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학과는 1980년 1월 한사대학 자연과학부의 물리학과로 시작되었다. 그해 3월 40명의 신입생이 입학하였으며, 1981년 10월 대구대학교 이공대학 물리학과로 개편되었다. 1985년 3월 석사과정이 설치되었고 1998년 10월 자연과학대학 물리학과로 개편되었으며 1991년 3월 박사과정이 설치되었다. 물리학과 대학원 교육은 공과대학 신소재에너지시스템전공 그리고 사범대학 물리교육과 소속 전임교수 7명이 맡고 있다.
□ 교육목표 :
- 이론물리학과 실험물리학에서 연구 및 교육을 담당할 유능한 물리학자 양성
- 인접 기초과학 및 공학분야에서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연구 인력 양성
- 산업계에서 첨단기술을 개발할 수 있는 전문인력을 양성하여 국가의 산업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인재양성
□ 교수명단
교수명학위전공담당과목
권오진이학박사플라즈마물리이론고급플라즈마물리학
플라즈마물리학세미나
김헌정 이학박사 고체물리학 고급고체물리학Ⅰ
반도체물리학특론Ⅰ
정혜경이학박사 고체물리학 고급고체물리학Ⅰ 표면물리학Ⅰ
임성민 교육학박사 물리교육학 고급응용물리학
응용물리학세미나Ⅰ
현창호 이학박사 핵물리이론 고급핵물리학
핵물리학세미나
홍성욱 이학박사 고체물리학 자성체물리학
박막물리학
이희조 공학박사 전파공학 전자장이론
응용물리학세미나Ⅱ
□ 사무실
신소재에너지공학전공 학과사무실
전화번호 : 053-850-6470
팩스 : 053-850-6479
위치 : 공과대학 1호관 1514A
교과구분명
과목코드
과목명
이론시간
실기시간
학점
비고
연구
10000
개별연구지도
2
0
2
0
연구
10000
개별연구지도
1
0
1
0
전공
11574
고급고체물리학1
3
0
3
0
전공
11575
고급고체물리학2
3
0
3
0
전공
11594
고급물리실험
3
0
3
박사보충
전공
12904
고급반도체물리학
3
0
3
0
전공
18867
고급양자역학Ⅰ
3
0
3
0
전공
18868
고급양자역학Ⅱ
3
0
3
0
전공
12392
고급응용광학
3
0
3
0
전공
16964
고급응용물리학
3
0
3
박사보충
전공
18869
고급전자기학Ⅰ
3
0
3
0
전공
18870
고급전자기학Ⅱ
3
0
3
0
전공
19658
고급통계역학1
3
0
3
0
전공
19659
고급통계역학2
3
0
3
0
전공
16960
고급플라즈마물리학
3
0
3
0
전공
12391
고급핵물리학
3
0
3
0
전공
11601
고분자물성론
3
0
3
0
전공
12912
고체물리학1
3
0
3
0
전공
19660
고체물리학2
3
0
3
0
전공
12913
고체물리학세미나
3
0
3
0
전공
12946
광물성론
3
0
3
0
전공
12949
광학
3
0
3
0
전공
19664
광학 2
3
0
3
0
전공
16957
다체이론
3
0
3
박사보충
전공
11981
뫼스바우어분광학
3
0
3
0
전공
13184
물리음향학
3
0
3
0
전공
16963
박막물리학
3
0
3
0
전공
13218
방사선물리학
3
0
3
0
전공
11955
비정질계물리학
3
0
3
0
전공
11957
비평형통계역학
3
0
3
0
전공
16962
상대성이론
3
0
3
0
전공
16955
수리음향학
3
0
3
0
전공
12038
양자역학1
3
0
3
0
전공
12037
양자역학2
3
0
3
0
전공
12349
양자통계역학
3
0
3
0
전공
19661
에너지저장소자1
3
0
3
0
전공
19662
에너지저장소자2
3
0
3
0
전공
16089
역학1
3
0
3
0
전공
19655
역학2
3
0
3
0
전공
11881
유체역학
3
0
3
0
전공
13565
음파물성론
3
0
3
0
전공
11595
응용물리학세미나1
3
0
3
0
전공
11876
응용물리학세미나2
3
0
3
0
전공
13612
자성체물리학
3
0
3
0
전공
11788
전기화학
3
0
3
0
전공
12040
전자기학1
3
0
3
0
전공
12039
전자기학2
3
0
3
0
전공
13639
전자장이론
3
0
3
박사보충
전공
19656
통계역학1
3
0
3
0
전공
19657
통계역학2
3
0
3
0
전공
12594
표면물리학
3
0
3
0
전공
16961
플라즈마물리학세미나
3
0
3
0
전공
16958
핵구조론
3
0
3
0
전공
16959
핵물리학세미나
3
0
3
0
전공
13912
핵분광학
3
0
3
0
과목코드
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교과목 한글개요
10000
개별연구지도
Research Works
학위논문의 작성을 위하여 지도교수의 지도하에 각 개인별 연구주제에 관하여 연구한다.
10000
개별연구지도
Research Works
학위논문의 작성을 위하여 지도교수의 지도하에 각 개인별 연구주제에 관하여 연구한다.
11574
고급고체물리학1
Advanced Solid Sate Physics I
결정구조, 격자운동학, magnetic ordering 이론, 대칭성, 에너지 띠 이론 등에 대하여 공부하고, 최근 연구 결과를 함께 소개하여 실제 연구에 도움이 되도록 한다.
11575
고급고체물리학2
Advanced Solid State Physics II
불순물과 합금, 전자기장하에서의 고채의 성질, 전자와 포논, 전자-전자 상호작용, 다체이론 등에 대하여 공부하고, 최근 연구 결과를 함께 소개하여 실제 연구에 도움이 되도록 한다.
11594
고급물리실험
Advanced Physical Lab
대학원 석사논문 실험에 도움이 되는 광학, 초음파, X-선, 박막 등에 대한 고급 실험을 행하고, 특히 컴퓨터가 각종 실험기기에 연결되어 실험이 많이 행하여지므로 GPIB에 대해서도 실험을 행한다.
12904
고급반도체물리학
Advanced Semiconductor Physics
반도체의 결정구조, 에너지밴드, 반도체의 통계역학, 격자진동, 전하와 에너지 전달, 전기전도, Hall effect 등을 공부한다.
18867
고급양자역학Ⅰ
Advanced Quantum MechanicsⅠ
고급양자역학Ⅰ은 현대물리학의 기본을 이루는 학문으로 고전물리학과 구별하게 하는 중요한 학문이며, 앞으로 물리학의 전공과정을 이해하는데 필수적인 학문이다. 이 과목에서는 학부에서 배운 양자역할을 기초로 더욱 심화된 분야를 다룬다.
18868
고급양자역학Ⅱ
Advanced Quantum MechanicsⅡ
고급양자역학Ⅱ는 현대 물리학을 고전물리학과 구별하게 하는 가장 중요한 학문이며 앞으로 배우게 될 고급물리학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과목이다.
이 과목에서는 Dirac의 추상적인 양자역학 표현방법, 조화진동자, 각운동량, 수소원자 등의 양자역학적 취급에 대하여 배운다.
12392
고급응용광학
Advanced Applied Optics
Laser oscillation, Q switching, mode locking, nonlinear optics, optical resonator 등에 대하여 공부한다.
16964
고급응용물리학
Advanced Applied Physics
자기, 음향, 광 및 반도체 등의 광범위한 응용물리학 연구 분야를 소개하고 수강생의 전공분야에 대한 최신 연구동향에 대하여 논의한다.
18869
고급전자기학Ⅰ
Advanced ElectromagnetismⅠ
고급전자기학Ⅰ은 역학, 양자역학과 더불어 물리학에서 가장 중요한 과목이다. 고전 전자기학의 기초가 되는 실험적 사실들과 물리적 의미를 다루고,Vector calculus의 지식을 이용하여 다양한 물리현상을 이론적으로 간결하게 기술하는 과정을 강의한다.
18870
고급전자기학Ⅱ
Advanced ElectromagnetismⅡ
고급전자기학Ⅱ는 역학, 양자역학과 더불어 물리학에서 가장 중요한 과목이다. 고전 전자기학의 기초가 되는 실험적 사실들과 물리적 의미를 다루고,Vector calculus의 지식을 이용하여 다양한 물리현상을 이론적으로 간결하게 기술하는 과정을 강의한다.
19658
고급통계역학1
Advanced Statistical Mechanics1
고급통계역학은 역학, 전자기학, 양자물리학 등과 더불어 물리학의 4대 중추과목 중 하나로서 열역학, 분자운동론등과 함께多體系의 현象을 다루는 분야이다. 결정론적인 방법을 떠나 확률론적인 접근을 시도한다.
19659
고급통계역학2
Advanced Statistical Mechanics2
본 과목에서는 양자 통계역학적 해석, 페르미 디락 분포와 보스 아인슈타인 분포를 다루고 복잡계와 상전이에 대해서도 다룬다.본 과목에서는 양자 통계역학적 해석, 페르미 디락 분포와 보스 아인슈타인 분포를 다루고 복잡계와 상전이에 대해서도 다룬다.
16960
고급플라즈마물리학
Advanced Plasma Physics
플라즈마의 근본적인 성질과 그를 결정하는 변수를 익힌다. 전자기장내에서의 한 개의 전하의 운동과 유체 플라즈마의 운동을 배우고 플라즈마 내에서의 전자기파의 전파에 대하여 공부한다.
12391
고급핵물리학
Advanced Nuclear Physic
입자가속기와 방사선검출기 등의 핵물리학 연구에 필요한 실험장치의 원리를 이해하고, 방사선붕괴의 양자역학적 이론을 토대로 핵 구조와 양자상태 등 핵의 기본적 성질을 이해하게 한다.
11601
고분자물성론
Polymer Physics
고분자의 구조, 고분자의 결정화와 glass화, 고분자 결정의 물성, glass상 고분자의 물성, 결정성고분자의 물성, 고무상 고분자의 물성, 고분자 고체의 자기공명 등에 대하여 다룬다.
12912
고체물리학1
Solid State Physics I
고체물리학의 주요 특성인 결정구조, 기계적인 성질, 전기적인 성질, 열적인 성질, 자기적 성질 등에 대하여 배우고 도체, 반도체, 초전도체, 유전체의 특징을 알고 이해한다
19660
고체물리학2
Solid State Physics2
응집 물질계를 다루는 물리학 실험 기법과 이론에 대하여 배운다.
12913
고체물리학세미나
Seminar in Solid State Physics
현재 국내외에 진행되고 있는 고체 물리학 분야와 관련된 각종 연구의 동향과 성과, 그리고 앞으로의 발전 방향등에 초점을 맞추어, 고체물리학의 개념의 이해를 넓히고 수학적인 취급 능력을 배양한다.
12946
광물성론
Optical Properties of Matter
전자기파로서의 빛과 물질과의 상호작용으로 인한 빛의 제반특성에 중점을 두어, 빛의 반사, 굴절, 흡수 및 물질 내의 빛의 전파 등을 고전적인 틀 안에서 공부한다.
12949
광학
Optics
광학 교과목 내용은 기하광학, 파동광학(또는 물리광학), 양자광학 등 3 분야로 대별된다. 양자광학은 빛을 불연속적인 에너지를 지닌 알갱이로 간주하여 논의를 하므로 광자광학이라 할 수 있으며 양자역학적 기반을 바탕으로 주로 레이저(laser)를 다룬다. 가간섭성(결맞은) 광원으로서 레이저의 발생과 기본원리와 개념, 레이저광의 특성과 종류, 레이저를 이용한 다양한 현대적 응용 등을 취급하게 된다.
19664
광학 2
Optics 2
쌍극자 전자, 고전적 진동자, maser 이론, multi-mode operation, quantum theory of radiation, reservoir theory, Langevin theory of laser fluctuation들을 공부한다.
뫼스바우어 효과, 전기적 초미세 상호작용, 감마선 이론, 자기 2중극자 및 전기 4중극자 상호작용, 뫼스바우어 분광계, 스펙트럼의 전산처리 등을 공부한다.
13184
물리음향학
Physical Acoustics
진동현상의 이론적 취급방법, 현과 막의 이동, 음파의 이론적 취급법 및 그 성질, 여러 가지 경계조건에서의 음장의 기본적인 성질 등에 대해 공부한다.
16963
박막물리학
Thin Film Physics
각종 전자 제품에 대한 소형 경량화 추세에 따른 박막의 응용성에 중점을 두어, 진공증착 및 스퍼터링 등 박막제조방법 및 제작조건에 따른 박막의 선장과정 등을 공부한다.
13218
방사선물리학
Radiation Physics
방사선의 종류와 본질, 방사선과 물질과의 상호작용에 대한 고찰을 토대로 방사선검출기의 원리와 사용법을 강의하고, 계측통계, 방사선분광학 등 방사선취급에 필요한 기본지식을 이해한다.
11955
비정질계물리학
Physics of Amorphous and Disordered System
액상 금속과 비정질 금속에서의 전자구조, 수송현상, mean free path와 localization, polaron, 비정질반도체와 기타 비정질 재료 등에 대하여 공부한다.
11957
비평형통계역학
Non-Equilibrium Statistical Mechanics
Langevin equation, Fokker-Planck equation, Boltzman equation을 배우고 수송이론, 수력학, 요동과 상관관계에 대한 역학, 이상계와 상호 작용계에 대한 역학과 subdynamics 등을 공부한다.
16962
상대성이론
Theory of Relativity
특수 상대성 이론의 Lorentz 변환, 상대론적인 운동학과 동력학, 운동량과 에너지의 보존, 외력하의 입자의 운동 등을 다룬다. 또한 일반상대론의 기초와 간단한 응용을 공부한다.
16955
수리음향학
Mathematical Acoustics
특수함수를 사용하여 음파의 진동이론을 다룬다. 주로 진동이론, 현의 진동과 Fourier급수, 막의 진동과 Bessel 함수, 막대의 진동, 평면과 음파, 음파의 일반이론, 공명기 등을 공부한다.
12038
양자역학1
Quantum Mechanics I
미시적인 계의 성질을 설명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양자역학은 이제 물리학적인 계의 성질을 공부하는 데 있어서 필요불가결한 도구로 자리잡게 되었다. 그동안 고전역학적인 방법으로 설명할 수 없었던 많은 현상들이 양자역학적인 틀 안에서 설명되어진다.
12037
양자역학2
Quantum Mechanics II
양자역학은 현대물리학을 고전물리학과 구별하게 하는 가장 중요한 학문이며 앞으로 배우게 될 고급물리학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과목이다. 이 과목에서는Dirac의 추상적인 양자역학 표현방법, 조화진동자, 각운동량, 수소원자 등의 양자역학적 취급에 대하여 배운다.
12349
양자통계역학
Quantum Statistical Physics
열역학, 운동론, Hamilton 역학에 대한 개념을 복습하고, 통계적 앙상블, 양자통계밀도 행렬과 분배함수, 이상 Fermi계와 이상 Bose계에 대하여 배운다.
19661
에너지저장소자1
Energy Storage Device1
에너지 저장 소자인 수퍼커패시터와 바테리의 구성 요소들을 이해하고 특징 및 원리에 대하여 배운다. 수퍼패시터와 바테리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이해한다. 또한 임피던스 분광법을 통하여 주파수에 따른 임피던스를 측정하고, 이론적인 모델을 바탕으로 여러 가지 임피던스 값과 커패시턴스 값을 유추해 낼 수 있다.
19662
에너지저장소자2
Energy Storage Device 2
전극, 전해질, 분리막에 대하여 알아보고 이들을 이용하여 에너지저장 소자를 제작한다. Cyclic voltammetry, Galvanostatic charge/discharge 방법을 이용하여 전하량과 전기용량값을 구한다. 이를 바탕으로 Ragone Plot을 그릴 줄 알며, 에너지밀도와 파워밀도를 높이는 방법에 대하여 토론한다.
16089
역학1
Mechanics1
역학은 물리학 중에서 가장 기본이 되며 또 오래전에 확립된 분야이다. 이 과목에서는 먼저벡터를 이용한 연산과 벡터의 미분을 통하여 속도와 가속도의 개념을 여러좌표계에 대하여 배운 후 Newton 방정식의 해를 미분방정식을 이용하여 구하는 방법을 배우며, 특히 조화진동자의 해에 관하여 논의한다. 3차원운동의 경우에는 해석적으로 Newton방정식의 해가 존재하는 경우에 대하여 강의한다.
19655
역학2
Mechanics2
역학은 물리학 중에서 가장 기본이 되며 또 오래전에 확립된 분야이다. 이 과목에서는 역학(1)에서 배운 vector 개념을 활용하여 3차원에서의 입자의 운동, 비관성 기준계와 중심력 특히 중력에 대해서 다룬다.
11881
유체역학
Fluid Mechanics
이상적인 유체와 점성 유체의 특성과 운동방정식을 익힌다. 난류의 발생과정과 이를 기술하는 이론을 배우고, 유체에서의 열전도와 확산현상을 공부한다.
13565
음파물성론
Molecular Acoustics
음파물성은 초음파를 사용하여 여러 가지 물질의 음파에 대한 성질을 연구하는 것으로 본 강의는 주로 액체에 대한 초음파의 음속과 흡수를 측정하는 pulse법, 광산란법 등을 다룬다.
11595
응용물리학세미나1
Seminar in Applied Physics I
물리학을 기반으로 화학, 생명과학, 나노기술, 에너지 등 급변하는 최근 과학기술과 관련된 주제들을 선정하여 관련 동영상 및 자료를 통해 물리학을 심도있게 이해하고자 한다.
11876
응용물리학세미나2
Seminar in Applied Physics II
물리학을 기반으로 화학, 생명과학, 나노기술, 에너지 등 급변하는 최근 과학기술과 관련된 주제들을 선정하여 관련 동영상 및 자료를 통해 물리학을 심도있게 이해하고자 한다.
13612
자성체물리학
Physics of Magnetism
전자기학 및 초보적인 양자역학의 틀 안에서 자성체가 가지고 있는 여러 가지 물리적 특성에 관하여 공부한다. 자기의 기본개념, 물질자기의 원인을 규명하는 내부자화의 문제를 중점적으로 다룬다.
11788
전기화학
Electrochemistry
물리화학분야의 한 분야로써 전극과 전해질 사이에서 일어나는 물리적, 화학적, 전기화학적 특성을 공부한다.
12040
전자기학1
Electromagnetism I
고전 전자기학의 기초가 되는 실험적 사실들과 물리적 의미를 다루고, Vector calculus의 지식을 이용하여 다양한 물리현상을 이론적으로 간결하게 기술하는 과정을 강의한다. 전자기학Ⅰ에서는 점전하와 전하분포에 의한 전기장과 정전기학, 정전기적 에너지, Laplace방정식에 대하여 배운다.
12039
전자기학2
Electromagnetism II
고전 전자기학의 기초가 되는 실험적 사실들과 물리적 의미를 다루고, Vector calculus의 지식을 이용하여 다양한 물리현상을 이론적으로 간결하게 기술하는 과정을 강의한다. 전자기학Ⅱ에서는 전류현상의 이해, 전류에 의한 자기장, 물질의 자기적 성질, 전자기 유도, 자기에너지, Maxwell방정식 등에 대하여 배운다.
13639
전자장이론
Theory of Electromagnetic Fields
상대적인 배경, 상대론적인 역학 개념, 전자장내에서의 전하의 운동, gauge invariance, Lorentz Transformation 등의 기본적인 개념들과 전자장 방정식에 대하여 공부한다.
19656
통계역학1
Statistical Mechanics1
본 과목은 물질세계를 탐구하는 데에 결정론적인 해석 대신에 확률론적인 분석으로 접근한다. 평형 통계역학에서는 분배함수의 개념을 도입하여 수많은 물리량들을 산출해낸다. 양자통계에서 다루는 내용들은 고체물리학의 근본이 된다.
19657
통계역학2
Statistical Mechanics2
앙상블로부터 미시적인 엔트로피를 정의하고 이를 사용하여 거시적인 물리량들을 정의한다. 멕스웰 볼츠만 분포를 다룬다.
12594
표면물리학
Surface Physics
activated chemisortion, physisorption, 반도체 표면에서의 infrared spectroscopy, surface phonon, surface kinetics 등에 대하여 공부한다.
16961
플라즈마물리학세미나
Seminar in Plasma Physics
현재 국내외에서 진행되고 있는 플라즈마 물리학과 관련된 각종 연구의 동향과 성과, 그리고 앞으로의 발전방향 등에 대하여 논의한다.
16958
핵구조론
Theory of Nuclear Physics
핵의 구성, 시공불변에 관련된 핵의 대칭성과 보존법칙을 토대로 핵력에 대한 불변조건을 이해하고, 단일입자 구조에 의한 핵구조를 강의한다.
16959
핵물리학세미나
Seminar in Nuclear Physics
중이온 물리학, 경수형, 중수형원자로 및 고속증식로, synchrotron orbital radiation 등 핵물리학 분야의 첨단 연구과제에 대해 그 원리와 물리적 특성 및 응용성을 이해한다.
13912
핵분광학
Nuclear Spectroscopy
α, β, γ선의 분광분석 측정법과 분광분석용 측정 장비의 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토대로 핵반응연구, 시료의 불순물 측정, 방사성핵종분석 등의 원리와 응용성을 배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