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 사회 정서 발달 특론(Special Topics in Child Social Emotion Development)
3
0
3
전공
아동 상담 이론과 실제(Theory & Practice of Counseling Children)
3
0
3
전공
아동 생활 지도(Seminar in Guiding Child)
3
0
3
전공
아동 심리검사(Study in Child Assessment and Evaluation)
3
0
3
전공
아동의 교실 맥락에서의 형평성과 기회(Equity and Opportunity in classroom context)
3
0
3
전공
아동 창의성 지도(Seminar in Creativity for Child)
3
0
3
전공
여가 생활상담(Leisure Life Counseling)
3
0
3
전공
여성과 사회 세미나(Seminar on women and society)
3
0
3
전공
여성 복지 상담(Women's Welfare Counseling)
3
0
3
박사보충
전공
연구 설계 및 자료분석(Research Design and Qualitative Methods)
3
0
3
전공
영유아 문제 행동지도(Seminar in Guidance for Challenging Behaviors of Young)
3
0
3
전공
영유아 수학, 과학 지도(Seminar in Math and Science Education for Youne Child)
3
0
3
전공
영유아프로그램 개발과 평가(Develooment and Evaluation of Childhood Educare Programs)
3
0
3
전공
이혼 상담과 법(Divorce Counseling and Law)
3
0
3
전공
인간 발달 이론 세미나(Seminar on Theories of Human Development)
3
0
3
전공
인간행동과 사회환경(Human Behavior & Social Environment)
3
0
3
박사보충
전공
일-가정 균형 상담(Work-Family Balance Counseling)
3
0
3
전공
저출산 고령 사회 복지 세미나(Seminar in Aging Society with low fertility)
3
0
3
전공
정신건강 특론()
3
0
3
전공
정신 역동 특론(Advanced Studies in Psychoanalysis)
3
0
3
전공
조사방법론(Research Methodology)
3
0
3
전공
중, 노년기 가족연구(Families in Mid- and Later Life)
3
0
3
전공
지역사회복지론(Community Welfare)
3
0
3
박사보충
전공
질적 상담 연구 방법론(Qualitative Method of Counseling)
3
0
3
전공
청소년 발달 연구(Research on Youth Development)
3
0
3
박사보충
전공
청소년 상담 복지론(Theory of Youth Counseling & Wetfare)
3
0
3
전공
특수아동과 가족(Special Children and Families)
3
0
3
박사보충
전공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세미나(Seminar in Program Development and Evaluation)
3
0
3
전공
발달 심리(Developmental Psychology)
3
0
3
전공
방과후 아동지도 특론(Advanced Studv in School-age Child Care)
3
0
3
전공
보육학 특론(Advanced Topics in Child Care)
3
0
3
박사보충
전공
부모 교육 상담 특강 (Advanced Studies in Parent Education and Counseling)
3
0
3
전공
부모 교육 상담 특론(Advanced Studies in Parent Education and Counseling)
3
0
3
전공
사례관리 세미나 (Seminar on Case Management)
3
0
3
전공
사회복지법제와 실천론(Social Welfare Low and Practice)
3
0
3
전공
사회 복지 실천 기술론 (Skills and Techniques for Social Work practice)
3
0
3
박사보충
전공
사회복지실천론(Theories of social welfare practice)
3
0
3
박사 보충
전공
사회 복지 자료 분석 기법(Data Analysis for Social Welfare)
3
0
3
전공
사회 복지 조사론 (Social Welfare Research)
3
0
3
전공
사회 복지 현장 실습(Social Welfare Practicum)
3
0
3
전공
상담사례분석(Case Counseling Analysis)
3
0
3
전공
상담 이론과 실제(Theory and Practice in counseling)
3
0
3
박사보충
전공
생활 설계 상담 특론(Advanced Studies in Family Life Planning Counseling)
3
0
3
전공
심리검사와 평가(Psychology Test and Evaluation)
3
0
3
전공
아동 청소년 이상 발달 세미나(Seminar in Childhood and Adolescents’ Atypical Development)
3
0
3
전공
아동가족학 질적연구법(Qualitative Methods in Child and Familv Research)
3
0
3
전공
아동관찰 및 평가연구(Seminar in Child Observations and Assessment)
3
0
3
박사보충
전공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론(Child Observations & Behavior Research)
3
0
3
박사보충
전공
아동 관찰 연구(Seminar in Observation of Child)
3
0
3
박사보충
전공
아동권리와 정책세미나(Seminar on Children's Rights and Policies)
3
0
3
전공
아동기 역경과 회복 탄력성 세미나(Seminar on Adversity and Resilience in Childhood)
3
0
3
전공
아동 놀이 특론(Advanced Study of Child's Play)
3
0
3
박사보충
전공
아동발달과 환경 세미나(Seminar on Child Development and
Environment)
3
0
3
박사보충
전공
아동 문학 연구(Studies in Childten's Literature)
3
0
0
전공
아동발달과 양육 지원정책 세미나(Seminar on Child development & Childcare support policies)
3
0
3
전공
아동복지특론(Advanced Theory of Child Welfare)
3
0
3
전공
가족 관계 (Family Relations)
3
0
3
전공
가족 복지 세미나 (Seminar on family welfare)
3
0
3
전공
가족상담 및 치료세미나( Seminar in Family Counseling and Therapy)
3
0
3
전공
가족상담의 이론과 실제(Theory and Practice in Family Counseling)
3
0
3
전공
가족 생활 교육 세미나(Seminar in Family Life Education)
3
0
3
전공
가족 이론 세미나(Seminar on Family Theories)
3
0
3
전공
가족 자원 관리 특론(Advanced Studies in Family Resources)
3
0
3
전공
(건강가정론 특론)Special Topics in Healthy Families
3
0
3
전공
건강 가정 정책 특론(Advanced Studies in Healthy Family Policy)
3
0
3
박사 보충
전공
건강 불평등과 사회 (Health disparity and social factors)
3
0
3
전공
남성 연구(Men in Families)
3
0
3
전공
노년학 세미나 (Seminar on Gerontology)
3
0
3
전공
노인 발달과 사회 정책(Aging and public policy)
3
0
3
전공
노인 발달과 삶의 질(Gerontology and quality of life)
3
0
3
전공
농촌 노인 복지이론과 실천(Social Welfare for the Elderly in Rural Areas)
3
0
3
전공
농촌 복지 세미나(Seminar for Rural Community welfare)
3
0
3
전공
다문화 가정 복지 상담(Counseling for multicultural Family welfare)
3
0
3
전공
다문화 사회와 아동 인권 세미나(Multicultural Society and Child Human Rights Seminar)
3
0
3
전공
다문화 사회의 가족 상담 특론(Advanced Studies in Multicultural Family Counseling)
3
0
3
박사보충
전공
대상 관계 특론(Advanced Study in Obiect Relation)
3
0
3
박사보충
전공
돌봄 윤리와 돌봄 정책 세미나(Seminar on Care Ethics and Care Policies)
3
0
3
전공
디지털 기반 놀이와 배움(Digital-based play and learning)
3
0
3
전공
모래놀이 치료세미나(Seminar in Sand play)
3
0
3
전공
미술치료세미나(Seminar in Art Therapy)
3
0
3
박사보충
전공
발달심리--
3
0
3
전공
방과후아동지도특론
3
0
3
전공
보육학특론
3
0
3
전공
부모교육상담특강
3
0
3
★ 교과과정 및 교과목해설은 교육과정 변경에 따라 변동이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과목코드
과목명
교과목 개요
10000
개별연구지도
학위논문의 작성을 위하여 지도교수의 지도하에 각 개인별 연구주제에 관하여 연구한다.
19047
가족상담및치료세미나
가족 내의 부부관계, 부모자녀관계 및 형제자매관계에서 파생되는 다양한 문제들에 대한 상담 및 치료기법을 살펴본다.
19832
아동발달과양육지원정책세미나
아동발달에 대한 기본적인 이론과 교육자들의 철학을 탐색하고 발달단계별로 이론을 비교하고 분석한다. 아동발달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우리 사회의 아동양육을 위한 지원방안과 양육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사회적 체계 구축방안을 지자체별 아동양육정책, 아동친화적인 환경 조성방안 등의 주제를 탐색한다.
19833
아동사회정서발달특론
아동의 사회적 정서적 발달에 대한 이론과 최근 연구동향을 고찰하고 아동의 사회적, 정서적 발달에 관한 연령별, 주제별 주요 이슈에 대한 연구를 리뷰하며 아동의 사회 및 정서적 발달을 증진하기 위한 프로그램에 대해 탐색해본다.
17579
가족자원관리특론
가족자원관리에서는 가정의 건강성 증진을 위한 자원관리의 내용과 체계를 이해하기 위해 가족자원 관리의 개념과 관련 이론을 살펴본다.
19026
건강가정론특론
건강한 가정은 모든 가족원의 욕구가 충족되는 가정을 말한다. 건강가정의 등장배경, 개념, 건강가정의 이념과 철학, 건강가정정책 및 건강가정사업, 건강가정 전담조직 및 전달체계, 그리고 건강가정사의 역할과 자격 등의 내용을 다룬다.
17740
건강가정정책특론
건강가정기본법에서 명시한 건강가정정책을 수립단계에서 평가단계까지 전 과정을 다룬다. 건강가정기본법 이전과 이후의 가족정책, 외국의 가족정책사례 등을 고찰함으로써 가족정책의 역사적 발달과정을 이해한다.
19834
다문화사회와아동인권세미나
다문화현상에 대한 이해, 한국의 다문화, 다문화인식, 다문화가정, 다문화아동, 아동인권에 대한 이해를 익히는 교과이다. 다양한 가정의 아동 현실에 대해 탐색하고 아동권리협약을 중심으로 아동학대와 아동인권준중 등에 대해 탐구한다.
19020
다문화사회의가족상담특론
다문화가족을 이해하기 위한 이론을 익히고 이를 기반으로 가족상담에 적용해야 할 점에 대해 논의한다.
19835
가족이론세미나
이 과목은 가족과 관련한 이론적 지식을 학습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가족의 형성과 확장, 유지, 해체에 이르는 발달과정과 사회의 변화 속에서 가족이 적응하는 과정에 대한 이론을 익히도록 한다.
19836
인간발달이론세미나
인간이 출생 후 죽음에 이르기가지 전생애에 걸쳐 신체, 정서, 사고의 발달과정에 대한 이론을 다룬다. 각각의 이론이 연구와 실천영역에서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 고민해 본다.
18669
모래놀이치료세미나
융의 이론을 기반으로 모래상자를 활용하여 내면의 상징성과 역동성을 표현하는 기법으로 비지시적, 비언어적 상담을 통하여 내담자의 심층적 의식을 분석하고자 한다. 모래상자 사용은 내담자의 감각기관과 상상 및 이미지트레킹을 동원하여 내면의 심층분석을 가능하도록 한다.
17018
미술치료세미나
미술치료 기법을 적용하여 아동과 성인이 직면한 문제와 심리적, 정서적 상태를 진단하고 미술적 표현과 상징적 체계를 기반으로 한 치료기법을 연구하고 개발한다.
19837
노년학세미나
노년기 발달에 관한 주요 이론을 학습하고 노화의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에 대한 이해를 도모한다.
18598
방과후아동지도특론
방과 후 아동보육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을 습득하고, 국내외의 방과후 보육 프로그램 현황을 알아보고, 발달에 적합한 활동을 계획, 조직, 수행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 학령이 아동과 효과적으로 일하는 데 필요한 기술과 지식을 익힌다. 더불어 방과 후 아동지도와 관련된 국내외 선행 연구를 탐색해 본다.
18411
보육학특론
보육에 대한 이해, 접근방향, 보육환경 등을 서술하고, 보육인력과 재정, 보육법규, 보육행정, 보육기획과 보육프로그램, 평가인증제 등 보육정책의 분야를 살펴보고, 주요 선진국의 보육정책을 통해 우리나라 보육의 발전방안을 알아본다.
19926
부모교육상담특론
대부분의 가족문제는 부모와 자녀관계에서 발생하고, 일차적 원인이 부모에게 있는 경우가 많다. 본 교과목에서는 부모자녀관계 향상을 위한 부모교육 방법을 알아보고 부모상담에 대한 다양한 접근을 익히고자 한다.
19402
사회복지자료분석기법
자료분석 기법에 대한 이해를 통해 분석 원리를 이해하고 통계분석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사회복지 분야의 자료를 실제로 분석함으로써 통계자료 분석의 방법 및 절차를 학습하고 연구에 적용한다.
19838
중노년기가족연구
중ㆍ노년기 가족의 가족 관계 및 사회 관계망의 변화 과정을 심층적으로 분석하며 중ㆍ노년기 가족의 문제를 토의한다.
19014
상담이론과실제
상담분야의 다양한 이론을 바탕으로 실질적인 현장에서의 적용할 수 있는 기법을 배우고 상담자의 기본적 소양을 실천할 수 있도록 한다
19839
남성연구
가족 관련 분야에서 상대적으로 관심을 받지 못했던 가족 내의 남성과 관련된 주제 및 최근의 이슈를 중심으로 분석하면서 남성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도모한다.
17461
가족복지세미나
가족복지와 관련된 쟁점 중 주제를 선정하여 토론한다.
19048
아동놀이특론
놀이는 교육과정의 주요한 측면이며 영유아의 발달과 성장을 위해 필수적인 과정이다. 영유아놀이특론은 어린이집 현장에서의 활용되는 놀이를 조사하고 영유아중심 놀이를 연구하고 선행연구를 통해 영유아발달과 놀이의 관계를 심층적으로 다룬다.
19012
아동복지특론
아동복지를 위한 기본원리와 아동복지의 역사, 국내외 아동복지제도 및 아동복지 실천사업에 대한 이해를 기초로 아동복지의 실태를 파악, 평가하고 미래 아동복지의 나아갈 방향을 모색해본다.
19009
아동상담이론과실제
아동의 심리, 정서, 행동문제를 다루는 상담 원리와 기법, 실천기술을 사례를 통해 학습하고 익혀서 아동이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18601
아동생활지도
아동생활지도는 영유아가 자율적이고 자주적인 생활 습관을 가지고 보다 안정되고 통합된 성장과 발달을 하도록 체계적이고 전문적으로 도와주는 과정에 대해 체계적으로 살펴본다.
17840
아동심리검사
영유아 심리검사는 영유아들의 심리 특성을 측정하기 위해 필요한 여러 가지 심리검사를 실시하고 평가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심리검사를 통해 영유아의 발달수준에 적합한 교육과정을 설계할 수 있고, 영유아의 학습과 발달을 촉진 하는 능력을 기른다.
19024
아동창의성지도
창의성 발달 이론과 최근 연구동향을 검토하고, 영유아들의 창의성 신장을 효과적으로 도울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을 모색한다. 창의성의 개념, 영유아에게 창의성이 중요한 이유, 창의성을 자극 하는 교수법 등을 학습한다.
19840
여성과사회세미나
여성과 사회의 관계를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학생들은 남성, 여성, 동성애, 성폭력, 매춘과 같은 과목을 공부하고 토론한다. 학생들은 여성 이론을 바탕으로 사회를 탐구하고 설명한다.
청소년의 복지, 심리, 정서, 행동문제를 다루는 상담 원리와 기법, 실천기술을 사례를 통해 학습하고 익혀서 청소년이 사회의 건강한 인적자원으로 성장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14886
사회복지실천론
전문적인 사회복지 실천에 필요한 기본개념과 역사적 배경을 살펴본다. 그리고 학생들은 사회 복지 실천에 대한 아이디어, 철학, 이론을 연구한다.
19901
노인발달과삶의질
우리사회는 노인인구 증가로 인해 노인의 삶의 질이 부각되고 있다. 노인의 학문적 접근을 위해서는 노인 실태에 대한 분석과, 이론을 통한 통합적 이해가 필요하다. 이 수업에서는 노인관련 이론과 기초 데이터 분석을 통해 체계적으로 노인 실태를 분석하고 노인의 삶의 질 연구를 진행한다.
19902
농촌복지세미나
지역사회의 한 영역인 농촌은 사회복지에서 잘 다루어 오지 않은 영역이다. 농촌 지역은 복지의 사각지대로 여전히 남아있어서 실천적 접근이 절실히 필요하다. 이 수업을 통해 지역사회복지에서 잘 알려지지 않은 농촌지역의 주민의 다양한 삶의 영역을 다루고, 농촌복지모델을 연구한다.
19903
노인발달과사회정책
우리나라는 고령화 사회를 지나 초고령화 사회로 진입하고 있다. 문제는 그 기간이 유례없이 빠르다는 것이다. 우리 사회는 초고령화 사회를 준비하기 위해 주요 정책들이 만들어가고 있다. 이 수업을 통해 노인 관련 중요한 국내외 돌봄정책을 분석하고, 장기요양제도와 커뮤니티케어를 중심으로 노인 정책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
19904
건강불평등과사회
현대사회의 양극화는 가장 중요한 이슈이며 사회문제이다. 일반적인 경제적 양극화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회 요인의 양극화로 인한 건강상 불평등은 주요 문제로 부각되었다. 여러 나라에서는 건강 불평등을 감소시키기 위해 다양한 정책적 접근을 하고 있다. 이 수업에서는 현대사회의 건강불평등 실태와 요소 등을 연구 한다.
19905
아동문학연구
영유아, 아동, 청소년들을 위한 문학에 대해 심도 있게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수강생들은 문학작품을 해석하고 평론하며 아동의 발달단계별로 우수한 문학작품을 선정하여 교육계획을 구성한다.
19906
영유아수과학지도
영유아의 발달 수준에 적합한 수학, 과학 개념을 제시하고 분석하여 수·과학 개념 발달과 논리적 사고를 촉진할 수 있는 놀이 및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한다.
19907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평가
영유아를 대상으로 개발된 국내외 보육프로그램을 다양한 관점에서 평가하고, 영유아 및 현대 가정의 변화하는 보육 욕구에 부응하는 보육프로그램의 개발에 대해 논의한다. 현재 국내외에서 실시되고 있는 보육프로그램을 살펴보고 이를 한국의 영유아 보육현장에 적용하는 데 따르는 문제점과 개선사항을 검토함으로써 현대 한국사회의 상황에 적합한 영유아 보육프로그램의 발전적 모델에 대한 시사점을 받는다.
19908
아동관찰및평가연구
아동의 발달 단계별 행동 특성을 과학적으로 관찰하여 평가 및 탐구하는 다양한 방법을 학습한다. 보육 교육 현장에서 필요한 실제적인 관찰능력과 체계적인 아동 연구를 위한 방법론으로서의 관찰능력을 갖추도록 한다.
19909
영유아문제행동지도
영유아기에 나타날 수 있는 다양한 문제행동을 살펴보고, 긍정적인 기법을 활용하여 아동의 문제행동을 지원하는 방법에 대해 논의한다. 학생들은 문제행동의 원인, 긍정적인 지도 원리와 기법, 가족 참여 방법, 사회문화적 영향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습니다.
19910
아동청소년이상발달세미나
영아기, 유아기, 아동기 및 청소년기 이상 발달의 전반적 개요를 살펴보고 국내외에서 시도된 각종 중재 프로그램의 성과를 평가하고,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중재 방안을 모색한다.
아동가족학 질적연구법
질적연구방법론의 최신 경향을 살펴보고, 한국 아동가족 연구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한다. 특히 수강생 각자가 생애과정 관점에서 인간발달과 가족의 복합성을 이해할 수 있는 연구 주제를 선정하고, 질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소논문을 작성해본다.
조사방법론
조사방법론은 사회복지 관련 과학적 연구의 방법, 이론 및 기법 등에 대한 학습뿐만 아니라 현장에서 요구되는 기초통계 구축에 관한 지식의 습득 등을 포함하는 교과목이다. 구체적으로 과학적 조사의 성격과 논리, 연구문제의 확인과 제기, 개념의 조작화, 가설의 개발, 연구나 조사의 디자인, 관찰, 면접, 조사표의 작성, 측정 도구의 개발, 자료의 수집과 처리, 분석과 검증, 추론의 방법, 보고서의 작성, 연구 결과의 평가 등에 관한 기초지식을 학습한다.
농촌노인복지이론과실천
사회복지는 일반적으로 도시를 기본 배경으로 한다. 정책과 실천의 대상이 도시에 있다고 가정하고 접근한다. 농촌은 도시와 인적,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특성이 매우 다르다. 따라서 농촌 노인의 문제와 욕구를 도시의 시각으로 접근하면 농촌노인복지를 이해할 수 없다. 이 수업은 농촌 노인의 특성을 이해하고, 농촌 노인복지의 이론과 실천을 배우며, 연구주제를 선정하고 진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