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7년 생활과학과 식품영양학전공으로 신설되어 1999년 2월에 첫 졸업생을 배출하였으며, 2001년에 식품영양학과로 독립·신설되었다. 2012년에 보건복지부의
임상영양사 교육기관 지정승인을 받아 2013년 3월부터 보건복지부 지정 임상영양사 교육과정을 개설하였다.
교육목표
식생활의 과학화를 이끌어 갈 기술과 능력을 갖춘 전문인력 양성
국민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창의적 연구인력 양성
급변하는 식품환경과 영양문제 해결에 기여할 연구인력 양성
교수명단
배현주 (Bae, Hyun-Joo)
이학박사
(Ph.D.)
급식경영학
(Foodservice Management)
급식관리학특론(1),(2)
Advanced Food Preparation and Management (1),(2)
급식경영학특론
Advanced Foodservice Management
품질관리와HACCP특론
Advanced Quality Management and HACCP
급식경영학연구법
Research Methods in Foodservice Management
식생활문화연구
Study on Diet and Culture
외식산업경영특론
Recent Advances in Foodservice Industry
이정희
이학박사
식품조리과학
기능성식품재료학,
Functional Food Materials Science
식품품질및평가
Evaluation of Food Nutrition Quality
조리과학특론(1),(2),
Advanced Science of Food Preparation(1),(2)
실험조리연구
전통음식연구
Research in Traditional Foods
이미령
(Lee, Mee-Ryung)
이학박사
(Ph.D.)
식품화학
(Food chemistry)
식품학연구법,
Research Methods in Food science
효소학,
Enzymology
식품독성학,
Food Toxicology
식품물성학,
Food Rheology
식품과학특론
Topics in food science
식품학세미나
Seminars in food science
식품발효학
Food fementations
부소영
( Bu, So Young)
이학박사
(Ph.D.)
인체영양학
(Human Physiology)
임상영양연구,
Research method in clinical nutrition
고급영양상담및교육,
Advanced nutritional counseling and education
임상영양치료(1),(2),
Clinical Nutrition Therapy1
임상영양학특론,
Topics in Clinical Nutrition
인체생리학특론
Topics in Human Physiology
김윤희(Kim Yoon Hee)
농학박사
(Doctor of Agriculture)
영양생화학
(nutritional biochemistry)
면역학,
Immunology
영양학연구법,
Research Method in Nutrition
에너지영양소대사,
Metabolism of Energy Nutrients
병태생리학,
Pathophysiology
고급영양이론
Advanced nutritional theory
교과구분명
과목코드
과목명
이론시간
실기시간
학점
비고
연구
10000
개별연구지도
2
0
2
0
연구
10000
개별연구지도
1
0
1
0
전공
18595
고급영양상담및교육
3
0
3
0
전공
18597
고급영양이론
3
0
3
박사보충
전공
17049
고급응용통계학
0
3
3
0
전공
19690
급식경영세미나
3
0
3
0
전공
19115
급식경영학연구법
3
0
3
0
전공
17063
급식경영학특론
3
0
3
0
전공
17905
급식관리학특론(1)
3
0
3
박사보충
전공
17910
급식관리학특론(2)
3
0
3
0
전공
17907
급식마케팅연구
0
3
3
0
전공
17062
기능성식품재료학
3
0
3
0
전공
17055
노화와영양
3
0
3
0
전공
11081
면역학
3
0
3
0
전공
18593
병태생리학
3
0
3
0
전공
17053
보건영양학
3
0
3
0
전공
17052
비타민과무기질영양특론
3
0
3
0
전공
19691
식생활문화연구
3
0
3
0
전공
19591
식용유지학
3
0
3
0
전공
10856
식품과학특론
0
3
3
0
전공
15957
식품독성학
3
0
3
0
전공
12340
식품물성학
3
0
3
0
전공
19592
식품발효학
0
3
3
0
전공
19590
식품분석학특론
0
3
3
0
전공
17060
식품영양정책론
3
0
3
0
전공
17061
식품품질및평가
3
0
3
0
전공
17059
식품학세미나
3
0
3
0
전공
15944
식품학연구법
3
0
3
0
전공
17050
에너지영양소대사
3
0
3
0
전공
15534
영양과성장발달
3
0
3
0
전공
17909
영양상담연구
3
0
3
0
전공
17054
영양평가및역학
3
0
3
0
전공
17058
영양학세미나
3
0
3
0
전공
15943
영양학연구법
3
0
3
0
전공
15965
외식산업경영특론
0
3
3
0
전공
10860
응용통계학
0
3
3
0
전공
17051
인체생리학특론
3
0
3
박사보충
전공
18907
임상영양실습1
0
4
2
0
전공
18908
임상영양실습2
0
4
2
0
전공
18909
임상영양실습3
0
4
2
0
전공
18910
임상영양실습4
0
4
2
0
전공
18594
임상영양연구
3
0
3
0
전공
18591
임상영양치료1
3
0
3
0
전공
18592
임상영양치료2
3
0
3
0
전공
17056
임상영양학특론
3
0
3
0
전공
15961
전통음식연구
3
0
3
0
전공
16350
조리과학특론(1)
3
0
3
박사보충
전공
10854
조리과학특론(2)
3
0
3
0
전공
19692
품질관리와HACCP특론
0
3
3
0
전공
15942
효소학
3
0
3
0
"박사보충" 표시된 과목
- 석사과정생이 수강할 경우,전공과목으로 인정되며,
- 박사과정생이 수강할 경우, 보충과목으로 인정됨
과목코드
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교과목 한글개요
10000
개별연구지도
Research Works
학위논문의 작성을 위하여 지도교수의 지도하에 각 개인별 연구주제에 관하여 연구한다.
10000
개별연구지도
Research Works
학위논문의 작성을 위하여 지도교수의 지도하에 각 개인별 연구주제에 관하여 연구한다.
18595
고급영양상담및교육
Advanced nutritional counseling and education
영양상담 및 교육을 통해 식행동을 개선해나갈 수 있는 교육상담이론과 실무에 대해서 연구사례를 중심으로 학습하고 영양상담 및 교육프로그램을 계획, 실행, 평가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18597
고급영양이론
Advanced nutritional theory
임상영양에 적용되는 영양소의 소화, 흡수, 체내 기능, 대사과정을 이해하고 영양소 대사 이상과 질환의 연관성을 파악하여 영양관리에 적용하는 능력을 기른다.
17049
고급응용통계학
Advanced Statistics of Application
식품영양전공 전 분야의 연구에 관한 연구계획, 연구방법, 통계자료 처리방법의 실질적 체계를 학습하고 고급 통계기법을 활용하여 학술논문을 작성하는 방법을 연구한다.
19690
급식경영세미나
Seminar in Foodservice Management
급식경영의 문제점과 최신 연구동향을 주제별로 선정한 후 연구, 발표하고 문제해결방안에 대해 토론한다.
19115
급식경영학연구법
Research Methods in Foodservice Management
급식경영학 분야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습득하기 위해 급식경영학 분야의 연구 방법, 연구계획서 및 연구논문 작성법에 대해서 학습한다.
17063
급식경영학특론
Advanced Foodservice Management
급식소 경영을 위한 경영이론의 적용 사례를 연구하고, 급식경영자로서의 의사결정능력과 문제해결능력을 배양한다.
17905
급식관리학특론(1)
Advanced Food Preparation and Management(1)
급식산업의 최근 동향을 살펴보고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급식소 운영방안에 관하여 연구한다.
17910
급식관리학특론(2)
Advanced Food Preparation and Management(2)
급식산업 발전방안 모색을 위한 최신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급식소 운영의 문제점에 대한 해결방안을 연구한다.
17907
급식마케팅연구
Advanced Foodservice Marketing
급식산업 마케팅 기법 및 연구에 대한 최신 동향을 살펴보고, 급식산업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마케팅 방법에 대해서 연구한다.
17062
기능성식품재료학
Functional Food Materials Science
기능성 식품의 소재로 사용되는 성분 구조, 작용기전, 생리활성기능을 이해하고, 승인된 건강기능식품소재의 생리활성기능별 효능과 효과에 대해 강의한다.
17055
노화와영양
Aging and Nutrition
노화에 따른 신체구성 및 기능의 변화를 다루고 노화의 기전을 이해한다. 영양이 노화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함으로써 성공적인 노화를 이루기 위한 영양의 기능과 적정성을 연구한다.
11081
면역학
Immunology
면역체계와 면역기전을 이해하여 식품영양연구에 응용할 수 있도록 한다.
18593
병태생리학
Pathophysiology
질환의 발생원인과 기전, 관련 증상 및 진단검사 등에 대한 개념을 이해함으로써 영양치료 대상자를 평가하고 중재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17053
보건영양학
Topics in Community Nutrition
지역사회의 건강과 영양상태를 진단하고, 지역에 맞는 영양정책 수립 방법과 문제해결을 위한 영양교육 방법의 개발을 위한 다양한 영양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도록 공부한다.
17052
비타민과무기질영양특론
Advanced Vitamin and Mineral Nutrition
비타민과 무기질의 생체내의 분포형태, 대사, 기능 및 이용률을 공부하고 특히 우리 식생활에서 과부족 되기 쉬운 비타민과 무기질을 중심으로 최근의 영양문제를 논한다.
19691
식생활문화연구
Study on Diet and Culture
식생활의 기원을 자연환경적, 지리적, 사회적 측면에서 살펴보고 세계 각 나라와 민족의 특수성 및 고유성을 식생활문화와 관련시켜 연구한다.
19591
식용유지학
Food Lipids
식용유지와 지방산의 종류, 유지의 화학물리적 성질 및 산패 과정을 이해하고 기능성유지의 생리활성과 식품유지분야의 최신 연구동향에 대해 학습한다.
10856
식품과학특론
Advanced Food Science
식품의 일반성분과 특수성분의 물리화학적인 성질에 대한 지식을 토대로 식품과학 전반에 걸친 개관을 이해하고 가공 . 저장 및 조리에 응용할 수 있도록 연구한다.
15957
식품독성학
Food Toxicology
식품 중에 함유된 독성물질의 구조, 물리화학적 성질 및 반응과 각종 직.간접 첨가물 등의 체내효과 및 체내 반응에 대하여 학습한다.
12340
식품물성학
Food Rheology
식품의 물리적인 성질로서 텍스처 특성, 리올로지적 특성에 관한 이론과 측정 방법 등에 관하여 강의하고 토론한다.
19592
식품발효학
Food Fermentations
식품발효학의 수업목표는 발효개념의 이해, 발효미생물에 대한 이해 그리고 와인이나 발효 유제품, 맥주 등 여러 가지 발효식품에 대하여 식품과학자로써의 안목을 가지는 것이다. 산업적인 발효 또한 이 과목에서 다루어 질것이며 최신 발효식품의 동향도 같이 수업에서 논의한다.
19590
식품분석학특론
Advanced Food Analysis
식품성분의 정성 및 정량분석을 이해하고, 기기의 분석원리와 분석방법의 학습을 통해 식품의 주요성분의 분석법을 연구하고 식품성분의 분석연구에 관해 발표된 논문을 중심으로 토론한다.
17060
식품영양정책론
Food and Nutrition Policy
국가 정책 사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여야 할 식품영양정책의 구조, 요인, 문제점을 다루며 영양모니터링 사업, 영양 인터벤션 사업, 인구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식품영양프로그램 평가방법을 배운다.
17061
식품품질및평가
Evaluation of Food Nutrition Quality
식품을 구성하는 품질 요소를 배우고, 식품품질평가를 위한 관능검사이론, 실험방법, 통계분석방법들을 습득한다. 주어진 과제에 따라 관능검사방법을 설계하고 실습을 통해 얻은 결과를 통계처리하여 결론을 도출할수 있도록 강의한다.
17059
식품학세미나
Seminar in Food
최신 식품에 관한 연구논문을 종합 정리하여 분석 . 검토함으로써 식품학 관련 연구동향에 대한 지식을 습득한다.
15944
식품학연구법
Research Method in Food
식품학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습득하기 위하여 식품에 관한 새로 발표된 논제와 연구동향들을 중심으로 새로운 연구법의 원리 및 방법에 대해 강의 및 토의한다.
17050
에너지영양소대사
Metabolism of Energy Nutrients
에너지영양소인 탄수화물, 지방 및 단백질에 관련된 최신 정보를 문헌을 통해 알아보고 한국인의 탄수화물, 지방 및 단백질 섭취 현황과 이와 관련된 영양문제를 다룬다.
15534
영양과성장발달
Nutrition, Growth and Development
태아기에서 영유아기, 아동기, 청소년기의 신체적 영양적 특성을 살펴보고, 각 생애주기별 영양문제를 파악하며, 신체의 올바른 성장발달을 위한 영양관리를 이해한다.
17909
영양상담연구
Nutritional Counseling
영양관리를 위한 영양조사의 종류와 특징을 알고 실제로 영양조사를 실시하여 평가하며 질병별로 사례를 조사하여 개별상담에 응용하고 상담기술 및 방법론에 대해 구체적으로 학습한다.
17054
영양평가및역학
Nutrition Evaluation and Epidemiology
임상영양, 지역사회 영양 및 영양교육 등의 연구에서 영양상태 평가와 관련된 방법론들을 강의한다. 데이터의 수집 및 분석을 포함하여 영양 감시, 코호트-연구, 영양판정 기술, 실험설계 등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강의한다.
17058
영양학세미나
Seminar in Nutrition
최신 영양학 및 임상영양학에 관한 연구논문을 종합 정리하여 분석 . 검토함으로써 영영양학 연구동향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을 습득한다.
15943
영양학연구법
Research Method in Nutrition
영양학을 공부하기 위한 연구의 설계, 실험방법, 실험결과의 해석 및 평가에 관련된 여러 가지 방법들을 이해한다.
15965
외식산업경영특론
Recent Advances in Foodservice Industry
외식산업 연구의 최신 동향과 외식경영관련 최근 연구에 대해 고찰하고 외식산업의 발전 방안에 대해 사례 연구를 중심으로 토론한다.
10860
응용통계학
Applied Statistics
식품영양전공 전 분야에 관한 실험계획, 실험방법, 자료 처리방법의 이론적 체계를 학습하고 SPSS/SAS 통계프로그램 운영을 실습한다.
17051
인체생리학특론
Topics in Human Physiology
인체를 구성하고 있는 기관계 구조와 기능에 대해서 학습하며, 신체내부의 항상성 유지를 포함하여 이들 각 기관이 통합된 개체로서 생명현상을 유지하는 원리에 대해 고찰하여 영양소의 대사 및 영양치료과정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18907
임상영양실습1
Field Study in Clinical Nutrition1
실제 종합병원 병동에서 임상영양사의 지도하에 신체계측 및 평가를 하고 3일치 식사일기를 분석, 평가한다. 그리고 24시간 회상법을 이용하여 식사섭취량을 조사한 후 그 내용을 분석, 평가한다.
18908
임상영양실습2
Field Study in Clinical Nutrition2
병원환자들을 대상으로 SGA를 활용하여 영양을 판정하며 영양검색, 치료식 설명, 환자식 식단을 작성한다.
18909
임상영양실습3
Field Study in Clinical Nutrition3
병원환자들의 각 질환에 따른 교육자료를 개발하고 임상영양치료를 NCP모형에 따라 실시하는 방법을 실습한다.
18910
임상영양실습4
Field Study in Clinical Nutrition4
임상영양사의 지도하에 임상영양치료를 NCP모형에 따라 실시하고 영양중재에 따른 치료식 식단을 작성하며, 집단영양교육 시험 강의를 한다.
18594
임상영양연구
Research method in clinical nutrition
본 교과목은 영양과 관련하여 임상영양연구를 구상하고 실현할 수 있도록 여러 연구방법론에 대하여 학습하며 연구결과물에 대한 자료를 분석하고 이해하는 능력을 배양하고 궁극적으로는 연구 수행능력을 고양하도록 한다. 학습한 내용을 직접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임상영양연구의 최신논문을 검토하면서 연구방법 및 연구결과 기술 등 표현방법 능력을 기른다.
18591
임상영양치료1
Clinical Nutrition Therapy1
임상영양사의 업무수행에 필요한 전문 소양을 알고, 임상영양치료 각 분야에 적용되는 영양관리과정(Nutrition Care Process, NCP)을 이해하여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게 한다. 또한 영양불량, 비만, 당뇨병, 심혈관계 질환, 간질환 및 연하장애의 임상영양치료와 관련된 전반적인 내용을 이해함으로써, 대상자에 따라 적절한 임상영양치료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18592
임상영양치료2
Clinical Nutrition Therapy2
신장질환, 암, 중환자, 임산부, 소아, 노인의 임상영양치료와 관련된 전반적인 내용을 이해하고, 경장영양 및 정맥영양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파악함으로써, 대상자에 따라 적절한 임상영양치료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17056
임상영양학특론
Topics in Clinical Nutrition
여러 질병상태에서 발생하는 생리적 반응 및 영양소 대사의 변화를 이해하고 임상영양치료를 위해 영양상태 판정에 사용되는 지표들의 측정 원리를 이해하여 NCP에 따라 활용하고 해석하는 방법을 학습하고 관련 연구주제를 도출할 수 있는 역량을 배양한다.
15961
전통음식연구
Research in Traditional Foods
우리나라 전통음식의 종류와 역사적 의미를 조사하고 현대 식생활과의 연계성을 모색한다.
16350
조리과학특론(1)
Advanced Science of Food Preparation(1)
식품을 구성하는 다양한 성분의 특성을 배우고, 조리과정 중에 일어나는 물리적/화학적/관능적/영양학적 변화에 대해 과학적 측면에서 체계적으로 규명한다.
10854
조리과학특론(2)
Advanced Science of Food Preparation(2)
식품의 조리에 의한 이화학적인 변화에 대한 지식을 기초로 하여 각종 전통음식에서 양질의 제품을 만들기 위한 조리과정을 연구한다.
19692
품질관리와HACCP특론
Advanced Quality Management and HACCP
급식/외식/식품산업 분야의 품질관리시스템 적용의 최신동향을 살펴보고, 품질개선을 위한 HACCP의 효과적인 도입 방안에 대해 연구한다.
15942
효소학
Enzymology
식품의 생화학적 반응에 관련된 효소의 원리와 생화학 반응의 기구를 중심으로 효소학을 생화학적으로 이해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