및 개발 방법 등에 관하여 강의한다.
17337
식품가공학특론1
Advanced Food Processing Technology I
이 과목은 실제 식품가공회사 현장의 실무에 대한 가공기술에 대한 사례와 관련 법령에 대하여 학습한다.
17338
식품가공학특론2
Advanced Food Processing Technology II
이 과목은 농산물, 축산물, 수산물 및 가공식품, 식품첨가물, 건강기능식품의 제조·가공·보존·유통·수입시 국내의 기준 및 규격과 실제 식약처 등 정부기관과 식품회사 등의 현장 실무에 대한 사례를 연구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17341
식품미생물학특론1
Advanced Food Microbiology I
식품저장 및 식품공업에 응용되는 미생물(Mold, Yeast, Bacteria)그리고 Bacterio-phage 등의 종류와 생리적 특성 및 그 응용에 대하여 강의한다.
17342
식품미생물학특론2
Advanced Food Microbiology II
미생물의 물질대사, 생리학에 관하여 연구한다.
17343
생물공학특론2
Advanced Biotechnology II
미생물 및 생물세포주 등을 이용한 신물질 생산에 관하여 연구한다.
17345
대학원세미나1
Graduate Seminar I
식품공학 분야에 관련되는 최근의 기술동향과 연구동향에 대한 자료를 수집 정리하여 정보의 상호교환 및 발표 등을 통해 사고력과 응용력을 키운다.
17346
대학원세미나2
Graduate Seminar II
학위논문주제에 대한 최신정보를 수집하여 상호교환하며 실험결과를 중심으로 논문발표준비 및 학술대회 발표능력을 배양한다.
17349
식품포장공학특론1
Advanced Food Packaging Technology I
식품포장기법, 신선도 연장기법, 포장과 물류, 수출포장, 친환경 포장기법 등 각종 유통관련 기술에 관하여 강의한다.
17350
식품포장공학특론2
Advanced Food Packaging Technology II
각종 식품의 새로운 포장재료, 포장용지, 포장형태, 포장방법, 포장기계, 포장시스템 등 최근의 새로운 식품포장기술에 대하여 강의한다.
17351
효소공학특론1
Advanced Enzyme Engineering I
효소의 분리.정제법, 효소반응속도론, 고정화효소, 효소반응장치의 설계와 이론, 효소의 공업적 생산 및 응용 등에 대하여 강의한다.
17352
효소공학특론2
Advanced Enzyme Engineering II
효소의 합성, 구조, 반응속도론, 수식 등에 대한 이론과 응용을 설명하고 효소의 공업적인 생산, 정제공정과 효소반응조의 이용에 요구되는 이론을 강의한다.
17353
식품저장학특론1
Advanced Food Preservation Technology I
이 과목은 식품의 품질요소와 품질관리, 식품의 변질요인과 환경조건, 식품의 위생관리, 식품의 화학적 변질 등 식품저장기술 전반에 관하여 학습한다.
17354
식품저장학특론2
Advanced Food Preservation Technology II
이 과목은 신선식품 및 가공식품의 저장을 위한 고급 저장기술의 사례와 관련 법령에 대하여 학습한다.
17355
생물유기화학특론1
Advanced Bioorganic Chemistry I
생물체에서 중요한 유기화합물의 분류, 구조 및 반응성과 유기대사산물에 대하여 강의한다.
17356
생물유기화학특론2
Advanced Bioorganic Chemistry II
생명과학에서 중요한 유기화합물의 종류, 구조 및 반응성과 기본적인 합성 및 대사산물 등에 대하여 강의한다.
17357
발효공학특론1
Advanced Food Fermentation Engineering I
미생물을 이용한 발효식품공업의 기술과 발효생리 및 이용에 대하여 강의한다.
17358
발효공학특론2
Advanced Food Fermentation Engineering II
미생물을 이용한 발효공업(효소 생산, 생리활성물질 생산, 아미노산.핵산관련 물질 및 항생 물질 등)에 대한 최근 연구동향 등에 대하여 연구한다.
17359
영양생리학특론1
Advanced Nutrition Physiology I
각종 영양물질의 종류에 따른 영양.생리학적 성질과 특성 및 생체조직의 생리적 대사에 미치는 각 물질의 반응 메커니즘과 영향을 이해하고 각종 요인의 단계별 반응과 특성을 강의한다.
17360
영양생리학특론2
Advanced Nutrition Physiology II
각종 영양물질의 인체 각 조직대사에 미치는 생물, 화학, 물리학적 반응성과 물질이동, 전달 반응에 관계 있는 세포, 호르몬, 효소 등에 대한 반응특성을 연구한다.
17361
식품위생학특론1
Advanced Food Hygiene I
이 과목은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주는 물질의 종류와 영향, 이들 성분의 함유식품 종류, 함량, 독성평가, 독성발현, 각종 첨가물 및 식품 취급과정에서 오염 등으로 생성될 수 있는 인체 유해물질의 오염경로와 인체 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학습한다.
17362
식품위생학특론2
Advanced Food Hygiene II
이 과목은 식품에 함유된 각종 인체 유해물질과 이들 물질의 생성과정 및 생성영향 인자들의 물리, 화학, 생물학적 영향과 각종 유해물의 생리 활성적 성질 및 반응을 연구한다.
17363
식품열전달특론
Advanced Heat Transfer in Food
식품의 가열 및 살균공정을 이해하고, 열전달 현상과 메커니즘의 이론 및 공학적 원리, 응용에 관하여 강의한다.
17364
식품품질평가특론
Advanced Food Quality Evaluation
식품의 물리적, 관능적 품질의 본질과 특성을 이해하고, 각각을 측정하기 위한 실험을 설계하고 결과에 대한 분석 및 해석에 관한 이론 및 실습을 강의한다.
19038
식품법령특론1
Advanced Food Law I
이 과목은 식품 안전기본법, 식품위생법 등 관련 법령과 전공과목과의 연관성을 체계적으로 이해시켜 안전연구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19039
식품법령특론2
Advanced Food Law II
이 과목은 축산물위생관리법, 농수산물품질관리법 등 관련 법령과 전공과목과의 연관성을 체계적으로 이해시켜 안전연구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19040
식품기준규격특론1
Advanced Food Specification & Standard I
이 과목은 식품의 기준 및 규격을 연구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19041
식품기준규격특론2
Advanced Food Specification & Standard II
이 과목은 CODEX(국제식품규격위원회) 및 외국의 기준 및 규격을 연구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19116
천연물화학특론
Advanced Natural Product Chemistry
천연소재유래의 식품재료, 색소성분, 섬유질, 약용식물에 존재하는 기능성 성분개발 등에 관하여 전공과목과 연관성을 체계적으로 이해시켜 연구에 활용 할 수 있도록 한다.
19117
천연물화학연구
Research in Natural Product Chemistry
천연소재유래의 기능성 성분을 칼럼크로마토그래피, 가스크로마토그래피, 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분리 및 분석 등에 관하여 전공과목과 연관성을 체계적으로 이해시켜 연구에 활용 할 수 있도록 한다.
19689
생리활성물질특론
Advanced Bioactive Compounds
천연물 유래 및 합성에 의해 유도된 다양한 생리활성물질에 대한 최신연구동향 및 기능성성분의 화학적 특성, 분리 및 구조결정을 통하여 식의약소재로서의 응용에 대한 지식을 습득한다.
19811
식품위생관리특론1
Advanced Food Sanitation Management I
이 과목은 식품위생관리를 위한 HACCP에 대하여 원칙과 실제 현장의 실무에 대한 사례를 학습한다.
19812
식품위생관리특론2
Advanced Food Sanitation Management II
이 과목은 식품위생관리를 위한 국내 정부 기관과 국제식품규격위원회의 연구에 대하여 학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