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대학교 일반대학원
INFORMATION
연혁
1997년에 주거환경전공으로 개설되었으며, 2001년 주거환경전공에서 주거환경학과로 분리되었고, 2007년 9월에 실내건축학과로 명칭 변경하였다.
교육목표
실무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실내계획에서 시공에 이르는 전 과정을 이수하여 사회에서 실내건축가나 공간디자이너로 활동할 수 있도록 이론과 실제를 함께하는 전문인의 양성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인간과 공간환경, 실내건축 분야의 과학적 연구 접근을 수행하는 전문가 양성
실내건축 분야의 다학제적 전문 지식을 섭력한 고급기술인력 양성
연구와 디자인분야의 창의적 . 자율적 능력 신장을 통한 사회의 지도자적 자질 개발
교수명단
교수명
학위
전공
담당과목
정준현
공학박사
주거환경계획 및 실내환경디자인
주거환경연구
실내건축환경심리
김수정
실내디자인설계
주거설계특론
실내환경색채연구
정경숙
이학박사
실내환경디자인
가구디자인연구
실내코디네이션
정석연
실내건축디자인
실내디자인특론
실내건축구조특론
김수홍
미술학석사
공간디자인
실내건축디자인스튜디오 실내환경연구
교과구분명
과목코드
과목명
이론시간
실기시간
학점
비고
연구
10000
개별연구지도
1
0
10873
3
19043
19044
실내건축디자인스튜디오1
19045
실내건축디자인스튜디오2
19475
실내건축마케팅전략
19473
실내건축사특론
19474
10862
10866
10870
19042
실내환경연구
15548
실내환경평가연구
10824
연구방법론
10861
주거계획특론
10871
주거단지계획및설계
10869
10864
10867
한국전통주택연구
15546
환경설계평가연구
교과목 영문명
교과목 한글개요
Research Works
학위논문의 작성을 위하여 지도교수의 지도하에 각 개인별 연구주제에 관하여 연구한다.
Furniture Design Study
가구의 형태, 재료, 구조, 장식 등의 분석기준에 따라 그 특성을 파악하고 시대별, 지역별 가구의 특성을 연구한다.
Interior Architectural Structure
안전하고 쾌적한 생활을 유지할 수 있는 실내건축물을 계획하고 설계하는데 필요한 구조의 기본지식을 익힌다.
Interior Architecture Design Ⅰ
실제의 실내건축 프로젝트를 통해 복합적인 공간 기획과 디자인 프로세스를 익힘으로써 시대에 융통성있게 대처할 수 있는 창의적 디자인 능력을 기른다.
Interior Architecture Design Ⅱ
본 교과목은 실내건축 디자인 스튜디오(1)에 이어서 진행된다. 실제의 실내건축 프로젝트를 통해 복합적인 공간 기획과 디자인 프로세스를 익힘으로써 시대에 융통성있게 대처할 수 있는 창의적 디자인 능력을 기른다.
Interior Architecture Marketing
현대 공간디자인의 시장 변화를 파악하고 다양한 소비자의 욕구에 대한 대응책으로 효과적인 디자인 마케팅의 필요성을 이해하고 습득하는데 목적이 있다.
History of Interior Architecture
한국 전통주택의 구조, 양식, 공간적 특성 등을 연구하여 전통주택의 창의적 계승방법에 대해 토의한다.
Interior Architecture Environmental Psychology
실내건축환경과 인간의 심리, 행동적 측면과의 관련성을 주택과 관련하여 강의 토의한다.
Advanced Theory of Interior Design
실내 디자인을 종합적으로 검토케 하는 제반이론, 지식을 총체적으로 다룬다.
Coordination for Interior Design
실내환경의 상징적 요소가 되는 색채. 재료, 질감, 액세서리 등을 활용해서 각 실내의 분위기를 창출할 수 있는 선택방법을 연구한다.
Color Study on Interior Environment
실내환경의 특성에 따른 색채계획 및 색채조절의 이론적 배경과 함께 실습과제를 통해 색채효과를 연구한다.
Studies of Interior Environment
농산물,축산물, 수산물 및 가공식품, 식품첨가물, 건강기능식품의 제조·가공·보존·유통·수입시 CODEX(국제식품규격위원회) 및 제외국의 기준 및 규격과 실제 식약처 등 정부기관과 식품회사 등의 현장 실무에 대한 사례를 연구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함.
Study on Evalualtion of Indoor
실내공간의 건축적 요인과 인체적 요인 및 생활적 측면에 따른 실내공기환경의 질을 측정하고 분석한다.
Research Methods
연구방법론의 기초이론에 따라 학생 개개인의 졸업논문 작성에 팔요한 여러 방법을 다룬다. 주요 내용은 연구 계획서의 작성법, 연구기획 및 설계방법, 표본설계 및 자료수집 방법, 그리고 각 전공분야별 연구분야 소개와 많이 쓰이는 분석방법이다.
Housing Planning and Design
각종 주택의 설계계획방법에 관한 이론을 습득하며 설계개념을 연구한다.
Planning and Design studio for Community Space
건물과 주변의 구조물을 배치하는 단기계획의 원리 및 기술을 소개하고 실제 설계과제를 연습한다.
Advanced Theory of Housing Design
설계 프로젝트를 통해 창의적인 사로 능력을 배양하며 설계 능력 및 표현기법을 습득한다.
Studies of Housing Environmental Analysis
주거환경의 물리적 측면에서 안전성, 편리성, 보건성, 쾌적성의 기능을 분석하고 사례를 연구한다.
Study on Korean Traditional Housing
한국전통주택의 특성을 현지답사와 실측을 통하여 사례를 연구한다.
Evaluation of Environmental Planning
실내환경을 창조하는 건축적 설계과정 및 방법을 다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