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PYRIGHT(C) 2016 BY DAEGU UNIVERSITY ALL RIGHT RESERVED.
INFORMATION
연혁
심리학과는 사회과학대학에 속해 있으며, 1980년에 학부과정을 개설하였다. 1983년 10월 29일 교육부로부터 대학원 석사과정 설립인가를 받았으며, 1984년부터 석사과정을 운영해 오고 있다. 현재 7명의 교수가 재직 중이다. 지금까지 217명의 석사학위 졸업생을 배출하였으며, 현재 석사과정 51명과 박사과정 5명의 학생이 재학 중이다. 본과는 세부전공을 구분하지 않고 심리학 단일 전공으로 운영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교수들의 관심분야와 학생들의 연구주제에 따라 학습심리학, 사회심리학, 임상심리학, 상담심리학, 산업심리학, 소비자 및 광고심리학, 범죄심리학, 사회문제 및 공동체 심리학 등 다양한 전공을 할 수 있도록 운영하고 있다.
교육목표
최신의 심리학 이론들 및 연구방법을 바탕으로 한 전문 연구인력 양성
심리학적 원리들을 응용하여 산업, 상담, 임상 등의 실제 장면에서의 각종 프로그램을 실시 평가할 수 있는 전문가 양성
심리학적 원리 및 이론들을 바탕으로 다양한 사회문제들의 해결 및 정책개발을 할 수 있는 전문가 양성
교수명단
이종구 |
심리학박사 |
산업 및 조직심리학 |
고급산업심리학, 다변량분석법, 고급조직심리학, 인사심리학
|
금명자 |
심리학박사 |
상담심리학 |
고급상담심리학, 집단상담, 상담현장실습
|
박은아 |
심리학박사 |
소비자 및 광고심리학 |
고급소비자심리학, 고급광고심리학, 소비자심리와 브랜드관리, 광고효과연구법
|
석동헌 |
심리학박사 |
사회 및 범죄심리학 조직심리학 |
고급사회심리학, 인간동기론 고급범죄심리학, 스포츠사회심리학
|
임영진 |
심리학박사 |
임상심리학 |
고급인지치료, 고급심리평가, 투사법검사, 고급임상심리학
|
김근향 |
심리학박사 |
임상심리학 |
임상심리학, 신경심리평가, 이상심리학 발달정신병리학, 건강심리학
|
김은석 |
심리학박사 |
상담심리학 |
고급심리치료, 고급상담사례지도, 고급상담심리학, 가족상담, 집단상담 |
★ 교과과정 및 교과목해설은 교육과정 변경에 따라 변동이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교과구분명 |
과목코드 |
과목명 |
이론시간 |
실기시간 |
학점 |
비고 |
---|---|---|---|---|---|---|
연구 |
10000 |
개별연구지도 |
2 |
0 |
2 |
0 |
연구 |
10000 |
개별연구지도 |
1 |
0 |
1 |
0 |
전공 |
14003 |
가족상담 |
3 |
0 |
3 |
0 |
전공 |
11379 |
가족치료연구 |
3 |
0 |
3 |
0 |
전공 |
11397 |
건강심리학 |
3 |
0 |
3 |
0 |
전공 |
18201 |
고급가족상담 |
3 |
0 |
3 |
0 |
전공 |
18187 |
고급건강심리학 |
3 |
0 |
3 |
0 |
전공 |
18211 |
고급공학심리학 |
3 |
0 |
3 |
0 |
전공 |
18216 |
고급광고심리학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8658 |
고급다변량분석법 |
3 |
0 |
3 |
0 |
전공 |
11659 |
고급발달심리학 |
3 |
0 |
3 |
0 |
전공 |
17884 |
고급범죄심리학 |
3 |
0 |
3 |
0 |
전공 |
17890 |
고급범죄심리학세미나 |
3 |
0 |
3 |
0 |
전공 |
18668 |
고급법심리학 |
3 |
0 |
3 |
0 |
전공 |
18664 |
고급법정심리학 |
3 |
0 |
3 |
0 |
전공 |
17887 |
고급비교문화심리학 |
3 |
0 |
3 |
0 |
전공 |
11637 |
고급사회심리학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6708 |
고급사회심리학세미나 |
3 |
0 |
3 |
0 |
전공 |
14219 |
고급상담심리학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6687 |
고급상담심리학세미나 |
3 |
0 |
3 |
0 |
전공 |
11665 |
고급생리심리학 |
3 |
0 |
3 |
0 |
전공 |
11636 |
고급성격심리학 |
3 |
0 |
3 |
0 |
전공 |
16688 |
고급성격심리학세미나 |
3 |
0 |
3 |
0 |
전공 |
17881 |
고급소비자심리학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8212 |
고급식스시그마 |
3 |
0 |
3 |
0 |
전공 |
14231 |
고급신경심리학 |
3 |
0 |
3 |
0 |
전공 |
16345 |
고급실험설계 |
3 |
0 |
3 |
0 |
전공 |
16031 |
고급심리상담실제(1) |
3 |
0 |
3 |
0 |
전공 |
16032 |
고급심리상담실제(2) |
3 |
0 |
3 |
0 |
전공 |
18195 |
고급심리진단평가 |
3 |
0 |
3 |
0 |
전공 |
18191 |
고급심리치료 |
3 |
0 |
3 |
0 |
전공 |
11232 |
고급심리통계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8190 |
고급심리평가 |
3 |
0 |
3 |
0 |
전공 |
16036 |
고급심리학세미나 |
3 |
0 |
3 |
0 |
전공 |
18208 |
고급의사결정론 |
3 |
0 |
3 |
0 |
전공 |
18209 |
고급인사심리학 |
3 |
0 |
3 |
0 |
전공 |
11663 |
고급인지심리학 |
3 |
0 |
3 |
0 |
전공 |
16707 |
고급인지심리학세미나 |
3 |
0 |
3 |
0 |
전공 |
18189 |
고급인지치료 |
3 |
0 |
3 |
0 |
전공 |
12906 |
고급임상심리학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8202 |
고급재활상담 |
3 |
0 |
3 |
0 |
전공 |
16038 |
고급정신병리학 |
3 |
0 |
3 |
0 |
전공 |
18192 |
고급정신재활 |
3 |
0 |
3 |
0 |
전공 |
18215 |
고급조직심리학 |
3 |
0 |
3 |
0 |
전공 |
18179 |
고급지역사회심리학 |
3 |
0 |
3 |
0 |
전공 |
18210 |
고급직무분석 |
3 |
0 |
3 |
0 |
전공 |
18218 |
고급질적연구방법론 |
3 |
0 |
3 |
0 |
전공 |
17885 |
고급집단심리학 |
3 |
0 |
3 |
0 |
전공 |
18213 |
고급창업심리학 |
3 |
0 |
3 |
0 |
전공 |
18180 |
고급창의성세미나 |
3 |
0 |
3 |
0 |
전공 |
11664 |
고급학습심리학 |
3 |
0 |
3 |
0 |
전공 |
16706 |
고급학습심리학세미나 |
3 |
0 |
3 |
0 |
전공 |
18193 |
고급학습장애세미나 |
3 |
0 |
3 |
0 |
전공 |
18188 |
고급행동치료 |
3 |
0 |
3 |
0 |
전공 |
17484 |
공학심리학 |
3 |
0 |
3 |
0 |
전공 |
18759 |
광고심리학세미나 |
3 |
0 |
3 |
0 |
전공 |
17879 |
광고효과연구법 |
3 |
0 |
3 |
0 |
전공 |
17475 |
다변량분석법 |
3 |
0 |
3 |
0 |
전공 |
18662 |
리더십 |
3 |
0 |
3 |
0 |
전공 |
11615 |
발달정신병리학 |
3 |
0 |
3 |
0 |
전공 |
18666 |
법심리학 |
3 |
0 |
3 |
0 |
전공 |
18667 |
법심리학세미나 |
3 |
0 |
3 |
0 |
전공 |
18663 |
법정심리학 |
3 |
0 |
3 |
0 |
전공 |
18665 |
법정심리학세미나 |
3 |
0 |
3 |
0 |
전공 |
18659 |
사회심리이론 |
3 |
0 |
3 |
0 |
전공 |
17490 |
산업및조직심리학특강 |
3 |
0 |
3 |
0 |
전공 |
11291 |
산업심리학연구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7488 |
상담사례지도연구 |
3 |
0 |
3 |
0 |
전공 |
16035 |
상담윤리및쟁점연구 |
3 |
0 |
3 |
0 |
전공 |
17480 |
상담현장실습 |
3 |
0 |
3 |
0 |
전공 |
17882 |
소비자심리와브랜드관리 |
3 |
0 |
3 |
0 |
전공 |
18760 |
소비자심리학세미나 |
3 |
0 |
3 |
0 |
전공 |
17883 |
소비자행동연구방법 |
3 |
0 |
3 |
0 |
전공 |
18661 |
수행평가 |
3 |
0 |
3 |
0 |
전공 |
17485 |
식스시그마 |
3 |
0 |
3 |
0 |
전공 |
18505 |
신경심리평가 |
3 |
0 |
3 |
0 |
전공 |
11402 |
신경심리학 |
3 |
0 |
3 |
0 |
전공 |
11634 |
심리치료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1631 |
심리평가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1187 |
심리학특강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7477 |
아동및청소년상담 |
3 |
0 |
3 |
0 |
전공 |
18197 |
아동심리진단 I |
3 |
0 |
3 |
0 |
전공 |
18198 |
아동심리진단 II |
3 |
0 |
3 |
0 |
전공 |
11399 |
아동심리치료실습 |
3 |
0 |
3 |
0 |
전공 |
18660 |
응용사회심리학 |
3 |
0 |
3 |
0 |
전공 |
11551 |
의사결정론 |
3 |
0 |
3 |
0 |
전공 |
17886 |
인간동기론 |
3 |
0 |
3 |
0 |
전공 |
17482 |
인사심리학 |
3 |
0 |
3 |
0 |
전공 |
11619 |
인지행동치료 |
3 |
0 |
3 |
0 |
전공 |
17489 |
임상사례지도연구 |
3 |
0 |
3 |
0 |
전공 |
18199 |
임상실습및슈퍼비젼 I |
3 |
0 |
3 |
0 |
전공 |
18200 |
임상실습및슈퍼비젼 II |
3 |
0 |
3 |
0 |
전공 |
16033 |
재난및위기상담연구 |
3 |
0 |
3 |
0 |
전공 |
14555 |
재활상담 |
3 |
0 |
3 |
0 |
전공 |
11630 |
정신병리학 |
3 |
0 |
3 |
0 |
전공 |
17481 |
정신재활 |
3 |
0 |
3 |
0 |
전공 |
16040 |
정신재활특강 |
3 |
0 |
3 |
0 |
전공 |
12305 |
조직심리학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6046 |
조직행동연구 |
3 |
0 |
3 |
0 |
전공 |
19405 |
중독심리및상담 |
3 |
0 |
3 |
0 |
전공 |
11625 |
지역사회심리학 |
3 |
0 |
3 |
0 |
전공 |
17483 |
직무분석 |
3 |
0 |
3 |
0 |
전공 |
16028 |
집단상담연구 |
3 |
0 |
3 |
0 |
전공 |
17478 |
집단상담이론과실습 |
3 |
0 |
3 |
0 |
전공 |
17491 |
창업심리학 |
3 |
0 |
3 |
0 |
전공 |
17487 |
창의성세미나 |
3 |
0 |
3 |
0 |
전공 |
17880 |
최신광고사례분석 |
3 |
0 |
3 |
0 |
전공 |
18506 |
투사법검사 |
3 |
0 |
3 |
0 |
전공 |
17492 |
학습장애세미나 |
3 |
0 |
3 |
0 |
전공 |
17479 |
학업및진로상담 |
3 |
0 |
3 |
0 |
전공 |
11617 |
행동치료 |
3 |
0 |
3 |
0 |
전공 |
19870 |
임상신경과학및인지신경정신과학 |
3 |
0 |
3 |
0 |
"박사보충" 표시된 과목
- 석사과정생이 수강할 경우, 전공과목으로 인정되며,
- 박사과정생이 수강할 경우, 보충과목으로 인정됨
★ 교과과정 및 교과목해설은 교육과정 변경에 따라 변동이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과목코드 |
과목명 |
교과목 영문명 |
교과목 한글개요 |
---|---|---|---|
10000 |
개별연구지도 |
Research Works |
학위논문의 작성을 위하여 지도교수의 지도하에 각 개인별 연구주제에 관하여 연구한다. |
10000 |
개별연구지도 |
Research Works |
학위논문의 작성을 위하여 지도교수의 지도하에 각 개인별 연구주제에 관하여 연구한다. |
14003 |
가족상담 |
Family Counseling |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의 여러 개입모델과 개입기법을 살펴본 후, 이혼가족 상담, 청소년-부모관계 가족상담, 가정폭력 가족상담, 노인문제에 대한 가족상담, 분거가족을 위한 가족상담 등 가족의 문제영역에 따른 접근 방법을 배운다. |
11379 |
가족치료연구 |
Research in Family Treatment |
가족의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고 가족 체계의 과정에서 야기되는 역기능을 사정하고 이를 치료할 수 있는 가족치료의 제 이론을 탐구한다. 가족치료 면접의 운영과 과정에서의 기법을 탐구하며 합동, 아위체계, 또는 단독 면접과 이들을 결합한 치료접근을 연구한다. |
11397 |
건강심리학 |
health psychology |
정신과 신체의 관계를 질병예방적 차원에서 고찰하고, 건강관리를 위한 예방적 기법을 학습하며, 정신지체의학, 신경생리학, 신경재활, 바이오피드백 등과 관련된 이론을 이해한다. |
18201 |
고급가족상담 |
Advanced Family Intervention |
가족의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고 가족 체계의 과정에서 야기되는 역기능을 시정하고 이를 치료할 수 있는 가족치료의 제 이론을 탐구한다. 가족치료 면접의 운영과 과정에서의 기법을 탐구하며, 이들을 결합한 치료접근을 연구한다. |
18187 |
고급건강심리학 |
Advanced health Psychology |
정신과 신체의 관계를 질병예방적 차원에서 고찰하고, 건강관리를 위한 예방적 기법을 학습하며, 정신지체의학, 신경생리학, 신경재활, 바이오피드백 등과 관련된 이론을 이해한다. |
18211 |
고급공학심리학 |
Advanced Engineering Psychology |
공학심리학은 인간의 고위인지기능 (주의, 학습, 기억, 언어, 의사결정, 문제해결)을 연구하는 인지심리학과 인간의 감각과 지각 (시각, 청각, 촉각, 후각, 미각)을 연구하는 지각심리학을 인간이 관여하는 산업장면, 디자인 분야, 인공물 설계에 응용하는 분야이다. |
18216 |
고급광고심리학 |
Advanced Psychology of Advertisement |
광고효과와 관련된 심리학 이론에 근거하여 성공적인 광고캠페인이 갖는 특징에 대하여 사회 환경적 요인과 마케팅 요인, 그리고 소비자 요인의 영향력을 논의한다. |
18658 |
고급다변량분석법 |
Advanced Multivariate Data Analysis |
조사자료를 분석하기 위한 다양한 고급 통계기법을 습득한다. 다중회귀, 정준상관분석, 판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군집분석, MDS, 확인적 요인분석, 경로분석, 공분산구조분석 등을 SAS, LISREL, AMOS 등의 통계 패키지를 이용하여 분석하는 방법을 다룬다. |
11659 |
고급발달심리학 |
Advanced Developmental Psychology |
태내기부터 사망까지의 인간 발달과정에 관한 이론 및 발달단계별 발달과업을 이해한다. 또한 구체적인 발달영역 및 발달 수준을 연구하는데 필요한 연구방법론과 기법을 학습한다. |
17884 |
고급범죄심리학 |
Advanced Criminal Psychology |
범죄심리학은 심리학적 이론과 지식을 범죄자와 범죄행동에 적용하여 분석하는 학문이다. 본 교과에서는 범죄자의 행동과 심리를 보다 다양하고 폭 넓은 관점에서 이해하고, 나아가 이론적 지식을 실무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적인 소양을 함양할 것이다. |
17890 |
고급범죄심리학세미나 |
Advanced criminal psycholosy seminar |
|
18668 |
고급법심리학 |
Advanced law and psychology |
범죄자의 행동과 심리를 보다 다양하고 폭 넓은 관점에서 이해하고, 나아가 이론적 지식을 실무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적인 소양을 함양 |
18664 |
고급법정심리학 |
Advanced forensic psychology |
법정심리학에서는 약물이 범죄행동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 비행, 싸이코패스, 프로파일링 등을 다룸 |
17887 |
고급비교문화심리학 |
Advanced cross-cultural Psychology |
최근 심리학 연구에서 문화비교의 관점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본 교과목에서는 심리학의 여러 연구 영역들 (인지, 지능, 정서, 동기, 성격, 인간발달, 사회인지, 조직행동 등)에서 문화가 인간의 행동과 심리 과정에 어떻게 영향을 줄 수 있는지에 대해 논의한다. |
11637 |
고급사회심리학 |
Advanced Social Psychology |
일반 사회심리학에서 다루었던 “나”를 포함한 이자간의 관계, 또는 3자간의 관계에서 일어나는 제반 현상들에 대한 보다 정교하면서도 포괄적인 연구를 하며 나아가 집단역학, 집단과정 그리고 조직심리학에 대한 기초를 제공한다. |
16708 |
고급사회심리학세미나 |
Seminar on Social Psychology |
개인과 타인간의 이자 및 다자관계, 개인과 집단, 집단관계 등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사회심리학적 현상들에 관한 주요 이론들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이러한 개념들이 상담 현장에 어떻게 적용되는가를 논의한다. |
14219 |
고급상담심리학 |
Advanced Psychology of Counseling |
최근의 상담이론서나 논문들을 바탕으로 주요 상담 및 심리치료 이론들을 심층적으로 고찰과, 이러한 이론들과 개념들이 실제 상담현장에서 어떻게 적용되는가에 관해 발표 및 토론한다. |
16687 |
고급상담심리학세미나 |
Seminar on Psychology of Counseling |
최근의 핸드북이나 저널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상담심리학 주요 주제들을 확인하고 자신의 관심연구에 적용한다. |
11665 |
고급생리심리학 |
Advanced Physiological Psychology |
감각, 지각, 동기, 정서, 학습, 기억, 언어, 사고, 정신활동 등 다양한 행동 측면들의 신경해부학적, 신경생리학적, 신경화학적, 내분비적 기제들을 분석함으로써 인간행동의 신경생리적 기제를 이해하도록 한다. |
11636 |
고급성격심리학 |
Advanced Psychology of Personality |
정신분석학, 행동주의, 현상학적 접근 등 주요 성격이론에 대한 이해를 기초로 하여 이론들 간의 논쟁점 그리고 성격이론의 최근 동향과 중요한 이슈를 논의한다. |
16688 |
고급성격심리학세미나 |
Seminar on Psychology of Personality |
최근의 성격이론관련교과서의 논문들을 바탕으로 주요 성격이론들의 논쟁점, 최근 동향 및 전망 등에 관해 논의한다. |
17881 |
고급소비자심리학 |
Advanced Consumer Psychology |
소비자 심리학 분야의 최신 경향과 트렌드를 반영하는 이슈를 선정하여 분석하고 이론적 체계화 작업을 해본다 |
18212 |
고급식스시그마 |
Advanced Six Sigma |
모든 품질수준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문제해결 과정과 전문가 양성 등의 효율적인 품질문화를 조성하며, 품질혁신과 고객만족을 달성하기 위해 전사적으로 실행하는 21세기형 기업경영 전략으로 이를 연구, 적용하는 방법을 연구한다. |
14231 |
고급신경심리학 |
Advanced Neuropsychology |
뇌의 기능과 직접 관련된 행동들을 이해하고, 뇌 기능장애로 인한 다양한 정신질환 및 신경질환들을 평가하는 방법들과 그 논리를 이해하도록 한다. 나아가 뇌 기능 및 조직화와 관련된 개인차에 대해서도 학습하도록 한다. |
16345 |
고급실험설계 |
Advanced Experimental Design |
본 과목은 심리학의 주된 연구방법인 실험연구에 대한 기초지식을 바탕으로 하여, 다양한 고급 실험 설계 논리와 실험자료 분석 방법을 연구한다. |
16031 |
고급심리상담실제(1) |
Advanced Psychological Counselling Practice(1) |
심리상담의 전문적 능력을 갖추기 위하여 특정한 상담이론의 집중적 탐구와 기법의 증진을 목표로 한다. |
16032 |
고급심리상담실제(2) |
Advanced Psychological Counselling Practice(2) |
심리상담의 전문적 능력을 갖추기 위하여 한가지 이상의 특정한 상담이론의 집중적 탐구와 기법의 증진을 목표로 한다. |
18195 |
고급심리진단평가 |
Advanced Psychological Assessment & Diagnosis |
정신과적 장애에 대한 평가 및 감별진단을 함양한다. 이를 위하여 진단적 면접기법과 심리검사 배터리 활용기법을 익힌다. 나아가 실제 상담사례 또는 임상사례를 바탕으로 면접, 심리검사 실시, 보고서 작성, 사례토론, 지도감독 등을 수행한다. |
18191 |
고급심리치료 |
Advanced Psychotherapy |
주요 심리치료이론 및 상담이론의 세부적인 개념을 깊이 고찰하고, 이 이론들과 개념들이 실제적인 심리치료 및 상담과정에서 어떻게 적용되는가를 학습한다. 그리고 심리치료 분야의 최근 논쟁점을 논의한다. |
11232 |
고급심리통계 |
Advanced Psychological Statistics |
심리연구와 관련해서 자주 쓰이는 통계적 방법들을 학습한다. 각 방법 별로 실제 데이터를 분석하고 결과를 논의한다. 이러한 방법들과 관련된 컴퓨터 계 패키지를 학습한다. |
18190 |
고급심리평가 |
Advanced Psychological Assessment |
심리검사의 제작원리 및 활용방법을 개관하며, 대표적인 임상심리검사의 실시, 채점, 해석 및 보고서 작성법을 익힌다. |
16036 |
고급심리학세미나 |
Advanced Seminar on Psychology |
심리학의 전반적인 동향과 현재의 주요쟁점을 이해하고, 그 중 몇 가지 연구주제를 집중적으로 조사, 발표, 토론한다. 이를 통하여 연구주제 설정, 문헌조사, 자료분석, 연구설계 등의 능력을 함양한다. |
18208 |
고급의사결정론 |
Advanced Decision Making |
의사결정에 이르는 과정과 결정에 작용하는 변인들 그리고 결정 후에 따르는 부조화와 이에 대처 방안 등을 인지심리학과 사회심리학적 지식을 토대로 하여 연구한다. |
18209 |
고급인사심리학 |
Advanced Personal Psychology |
생산성의 극대화, 종업원 만족이라는 산업현장의 궁극적인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보다 효율적인 선발전략과 선발전략에 필수적인 예언변인을 집중연구하며 선발 결과를 평가할 수 있는 준거에 대해서 연구한다. |
11663 |
고급인지심리학 |
Advanced Cognitive Psychology |
인간의 앎이 어떻게 해서 이루어지며, 그러한 지식들이 어떻게 구조화, 표상되어 있으며 다양한 문제 해결이나 의사결정 등 사고과정에 우리의 지식들이 어떻게 활용되는가를 이해하도록 한다. |
16707 |
고급인지심리학세미나 |
Seminar on Cognitive Psychology |
인간의 지식 획득 및 손상, 문제해결 과정 등의 제반인지과정에 대한 주요 이론들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이러한 인지심리학적 개념과 이론들이 상담현장에 어떻게 적용되는가를 논의한다. |
18189 |
고급인지치료 |
Advanced Cognitive Therapy |
Beck과 Ellis의 인지치료 이론을 바탕으로 개인의 부정적 신념, 자동화된 사고의 왜곡과정, 종류, 탐지방법, 교정방법 등을 소개한다. 인지치료의 적용점을 알아보고 타 치료기법과의 병행 가능성을 탐색한다. |
12906 |
고급임상심리학 |
Advanced Clinical Psychology |
임상 심리학의 주요 연구 문제들을 중심으로 이의 고전적 연구들과 최근의 연구들을 개관한다. |
18202 |
고급재활상담 |
Advanced Rehabilitation Counseling |
정신재활의 역사와 철학을 개관하고, 환자교육, 가족교육, 사회기술훈련, 직업재활, 정책제안, 권익옹호 등의 방법론을 학습한다. 정신재활 프로그램의 개발과정을 이해하고, 기존의 프로그램을 개선하거나 새로운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과정을 경험한다. |
16038 |
고급정신병리학 |
Advanced Psychopathology |
정상과 이상의 차이점을 역사적, 문화적 맥락 내에서 이해한다. 증상론, 진단체계, 진단기준, 각 장애의 원인론과 치료법, 정신병리에 대한 연구법 등을 다룬다. 각 개인의 증상을 확인하고, 감별진단을 내리는데 필수적인 지식과 능력을 함양한다. |
18192 |
고급정신재활 |
Advanced Psychiatric Rehabilitation |
정신사회재활 분야의 역사, 철학, 방법론, 성과 등을 깊이 고찰하고, 만성정신질환자를 위한 환자교육, 가족교육, 사회기술훈련, 직업재활 등을 학습하며, 환자협회지원, 가족협회지원, 대중계몽, 변화제정, 정부정책결정에의 참여 등 환자와 가족의 권익확대 방안을 학습한다. |
18215 |
고급조직심리학 |
Advanced Organizational Psychology |
본 강좌에서는 산업 및 조직심리학의 주제들 중에서 주로 조직과 관련된 주제들인 조직과 조직변화, 팀과 팀워크, 조직에 대한 태도와 행동, 작업동기, 및 리더십을 다룬다. |
18179 |
고급지역사회심리학 |
Advanced Community Psychology |
지역사회심리학의 역사적 배경, 철학, 이론, 연구방법, 현장응용 등을 강의한다. 공동체 생활과 관련된 정신건강, 계층간의 불균형 인권, 소외집단 등의 이슈를 다룬다. 공동체 개발에 필요한 심리학적 기능의 촉진, 행정 및 관리, 평가 및 자문의 능력을 학습하게 된다. |
18210 |
고급직무분석 |
Advanced Job Analysis |
산업현장에서 가장 기본적이고도 필수적인 직무에 대한 이해와 직무를 분석하는 방법을 연구함으로써 인사선발, 인사관리 및 평가 그리고 산업훈련 등에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
18218 |
고급질적연구방법론 |
Advance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
질적연구방법론은 현장으로부터의 이론을 도출하는 귀납적 접근 방법을 통해 지식을 발견 하고, 인간의 삶을 이해하기 위한 연구방법론이다. 본 수업은 질적 연구에 대한 이해와 다양한 방법론, 실제적인 연구진행절차를 학습하는 것으로 구성한다. |
17885 |
고급집단심리학 |
Advanced Group Psychology |
집단내와 집단간에 일어나는 여러 현상들(집단수행, 집단의사결정, 집단내 갈등, 집단간 갈등, 군중행동 등)에 대해 논의하고 집단에서의 인간행동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킨다. |
18213 |
고급창업심리학 |
Advanced Psychology for Enterpreneurs |
산업, 상담, 임상, 발달 등의 심리학을 전공한 후의 창업기회를 리뷰하고 사업성검토기법, 창업과정 및 창업실무 등을 연구한다. |
18180 |
고급창의성세미나 |
Advanced Seminar for Creativity |
창의성과 의사결정에 사용되는 인지과정에 대한 연구방법과 이론들의 이해를 도모하고 이들 과정에 대한 최근의 경험적인 연구들을 보다 심도있는 분석한다. 또한 창의성 개발과 의사결정과정의 효율성을 증가시키는 방안을 연구한다. |
11664 |
고급학습심리학 |
Advanced Psychology of Learning |
다양한 학습 패러다임들에서 나타나는 학습현상들을 살펴보고, 그 기본원리들을 규명하며, 나아가 역사적으로 학습현상에 관한 여러 가지 설명이론들이 어떻게 진전해 왔는가를 이해하도록 한다. |
16706 |
고급학습심리학세미나 |
Seminar on Learning Psychology |
주요 학습 패러다임들에서 나타난 현상들과 그 기본원리, 설명이론들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이러한 학습이론들이 상담현장에서 어떻게 활용되는가에 관해 논의한다. |
18193 |
고급학습장애세미나 |
Advanced Seminar for Learning Disorder |
학습장애에 대한 제반 이론적 모형들과 실제 적용이론들을 연구한다. |
18188 |
고급행동치료 |
Advanced Behavior Therapy |
고전적 조건화, 조작적 조건화, 모델링 등 학습이론을 바탕으로 하는 치료기법들을 다룬다. 이완훈련, 체계적 둔감법, 행동조형 등 제반 치료기법들의 원리와 방법론을 익히며, 행동관찰 요령, 목표행동의 선정, 개입절차, 치료효과의 측정 등을 다룬다. |
17484 |
공학심리학 |
Engineering Psychology |
공학심리학은 인간의 고위인지기능 (주의, 학습, 기억, 언어, 의사결정, 문제해결)을 연구하는 인지심리학과 인간의 감각과 지각 (시각, 청각, 촉각, 후각, 미각)을 연구하는 지각심리학을 인간이 관여하는 산업장면, 디자인 분야, 인공물 설계에 응용하는 분야이다. |
18759 |
광고심리학세미나 |
Seminar on Psychology of Advertisement |
|
17879 |
광고효과연구법 |
Methods of Measuring Advertising Effects |
현장에서 사용하는 광고효과 측정의 이론적 체계와 기법을 익히고, 보다 효율적인 효과측정 방법을 모색한다. |
17475 |
다변량분석법 |
Multivariate Data Analysis |
조사자료를 분석하기 위한 다양한 고급 통계기법을 습득한다. 다중회귀, 정준상관분석, 판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군집분석, MDS, 확인적 요인분석, 경로분석, 공분산구조분석 등을 SAS, LISREL, AMOS 등의 통계 패키지를 이용하여 분석하는 방법을 다룬다. |
18662 |
리더십 |
Seminar on Leadership |
|
11615 |
발달정신병리학 |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
아동 및 청소년기에 흔히 나타나는 정신장애를 학습한다. 이러한 장애의 출현에 미치는 발달적 요소의 영향을 탐색하고, 그것을 교정하는 방법을 다룬다. |
18666 |
법심리학 |
Psychology and law |
|
18667 |
법심리학세미나 |
Seminar on psychology and law |
|
18663 |
법정심리학 |
Forensic psychology |
|
18665 |
법정심리학세미나 |
Forensic psychology seminar |
|
18659 |
사회심리이론 |
Theories of Social Psychology |
|
17490 |
산업및조직심리학특강 |
Advanced Lecture of Industrial & Organizational Psychology |
산업장면에서의 인간행동을 이해하고 여기서 밝혀진 원리들이 산업현장의 문제 해결에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전문 학술 연구들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
11291 |
산업심리학연구 |
Research in Psychology of Industry |
산업 및 조직심리학은 심리학의 기본원리들을 산업현장과 다양한 조직운용에 응용하는 학문이다. 본 강좌는 특히 산업심리학에 중점을 두어 직무분석, 심리검사, 인사선발, 및 교육훈련을 주로 다룬다. |
17488 |
상담사례지도연구 |
Case Supervision in Counseling |
여러 가지 형태의 상담현장에서 경험할 수 있는 사례를 다양한 이론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토론한다. 수강생이 직접 하고 있는 사례에 대해서도 교육 및 감독적 차원에서 사례지도를 한다. |
16035 |
상담윤리및쟁점연구 |
Ethics and Issues in Counseling |
내담자의 정신을 돌보는 전문가로서 상담자의 직업적 윤리에 대하여 논의한다. 다양하고 급속하게 변화하는 현대사회에서 상담과 관계하여 야기될 수 있는 쟁점과 이와 관련된 주제들을 논의한다. |
17480 |
상담현장실습 |
Field Practicum in Counseling Psychology |
내담자를 대상으로 상담을 실시하고, 그 과정에 대한 지도감독을 받는다. 구체적인 실습방법으로는 정신병원, 정신보건시설, 또는 상담기관에서 일정시간을 실습하며, 면담자료, 상담축어록, VTR 녹화자료 등을 바탕으로 상담업무의 능력을 함양하기 위한 지도감독을 받는다. |
17882 |
소비자심리와브랜드관리 |
Consumer Psychology and Brand Management |
복잡한 시장 환경에서 경쟁 제품과 차별화를 꾀하는 기업의 브랜드 구축 과정에 소비자의 심리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이해한다. |
18760 |
소비자심리학세미나 |
Seminar on Consumer Psychology |
|
17883 |
소비자행동연구방법 |
Research Methods in Consumer Behavior |
소비자의 행동과 행동 이면의 심리를 파악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방법을 실습을 통하여 익힌다. |
18661 |
수행평가 |
Performance Appraisal |
|
17485 |
식스시그마 |
Six Sigma |
모든 품질수준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문제해결 과정과 전문가 양성 등의 효율적인 품질문화를 조성하며, 품질혁신과 고객만족을 달성하기 위해 전사적으로 실행하는 21세기형 기업경영 전략으로 이를 연구, 적용하는 방법을 연구한다. |
18505 |
신경심리평가 |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
신경심리평가에 필요한 이론과 실제를 익힌다. 주요 신경심리기능을 주의, 기억,언어, 시공간, 관리기능으로 나누어 접근한다. 신경시리평가 보고서를 쓰는 방법을 학습한다. |
11402 |
신경심리학 |
Neuropsychology |
인간 신경심리학의 주요 연구 결과들과, 언어, 공간력, 시지각, 수이적 운동, 기억, 정서, 전두엽-관리기능에 대한 뇌연구를 학습하고, 뇌손상 환자의 심리검사에 필요한 이론적 배경을 이해한다. |
11634 |
심리치료 |
Psychotherapy |
주요 심리치료이론 및 상담이론의 세부적인 개념을 보다 깊이 고찰하고, 이 이론들과 개념들이 실제적인 심리치료 및 상담과정에서 어떻게 적용되는가를 학습한다. 그리고 심리치료 분야의 최근 논쟁점을 논의한다. |
11631 |
심리평가 |
Psychological Assessment |
심리검사의 이론과 활용법을 학습한다. 특히 자기보고형 성격검사, 집단지능검사 및 개인지능검사, 적성검사 등은 실습을 병행한다. 심리검사의 진단적 활용법을 익힌다. |
11187 |
심리학특강 |
Advanced Lecture of Psychology |
심리학에서 전반적으로 공통되는 문제점과 최근 심리학의 연구 주제 및 자료분석 등에 대한 세미나 식의 강의를 하는 과목이다. |
17477 |
아동및청소년상담 |
Child and Adolescence Counseling |
|
18197 |
아동심리진단 I |
Psychological Test For Children - I |
이상행동에 대한 정확한 평가를 통해 치료를 시도할 수 있도록 발달, 지능, 성격 검사 등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평가방법으로 익힌다. |
18198 |
아동심리진단 II |
Psychological Test For Children - II |
이상행동에 대한 정확한 평가를 통해 치료를 시도할 수 있도록 발달, 지능, 성격 검사 등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평가방법으로 익힌다. |
11399 |
아동심리치료실습 |
practicum in child psychotherapy |
아동 발달, 아동정신병리 등 다양한 심리진단 기법 및 치료 기법 등의 지식을 실제 현장에서 적용하는 경험을 쌓는다. |
18660 |
응용사회심리학 |
Applied Social Psychology |
|
11551 |
의사결정론 |
Decision Support |
불확실성을 전제로 한 의사결정을 연구하며, 손실함수와 위험을 구하여 최적 의사결정을 위한 Bayes risk Analysis, Minimax Analysis, Invariance 등을 다룬다. |
17886 |
인간동기론 |
Human motivation |
인간의 동기에 관한 연구는 사람이 무엇인가에 집중하여 일하고, 끈기있게 지속하는 마음과 행동을 이해하고 예측하는데 중요하기 때문에, 심리학 분야에서 계속 주목을 받아왔다. 이 강좌에서는 사회 및 성격심리학 분야에서 주로 발전되어 온 사회적 동기이론들을 중심으로 하여, 임상심리, 상담심리, 조직심리, 건강심리 등에 응용될 수 있는 여러 이론들과 연구의 결과들을 다룬다. |
17482 |
인사심리학 |
Personnel Psychology |
생산성의 극대화, 종업원 만족이라는 산업현장의 궁극적인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보다 효율적인 선발전략과 선발전략에 필수적인 예언변인을 집중연구하며 선발 결과를 평가할 수 있는 준거에 대해서 연구한다. |
11619 |
인지행동치료 |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
다양한 심리적 장애를 다루는데 사용되는 적극적이고, 지시적이며, 시간제한적이고 구조화된 현재 지향적이며 특정한 목표증상을 표적으로 하는 심리치료방법으로써, 내담자로 하여금 인지-정서-행동간의 관련성을 찾고, 왜곡된 인지의 수정 및 현실 대처능력을 기르도록 도와주는 방법을 배우는데 주안점을 둔다. |
17489 |
임상사례지도연구 |
Case Supervision in Clinical Practice |
여러 가지 형태의 임상현장에서 경험할 수 있는 사례를 다양한 이론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토론한다. 수강생이 직접 하고 있는 사례에 대해서도 교육 및 감독적 차원에서 사례지도를 한다. |
18199 |
임상실습및슈퍼비젼 I |
Practice and Supervision I |
학생 개인별로 사례를 선정하여 실습을 하고 전문가의 지도 감독을 받는다. |
18200 |
임상실습및슈퍼비젼 II |
Practice and Supervision II |
학생 개인별로 사례를 선정하여 실습을 하고 전문가의 지도 감독을 받는다. |
16033 |
재난및위기상담연구 |
Studies in Disaster and Emergency Counseling |
재해 및 위기상황으로 인해 발생하는 정진적 고통을 감소시키고 조절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접근이 필요하고, 여기에는 포괄적이고 거시적인 접근과 함께 개인적, 미시적 접근이 병행되어야 하므로 이를 위한 다양한 중재방법들과 주요핵심요소들을 단기상담기법들을 중심으로 심층적으로 연구한다. |
14555 |
재활상담 |
Rehabilitation Counseling |
재활상담의 제기법과 프로그램, 장애인에 대한 평가 및 추후지도 등에 관한 이론과 실제를 배운다. |
11630 |
정신병리학 |
Psychopathology |
정상과 이상의 차이점을 역사적, 문화적 맥락 내에서 이해한다. 정신장애에 관한 진단체계, 신경증, 정신병, 제 장애인들의 증상, 제 장애인들에 관한 원인론 등을 학습한다. |
17481 |
정신재활 |
Psychiatric Rehabilitation |
정신사회재활 분야의 역사, 철학, 방법론, 성과 등을 개관한다. 만성정신질환자를 위한 환자교육, 가족교육, 사회기술훈련, 직업재활 등을 학습하며, 환자협회지원, 가족협회지원, 대중계몽, 변화제정, 정부정책결정에의 참여 등 환자와 가족의 권익확대 방안을 학습한다. |
16040 |
정신재활특강 |
Topics in Psychiatric Rehabilitation |
정신재활의 역사와 철학을 개관하고, 환자교육, 가족교육, 사회기술훈련, 직업재활, 정책제안, 권익옹호 등의 방법론을 학습한다. 정신재활 프로그램의 개발과정을 이해하고, 기존의 프로그램을 개선하거나 새로운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과정을 경험한다. |
12305 |
조직심리학 |
Organizational Psychology |
종래의 조직심리학적 접근방법의 문제점을 분석함으로써 조직 목표달성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조직구성원의 효능감을 제고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
16046 |
조직행동연구 |
Studies in Organizational Behavior |
조직행동의 다양한 이론들을 연구하고, 특히 노사관계와 산업상담에 적용 가능한 이론들을 심층적으로 연구한다. |
19405 |
중독심리및상담 |
Addiction Psychology and Counseling |
|
11625 |
지역사회심리학 |
Community Psychology |
지역사회심리학의 역사적 배경, 철학, 이론, 연구방법, 현장응용 등을 강의한다. 공동체 생활과 관련된 정신건강, 계층간의 불균형 인권, 소외집단 등의 이슈를 다룬다. 공동체 개발에 필요한 심리학적 기능의 촉진, 행정 및 관리, 평가 및 자문의 능력을 학습하게 된다. |
17483 |
직무분석 |
Job Analysis |
산업현장에서 가장 기본적이고도 필수적인 직무에 대한 이해와 직무를 분석하는 방법을 연구함으로써 인사선발, 인사관리 및 평가 그리고 산업훈련 등에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
16028 |
집단상담연구 |
Research in Group Counselling |
집단상담 개발 연습 및 성과 연구를 진행한다. |
17478 |
집단상담이론과실습 |
Research in Group Counselling and Practice |
|
17491 |
창업심리학 |
Psychology for Enterpreneurs |
산업, 상담, 임상, 발달 등의 심리학을 전공한 후의 창업기회를 리뷰하고 사업성검토기법, 창업과정 및 창업실무 등을 연구한다. |
17487 |
창의성세미나 |
Seminar for Creativity |
창의성과 의사결정에 사용되는 인지과정에 대한 연구방법과 이론들의 이해를 도모하고 이들 과정에 대한 최근의 경험적인 연구들을 보다 심도있는 분석한다. 또한 창의성 개발과 의사결정과정의 효율성을 증가시키는 방안을 연구한다. |
17880 |
최신광고사례분석 |
Analysis of Contemporary Advertisements |
최근의 광고사례들을 광고심리학 이론에 근거하여 분석하고 토론한다. |
18506 |
투사법검사 |
Projective Assessment |
이 강좌는 로샤검사, 주제 통각 검사, 투사 그림 검사, 문장 완성 검사 등의 투사법 검사를 다루며 투사법 검사와 관련된 이론, 실행방법, 해석, 모델 등에 대한 정보와 지식을 제시한다. 또는 이 강좌는 검사 자료를 사용하여 사례를 개념화 하며 치료 계획을 세우는 전 과정을 포함한다. |
17492 |
학습장애세미나 |
Seminar for Learning Disorder |
|
17479 |
학업및진로상담 |
Career Counseling |
|
11617 |
행동치료 |
Behavior Therapy |
고전적 조건화, 조작적 조건화, 모델링 등 학습이론을 바탕으로 하는 치료기법들을 다룬다. 이완훈련, 체계적 둔감법, 행동조형 등 제반 치료기법들의 원리와 방법론을 익히며, 행동관찰 요령, 목표행동의 선정, 개입절차, 치료효과의 측정 등을 다룬다. |
19870 |
임상신경과학및인지신경정신과학 |
Clinical neuroscience and cognitive neuropsychiatry |
뇌는 인간의 모든 사고와 행동을 책임지기에 뇌의 손상은 정신진활을 야기할 수 있다. 본 강좌의 목표는 뇌의 기능과 구조에 대한 근본적 이해를 통해 정신질환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는데 있다. 본 강좌에서는 다양한 정신질환에서 나타나는 생물학적, 인지적 기제의 특성을 이지신경과학적 관점에서 조망할 것이다. 또한, 사회인지의 신경학적 기제를 탐구하고자 한다. |
COPYRIGHT(C) 2016 BY DAEGU UNIVERSIT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