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PYRIGHT(C) 2016 BY DAEGU UNIVERSITY ALL RIGHT RESERVED.
INFORMATION
가. 연혁 : 2003. 3. 1 개설
나. 교육목표
⦁ 교육현장의 문제점을 창의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유능한 사회교육 전문가 양성
⦁ 사회교육과의 교육행정가로서의 능력 함양
⦁ 사회교육관련 교과교육학을 연구함으로써 중등사회교육의 내실화
다. 교수명단
교수명 |
학위 |
전공 |
담당과목 |
---|---|---|---|
나인호 |
철학박사 |
서양근현대사 |
서양근세사특강 서양사학사연구 |
윤재운 |
문학박사 |
한국고대사 |
한국사학사 한국고대사특강 |
장희흥 |
문학박사 |
한국근세사 |
한국사특강 한국사회경제사 |
신규환 |
문학박사 |
중국근현대사 |
동양사학사연구 중국사특강 |
강운선 |
교육학박사 |
사회과교육 및 사회학 |
일반사회교육론 사회과교육 |
안현효 |
경제학박사 |
거시경제학 |
경제학관련 제반과목 |
이재정 |
철학박사 |
정치이론 |
정치학관련 제반과목 |
최병두 |
문학박사 |
경제 정치지리학 |
사회지리학 정치지리학 |
손명원 |
문학박사 |
자연지리학(지형학) |
지형학 생태지리학 인문지리학 |
임석회 |
문학박사 |
도시지리학 |
도시지리학 지역개발론 |
오정준 |
교육학박사 |
지리교육학 관광지리학 |
지리교육론 지리교재연구및지도법 지리교육세미나 지리교재연구및평가론 |
이영아 |
철학박사 |
인문지리학 |
사회지리학세미나 |
김수용 |
법학박사 |
법교육 헌법 법사회학 |
법교육 헌법 법사회학 |
★ 교과과정 및 교과목해설은 교육과정 변경에 따라 변동이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교과구분명 |
과목코드 |
과목명 |
이론시간 |
실기시간 |
학점 |
비고 |
---|---|---|---|---|---|---|
보충 |
12873 |
경제발전론 |
3 |
0 |
3 |
박사보충 |
보충 |
15500 |
경제지리학연구 |
3 |
0 |
3 |
박사보충 |
보충 |
12293 |
공법일반이론 |
3 |
0 |
3 |
박사보충 |
보충 |
15501 |
도시지리학연구 |
3 |
0 |
3 |
박사보충 |
보충 |
15646 |
동양환경윤리론 |
3 |
0 |
3 |
박사보충 |
보충 |
15510 |
문화지리학연구 |
3 |
0 |
3 |
박사보충 |
보충 |
15502 |
사회지리학연구 |
3 |
0 |
3 |
박사보충 |
보충 |
16712 |
사회학이론 |
3 |
0 |
3 |
박사보충 |
보충 |
16282 |
생태지리학 |
3 |
0 |
3 |
박사보충 |
보충 |
16633 |
인간삶의역사적이해 |
3 |
0 |
3 |
박사보충 |
보충 |
16710 |
일반사회과교육교재연구 |
3 |
0 |
3 |
박사보충 |
보충 |
16276 |
자연지리학세미나 |
3 |
0 |
3 |
박사보충 |
보충 |
15677 |
한국사교육연습 |
3 |
0 |
3 |
박사보충 |
보충 |
10186 |
한국정치제도사 |
3 |
0 |
3 |
박사보충 |
보충 |
15511 |
한국지리연구 |
3 |
0 |
3 |
박사보충 |
보충 |
16711 |
현대정치이론 |
3 |
0 |
3 |
박사보충 |
연구 |
10000 |
개별연구지도 |
2 |
0 |
2 |
0 |
전공 |
16604 |
가치교육연구 |
3 |
0 |
3 |
0 |
전공 |
16619 |
가치교육특강 |
3 |
0 |
3 |
0 |
전공 |
17570 |
건조지형연구 |
3 |
0 |
3 |
0 |
전공 |
16597 |
경제교육연구 |
3 |
0 |
3 |
0 |
전공 |
16621 |
경제교육특강 |
3 |
0 |
3 |
0 |
전공 |
16611 |
경제지리학세미나 |
3 |
0 |
3 |
0 |
전공 |
16623 |
경제지리학특강 |
3 |
0 |
3 |
0 |
전공 |
16599 |
경제학습연구 |
3 |
0 |
3 |
0 |
전공 |
16598 |
경제학특강 |
3 |
0 |
3 |
0 |
전공 |
18394 |
관광지리학세미나 |
3 |
0 |
3 |
0 |
전공 |
18395 |
관광환경세미나 |
3 |
0 |
3 |
0 |
전공 |
16595 |
국제정치연구 |
3 |
0 |
3 |
0 |
전공 |
16626 |
기후학특강 |
3 |
0 |
3 |
0 |
전공 |
16627 |
대학원논문연구 |
3 |
0 |
3 |
0 |
전공 |
16614 |
도시지리학세미나 |
3 |
0 |
3 |
0 |
전공 |
16624 |
도시지리학특강 |
3 |
0 |
3 |
0 |
전공 |
16583 |
동남아각국사특강 |
3 |
0 |
3 |
0 |
전공 |
16713 |
동양사상사연구 |
3 |
0 |
3 |
0 |
전공 |
10189 |
동양사학사연구 |
3 |
0 |
3 |
0 |
전공 |
16610 |
멀티미디어지리교육세미나 |
3 |
0 |
3 |
0 |
전공 |
16578 |
목민심서강독 |
3 |
0 |
3 |
0 |
전공 |
16592 |
문화인류학특강 |
3 |
0 |
3 |
0 |
전공 |
16615 |
문화지리학세미나 |
3 |
0 |
3 |
0 |
전공 |
16625 |
문화지리학특강 |
3 |
0 |
3 |
0 |
전공 |
16602 |
법학특강 |
3 |
0 |
3 |
0 |
전공 |
16572 |
사회과학방법론연구 |
3 |
0 |
3 |
0 |
전공 |
13291 |
사회과학연구방법론 |
3 |
0 |
3 |
0 |
전공 |
16601 |
사회문제특강 |
3 |
0 |
3 |
0 |
전공 |
16593 |
사회문화교육연구 |
3 |
0 |
3 |
0 |
전공 |
16622 |
사회문화교육특강 |
3 |
0 |
3 |
0 |
전공 |
16600 |
사회변동과교육 |
3 |
0 |
3 |
0 |
전공 |
16612 |
사회지리학세미나 |
3 |
0 |
3 |
0 |
전공 |
16575 |
삼국사기강독 |
3 |
0 |
3 |
0 |
전공 |
16617 |
생태지리학세미나 |
3 |
0 |
3 |
0 |
전공 |
16587 |
서양고대사특강 |
3 |
0 |
3 |
0 |
전공 |
16584 |
서양교육연습 |
3 |
0 |
3 |
0 |
전공 |
16586 |
서양근세사특강 |
3 |
0 |
3 |
0 |
전공 |
16591 |
서양사학사연구 |
3 |
0 |
3 |
0 |
전공 |
16588 |
서양중세사특강 |
3 |
0 |
3 |
0 |
전공 |
16570 |
역사교육교재론 |
3 |
0 |
3 |
0 |
전공 |
16569 |
역사교육연구방법론 |
3 |
0 |
3 |
0 |
전공 |
16714 |
역사지리교육론 |
3 |
0 |
3 |
0 |
전공 |
17569 |
열대지형연구 |
3 |
0 |
3 |
0 |
전공 |
16574 |
인문지리교육연구 |
3 |
0 |
3 |
0 |
전공 |
16618 |
일반사회교육교재연구 |
3 |
0 |
3 |
0 |
전공 |
16571 |
일반사회교육연구 |
3 |
0 |
3 |
0 |
전공 |
16582 |
일본사특강 |
3 |
0 |
3 |
0 |
전공 |
16573 |
자연지리교육연구 |
3 |
0 |
3 |
0 |
전공 |
16594 |
정치교육연구 |
3 |
0 |
3 |
0 |
전공 |
16620 |
정치교육특강 |
3 |
0 |
3 |
0 |
전공 |
16613 |
정치지리학세미나 |
3 |
0 |
3 |
0 |
전공 |
16596 |
정치학특강 |
3 |
0 |
3 |
0 |
전공 |
17572 |
주빙하지형연구 |
3 |
0 |
3 |
0 |
전공 |
16585 |
중국사사료강독 |
3 |
0 |
3 |
0 |
전공 |
16581 |
중국사특강 |
3 |
0 |
3 |
0 |
전공 |
16609 |
지리교수방법연구 |
3 |
0 |
3 |
0 |
전공 |
16608 |
지리교육과정연구 |
3 |
0 |
3 |
0 |
전공 |
16606 |
지리교육세미나 |
3 |
0 |
3 |
0 |
전공 |
16607 |
지리교재연구및평가론 |
3 |
0 |
3 |
0 |
전공 |
18396 |
지역지리와 사회이론 세미나 |
3 |
0 |
3 |
0 |
전공 |
15498 |
지형학세미나 |
3 |
0 |
3 |
0 |
전공 |
16686 |
지형학특강 |
3 |
0 |
3 |
0 |
전공 |
17571 |
카르스트지형연구 |
3 |
0 |
3 |
0 |
전공 |
13869 |
한국고대사특강 |
3 |
0 |
3 |
0 |
전공 |
10187 |
한국근대사특강 |
3 |
0 |
3 |
0 |
전공 |
16590 |
한국사상사연구 |
3 |
0 |
3 |
0 |
전공 |
16589 |
한국사학사연구 |
3 |
0 |
3 |
0 |
전공 |
16580 |
한국사회경제사연구 |
3 |
0 |
3 |
0 |
전공 |
16605 |
한국사회와시민교육 |
3 |
0 |
3 |
0 |
전공 |
16576 |
한국중세사특강 |
3 |
0 |
3 |
0 |
전공 |
16579 |
한국현대사특강 |
3 |
0 |
3 |
0 |
전공 |
16577 |
향토사교육연구 |
3 |
0 |
3 |
0 |
전공 |
16603 |
헌법교육연구 |
3 |
0 |
3 |
0 |
전공 |
16616 |
환경지리학세미나 |
3 |
0 |
3 |
0 |
"박사보충" 표시된 과목
- 석사과정생이 수강할 경우, 전공과목으로 인정되며,
- 박사과정생이 수강할 경우, 보충과목으로 인정됨
★ 교과과정 및 교과목해설은 교육과정 변경에 따라 변동이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과목코드 |
과목명 |
교과목 영문명 |
교과목 한글개요 |
---|---|---|---|
12873 |
경제발전론 |
Economics of Development |
경제발전의 추동 요인, 특성, 그리고 다양한 파급효과를 분석한다. |
15500 |
경제지리학연구 |
Studies in Economic Geography |
경제활동의 공간조직과 구조를 밝히고 지역적인 전개과정을 분석.이해하기 위한 과목이다. 세계경제의 차원에서 경제활동의 공간조직과 그 변화요인을 분석하고, 한국경제의 차원에서 경제활동의 지역적인 변화와 그 요인을 심층분석한다. 강의 및 토론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세계공간경제의 조직과 그 변화를 분석하고 이해한다. 둘째, 경제구조재편과 지역경제 변화과정을 분석한다. 셋째, 정보화, 기술변화, 국제화에 따른 산업구조변화, 공간조직과 구조의 변화를 분석하고 이해한다. 넷째, 정보서비스, 금융, 사업서비스 등 주요 생산자서비스, 해외직접투자, 첨단기술산업 등 특정 경제활동을 사례로 지역적, 세계적 전개과정을 심층분석하여 이들활동의 입지요인, 지역발전과 관계, 입지정책 등을 종합적으로 이해한다. |
12293 |
공법일반이론 |
General Theory of Public Law |
공법이론의 체계적 연구를 위한 동서양의 시대적, 사상적 배경을 검토하고, 영미법상의 공법적 체계와 대륙법상의 공법적 체계를 비교 고찰하여 한국공법이론의 체계를 학문적으로 연구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
15501 |
도시지리학연구 |
Studies in Urban Geography |
도시에 관한 현상과 문제점을 지리공간적 차원에서 접근한다. 주요 연구내용은 도시의 발달, 도시형태와 design, 도시의 정치경제(정부), 도시사회와 문화, 도시의 미래 등 다양한 주제로 구성되며, 이들 주제를 통해서 도시의 총체적 이해와 지식을 함양한다. |
15646 |
동양환경윤리론 |
Environmental Ethics in the Eastern World |
당면한 환경위기를 극복하기 위하여, 사회경제 구조의 변화와 더불어, 환경에 대한 인간의 의식의 변화, 즉 환경윤리의 고양이 필요적이다. 환경에 대한 서구적 의식이 오늘날과 같은 심각한 환경위기를 초래했다는 점에서, 동양적 관점에서 환경윤리를 재조명하고자 한다. |
15510 |
문화지리학연구 |
Studies in Cultural Geography |
문화적 현상들의 유형과 프로세스 및 그 정치 경제적 배경들에 관하여 지리학적으로 고찰한다. 인종, 종교, 언어 등 고전적 문화지리학의 주제들뿐만 아니라 현대 거대도시들을 중심으로 새롭게 등장하고 있는 다양한 문화현상들과 그 복합을 이해하고 변화과정 및 그 의미를 파악한다. |
15502 |
사회지리학연구 |
Studies in Social Geography |
사회지리학의 주요한 연구방법론 및 지리학과 관련된 주요 사회이론들을 집중적으로 이해하고, 그 문제점을 고찰하며, 한국적 사회에 이의적용가능성을 고찰한다. 또한 현실 사회에서 발생하고 있는 다양한 사회 공간적 문제들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한다. |
16712 |
사회학이론 |
Theories of Sociology |
|
16282 |
생태지리학 |
Ecological Ecology |
생태학과 자연 지리를 결합하여, 자연 환경을 이해하기 위한 기존의 개념 및 이론들을 고찰하고, 나아가 인간과 자연 간의 관계를 새롭게 정립할 수 있는 방법론을 모색한다. |
16633 |
인간삶의역사적이해 |
Understanding of Human Life in History |
|
16710 |
일반사회과교육교재연구 |
Studies of Materials in Social Studies |
|
16276 |
자연지리학세미나 |
Seminar in Physical Geography |
특정한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한 각론 형태의 지형학에서 탈피하여 통합적 시각에서 사P지역의 지형을 다루는 것을 목적이다. 물질의 특성과 풍화, 식생과 지형, 토양과 지형, 수문과 지형 등이 주요한 주제이며, 70년대 이후의 지형연구에 대한 비판도 비중 있게 다루어진다. |
15677 |
한국사교육연습 |
Practice in Korean History Education |
|
10186 |
한국정치제도사 |
History of Political Institution in Korea |
|
15511 |
한국지리연구 |
Studies in Geography of korea |
한국의 국토공간과 각 지역들에 관하여 연구한다. 현재 한국의 국토공간 구조의 특성을 이해하고 또한 이에 영향을 미친 역사적 과정을 고찰한다. 또한 개별 지역들을 특성화하여 지역구분을 하고, 각 지역의 구체적 내용을 지역 지리적 관점에서 이해한다. 나아가 각 지역이 특성변화와 더불어 국토 공간구조의 미래를 전망한다. |
16711 |
현대정치이론 |
Contemporay Political Theories |
|
10000 |
개별연구지도 |
Research Works |
학위논문의 작성을 위하여 지도교수의 지도하에 각 개인별 연구주제에 관하여 연구한다. |
16604 |
가치교육연구 |
Studies in Value Education |
본 강좌는 중등학교 사회교육 내용영역의 하나에 속하는 가치교육전반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자 마련된 강좌이다. 따라서 지금까지 우리 한국사회의 사회과 수업에서 등한시되어왔던 가치교육의 필요성과 의의를 보다 확실히 하고 현재까지 제시된 가치교육의 제 이론들과 그 방법에 대해 연구한다. |
16619 |
가치교육특강 |
Topics in Value Education |
사회현상 및 문제 그리고 그 개선점의 모색에 있어 사회과학의 이론을 중심으로한 인지적 측면에 대한 학습은 물론 그것에 내재되 가치나 태도의 갈등을 이해하고 이를 구체적으로 학습시키는 정의적 영역의 학습방법에 대한 이해도 같은 정도로 중요하다. 이러한 점에서 본 강좌는 기존에 개발되어 있는 사회과 교육에서의 가치교육방식을 이론적인 과점에서 이해하고 이를 모의적인 상황에서 적응해 보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다. |
17570 |
건조지형연구 |
Studies in Geomorphology of Arid Environment |
건조한 사막지역에서 작용하는 풍화작용과 하천의 침식 및 퇴적작용, 바람에 의한 침식과 퇴적작용을 통한 지형발달과정을 연구한다. |
16597 |
경제교육연구 |
Syudies in Econimic Education |
경제현상을 이론적으로 연구함으로써 경제학의 본질과 의의, 그 기능을 이해함을 목적으로 구성된다. |
16621 |
경제교육특강 |
Topics in Economic Education |
중등학교 경제 영역에 대한 수업을 효과적이고 효율적이며 매력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는데 목적으로 두고 있다. |
16611 |
경제지리학세미나 |
Seminar in Economic Geography |
특정지역의 경제체계를 지리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연구의 제 이론과 자료수집 및 분석 방법을 토론하며, 지역발전과 개발방안에 대하여 실례를 들어 연구, 토론한다. |
16623 |
경제지리학특강 |
Topics in Economic Geography |
인간 생활에 가장 기본적인 경제적 활동의 공간적 조직과 구조를 밝히고 그 전개과정을 분석.이해하고자 한다. 특히 세계공간경제의 조직과 그 변화를 분석하는 한편, 지역적인 경제구조의 재편과 변화 과정을 분석한다. 또한 정보화와 세계화에 따른 산업구조변화, 공간조직과 구조의 변화를 고찰하며, 정보서비스, 금융, 사업서비스 등 주요 생산자서비스, 해외직접투자, 첨단기술산업 등 특정 경제활동을 사례로 지역적, 세계적 전개과정을 심층적으로 분석한다. |
16599 |
경제학습연구 |
Teaching-Method in Econimic Education |
거시·미시경제의 이론을 바탕으로 경제학전반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데 목적을 둔다. |
16598 |
경제학특강 |
Topics in Economics |
르네상스, 절대주의, 혁명의 시대, 자유주의와 내셔널리즘등 서양근세사회의 발전을 주제별로 조사하여 발표케하고 토론한다. |
18394 |
관광지리학세미나 |
Seminar in Tourism Geography |
|
18395 |
관광환경세미나 |
Seminar in Tourism Environment |
|
16595 |
국제정치연구 |
Studies in Internatinal Politics |
국제정치현상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국제정치에 대한 예측 및 진단 그리고 처방을 위한 이론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
16626 |
기후학특강 |
Topics in Climatology |
기후는 지형 및 토양의 형성과 생물들의 진화 및 분포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기후의 분포와 특성을 이해하고 인간생활에 대한 영향을 심도 있게 살펴본다. |
16627 |
대학원논문연구 |
Dissertation Research |
학위논문의 계획.자료수집, 논문 완성에 이르기까지 모든 과정을 지도한다. |
16614 |
도시지리학세미나 |
Seminar in Urban Geography |
공간상에 분포하는 도시들 간의 관계를 시스템의 관점에서 연구 검토하며, 도시의 내부구조에 대한 각종 이론을 토론한다. |
16624 |
도시지리학특강 |
Topics in Urban Geography |
도시에서 발생하는 제반 현상등과 문제점을 공간적 차원에서 분석하고 이해하고자 한다. 도시의 형성과 발달, 도시의 분포와 체계, 도시 형태와 경관, 도시의 정치경제, 도시 사회와 문화 등 다양한 주제로 구성되며, 이들 주제를 통해서 도시의 총체적 이해와 지식을 함양한다. |
16583 |
동남아각국사특강 |
Topics in the History of South East Asian Countries |
동남아의 여러 나라 중에서 태국,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 우리나라에 영향을 많이 끼친 나라들의 발전과정과 중요사건들을 규명해 본다. |
16713 |
동양사상사연구 |
Studies in the History of Asian Thoughts |
특히 중국사에 있어서 시대별로 중요사서를 검토하여 각 사서에 나타난 역사인식과 역사관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
10189 |
동양사학사연구 |
Studies in the History of Asian Historiography |
특히 중국사에 있어서 시대별로 중요사서를 검토하여 각 사서에 나타난 역사인식과 역사관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
16610 |
멀티미디어지리교육세미나 |
Seminar in Multi-media used Geography Education |
멀티미디어 기술의 급속한 발달로 지리교육에 있어서 새로운 기술적환경이 열리고 있다. 이 세미나에서는 멀티미디어 발달이 지리교육에 미치는 영향과 교재개발의 동향 등을 토론하고 실제 교육자료를 제작하여 본다. |
16578 |
목민심서강독 |
Reading Mok-Min-Sim-Seo |
본 강의를 통하여 17, 8세기 실학자들의 역사인식과 조선 중기의 문물제도를 파악할 수 있다. |
16625 |
문화지리학특강 |
Topics in Cultural Geography |
문화적 현상들의 유형과 프로세스 및 그 정치경제적 배경들에 관하여 지리학적으로 고찰한다. 인종, 종교, 언어 등 고전적 문화지리학의 주제들뿐만 아니라 현대 거대도시들을 중심으로 새롭게 등장하고 있는 다양한 문화 현상들과 그 복합을 이해하고, 변화 과정 그 의미를 파악한다. |
16602 |
법학특강 |
Topics in Law |
중등학교 사회과에서 법영역을 대상으로 교육과정의 내용분석을 주 활동으로 하는 강좌이다. |
16572 |
사회과학방법론연구 |
Seminar on Social Science Methodology |
사회과학의 학문적 특성을 탄생시대별로, 연구영역별로 개관하고, 현재까지 널리 알려진 사회과학의 이론들을 정리하고 이러한 이론들을 전재하기 위해 도입된 다양한 연구방법에 대해 공부한다. |
13291 |
사회과학연구방법론 |
Studies in Research Method of Social Science |
사회과학방법론을 배운 후 학생들은 어떻게 연구하는지에 대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게 된다. 사회과학방법론은 사회과학연구의 기본 틀을 습득하여 학생들이 박사논문을 작성하는 기본 지식을 함양할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교과내용은 연역법과 귀납법의 차이를 습득한다. 연역법에 근거한 이론의 검증을 배우기위한 연구문제와 가설의 설정, 변수의 종류를 습득하며 실질적인 연구에의 적용을 습득한다. 변수의 측정방법 및 측정도구의 신뢰도, 타당도, 개념정의, 조작정의 및 샘플링과 서베이 방법 등에 대해 습득한다. 가설의 검증방법으로 간단한 t-test, 카이자승검증, one way ANOVA 등을 습득한다. |
16601 |
사회문제특강 |
Topics in Social Problem |
사회문제를 이론적으로 연구함으로써 사회문제의 본질과 의의, 그 기능을 이해함을 목적으로 하는 과목이며, 그 핵심은 교과의 사회문제를 연구함으로 구성된다. |
16593 |
사회문화교육연구 |
Studies in Socio-Cultural Education |
사회과의 내용 중 사회, 문호에 대한 내용들을 분석하여 효과적인 학습방안을 연구한다. |
16622 |
사회문화교육특강 |
Topics in Socio-Cultural Education |
이 강좌의 목적은 중고등학교 사회과 교과서의 내용중 사회문화에 관한 내용을 전반적으로 이해하고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방안을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
16600 |
사회변동과교육 |
Social Change and Education |
사회현상을 동태적으로 파악함과 동시에 변동의 동인을 찾는데 주목적을 둔다. |
16612 |
사회지리학세미나 |
Seminar in Social Geography |
사회지리학의 기본개념과 접근방법, 분석기법을 검토하고, 사회지리학의 성립과정과 발달사를 토론한다. 특히 최근 사회지리학이 도시와 농촌의 지역개발계획 정책결정과정에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타진한다. |
16575 |
삼국사기강독 |
Reading Sam-Guk-Sa-Gi |
우리나라의 역사서 중에서 고대를 대표하는 정사로서 ?삼국사기?는 매우 중요한 사서이다. 우선 이 책의 저자인 김부식을 살피고, 내용에 있어서는 열전을 감독하여 선현들의 삶을 알게 한다. |
16617 |
생태지리학세미나 |
Seminar in Ecological Geography |
생태학과 자연지리학을 결합하여, 자연환경을 이해하기 위한 제 개념과 이론을 고찰하고, 나아가 인간과 자연간의 관계를 새롭게 정립할 수 있는 방법론을 토론한다. |
16587 |
서양고대사특강 |
Topics in Ancient Western History |
문명의 발상기에서부터 그리스, 로마에 이르는 서양고대사회를 주제별로 이해시킴으로써 역사에 대한 흥미를 갖게 한다. |
16584 |
서양교육연습 |
Practice in Western History Education |
미국의 성립과 미국의 발전 및 제1차, 제2차 세계대전에서의 미국의 역할과 미국의 사상과 문화를 심층적으로 분석한다. |
16586 |
서양근세사특강 |
Topics in Modern Western History |
르네상스, 절대주의, 혁명의 시대, 자유주의와 내셔널리즘등 서양근세사회의 발전을 주제별로 조사하여 발표케하고 토론한다. |
16591 |
서양사학사연구 |
Studies in the History of Western Historigraphy |
서양 고대사회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각 시대별로 역사가와 역사서 및 역사인식을 살펴서 역사학의 발전과정을 파악하고 역사인식에 대한 비판안목을 갖도록 지원한다. |
16588 |
서양중세사특강 |
Topics in Medieval Western History |
중세 유럽의 성립을 고찰하고, 유럽의 여려 국가 중 영구, 프랑스를 중심으로 각국의 사상과 문화 등을 파악한다. |
16570 |
역사교육교재론 |
Teaching Materials of History Education |
중등학교 역사교육에 필요한 교재로써 각 급의 교과서 외에 교사가 창의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교재와 학생들이 직접 제작할 수 있는 교재를 발표와 토론을 통해서 알아볼 수 있게 한다. |
16569 |
역사교육연구방법론 |
Research Methods of History Education |
본 강의를 통하여 역사교육의 연구 사례를 검토하여 21세기에 적합한 역사교육의 방법을 함으로써 중등학교 교육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16714 |
역사지리교육론 |
Theories of History Geography Education |
중등학교 사회과의 목적을 파악하고 수업방법 및 평가 등을 합리적으로 실천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17569 |
열대지형연구 |
Studies in Geomorphology of Humid Tropics |
고온 습윤한 역대지역에서 일어나는 풍화작용과 토양발달, 하천의 침식과 퇴적작용을 통한 지형발달과정을 이해하며, 우리나라 서해안의 지형발달을 연구한다. |
16574 |
인문지리교육연구 |
Studies in Human Geography Education |
중등학교에서 교육하는 지리교육의 질적 수준을 제고하기 위해, 한국지리와 관련된 인문지리학 부문의 제 이론과 실례를 토론한다. |
16618 |
일반사회교육교재연구 |
Teaching Materials of Socail Studies Education |
사회과 교육의 목표, 내용, 방법, 평가등 일련의 과정을 연구하고 이를 한국 현실에 적합하도록 적용·연구한다. |
16571 |
일반사회교육연구 |
Studies of Social Studies Education |
학생들의 실제행동, 경험 등에 비추어, 현실성있는 중등학교 사회과의 교과모델, 방법론 등을 연구한다. |
16582 |
일본사특강 |
Topics in the History of Japan |
일본의 고대사회에서부터 근대에 이르기까지 발전과정을 고찰하고 각 시대를 주도하였던 인물을 파악해 본다. |
16573 |
자연지리교육연구 |
Studies in Physical Geography Education |
중등학교에서 교육하는 지리교육의 질적 수준을 제고하기 위해, 한국지리와 관련 자연지리학 부문의 제 이론과 실례를 토론한다. |
16594 |
정치교육연구 |
Studies in Education and Politics |
정치현상을 바탕으로 현대사회의 정치현상을 이해하고 분석하여 효과적인 정치교육을 연구한다. |
16620 |
정치교육특강 |
Topics in Political Education |
중등학교 사회과에서의 정치교육을 통한 구체적인 개선책을 모색해 보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다. |
16613 |
정치지리학세미나 |
Seminar in Political Geography |
정치지리학의 발달과정 및 정치지리학, 지정학의 최근 연구동향을 토론하고 정치현상의 지리학적인 분석개념과 방법을 국내외의 각종 선서결과, 지역갈등과 분쟁등의 사례를 통해 연구한다. |
16596 |
정치학특강 |
Topics in Politics |
정치현상을 이론적으로 연구함으로써 정치의 본질과 의의, 그 기능을 이해함을 목적으로 구성된다. |
17572 |
주빙하지형연구 |
Studies in Geomorphology of Cold Environment |
일주적 동결융해가 반복되는 주빙하기후지역에서 나타나는 풩화작용과 사면이동, 구조토, 암설사면의 발달과정을 연구한다. |
16585 |
중국사사료강독 |
Reading Source Materials of Chinese History |
중국사의 폭넓은 이해를 돕고, 사료의 선정과 해석에 대한 안목을 기르기 위하여 중국 근·현대사에 관련한 저서를 선택하여 감독한다. |
16581 |
중국사특강 |
Topics in the History of China |
중국의 정치적 변천과 각 시대별 중요사건을 파악하고 그것이 사회, 경제 및 문화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를 규명한다. |
16609 |
지리교수방법연구 |
Teaching Methodology in Geography Education |
기본적인 지리교수에 필요한 기술과 방법을 이해하고, 새로운 교수이론과 학습전략을 수용할 수 있는 모델을 논의한다. |
16608 |
지리교육과정연구 |
Curriculum Planning in Geography Education |
지리교육의 기본인 교육과정의 이론적 배경과 실재를 검토하고, 현 중등교육과정에 대한 문제점을 분석토론한다. 특히 구미의 지리교육과정 현황을 평가하여 우리나라의 교육과정과 비교한다. |
16606 |
지리교육세미나 |
Seminar in Geography Education |
지리교육의 목적과 목표를 설정하고, 교육과정과 학습지도, 수업평가에 관련된 제 이론을 중심으로 지리교육 전반에 걸친 제 문제를 분석 토론한다. |
16607 |
지리교재연구및평가론 |
Teaching Materials and Evaluation in Geography Education |
지리교육과 관련된 자료의 수집, 교육용 기자재의 활용방안을 고찰하고, 효율적인 수업원리를 적용한 학습모형을 개발한다. 그리고 지리교육의 질적 제고를 위한 피드백의 하나로서 펴아에 대하여 토론한다. |
18396 |
지역지리와 사회이론 세미나 |
Seminar on Regional Geography and Social Theory |
|
15498 |
지형학세미나 |
Seminar in Geomorphology |
특정한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통합적 시작에서 주요 지형의 형성과 변화과정을 다루는 것이 목적이다 물질의 특성과 풍화, 식생과 지형, 토양과 지형, 수문과 지형 등이 주요한 주제이며, 최근 지형연구에서 제시된 다양한 주제들과 비판적 관점 및 대안적 해석에 대해서도 비중 있게 다루어진다. |
16686 |
지형학특강 |
Topics in Geomorphology |
특정한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통합적 시각에서 주요 지형의 형성과 변화과정을 다루는 것을 목적이다. 물질의 특성과 풍화, 식생과 지형, 토양과 지형, 수문과 지형등이 주요한 주제이며, 최근 지형연구에서 제시된 다양한 주제들과 비판적 관점 및 대안적 해석에 관해서도 비중 있게 다루어진다. |
17571 |
카르스트지형연구 |
Studies in Karst Geomorphology |
석회암의 용식작용과 토양 발달, 각종 용식지형과 집적지형, 카르스트 수계 등의 특성을 이해하고, 카르스트지형의 보존과 개발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연구한다. |
13869 |
한국고대사특강 |
Topics on Ancient History of Korea |
고조선에서 통일신라에 이르기까지 여러 나라의 흥망을 주요사건별로 살펴서 우리민족사의 발전과정을 이해한다. |
10187 |
한국근대사특강 |
Topics in Modern History of Korean |
조선의 건국과정에서부터 정치, 사회, 경제, 문화에 대한 이해를 넓히기 위하여 발표와 토론학습을 진행한다. |
16590 |
한국사상사연구 |
Studies in the History of Korean Thought |
한국의 전통사상과 불교.유교사상 및 기독교 사상들을 살펴서 이들 사상이 국가와 사회에 끼친 영향을 알게 한다. |
16589 |
한국사학사연구 |
Studiesin the History of Korean Historiography |
우리나라 역사학의 발전을 이해하기 위하여 각 시대별 역사인식과 편찬된 사서를 살피고 사료에 대한 비판안목과 서로의 활용방법을 알 수 있도록 한다. |
16580 |
한국사회경제사연구 |
Studies in Socio-economic History of Korea |
우리 민족사의 발전과정 중에서 특히 사회, 경제적 측면을 시대별로 알게 한다. |
16605 |
한국사회와시민교육 |
Korean Society and Civic Education |
한국사회의의 그간의 발전과정과 이를 둘러싼 각종 이론들을 시민교육과 연계시키는 방안을 강구한다. |
16576 |
한국중세사특강 |
Topics in Medieval History of Korea |
본 강의에서는 고려의 건국과 왕권, 귀족정치의 대두, 고려의 대외관계, 무신정권, 여몽전쟁 원지배하의 고려, 고려의 멸망등을 살펴서 우리 민족사의 발전과정을 이해한다. |
16579 |
한국현대사특강 |
Topics in Comtemporary History of Korea |
조선의 개항과 구한말의 정치정세를 이해하고, 일제치하 및 민족의 독립운동을 파악하여 대한 제국에서 대한민국의 발전을 알게 한다. |
16577 |
향토사교육연구 |
Stduies in Local History Teaching |
먼저 고장의 문화재를 살피고, 고장의 역사적 인물 및 중요사건들을 규명함으로써 지방화시대에 이바지할 수 있는 사료의 발굴과 사료에 대한 비판안목을 기른다. |
16603 |
헌법교육연구 |
Studies in Education of Consitutional Law |
본 강좌는 중등학교 사회교육 내용영역의 하나에 속하는 가치교육전반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자 마련된 강좌이다. 따라서 지금까지 우리 한국사회의 사회과 수업에서 등한시되어왔던 가치교육의 필요성과 의의를 보다 확실히 하고 현재까지 제시된 가치교육의 제 이론들과 그 방법에 대해 연구한다. |
16616 |
환경지리학세미나 |
Seminar in Environmental Geography |
인간 삶의 터전이며 인간과 지속적인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환경의 본질과 이에서 파생되는 제 환경문제를 토론한다. |
COPYRIGHT(C) 2016 BY DAEGU UNIVERSIT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