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9.03.01 사회과학부(언론매체학과 신설)
2001.03.01 국제사회언론학부로 변경
2004.03.01 전국대학평가 <우수학과> 선정(교육여건, 학생지도 및 복지 분야 <최우수>선정)
2006.03.01 학과제로 모집단위 변경, 신문방송학과로 변경
2009.03.01 신문방송학과 석사 과정 개설
2017.03.01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로 학과 명칭 개편
디지털 정보화 시대를 이끌 수 있는 최신의 언론 전문지식 교육
현업종사자와 학계 전문인간의 상호협력적인 네트워크 교육
졸업생의 현업 적응력 향상을 위한 책임 있는 사후연계 교육
교수명
학위
전공
담당과목
김동윤
언론학박사
정치커뮤니케이션
정치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 이론
류성진
철학박사
휴먼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 연구방법론,
전략커뮤니케이션
김성해
언론학박사
저널리즘 및
미디어정책
커뮤니케이션 세미나,
언론 및 표현의 자유
하진홍
언론학박사
광고 및 PR
광고홍보 세미나,
광고기획제작
홍유리
영상학박사
영상
영화영상,다큐멘터리
학과명
공통과목
(개별연구지도 포함)
전공과목
(선택과목 포함)
졸업요구 최소이수학점
(보충과목 별도)
석사학위과정
박사학위과정
석사학위과정
박사학위과정
석사학위과정
박사학위과정
신문방송
4
-
20
-
24
-
★ 교과과정 및 교과목해설은 교육과정 변경에 따라 변동이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교과구분명
과목명
이론시간
실기시간
학점
비고
연구
개별연구지도
1
0
1
전공
PR세미나
3
0
3
전공
PR원론
3
0
3
전공
다큐멘터리론
3
0
3
전공
미디어리터러시:디지털시대의생존전략
3
0
3
전공
빅데이터와커뮤니케이션
3
0
3
전공
언론윤리·법제론
3
0
3
전공
영상서사론
3
0
3
전공
영상커뮤니케이션
3
0
3
전공
영화로배우는커뮤니케이션
3
0
3
전공
영화이론입문
3
0
3
전공
전략커뮤니케이션
3
0
3
전공
정치커뮤니케이션
3
0
3
전공
커뮤니케이션연구방법론 I
3
0
3
전공
커뮤니케이션연구방법론II
3
0
3
전공
커뮤니케이션이론I
3
0
3
★ 교과과정 및 교과목해설은 교육과정 변경에 따라 변동이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과목코드
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교과목 한글개요
10000
개별연구지도
Research Works
학위논문의 작성을 위하여 지도교수의 지도하에 각 개인별 연구주제에 관하여 연구한다.
18969
PR세미나
Current Issues in Public Relations
이 수업은 이론적인 접근뿐 만 아니라 실제적인 측면에서의 PR의 발전에 대한 심도있는 논의를 다룬다. 다양한 자료읽기와 토론, 그리고 논문과제 등을 통해 학문적이고 실무적인 PR에 대한 지식과 경험, 그리고 관련분야에 대한 이해능력을 기르게 된다.
18965
PR원론
Theories of Public Relations
이 수업은 PR과 관련한 전통이론과 최근이론을 다룬다. 이러한 이론들을 학습함으로써 PR활동에 대한 이론적 접근을 통해 PR을 좀더 깊이있게 이해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게될 것이다. 이 수업에서는 철저히 다양한 자료들을 읽고 토론하고 학생 본인의 PR관련 논문을 쓰는 논문을 쓰는데 기초지식과 경험을 쌓는데 초점을 둔다.
19588
빅데이터와커뮤니케이션
Bigdata and Communication
제 4차 산업혁명 사회에서 가장 주목받고 있는 영역 중 하나는 빅데이터이며, 이 빅데이터를 활용한 새로운 유형의 커뮤니케이션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이 강좌에서는 빅데이터 개념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와 함께 빅데이터 분석 및 새로운 유형의 커뮤니케이션을 이해하는 법을 배운다.
17921
언론윤리·법제론
Communication Law & Ethics
법 및 사회적 측면에서 매스커뮤니케이션을 고찰하고, 이와 관련된 국내·외 언론법제를 상세하게 검토한 후 실제 언론관련 사건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17926
영상커뮤니케이션
Visual Media
시각적 커뮤니케이션 이론과 기법, 그리고 그 사회적 효과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를 돕는 과목이다. 시각/영상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이론적 기초를 중심으로 각 영상매체에서 나타난 이미지 구성 및 조작 기법에 대해 학습한다.
18964
전략커뮤니케이션
Strategic Communication
이 수업은 가장 최근의 광고와 PR과 관련한 이론과 사례들을 중심으로 전략커뮤니케이션의 개념과 역할 등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다양한 사례들을 통한 문제해결능력과 최신 이론을 활용한 리서치 능력을 배양한다.
17928
정치커뮤니케이션
Political Communication
현대 정치과정에서 대인간 및 소집단 커뮤니케이션 채널이 차지하는 위치를 점검하고 그 역할을 진단한다.
17915
커뮤니케이션연구방법론 I
Research Method for Communication I
커뮤니케이션을 포함한 사회과학 연구방법에 관한 철학적 접근을 습득하고 질적, 양적 연구의 다양한 방법론에 관해 전반적으로 이해한다. 기초통계에 대한 지식을 함께 습득한다.
17916
커뮤니케이션연구방법론II
Research Method for Communication II
실제로 데이터를 수집한 후 이를 분석하고 해석할 수 있는 지식과 능력을 습득한다. 이론적인 측면에서는 기초통계지식을 바탕으로 고급통계이론을 습득하고, 이와 함께 실습적인 측면에서 통계분석 프로그램인 SPSS/PC+사용법을 익혀 수집한 데이터를 직접 분석하고 해석 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한다.
17914
커뮤니케이션이론I
Communication Theory I
커뮤니케이션학의 연구대상 영역을 정의하고 기존의 커뮤니케이션과 관련한 가설 및 이론에 관한 문헌을 체계적으로 검토하며, 커뮤니케이션학의 개괄적이고 기본적인 이해를 돕는데 목적이 있다.
20301
다큐멘터리론
Documentary Theory
커뮤니케이션학의 연구대상 영역을 정의하고 기존의 커뮤니케이션과 관련한 가설 및 이론에 관한 문헌을 체계적으로 검토하며, 커뮤니케이션학의 개괄적이고 기본적인 이해를 돕는데 목적이 있다.
20302
영화이론입문
Introduction to Film Theory
영화이론은 문학, 기호학, 정신분석학, 정치학 등의 타학문과 결합하여 사회문화적 배경, 서사구조, 형식구성, 작가주의, 관객성 등에 대한 방법론을 구축해왔다. 이 수업은 다양한 영화이론을 소개하고 이를 통해 학생들은 직접 비평을 수행한다.
20303
영상서사론
Visual Narratology
영상서사학 영화, 드라마, 디지털 콘텐츠 등 시각적 매체의 서사적 구조와 이론을 탐구한다. 주요 내용으로는 영상서사의 원리와 발전, 서사 이론 및 분석 방법론, 다양한 매체와 장르에 대한 이해, 그리고 문화적 맥락에서의 서사의 역할과 의미에 대한 탐구가 포함된다.
20304
영화로배우는커뮤니케이션
Learning Communication Through Movies
커뮤니케이션은 많은 학문의 교집합이다. 역사, 정치, 경제, 사회, 국제관계와 불가분의 관계다. 복잡한 커뮤니케이션을 좀 더 쉽고 흥미롭게 배울 수 있는 과목이다. 국내외에서 많은 함의를 가진 영화를 선택해, 그 영화가 제작된 배경, 핵심 메시지, 목표공략층, 담론전략과 이를 둘러싼 권력관계 등을 배운다. 가장 효과적이고 대중적인 영화라는 장르를 통해 커뮤니케이션 생태계는 물론 미디어효과, 정치적 맥락, 여론 공략 전략 등을 두루 배운다.
20305
미디어리터러시:디지털시대의생존전략
Media Literacy: Survival Strategy in the Digital Age
인간은 누구나 불가침의 권리를 가진다. 글을 배우고, 세상과 소통하고, 법을 배우는 것은 이런 권리를 지키기 위한 몸부림이다. 인류는 그간 해방을 위해 피를 흘렸고 문자는 이 여정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글을 알아야 자신의 목소리를 낼 수 있고, 부당한 것에 항의할 수 있으며, 세상과 소통할 수 있었다. 디지털 시대, 문자의 역할은 미디어가 한다. 정부를 비롯해 많은 단체에서 미디어 리터러시를 강조하는 이유다. 강의에서는 미디어 생태계의 작동방식, 생산자와 소비자, 유통구조 등을 배운다. 미디어를 통한 학습, 미디어를 통한 자기 표현, 미디어에 대한 제대로 된 소비, 미디어의 인격침해를 지키는 법 등을 포괄적으로 다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