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PYRIGHT(C) 2016 BY DAEGU UNIVERSITY ALL RIGHT RESERVED.
INFORMATION
연혁
1988. 3. 일반 대학원 원예학과 설치(1987. 11. 설치인가)
1998. 11. 일반 대학원 원예·조경학과로 명칭변경
2000. 11. 일반 대학원 원예·조경학과로 박사과정설치
교육목표
전공분야에 있어서 학문적 기반을 심화하고 구축할 수 있는 연구와 교육
전공관련 산업분야에 기여할 고급전문인력 양성
국가와 지역사회에 필요한 창의적, 자율적인 지도자 양성
원예 및 조경분야의 현대화 및 과학화
원예 및 조경분야의 고급 전문인력 양성
교수명단
이름 |
최종학위명 |
전공 |
담당과목 |
---|---|---|---|
박태호 |
농학박사 |
식물육종 |
식물육종학특론 |
생명공학 |
|||
사공동훈 |
농학박사 |
과수원예학 |
과수전정론 |
과수생리학특론 |
|||
김영선 |
농학박사 |
환경원예학 |
양액재배특론 |
시설원예학특론 |
|||
김영표 |
조경학박사 |
조경설계 |
조경설계특론 |
전산응용기법 |
|||
장병관 |
조경학박사 |
조경생태계획 |
생태조경계획과관리 |
배식계획방법론 |
|||
이우성 |
조경학박사 |
조경시공 |
조경시공특론 |
환경계획특론 |
|||
조현주 |
조경학박사 |
조경설계 |
환경설계방법론 |
단지계획이론 |
★ 교과과정 및 교과목해설은 교육과정 변경에 따라 변동이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교과구분 |
교과목코드 |
과목명 |
이론시간 |
실기시간 |
학점 |
비고 |
---|---|---|---|---|---|---|
연구 |
10000 |
개별연구지도 |
2 |
0 |
2 |
|
연구 |
10000 |
개별연구지도 |
1 |
0 |
1 |
|
전공 |
15570 |
1대잡종육종론 |
3 |
0 |
3 |
|
전공 |
15594 |
개별과제 |
3 |
0 |
3 |
|
전공 |
10949 |
개화생리학 |
3 |
0 |
3 |
|
전공 |
14780 |
경관예술론 |
3 |
0 |
3 |
박사 보충 |
전공 |
14683 |
경관의해석 |
3 |
0 |
3 |
박사 보충 |
전공 |
15595 |
경관평가이론연구 |
3 |
0 |
3 |
|
전공 |
15573 |
과수번식학특론 |
3 |
0 |
3 |
|
전공 |
10928 |
과수생리학특론 |
3 |
0 |
3 |
박사 보충 |
전공 |
12936 |
과수영양생리학 |
3 |
0 |
3 |
|
전공 |
10912 |
과수원예학실험 |
3 |
0 |
3 |
|
전공 |
10927 |
과수전정론 |
3 |
0 |
3 |
|
전공 |
10930 |
과수화학조절론 |
3 |
0 |
3 |
|
전공 |
14679 |
관광및여가계획론 |
3 |
0 |
3 |
|
전공 |
15592 |
구조설계 |
3 |
0 |
3 |
|
전공 |
15576 |
노화생리학특론 |
3 |
0 |
3 |
|
전공 |
14782 |
도시경관론 |
3 |
0 |
3 |
|
전공 |
15587 |
도시생태학특론 |
3 |
0 |
3 |
|
전공 |
14779 |
문화경관변천사 |
3 |
0 |
3 |
|
전공 |
14681 |
배식계획방법론 |
3 |
0 |
3 |
|
전공 |
19158 |
생명공학 |
3 |
0 |
3 |
|
전공 |
16194 |
생물정보학 |
3 |
0 |
3 |
|
전공 |
17765 |
생태정원특론 |
3 |
0 |
3 |
|
전공 |
14776 |
생태조경계획과관리 |
3 |
0 |
3 |
|
전공 |
14686 |
소도시및농어촌보전 |
3 |
0 |
3 |
|
전공 |
15588 |
소도시및농어촌보존 |
3 |
0 |
3 |
|
전공 |
15590 |
소도시및농어촌의환경 |
3 |
0 |
3 |
|
전공 |
14781 |
소도시및농어촌조경 |
3 |
0 |
3 |
|
전공 |
10929 |
시설원예학특론 |
3 |
0 |
3 |
박사 보충 |
전공 |
10957 |
식물병리학특론 |
3 |
0 |
3 |
박사 보충 |
전공 |
15567 |
식물병생명공학특론 |
3 |
0 |
3 |
|
전공 |
10947 |
식물생리학특론 |
3 |
0 |
3 |
|
전공 |
15577 |
식물스트레스론 |
3 |
0 |
3 |
|
전공 |
10937 |
식물육종학특론 |
3 |
0 |
3 |
|
전공 |
10910 |
식물조직배양특론 |
3 |
0 |
3 |
|
전공 |
15583 |
양액재배특론 |
3 |
0 |
3 |
|
전공 |
10923 |
영양재배론 |
3 |
0 |
3 |
|
전공 |
15581 |
원예치료학 |
3 |
0 |
3 |
|
전공 |
10913 |
유전학특론 |
3 |
0 |
3 |
|
전공 |
14195 |
재배학특론 |
3 |
0 |
3 |
|
전공 |
10950 |
저장생리학 |
3 |
0 |
3 |
|
전공 |
15579 |
절화생리학특론 |
3 |
0 |
3 |
|
전공 |
17766 |
정원사 |
3 |
0 |
3 |
|
전공 |
17764 |
정원해석특론 |
3 |
0 |
3 |
|
전공 |
14680 |
조경구조이론 |
3 |
0 |
3 |
|
전공 |
14777 |
조경구조이론(1) |
3 |
0 |
3 |
|
전공 |
14778 |
조경구조이론(2) |
3 |
0 |
3 |
|
전공 |
14737 |
조경사특론 |
3 |
0 |
3 |
|
전공 |
14784 |
조경설계특론 |
3 |
0 |
3 |
박사 보충 |
전공 |
14685 |
조경시공및적산이론 |
3 |
0 |
3 |
|
전공 |
14684 |
조경식물의소재 |
3 |
0 |
3 |
|
전공 |
16473 |
조경식물학 |
3 |
0 |
3 |
박사 보충 |
전공 |
14559 |
조경학세미나 |
3 |
0 |
3 |
|
전공 |
10914 |
조원학특론 |
3 |
0 |
3 |
|
전공 |
15571 |
종자생산학특론 |
3 |
0 |
3 |
|
전공 |
15593 |
지속가능성을고려한설계 |
3 |
0 |
3 |
|
전공 |
14775 |
지속가능한조경 |
3 |
0 |
3 |
|
전공 |
10924 |
채소개화생리학 |
3 |
0 |
3 |
|
전공 |
14031 |
채소원예학실험 |
3 |
0 |
3 |
|
전공 |
10911 |
채소원예학특론 |
3 |
0 |
3 |
|
전공 |
10919 |
채소육종학 |
3 |
0 |
3 |
|
전공 |
15585 |
토질공학특론1 |
3 |
0 |
3 |
|
전공 |
15591 |
토질공학특론2 |
3 |
0 |
3 |
|
전공 |
17757 |
플라워디자인특론 |
3 |
0 |
3 |
|
전공 |
15589 |
한국의조경 |
3 |
0 |
3 |
|
전공 |
14783 |
현대조경특론 |
3 |
0 |
3 |
|
전공 |
10918 |
화훼원예학특론 |
3 |
0 |
3 |
|
전공 |
15578 |
화훼휴면조절론 |
3 |
0 |
3 |
|
전공 |
14786 |
환경계획특론 |
3 |
0 |
3 |
박사 보충 |
전공 |
14682 |
환경보전과관리 |
3 |
0 |
3 |
|
전공 |
14562 |
환경생태체계 |
3 |
0 |
3 |
박사 보충 |
전공 |
14561 |
환경설계 |
3 |
0 |
3 |
|
전공 |
14560 |
환경설계방법론 |
3 |
0 |
3 |
박사 보충 |
"박사보충" 표시된 과목
- 석사과정생이 수강할 경우, 전공과목으로 인정되며,
- 박사과정생이 수강할 경우, 보충과목으로 인정됨
★ 교과과정 및 교과목해설은 교육과정 변경에 따라 변동이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교과목코드 |
과목명 |
교과목 영문명 |
교과목해설 |
---|---|---|---|
10000 |
개별연구지도 |
Research Works |
학위논문의 작성을 위하여 지도교수의 지도하에 각 개인별 연구주제에 관하여 연구한다. |
10000 |
개별연구지도 |
Research Works |
학위논문의 작성을 위하여 지도교수의 지도하에 각 개인별 연구주제에 관하여 연구한다. |
15570 |
1대잡종육종론 |
F1 Hybrid Breeding |
품종개발은 농업분야에서 핵심적인 분야로, 오늘날 여러 작물의 품종개발에서 교배종품종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교배종품종 육종에서 1대잡종육종법은 가장 효율적인 육종방법으로 인식되어 전세계적으로 작물육종에 1대잡종육종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 과목은 1대잡종 육종법에 응용되고 있는 여러 가지 육종기술을 이론과 실제를 통하여 이해시키고 현재 국내의 종묘회사에서 수행되고 있는 1대잡종육종법의 현황을 소개하는데 목적이 있다. |
15594 |
개별과제 |
Independent Projects on Environment |
환경계획은 배경을 형성하는 확고한 지식을 바탕으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주제에 따라 환경문제의 원인을 분석하고 새로운 해결방안을 모색함으로서 개인의 연구능력 증진을 도모한다. |
10949 |
개화생리학 |
Physiology of Flowering |
식물은 계절에 따른 환경변화에 자신들의 생활을 정확히 맞추고 있으며 그 중 생식현상인 개화반응이 현저하다. 개화는 주로 광 및 온도의 환경에 영향을 받는다. 식물의 생활환 동안 광 및 온도의 영향을 받는 것 중에 종자발아, 저장기관의 형성, 휴면 그리고 추대 및 꽃눈의 유도 등과 같은 생리적 반응 등이 포함된다. 그 중 개화의 유도 및 반응에 초점을 맞춰 학습한다. |
14780 |
경관예술론 |
Landscape Aesthetics |
경관을 하나의 예술작품으로 연결해보고 또는 예술작품을 경관계획이나 설계와 관련지어 봄으로써 경관의 예술성을 조형 언어적인 관점에서 심도 있게 탐색해보는 교과목이다. |
14683 |
경관의해석 |
Landscape lnterpretation |
경관을 이해하고 경관에 접근하는 방법론들을 찾아보는 교과목이다. 경관에 접근하는 방법론들의 특징들을 비교해보고 경관해석을 통해서 얻을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를 연구하며 경관평가와 경관영향평가로 연결시키는 것을 중요한 내용으로 한다. |
15595 |
경관평가이론연구 |
Studies in Landscape Assessment |
조경학 분야에서 연구 및 설계의 주 대상이 되고 있는 경관을 이해하고 경관의 특성을 파악하는 여러 가지 방법들을 연구하는 과목이다. 이 과목에서는 경관의 질과 경관의 미적 가치에 대한 객관적 평가방법을 습득하고 경관평가에 따른 기법상의 문제점들을 논의하고 경관의 의미와 해석 등을 다룬다. |
15573 |
과수번식학특론 |
Advanced Propagation of Fruit Trees |
과수는 유전형질이 잡종성이므로 종자번식에 의해서는 품종 교유의 형질이 유전되지 않아 삽목이나 접목에 의하여 번식시켜야 한다. 그러나 새로운 품종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종자번식을 해야 한다. 따라서, 본 교과목은 과수별 목적에 적합한 번식방법에 대해서 교육을 한다. |
10928 |
과수생리학특론 |
Advanced Physiology in Fruit Trees |
본 교과목은 과수의 생장과 분화과정에서 일어나는 모든 생리현상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또한 본 교과목은 과수의 생산성과 품질향상에 바로 응용될 수 있는 생리적 현상을 연구하기 때문에 과수원예에 종사하는 연구자들은 물론, 학생들에게도 필수적인 학문이다. |
12936 |
과수영양생리학 |
Nutritional Physiology in Fruit Trees |
고품질 과실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과수의 생육에 필요한 무기양분의 종류, 생리적 기능, 흡수, 이동, 공급방법 등에 대하여 깊은 이해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교과목은 각종 과수의 영양생리에 대해서 공부하고 무기양분의 부족 혹은 과잉현상에 대한 대처방법을 학습한다. |
10912 |
과수원예학실험 |
Experiment in Pomology |
과수원예학이란 과실을 연구하고 재배하는 식물학의 한 분야로 과수의 특성을 구명하여 번식, 재배, 육종 등에 관한 이론과 기술을 연구하고, 아울러 그 생산물인 과실의 저장, 가공, 유통 등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본 교과목은 과수의 재배, 생리 등을 실험 중심으로 접근 하면서 이해시킨다. |
10927 |
과수전정론 |
Fruit Tree Pruning |
과수는 주어진 공간에서 햇빛을 최대로 이용하면서 손쉽게 관리하기 위해 나무를 적절한 크기와 모양으로 만들고 유지해 주어야 한다. 본 교과목은 과수의 생장단계의 생리적 특성과 결과 습성을 기초로 하여, 최적의 조건에서 최대의 수확을 위한 최적의 전정법을 알도록 한다. |
10930 |
과수화학조절론 |
Chemical Control of Fruit Trees |
식물생장조절물질은 미량으로 식물체 내에서 일어나는 생리적인 과정을 증가, 감소 혹은 변화시키는 유기물질로, 식물 호르몬이 이에 속한다. 따라서 본 교과목은 과수의 생장과 발육에 영향을 미치는 식물 호르몬의 종류, 특성, 작용 등에 대해 설명한 후, 실제 농업현장에서 자주 이용되는 호르몬의 사례를 알아본다. 또한, 식물호르몬의 최근 연구방향 및 성과에 대해서도 토론한다. |
14679 |
관광및여가계획론 |
Tourism & Leisure Planning |
증대되는 여가시간과 다양해지는 여가 활동에 관한 시대적인 흐름과 추세를 관망해보고 이에 대한 바람직한 대안을 제시하고 평가하며 여가활동을 수용해낼 수 있는 여가환경계획 및 설계 혹은 여가환경보전 및 관리를 구체화해보는 교과목이다. |
15592 |
구조설계 |
Design of Structure |
조경공사의 각종 구조물 역학적 해석과 인공지반녹화 시 기초구조물의 역학해석에 대해 연구한다. |
15576 |
노화생리학특론 |
Physiology of Flower Senescence |
식물의 일생에서 결실과 노화는 생을 마감하고 생활환을 완성하는 단계이다. 꽃의 개화과정에 있어서 발육단계별 즉 수분과 수정을 통하여 종자와 열매를 맺는 과정을 통하여 노화에 관여하는 물질의 대사작용 및 작용기구에 관하여 학습한다. |
14782 |
도시경관론 |
Theories in Urban Landscape |
도시경관 연구의 이론사와 기법을 연구하고, 실제 사례 도시들의 경관특성을 비교 분석한다. |
15587 |
도시생태학특론 |
Advanced Urban Ecosystem |
도시는 자연의 일부라는 명제 하에 인간과 자연 사이의 상호작용에 중점을 두어 인간 생태학적 패러다임이 도시 계획 및 설계에 주는 시사성에 대한 강의 및 토의를 하며, 도시 조경계획이나 설계의 의사결정과 관련하여 생태계 기능 및 생태계 동태의 관점에서 도시 생태계에 관한 국내외 기존의 사례들에 대한 논의한다. |
14779 |
문화경관변천사 |
Cultural Landscape History |
인류의 역사와 더불어 변천해 온 문화경관의 형식과 내용에 대하여 경관을 다루는 전문가의 입장에서 조명해 보고 나름대로의 독자성과 중요성을 깊이 있게 연구하는 교과목이다. |
14681 |
배식계획방법론 |
Method in Planting Design |
조경설계의 상세부분으로써 고려될 수 있는 교목, 관목 그리고 지피식물의 선택과 배치에 관해 연구하는 과목으로 현실적인 문제와 함께 취급함으로써 문제해결을 위한 다양한 방법에 대해 토의하고자 한다. |
19158 |
생명공학 |
Biotechnology |
생명공학의 기초가 되는 생물학을 바탕으로 자연계에 존재하는 다양한 생물체를 대상으로 한 유전자 재조합 기술, 미생물 생명공학, 식물 생명공학 등 생명공학의 기초 및 농업적, 산업적 활용에 대해 학습한다. |
16194 |
생물정보학 |
Bioinformatics |
DNA/RNA 서열, 단백질 서열 및 유전정보의 검색과 분석을 포함하는 생물학 연구자료의 검색, 분석 및 정보 발굴과 의미를 파악하고 활용하는 방법을 이해한다. |
17765 |
생태정원특론 |
Special Ecological Garden |
생태정원설계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을 학습하는 강의로서, 생태정원의 이해, 생태정원설계의 시각적 언어, 실제생태조경 설계의 설계과정 및 각종 기법과 방법론에 대하여 학습한다. |
14776 |
생태조경계획과관리 |
Ecological Landscape Planning & Magagement |
도시 및 지역개발계획의 수립 시에 인간활동의 기반이 되는 자연생태계가 갖는 잠재력과 제약성을 파악할 수 있는 생태정보의 수집방법을 연구하고, 생태계 인자를 계획에 반영시킴으로써 인간환경의 질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생태조경계획과 관리에 필요한 이론과 기술을 연구한다. |
14686 |
소도시및농어촌보전 |
Town and countryside Reservation |
우리나라에 있는 소도시와 농어촌의 환경적인 특징을 역사, 사회, 문화, 경제, 생태적 관점에서 고찰해보고 가치 있는 환경을 보존하는 여러 대안들을 사례별로 조경가의 입장에서 제시하고 평가해보는 교과목이다. |
15588 |
소도시및농어촌보존 |
Town and Countryside Reservation |
우리 나라에 있는 소도시와 농어촌의 환경적인 특징을 역사, 사회, 문화, 경제, 생태적 관점에서 고찰해 보고 가치 있는 환경을 보존하는 여러 대안들을 사례별로 조경가의 입장에서 제시하고 평가해보는 교과목이다. |
15590 |
소도시및농어촌의환경 |
Environment & Landscape in Town and Countryside |
한국의 소도시와 농어촌의 환경적 변화와 특징을 조명해보고 보다 합리적이고 미래지향적인 환경조성과 관리지표를 설정해 보는 교과목이다. |
14781 |
소도시및농어촌조경 |
Town & Countryside Landscape |
우리나라의 소도시나 농어촌의 경관적인 특징을 이해하고 소도시나 농어촌의 주거환경을 적극적으로 개발하거나 합리적으로 관리 보전하는 방안들을 연구하는 교과목이다. |
10929 |
시설원예학특론 |
Advanced Protected Horticulture |
시설원예의 재배 관리 및 환경 관리에 대한 기본 사항과 시설원예의 최신 기술과 정보에 대해서 해설한다. |
10957 |
식물병리학특론 |
Advanced Plant Pathology |
식물 질병에 의한 피해 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 질병에 관한 병원에 관하여 철저한 분석을 행함으로써 병원을 밝힘과 동시에 환경요인과 식물의 유전학적 요인에 관한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식물병해 방제의 기틀을 확립하게 한다. |
15567 |
식물병생명공학특론 |
Advanced Phytopathological Biotechology |
유전자 재조합, 세포융합, 조직배양, 배 또는 배이식, 생물반응기 등의 기술을 이용한 생명공학에 대하여 논하고 병원미생물의 유전자 재조합에 의해서 병원성 발현기구를 해석하거나 약병원성주를 만들고 병해 저항성 식물을 만들거나 유용한 재조합의 증식 등에 대하여 논한다. |
10947 |
식물생리학특론 |
Advanced Plant Physiology |
식물의 생리에 대한 기초 연구와 최신 연구 결과와 정보에 대해서 해설한다. |
15577 |
식물스트레스론 |
Stress Physiology in Plant |
작물의 생장에 영향을 끼치는 자연환경 요인에는 수분, 온도, 광, 바람 등 물리적 요인, 대기오염, 산성비, 염류, 토양 pH 등의 화학적 요인, 병해충과 잡초 등의 생물적 요인 등 여러 가지가 있다. 본 교과목은 이러한 스트레스가 식물에게 미치는 영향과 방지대책에 대해서 토론한다. |
10937 |
식물육종학특론 |
Advanced Plant Breeding |
육종학 및 이것과 밀접하게 관련된 유전학, 식물 생리학을 포함하여 육종에 관한 연구법 실험법을 지도하여 고도의 연구 능력을 습득시킨다. |
10910 |
식물조직배양특론 |
Advanced in Plant Tissue Culture |
식물조직배양이란 식물체에서 세포, 조직 또는 기관 등을 절취하여 영양분이 들어 있는 배지에서 무균상태로 배양하여 완전한 식물체로 재생시키는 것을 말한다. 식물조직배양을 이해하기 위해서 우선 번식에 대해 이해하고 이 기술을 산업화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하여 학습한다. |
15583 |
양액재배특론 |
Advanced Hydroponics |
양액재배의 최신 기술과 정보 그리고 식물공장에 대한 실제적인 운용기술에 대해서 해설한다. |
10923 |
영양재배론 |
Nutrient Solution Culture |
양액재배에 대한 국내외의 논문을 인용하여 그 내용에 대하여 토론하며 식물 영양에 대한 이해를 높이도록 한다. |
15581 |
원예치료학 |
Horticultural Therapy |
원예복지가 아닌 치료적 의미를 지닌 분야와 정신적, 신체적, 인지적 대상자에 초점을 둔다. 식물과 다양한 원예활동을 통하여 설정된 치료 목표를 만들어진 프로그램을 통하여 대상자의 심신회복과 재활을 추구하는 전문적인 치료활동을 논문을 통하여 학습한다. |
10913 |
유전학특론 |
Advanced Molecular Genetucs |
유전 형질의 작용 메카니즘과 최근 분자 유전학의 동향 그리고 집단 유전학에 관하여 광범위한 해석을 한다. |
14195 |
재배학특론 |
Advanced Crop Production |
작물재배의 목적은 품질이 좋은 농산물을 많이 생산하는 것이다.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새로운 품종 육성, 작물이 잘 생육할 수 있는 재배환경, 그 품종과 환경에 알맞은 재배기술에 관하여 공부한다. |
10950 |
저장생리학 |
Storage Physiology |
농산물의 가격은 농산물의 품질에 좌우되며, 원예생산물은 생산시기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수확 이후로 원예생산물의 품질을 유지하려면 적절하게 저장되어야 한다. 본 교과목은 유통과정 혹은 저장 중 발생하는 원예생산물의 생리변화에 관해 토론한다. |
15579 |
절화생리학특론 |
Advanced in Cut Flower Physiology |
화훼류에 대한 생활환과 생리적 특성, 화훼류의 고품질 유지를 위한 재배환경과 영양에 관하여 이해한다. 절화에 대한 생리적 특성의 이해와 그에 따른 내외적 품질을 결정짓는 요인을 분석하고 절화 수확후 관리와 선도유지 방법에 관하여 학습한다. |
17766 |
정원사 |
History of Garden |
정원의 변천과정을 시대적인 흐름에 따라 재조명함으로서 앞으로의 기대되는 정원에 큰 기여를 할 수 있는 이론적인 바탕을 구축하는 것을 과목의 중요한 내용으로 한다 |
17764 |
정원해석특론 |
Special Garden Interpretation |
기본적인 정원 환경 및 관리 그리고 계획 및 설계의 이론적인 것을 다룬다. |
14680 |
조경구조이론 |
Advanced Theory in Landscape Structure |
조경구조 및 시설에 필요한 이론과 기법을 연구한다. |
14777 |
조경구조이론(1) |
Advanced Landscape Structure I |
조경구조 및 시설에 필요한 이론과 기법을 연구 발전시키며 실용화시킨다. |
14778 |
조경구조이론(2) |
Advanced Landscape Sructure II |
조경구조 및 시설에 필요한 이론과 기법을 연구 발전시키며 실용화시킨다. |
14737 |
조경사특론 |
Advanced Theory in Landscape History |
조경의 구성요소, 구성방식 등을 지역별, 시대별로 고찰해보고 조경양식의 이면에 내재하는 역사, 사회, 문화적인 배경을 탐색해보는 교과목이다. |
14784 |
조경설계특론 |
Advanced Landscape Design |
계획 및 설계의 특별주제에 대하여 연구한다. 이 주제와 관련된 조경계획 및 설계의 사례를 통하여 실무적 적용성을 검증한다. |
14685 |
조경시공및적산이론 |
Advanced Theory in Landscape Construction |
조경공사의 시행.공정.시공기법을 연구 개발하고, 합리적 품셈, 적산에 관한 이론 및 기법을 연구한다. |
14684 |
조경식물의소재 |
Landscape Plant Material |
조경식물의 특성에 대해 연구하는데 주로, 기후, 에너지절약, 자원보전, 저비용 관리, 미적, 식용가능 소재, 향토수종 등에 대한 사항을 다룬다. 또한 계획, 설계에 초점을 두어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식물을 선정하는 방법을 연구한다. |
16473 |
조경식물학 |
Garden and landscape plants |
화훼류 중에서도 정원이나 화단 그리고 주변환경의 경관을 아름답게 조성하기 위하여 많이 사용되고 있는 조경식물에 관하여 학습한다. 조경식물의 분류 및 형태구조, 재배 환경요인, 번식, 재배 및 유지관리 그리고 적재적소의 이용에 관하여 깊이 다룬다. |
14559 |
조경학세미나 |
Seminar in Landscape Architecture |
조경학의 학문적 영역을 파악케하고, 조경의 역사 및 계획의 프로세스, 각 분야별 계획의 개요를 주지시킨다. 분야별개요는조경계획및설계,조경미학및조경사,조경식물학및조경재료,조경구조및시공의다섯분야로대별된다. |
10914 |
조원학특론 |
Advanced Landscape Gardening |
실내 및 실외조원의 재료인 정원 식물을 위주로 하여 환경 및 관리 그리고 계획 및 설계의 이론적인 것을 다룬다. |
15571 |
종자생산학특론 |
Advanced Seed Production |
종자는 농업분야에서 가장 부가가치가 높은 분야로 선진국 중심으로 소위 종자전쟁이 점차 가열화 되고 있다. 이 과목은 식량작물, 원예작물 등에서 수행되고 있는 종자생산기술과 선진국들의 종자생산현황을 소개하는데 목적이 있다. |
15593 |
지속가능성을고려한설계 |
Sustainability Studio |
지속가능성은 생존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이다. 지속가능성 지표를 확인하고 실제환경에서 적용 가능한 지표를 추출하여 설계에 반영한다. |
14775 |
지속가능한조경 |
Sustainabe Landscape Architecture |
물, 에너지, 토양 그리고 생물학적 다양성을 보전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경관들을 조성하여 사회적으로 환경적으로 안정화를 도모하기 위한 토지계획과 설계방법을 연구하고자 한다. |
10924 |
채소개화생리학 |
Flowering Physiology of Vegetable Crops |
채소 작물의 개화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에 대해서 해설하고 채소의 개화조절 기술에 대해서 토론한다. |
14031 |
채소원예학실험 |
Experiment in Vegetable Crops |
채소의 생리 생태적인 특성 파악을 위한 실험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론과 이론적인 배경에 대해서 해설한다. |
10911 |
채소원예학특론 |
Advancecd Vegetable Crops |
주요한 채소의 생리, 재배 기술, 특성에 대해서 해설하고 토론한다. |
10919 |
채소육종학 |
Advanced Genetics |
채소 육종에 관한 최신의 정보와 육종 기술에 대해서 소개하고 해설한다. |
15585 |
토질공학특론1 |
Advanced Study in Soil Engineering I |
토질의 물리적 성질과 역학적 성질에 대해 실험을 통하여 검토하고 조경공사시 사용되는 토양재료에 대해 연구한다. |
15591 |
토질공학특론2 |
Advanced Study in Soil Engineering II |
토질의 물리적 성질 및 역학적 성질을 이해한 후 경량토양과 사면안정 등에 사용되는 각종 특수토양에 대해 연구한다. |
17757 |
플라워디자인특론 |
Advanced in floral design |
삶의 질이 향상되고 문화수준이 높아져가고 있는 한편, 현대 생활은 과학화, 도시화 등으로 자연에 대한 그리움은 반감되고 있다. 원예 주변 환경이 크게 변하고 있는 시대적,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고자 다양한 원예의 형태가 대두되고 있다. 디자인의 원리를 바탕으로 화훼장식의 기능과 역할, 소재 그리고 용도 및 행사, 대상 공간 등에 관하여 깊이 학습한다. |
15589 |
한국의조경 |
Korean Landscape |
한국의 전통조경을 중심으로 전통조경의 등장에 중요한 역할을한 배경과 요인등을 고찰하고 새로운 조경 양식을 예측해보는 교과목이다. |
14783 |
현대조경특론 |
Advanced Studied in Contemporary Landscape Design |
현대 세계 조경계에서 부각되고 있는 주요 이슈들에 관한 논의와 동향을 각종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고 전망한다. |
10918 |
화훼원예학특론 |
Advanced in floriculture |
화훼의 정의, 화훼류 전반에 관한 생산방법 및 경영, 분류, 생태 및 재배조건, 번식 및 재배관리, 육종, 병충해방제 등을 배운다. 또한 장식, 저장, 가공 그리고 포장에 대한 내용을 이론과 실습을 통하여 학습한다. 우리나라의 최신 화훼산업의 현황 및 활성화 방안에 관하여 다룬다. |
15578 |
화훼휴먼조절론 |
Dormancy Control in Floriculture |
식물은 발아에서 결실까지 단계별로 일정한 생활환을 되풀이 한다. 휴면은 식물 자신이 처한 불량환경을 스스로 극복하는 생리적 수단이다. 휴면은 생리적은 물론이고 재배적으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화훼작물의 생장과 발육에 있어 휴면의 원인과 기작을 이해하고 휴면조절에 의한 휴면타파 방법에 관하여 학습한다. |
14786 |
환경계획특론 |
Advanced Environmental Planning |
지속가능성 등 90년대 들어서면서 평가받기 시작한 환경계획의 새로운 가치들에 대하여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환경계획방법을 고찰한다. |
14682 |
환경보전과관리 |
Environmental Reservation & Management |
자원보전을 목적으로 한 계획, 설계 그리고 관리기법에 대해 연구한다. 보전지역에 관한 설정과 관리 방법에 대한 중요한 절차로서 평가를 위한 지표작성에 대해 주로 토의한다. |
14562 |
환경생태체계 |
Environmental Ecosystem |
환경생태체계와 그것의 하부체계를 식별하며 그리고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하부체계들과 요인들 사이의 상호관계성에 따해 연구하고자 한다. 중요 주제는 환경생태문제의 근본원인 규명, 분석 그리고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개념화 개체군 분석 등을 포함한다. |
14561 |
환경설계 |
Environmental Design |
위의 환경설계방법론과 관련하여 실제 대상과제를 설정하여 체계적 방법에 의해 설계를 하는 실습과목이다. |
14560 |
환경설계방법론 |
Environmental Design Method |
도시 설계, 도시상세계획, 도시경관계획 등 종합적 환경설계의 최신개념과 기법들을 연구한다. |
COPYRIGHT(C) 2016 BY DAEGU UNIVERSIT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