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수한 교수진에 의해 체육의 다양한 주제에 대해 심도 있는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학위 과정을 위한 세부 전공 분야로는 운동생리학, 운동역학, 운동영양-생화학, 스포츠의학/운동처방, 스포츠사회학, 스포츠교육학, 스포츠심리학, 스포츠경영학, 스포츠행정학, 및 스포츠철학 등을 포함하고 있다.
교육목표
∎ 창의적인 연구 인재 양성
∎ 전문 역량을 갖춘 교육 인재 양성
∎ 선도적인 글로벌 리더 육성
교수진
교수명
학위
전공
담당과목
이종삼
이학박사
스포츠생화학
운동생리학
스포츠영양학
임승현
이학박사
스포츠사회학
스포츠사회학
스포츠경영관리
최봉암
체육학박사
스포츠마케팅
스포츠마케팅
김용규
이학박사
스포츠심리학
스포츠심리학
남인수
이학박사
운동제어
특수체육교육학
스포츠교육학
★ 교과과정 및 교과목해설은 교육과정 변경에 따라 변동이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교과구분명
과목코드
과목명
이론시간
실기시간
학점
비고
연구
10000
개별연구지도
2
0
2
0
연구
10000
개별연구지도
1
0
1
0
전공
18352
발육발달학
3
0
3
0
전공
18766
스포츠경영관리학
3
0
3
박사보충
전공
18370
스포츠교육학
3
0
3
0
전공
18363
스포츠기능학
3
0
3
0
전공
15827
스포츠마케팅
3
0
3
0
전공
14588
스포츠사회학
3
0
3
박사보충
전공
18372
스포츠산업경영론
3
0
3
0
전공
14589
스포츠생리학
3
0
3
0
전공
14595
스포츠심리학
3
0
3
0
전공
18351
스포츠여가론
3
0
3
0
전공
14594
스포츠영양학
3
0
3
박사보충
전공
16318
스포츠와법
3
0
3
0
전공
16756
스포츠재활의학
3
0
3
박사보충
전공
16314
스포츠철학
3
0
3
0
전공
18349
운동과노화
3
0
3
0
전공
16323
운동생리학Topic
3
0
3
0
전공
18768
운동생리학실험방법론
3
0
3
0
전공
17669
운동역학
3
0
3
0
전공
14945
운동처방학
3
0
3
박사보충
전공
15831
운동학습및제어
3
0
3
0
전공
14874
체육측정평가
3
0
3
박사보충
전공
18343
체육통계학Ⅰ
3
0
3
박사보충
전공
18364
체육통계학Ⅱ
3
0
3
박사보충
전공
14591
체육학연구법
3
0
3
0
전공
18367
체육학질적연구방법론
3
0
3
0
전공
18350
체육행정학
3
0
3
박사보충
전공
14739
코칭론
3
0
3
박사보충
전공
16315
트레이닝방법론
3
0
3
0
전공
18767
특수체육학
3
0
3
0
"박사보충" 표시된 과목
- 석사과정생이 수강할 경우, 전공과목으로 인정되며,
- 박사과정생이 수강할 경우, 보충과목으로 인정됨
★ 교과과정 및 교과목해설은 교육과정 변경에 따라 변동이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과목코드
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교과목 한글개요
10000
개별연구지도
Research Works
본 교과를 통해 대학원 학위논문의 진행 정도를 점검하고 연구주제에 관해 부족한 부분에 대한 수정과 보완을 이룰 수 있다.
1. 논문 진행 상황에 대한 점검
2. 통계 방법의 타당성 등을 검토
18352
발육발달학
Growth and Development
인간의 연령증가에 따른 유전적, 환경적 요인을 전제로 하여 신체의 양적 증가 측면인 성장과 질적 변화 측면인 발달에 관한 연구와 연령에 따른 동작 제어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발달적 요인에 관하여 심층적으로 연구한다.
18766
스포츠경영관리학
Sports Management
체육관련 조직의 형성과 유지를 위한 경영활동의 구조와 과정에 대한 이론적 체계를 확립하고 변화 발전하는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과학적 경영관리기법을 학습한다.
18370
스포츠교육학
Sports Pedagogy
스포츠 교육학은 학교 체육을 포함한 놀이, 야외 스포츠, 게임 및 피트니스의 모든 학습 과정, 학습 결과 및 학습 내용을 연구합니다.
18363
스포츠기능학
Sports Kinesiology
이 강좌는 스포츠, 무용, 놀이, 게임 그리고 적응 신체활동들과 관련된 인간 움직임의 기능과 본질을 이해하는데 있다.
15827
스포츠마케팅
Sports Marketing
다양한 마케팅 이론을 바탕으로 스포츠 용품의 생산과 유통, 시설관리 및 운영, 스포츠 서비스에 대하여 학습한다.
14588
스포츠사회학
Sports Sociology
스포츠의 사회적 구조와 기능분석에 필요한 사회학적 제요소와 관련된 문헌, 자료, 연구성과를 발표 토의하며, 스포츠와 연관된 사회적 현상을 규명하여 인간과 체육의 문제를 사회학적으로 인식하고 분석하는데 유용한 지식을 배양한다.
18372
스포츠산업경영론
Sports Industry and
Management
스포츠 산업의 시장구조와 시장행동을 공급자와 소비자 입장에서 조명하여 보며 스포츠 공공정책과 개별 스포츠 시장 분석을 통하여 산업의 흐름을 이해하도록 한다.
14589
스포츠생리학
Sports Physiology
개별 운동 종목에서의 생리적 특성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각 종목의 수행력 향상을 위한 방법을 도출해낼 수 있다. 스포츠 수행에 따른 심호흡계, 근육, 및 생화학적 적응에 대해 이해할 수 있으며 훈련을 통한 신체적성과 체중조절, 및 선수트레이닝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14595
스포츠심리학
Sport Psychology
엘리트 스포츠 또는 여가스포츠 현장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인간의 행동 특성을 심리적 관점에서 연구한다.
18351
스포츠여가론
Sports Leisure
현대사회에서의 여가의 사회적 기능과 일상생활 속에서의 여가, 노동력 재생산으로서의 여가, 자본주의 문화와 여가, 한국의 역사 속에 나타난 여가관에 대하여 알아본다.
14594
스포츠영양학
Sports Nutrition
이 교과를 통해 식품에 대한 다양한 연구 주제와 식품이 건강, 발달 및 운동 수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학습할 수 있다. 수강생은 최적의 건강 및 신체 능력을 위한 영양에 대한 지식을 넓힐 수 있으며, 운동 및 스포츠 활동 중 신체의 에너지 대사와 관련된 지침에 대한 전반적인 개요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6318
스포츠와법
Sport and Law
스포츠 활동을 통해 발생되는 법률적인 문제를 민사법, 형사법 등 다양한 법적체계를 중심으로 탐구한다.
16756
스포츠재활의학
Sports Rehabilitation
이 교과목을 통해 스포츠 및 신체활동 중 부상을 당한 사람에 대한 재활 운동 프로그램의 원리와 이론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16314
스포츠철학
Sport Philosophy
철학적 사조를 바탕으로 인간과 스포츠와 관련된 철학적 관점과 사고를 통해 스포츠를 재평가한다.
18349
운동과노화
Physical Activities and Aging
이 교과를 통해 노화의 생리적, 해부학적 측면의 개념과 특성을 스포츠 및 신체활동과 함께 다루어진다. 또한 이 교과를 통해 노화에 따른 생리학적, 해부학적 신체 기능의 변화와 노화의 관련된 각종 질병의 특징과 종류에 대해 학습하며 스포츠와 신체활동을 통해 노화를 지연시킬 방안에 대해 논의한다.
16323
운동생리학Topic
Topic in Exercise Physiology
이 교과에 참여함으로써 스포츠 활동 시 인체 각 계통의 생리학적 변화를 연구함으로써 보다 과학적으로 스포츠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출 수 있다.
18768
운동생리학실험방법론
Laboratory Techniques in Exercise Physiology
운동생리학 영역의 실험실에서 행해지는 테스트뿐 아니라 야외에서 이루어지는기본 테스트 절차들에 대해 포괄적으로 학습하게 된다. 실제 실험 시 필요한 분석 기법들을 배우게 되며 대학원생으로서 지녀야 할 비판적 사고를 함양할 수 있는 토대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17669
운동역학
Sports Biomechanics
이 강좌는 역학의 기초 개념과 원리의 이해를 통해 인체 및 물체의 운동과 관련된 운동학 요인과 운동역학적 요인을 분석하여 스포츠 현장에 적용하는데 있다.
14945
운동처방학
Exercise Prescription
이 교과목의 이수를 통해 운동과 근육, 신체적성, 운동과 호흡 순환, 체력과 건강진단, 컨디셔닝 마사지, 비만과 체중조절 등 건강과 체력운동에 관련된 이론과 실습 역량을 체계적으로 습득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올바른 운동 처방의 역량을 기를 수 있다.
15831
운동학습및제어
Motor Learning and Control
운동수행의 향상에 초점을 두고 운동체계의 개념모형을 바탕으로 운동학습 및 제어 메커니즘을 연구한다.
14874
체육측정평가
Measurement Evaluation in Physical Education
이 교과목을 통해 체육 교육의 성과 평가를 위한 제반 준비 절차를 익히고 측정뿐 아니라 평가를 위한 통계적 접근을 함께 학습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체육교육에서의 측정이론, 적절한 검사의 선택과 시행, 통계적 절차에 의한 결과해석 등의 주제를 다룬다.
18343
체육통계학Ⅰ
Statistics in the Sports and Physical ActivitiesⅠ
본 강의는 스포츠 현장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현상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하기 위한 기초지식을 습득하고, 선수의 특성과 경기결과에 대한 측정 및 통계분석을 통해 스포츠 활동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8364
체육통계학Ⅱ
Statistics in the Sports and Physical ActivitiesⅡ
본 강의는 체육교육 연구과정에서 주어진 연구문제를 풀기 위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는데 필요한 적절한 통계기법과 통계지식을 살펴보고, 체계적인 통계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한다.
14591
체육학연구법
Research Method of
Physical Education
본 강좌는 체육학의 과거, 현재의 연구 동향을 이해하며 미래 체육학의 예측을 탐색해보는데 있다.
18367
체육학질적연구방법론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 the Sports and Physical Activities
체육학질적연구방법론은 신체활동과 스포츠 현장에서 발생하는 선수나 수행자들의 행동을 이해하고 그 행동을 지배하는 궁극적인 요소를 규명하기 위한 연구 방법을 연구하는 교과로서, 이 교과목을 통하여 학생들은 스포츠 현장에서 발생한 다양한 행위의 원인과 인과관계의 규명에 집중함으로서 선수나 운동 수행자의 내면을 보다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18350
체육행정학
Administration for Physical Education
체육 행정조직의 기본적 개념 및 이론에 대한 포괄적인 소개하는 과목이다. 현대 체육행정의 역할과 이념, 정책결정과 행정기획, 행정조직론, 인사 및 재무행정론, 행정 책임 등에 대한 강의를 통하여 행정현상의 분석 및 문제해결능력을 기른다
14739
코칭론
Coaching Theory
선수의 경기력 향상을 위한 훈련 과정에서 적용되는 코칭의 과학적 원리와 방법을 이해한다.
16315
트레이닝방법론
Physical Training Methodology for Sports
경기력 향상을 위하여 트레이닝 원리를 이해하고 합리적 트레이닝 방법을 운동 생리학적, 역학적, 영양학적 측면에서 심층 분석한다.
18767
특수체육학
Adapted Physical Activity
본 강좌는 장애인을 대상으로 다루어지는 체육으로, 지체부자유자, 맹아, 농아, 정신박약아, 자폐증 환자 등의 장애인이 신체 및 사회활동으로 하는데 있어 효과적이고 능동적인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기 위해 장애인 접근과 지도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이론 및 실습을 사례를 통해 교육하는데 목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