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PYRIGHT(C) 2016 BY DAEGU UNIVERSITY ALL RIGHT RESERVED.
INFORMATION
가. 연혁
- 2000.11: 지역사회개발전공과 자치행정전공(행정학과)을 통합하여 도시학과로 명칭 변경. 도시학과 내 도시행정, 지역사회개발·복지, 도시지역계획, 부동산학 4개의 전공으로 운영
- 2018.03: 부동산학은 부동산컨설팅학과로 변경되었으며, 도시행정, 지역사회개발·복지, 도시지역계획 3개 전공으로 운영
2022: 지역사회개발·복지, 도시지역계획 2개 전공으로 운영
나. 교육목표
다. 교수명단
전공 |
교수명 |
학위 |
전공 |
담당과목 |
---|---|---|---|---|
지역사회 개발·복지 |
김미령 |
사회복지학 박사 |
사회복지학 |
노인복지론 사회과학연구방법론 |
양흥권 |
교육학 박사 |
성인&평생교육 |
성인교육방법 성인학습 |
|
정홍인 |
교육학 박사 |
평생교육 및 HRD |
인적자원개발 평생교육학연구 |
|
박성복 (명예교수) |
정치학 박사 |
사회정책 공공선택이론 |
사회복지행정 정책론 지역사회복지론 사회과학방법론 |
|
도시지역계획 |
장명준 |
도시및지역계획학박사 |
도시및지역계획 |
계획 이론 도시재생론 지역개발론 |
권성문 |
도시학 박사 |
도시공간구조 도시성장관리 |
지역경제론 도시계량분석론 주택 및 토지정책 |
'*'표시과목:석사과정생이 수강할 경우 공통 또는 전공과목으로 인정되며,박사과정생이 수강할 경우 보충과목으로 인정됨
과목코드 |
과 목 명 |
학점 |
시간 |
---|---|---|---|
11199 |
계획이론연구 |
3 |
3-0 |
11272 |
*계획이론 |
3 |
3-0 |
11279 |
사회통계론 |
3 |
3-0 |
11416 |
*지역경제론 |
3 |
3-0 |
11417 |
*지역개발론 |
3 |
3-0 |
11419 |
계량분석론 |
3 |
3-0 |
12586 |
인간행동과사회환경연구 |
3 |
3-0 |
13087 |
*단지계획론 |
3 |
3-0 |
13102 |
도시계획이론연구 |
3 |
3-0 |
13291 |
사회과학연구방법론 |
3 |
3-0 |
13587 |
*인간행동과사회환경특강 |
3 |
3-0 |
14210 |
지역개발론연구 |
3 |
3-0 |
15143 |
자원봉사론특강 |
3 |
3-0 |
15158 |
자원봉사론연구 |
3 |
3-0 |
15437 |
도시및지역사회연구 |
3 |
3-0 |
15441 |
*도시경영론 |
3 |
3-0 |
15442 |
*도시구조론 |
3 |
3-0 |
15443 |
*주택계획론 |
3 |
3-0 |
15444 |
*도시개발론 |
3 |
3-0 |
15445 |
*가상계획론 |
3 |
3-0 |
15459 |
사회통계연구방법론 |
3 |
3-0 |
15460 |
계량분석연구방법론 |
3 |
3-0 |
15464 |
노인복지론연구 |
3 |
3-0 |
15471 |
단지계획론연구 |
3 |
3-0 |
15472 |
도시경영론연구 |
3 |
3-0 |
15473 |
도시구조론연구 |
3 |
3-0 |
15474 |
지역경제론연구 |
3 |
3-0 |
15475 |
주택계획론연구 |
3 |
3-0 |
15476 |
도시개발론연구 |
3 |
3-0 |
15478 |
입지이론연구 |
3 |
3-0 |
15479 |
도시설계연구 |
3 |
3-0 |
15480 |
커뮤니티계획연구 |
3 |
3-0 |
15481 |
가상계획연구 |
3 |
3-0 |
15491 |
주택및토지정책 |
3 |
3-0 |
16841 |
*노인복지론특강 |
3 |
3-0 |
16846 |
*지역사회복지론특강 |
3 |
3-0 |
16847 |
*사회복지행정론특강 |
3 |
3-0 |
16852 |
평생교육학연구 |
3 |
3-0 |
16858 |
지역사회복지론연구 |
3 |
3-0 |
16859 |
사회복지행정론연구 |
3 |
3-0 |
16860 |
사회복지정책론연구 |
3 |
3-0 |
16864 |
사회복지실천론연구 |
3 |
3-0 |
17493 |
*사회복지법제특강 |
3 |
3-0 |
17495 |
사회복지조사론연구 |
3 |
3-0 |
17497 |
사회복지법제론연구 |
3 |
3-0 |
17722 |
평생교육질적분석특강 |
3 |
3-0 |
17723 |
평생교육질적분석연구 |
3 |
3-0 |
17724 |
성인학습특강 |
3 |
3-0 |
17725 |
성인학습연구 |
3 |
3-0 |
17728 |
*인적자원개발특강 |
3 |
0-0 |
17730 |
사회복지조사론특강 |
3 |
3-0 |
17943 |
*도시재생론 |
3 |
3-0 |
17952 |
도시재생론연구 |
3 |
3-0 |
18083 |
사회과학연구 |
3 |
3-0 |
18084 |
계량분석연구방법 |
3 |
3-0 |
18085 |
평생교육학세미나 |
3 |
3-0 |
18086 |
*평생교육프로그램개발세미나 |
3 |
3-0 |
18087 |
평생교육프로그램개발연구 |
3 |
3-0 |
18088 |
*평생교육실습세미나 |
3 |
3-0 |
18089 |
평생교육실습연구 |
3 |
3-0 |
18090 |
평생교육방법세미나 |
3 |
3-0 |
18091 |
평생교육방법연구 |
3 |
3-0 |
18092 |
*평생교육경영론세미나 |
3 |
3-0 |
18093 |
평생교육경영론연구 |
3 |
3-0 |
18094 |
도시계량분석론 |
3 |
3-0 |
18095 |
도시계량분석연구 |
3 |
3-0 |
18096 |
도시통계론 |
3 |
3-0 |
18097 |
도시통계연구 |
3 |
3-0 |
18098 |
토지정보론 |
3 |
3-0 |
18099 |
토지정보연구 |
3 |
3-0 |
10000 |
개별연구지도 |
1 |
1-0 |
10000 |
개별연구지도 |
2 |
2-0 |
과목코드 |
과 목 명 |
교과목개요 |
---|---|---|
11199 |
계획이론연구 |
도시 및 지역계획이론은 크게 실체적 계획이론과 절차적 계획이론으로 구분할 수 있는 바 본 과목은 절차적 측면의 계획이론을 연구하는 과목이다. 본 과목에서는 고급수준의 계획이론을 소개하고 계획이론의 변천 과정도 강의한다. 그리고 자본주의 사회에서 계획가의 역할에 관한 자성과 비판을 통하여 계획가의 새로운 역할을 모색하고 계획이론의 새로 운 패러다임을 모색한다. |
11272 |
*계획이론 |
도시 및 지역계획이론은 크게 실체적 계획이론과 절차적 계획이론으로 구분할 수 있는 바 본 과목은 계획의 절차적 측면을 연구하는 과목이다. 본 과목에서는 계획의 개념과 유형, 그리고 계획의 수립과정을 강의하고 계획이론의 변천 과정도 강의한다. 그리고 도시계획의 수립과 전개과정, 그리고 도시계획가가 지녀야 할 가치관과 태도 등에 대해서도 강의한다. |
11279 |
사회통계론 |
사회현상에 대한 실증적 연구를 위해 필요한 통계학의 원리와 그 기법들을 공부한다. 일차적으로 사회과학에 이용되는 통계원리에 대해 철저히 이해하고 그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실제적인 자료분석의 절차와 방법들을 체계적으로 공부한다. |
11416 |
*지역경제론 |
전통적으로 일반 경제학이 자원의 비공간적인 배분문제에 관심을 가지는데 반하여 지역경제학은 자원의 공간적 배분문제에 관심을 갖는다는 측면에서 지역경제학의 특성이 있다. 지역경제학은 다양한 분야를 연구대상으로 하지만 주요한 관심영역은 경제활동의 입지문제, 지역경제성장문제, 시장경제가 자원의 공간적 배분에 미치는 영향, 지역고용문제, 그리고 경제적 불균형을 정책적 차원에서 시정할 수 있는 방법 등을 다룬다. |
11417 |
*지역개발론 |
지역성장 및 개발정책과 관련된 제 이론을 살펴봄으로써 지역개발의 역할과 기능을 정립하여 정책적 차원에서 우리 나라와 외국의 경험을 비교.분석함으로써 지역개발의 이해를 높인다. |
11419 |
계량분석론 |
대학원생들로 하여금 사회조사를 통하여 나타난 자료를 학문적으로 객관화시키는데 필요한 이론과 그 기법에 관해 연구하게 한다. 본 과목에서는 계량분석의 구체적인 기법이 주요 연구대상이다. |
12586 |
인간행동과사회환경연구 |
인간의 본질의 이해와 발달단계별 이론을 습득하고 인간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인 여러 요인들을 파악하여 개인과 환경의 상호작용을 통한 클라이언트의 문제 해결하는 방법을 배운다. 특히 다양한 이론들이 클라이언트의 문제 해결 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한다 |
13087 |
*단지계획론 |
주택단지나 공업단지, 그리고 관광단지와 같은 각종 단지의 계획기법을 강의하는 과목이다. 본 과목에서는 단지계획을 위하여 필요한 단지의 자료조사와 분석, 단지 내 활동의 입지 선정, 교통체계, 시각적 고려 및 단지조형설계, 공공설비 등의 계획과정과 계획기법을 다룬다. |
13102 |
도시계획이론연구 |
도시계획이론은 도시의 건전한 발전과 공공복리를 증진을 위한 다양한 이론을 학습하고 이를 실제에 적용하기 위한 기반을 제공하는 과목이다. |
13291 |
사회과학연구방법론 |
사회과학방법론을 배운 후 학생들은 어떻게 연구하는지에 대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게 된다. 사회과학방법론은 사회과학연구의 기본 틀을 습득하여 학생들이 박사논문을 작성하는 기본 지식을 함양할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교과내용은 연역법과 귀납법의 차이를 습득한다. 연역법에 근거한 이론의 검증을 배우기위한 연구문제와 가설의 설정, 변수의 종류를 습득하며 실질적인 연구에의 적용을 습득한다. 변수의 측정방법 및 측정도구의 신뢰도, 타당도, 개념정의, 조작정의 및 샘플링과 서베이 방법 등에 대해 습득한다. 가설의 검증방법으로 간단한 t-test, 카이자승검증, one way ANOVA 등을 습득한다. |
13587 |
*인간행동과사회환경특강 |
사회복지실천의 기본과목으로 인간의 본질의 이해와 발달단계별 이론을 습득하고 클라이언트의 올바른 이해와, 클라이언트의 올바른 환경의 이해, 개인과 환경의 상호작용의 이해를 통하여 환경속의 인간의 문제해결방법 및 이론의 적용을 배운다. |
14210 |
지역개발론연구 |
지역의 성장과 발전과정 그리고 지역성장의 장기적인 결과를 연구하는 과목이다. 특히 본 과목에서는 시장경제체제하에서 지역간의 격차가 발생하는 원인을 구명하고 낙후 지역개발을 위한 중앙 및 지방정부 그리고 민간부문의 역할과 그 상호관계를 분석한다. 아울러 낙후지역개발을 위한 고급이론과 개발전략들을 연구하고 각 지역의 특성과 여건에 부합하는 개발모형을 연구한다. |
15143 |
자원봉사론특강 |
자원봉사론 특강은 석사학생을 대상으로 한 과목이다. 자원봉사는 무보수로 다른 사람에게 봉사를 하는 것이다. 자원봉사는 사회복지의 기본으로 애타주의적 마음에서 나오지만 자원봉사를 통하여 자원봉사자가 얻는 이익은 더 크다. 본 과목은 자원봉사의 개념정의, 자원봉사 역사, 자원봉사 이론, 자원봉사 유형, 자원봉사 효과, 외국의 자원봉사 사례 등 현대사회에 다른 사람과 더불어 살아가며 남에게 봉사하기위해 갖추어야 할 자원봉사 기본지식을 습득한다. 특히 사회복지사로서 자원봉사자 교육 및 중개자의 역할을 수행할 지식과 실천적 방법을 습득한다. 현대는 고령사회로 자원봉사 제공자로서의 노인 및 수혜자로서 노인에 대한 것을 습득할 것이다. |
15158 |
자원봉사론연구 |
자원봉사론 연구는 박사학생을 대상으로 한 과목이다. 자원봉사는 무보수로 다른 사람에게 봉사를 하는 것이다. 자원봉사는 사회복지의 기본으로 애타주의적 마음에서 나오지만 자원봉사를 통하여 자원봉사자가 얻는 이익은 더 크다. 본 과목은 자원봉사의 개념정의, 자원봉사 역사, 자원봉사 이론, 자원봉사 유형, 자원봉사 효과, 외국의 자원봉사 사례 등 현대사회에 다른 사람과 더불어 살아가며 남에게 봉사하기위해 갖추어야 할 자원봉사 기본지식을 습득한다. 특히 사회복지사로서 자원봉사자 교육 및 중개자의 역할을 수행할 지식과 실천적 방법을 습득한다. 현대는 고령사회로 자원봉사 제공자로서의 노인 및 수혜자로서 노인에 대한 것을 습득할 것이다. 또한 자원봉사연구에 다양한 이론들을 적용할 것이다 |
15437 |
도시및지역사회연구 |
도시 및 지역사회를 구성하고 있는 각종 체계에 관련된 이론과 그 분석 방법을 익히게 한다. 여기에는 지역사회하위체계, 지역사회생태, 지역사회구조 등에 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
15441 |
*도시경영론 |
도시정부를 하나의 경영실체로 파악하고 시민에게 최대한의 복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주어진 재원을 능률적으로 사용하고 나아가 필요한 재원을 적극적으로 확보하는 정책결정과정을 연구한다. 본 과목에서는 도시경영의 전통적인 관심영역 뿐만 아니라 정보화, 세계화, 지방화와 같은 새로운 변수와 도시경영상의 주요 정책과제로서의 자원관리, 광역도시경영, 갈등관리, 재산관리분석 그리고 민간부문의 활용 등의 문제를 폭넓게 논의한다. |
15442 |
*도시구조론 |
입지패턴과 토지이용구조를 중심으로 도시의 내부공간구조를 연구하는 과목이다. 도시구조에는 동심원모형, 선형모형, 다핵모형, 다차원모형을 비롯한 다양한 유형의 거시적, 미시적 공간구조모형이 제시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도시내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인간생태학이나 행태주의와 같은 다양한 접근방법이 제시되어 왔는데 본 과목에서는 이와 같은 모형과 접근방법을 연구한다. 본 과목은 토지이용계획을 비롯한 각종이 도시계획을 위한 이론적 틀을 제공한다. |
15443 |
*주택계획론 |
인간생활에서 가장 기본적인 주택문제의 속성을 이해하고 이를 해결하는 방법을 연구하는 과목이다. 주택문제는 양적인 문제와 질적인 문제로 구분되는데 본 과목은 이와 관련된 다양한 문제를 살펴보고 주택시장, 주택금융, 주택관련세제, 주택정책과 같은 거시적 계획과제와 주거입지, 주거단지개발 그리고 주거이동과 같은 미시적 계획과제도 고찰한다. |
15444 |
*도시개발론 |
도시성장과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도시문제를 이해하고 이를 해결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특히 도시토지이용의 효율극대화, 기능의 원활화, 쾌적한 환경조성을 위한 슬럼의 정비, 노후지구정비, 무허가주택지구의 정비 등의 방법을 학습하는 과목이다. 재개발계획의 대상에 있어서는 도심지구와 불량주택지구로 구분하고, 수법에 있어서는 전면재개발, 부분적 재개발, 보존 등으로 구분하여 그 기법과 문제점을 강의한다. |
15445 |
*가상계획론 |
가상공간은 컴퓨터의 세계에서 컴퓨터를 둘러싼 사회를 설명하기 위해 설정된 추상적인 공간을 의미한다. 본 과목은 이러한 컴퓨터의 가상공간에서 실제 도시를 시뮬레이션하여 도시, 단지, 지역계획을 수립하는 방법을 학습하는 과목이다. |
15459 |
사회통계연구방법론 |
사회현상에 대한 실증적 연구를 위해 필요한 통계학의 원리와 그 기법들을 공부한다. 일차적으로 사회과학에 이용되는 통계원리에 대해 철저히 이해하고 그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실제적인 자료분석의 절차와 방법들을 체계적으로 공부한다. |
15460 |
계량분석연구방법론 |
논문뿐만 아니라 조사나 연구 보고서를 작성하는데 자료 구축과 분석, 결과의 표현은 핵심적인 부분을 차지한다. 따라서 이 강의는 대부분의 시간을 통계적 이론의 이해와 그 적용을 바탕으로 한 결과의 해석 능력 등을 기르는 시간으로 할당할 것이다. 특히 강의 중에 기존 학술지 논문을 선택하여 이들의 방법론과 통계적 분석 결과가 어떤 문제나 한계가 있는가를 평가할 시간을 갖고, 이것을 통계분석에 관한 지식습득의 마무리 시간으로 삼을 생각이다. |
15464 |
노인복지론연구 |
본 교과목에서는 노령화시대를 대비하여 노인복지의 중요성과 그 기법을 배우게 된다. 여기에는 노인복지의 개념, 노인복지의 유형, 노인복지의 역사, 노인복지의 전략, 노인복지의 과정 등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
15471 |
단지계획론연구 |
주택단지나 공업단지 그리고 관광단지와 같은 각종 단지의 계획기법을 강의하는 과목이다. 본 과목에서는 단지계획을 위하여 필요한 단지의 자료조사와 분석, 단지 내 활동의 입지선정, 교통체계, 시각적 고려 및 단지조형설계, 공공설비 등의 계획과정과 계획기법을 다룬다. |
15472 |
도시경영론연구 |
도시정부를 하나의 경영실체로 파악하고 시민에게 최대한의 복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주어진 재원을 능률적으로 사용하고 나아가 필요한 재원을 적극적으로 확보하는 고급수준의 정책결정과정을 연구한다. 본 과목에서는 도시경영의 전통적인 관심영역 뿐만 아니라 정보화, 세계화, 지방화와 같은 새로운 요인과 도시경영상의 주요 정책과제로서 자원관리, 광역도시경영, 갈등관리, 재산관리분석 그리고 민간부문의 활용 등의 문제를 폭넓게 논의한다. |
15473 |
도시구조론연구 |
입지패턴과 토지이용구조를 중심으로 도시의 내부공간구조를 연구하는 과목이다. 도시구조에는 동심원모형, 선형모형, 다핵모형, 다차원모형을 비롯한 다양한 유형의 거시적, 미시적 공간구조모형이 제시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도시내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인간생태학이나 행태주의와 같은 다양한 접근방법이 제시되어 왔는데 본 과목에서는 이와 같은 모형과 접근방법을 연구한다. 본 과목은 토지이용계획을 비롯한 각종이 도시계획을 위한 이론적 틀을 제공한다. |
15474 |
지역경제론연구 |
일반경제학이 자원의 비공간적인 배분문제에 관심을 가지는데 반하여 지역경제학은 자원의 공간적 배분문제에 관심을 갖는다. 지역경제학은 다양한 분야를 연구대상으로 하지만 주요한 관심영역은 경제활동의 입지, 지역경제성장, 시장경제가 자원의 공간적 배분에 미치는 영향, 지역공용과 실정, 그리고 지역간 경제적 불균형을 정책적 차원에서 시정할 수 있는 방법 등을 다룬다. 본 과목에서는 이와 같은 분야에 대한 고급수준의 이론을 연구한다. |
15475 |
주택계획론연구 |
인간생활에서 가장 기본적인 주택문제의 속성을 이해하고 이를 해결하는 고급수준의 이론과 방법을 연구하는 과목이다. 주객문제는 양적인 문제와 질적인 문제로 구분되는데 본 과목은 이와 관련된 다양한 문제를 살펴보고 주택시장, 주택금융, 주택관련세제, 주택정책과 같은 거시적 계획과제와 주거입지, 주거단지개발 그리고 주거이동과 같은 미시적 계획과제도 고찰한다. |
15476 |
도시개발론연구 |
도시성장과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도시문제를 이해하고 이를 해결하는 방법을 연구하는 과목이다. 특히 도시토지이용의 효율극대화, 기능의 원활화, 쾌적한 환경조성을 위한 슬럼의 정비, 노후지구정비, 무허가주택지구의 정비 등에 관한 고급이론과 방법을 연구한다. 재개발계획의 대상에 있어서는 도심지구와 불량주택지구로 구분하고, 수법에 있어서는 전면재개발, 부분적 재개발, 보존 등으로 구분하여 그 기법과 문제점을 연구한다. |
15478 |
입지이론연구 |
각종 경제, 사회활동의 입지현상을 이해하고 최적한 입지문제를 연구하는 과목이다. 본 과목에서는 농업, 공업, 상업을 비롯하여 공공시설과 사람의 입지를 포함하는 다양한 입지단위(location unit)에 대한 고전적 입지이론과 현대적 입지이론을 포괄적으로 소개함으로써 입지문제에 관한 종합적인 안목을 기르도록 한다. 본 과목은 도시 및 지역의 공간구조와 시설물의 입지결정문제의 이론적인 틀을 제공한다. |
15479 |
도시설계연구 |
쾌적하고도 미적인 도시환경을 창조하기 위한 설계기법을 연구하는 것이 본 과목의 목적이다. 본 과목은 도시공간에 있어서 건축, 도로, 가로, 공원, 광장, 도로 등을 기능적, 실용적, 미적인 측면에서 인간의 삶의 수준을 고양할 수 있도록 종합적으로 구성하는 능력을 기르고 나아가 공간계획에 대한 철학이 형성되도록 한다. |
15480 |
커뮤니티계획연구 |
단지보다 공간단위가 큰 커뮤니티의 계획방법을 연구하는 과목이다. 토지이용, 녹지공간, 도시경관, 동선, 공공시설, 공급처리체계, 일조.통풍.사생활권.공해 등과 같은 물리적 계획을 비롯하여 주민조직, 지역사회복지 등과 같은 사회계획의 수립 방법에 관한 고급수준의 이론을 연구한다. |
15481 |
가상계획연구 |
가상공간은 컴퓨터의 세계에서 컴퓨터를 둘러싼 사회를 설명하기 위하여 설정된 추상적인 공간을 의미한다. 본 과목은 이러한 컴퓨터의 가상공간에서 실제 도시를 시뮬레이션하여 도시, 단지, 지역계획을 수립하는 고급수준의 방법을 연구하는 과목이다. |
15491 |
주택및토지정책 |
우리나라의 주택 및 토지정책에 관해 연구하는 과목이다. 우리 나라의 주택 및 토지정책의 역사, 문제점, 개선하기 위한 방향 등을 다룬다. 특히 공원, 호수 등과 같은 자연자원에 대한 가치평가방법에 대한 이론적인 부분을 이와 관련된 여러 논문들을 통해서 검토한다. |
16841 |
*노인복지론특강 |
본 교과목에서는 노령화시대를 대비하여 노인복지의 중요성과 그 기법을 배우게 된다. 여기에는 노인복지의 개념, 노인복지의 유형, 노인복지의 역사, 노인복지의 전략, 노인복지의 과정 등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있다. |
16846 |
*지역사회복지론특강 |
지역사회실태 및 생활문제를 파악하고 지역사회복지의 실제과정을 이해한다. 그리고 사회개발, 사회계획, 사회행동 등의 지역사회조직의 모형을 이해하고 각종 지역사회 복지기관을 분석한다. 지역사회복지실천을 위한 사회복지사의 이해와 능력증진을 목적으로 하되 특히 지역사회노인보호에 초점을 둔다. 이를 위해 지역사회 노인보호의 개념 및 역사, 실천방법 및 실천과정 그리고 우리나라의 지역사회노인보호 실태 및 전망을 내용으로 한 학습이 이루어질 것이다. 나아가 지역사회의 복지를 증진시키기 위한 체계와 지역사회조직, 재가복지,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자원봉사, 지역사회 자원개발 등 지역사회복지 영역에서 가장 중시되는 분야의 지식과 실천방법을 학습하여 지역을 중심으로 지역사회복지계획을 수립하고 실천하는 능력을 배양한다. |
16847 |
*사회복지행정론특강 |
사회복지행정의 의의와 개념, 역사적 발달과정, 그리고 사회복지행정에서 다루어야 할 기획, 의사결정, 조직, 위원회와 이사회, 인사, 직원개발, 동기부여와 직무만족, 재정·의사전달, 슈퍼비젼과 컨설테이션, 협동심, 책임성과 평가, 지역사회관계 등의 분야들을 중심으로 사회복지행정의 과정과 기술을 사회복지행정의 실무에 원용하는 방안도 함께 연구한다. |
16852 |
평생교육학연구 |
평생교육에 관한 일반적인 내용을 익히는 과목이다. 여기에는 평생교육의 개념, 평생교육의 학문적 특성, 평생교육의 역사, 평싱교육의 유형, 평생교육의 절차, 평생교육관련법, 평생교육관련행정, 평생교육사례등이 포함되어 있다. |
16858 |
지역사회복지론연구 |
지역사회실태 및 생활문제를 파악하고 지역사회복지의 실제과정을 이해한다. 그리고 사회개발, 사회계획, 사회행동 등의 지역사회조직의 모형을 이해하고 각종 지역사회 복지기관을 분석한다. 지역사회복지실천을 위한 사회복지사의 이해와 능력증진을 목적으로 하되 특히 지역사회노인보호에 초점을 둔다. 이를 위해 지역사회 노인보호의 개념 및 역사, 실천방법 및 실천과정 그리고 우리나라의 지역사회노인보호 실태 및 전망을 내용으로 한 학습이 이루어질 것이다. 나아가 지역사회의 복지를 증진시키기 위한 체계와 지역사회조직, 재가복지,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자원봉사, 지역사회 자원개발 등 지역사회복지 영역에서 가장 중시되는 분야의 지식과 실천방법을 학습하여 지역을 중심으로 지역사회복지계획을 수립하고 실천하는 능력을 배양한다. |
16859 |
사회복지행정론연구 |
사회복지사로서 알아야 할 일반적인 사회복지 행정이론과 각국의 복지행정제도의 비교연구를 통해 사회복지행정의 전문적 실천능력을 배양하여 일선사회복지사로서 자질을 함양한다. 사회복지의 세 가지 영역(정책, 행정, 실천) 중에서 정책과 실천분야를 연결하는 행정을 다루는 것이다. 사회복지 서비스를 전달하는 과정에 대한 지식이 사회복지 전문직에 필요로 하다는 인식으로 인해 사회복지행정의 영역이 부각되게 되었다. 사회복지 서비스를 기획하고 집행하는 과정들에 대한 지식이 필요하며 그 결과, 현재 사회복지 행정의 영역은 사회복지학에서 급속히 확장되고 있다. |
16860 |
사회복지정책론연구 |
본 교과목에서는 사회복지에 관련된 제반 정책에 대하여 체계적으로 연구하게 된다. 여기에는 사회복지정책의 개념, 사회복지정책의 외국유형, 사회복지정책의 역사, 사회복지정책의 전략 등에 대해 익히게 된다. |
16864 |
사회복지실천론연구 |
사회복지실천의 기본철학과 역사, 가치를 습득하고 면접론, 관계론, 과정론, 사례관리들의 실천적인 이론을 파악하며 사회복지실천의 연구의 방법 및 실천의 효과에 대한 연구를 한다. |
17493 |
*사회복지법제특강 |
본 교과목에서는 사회복지에 관련된 각종 복지 관련법을 체계적으로 연구하게 된다. 여기에는 사회복지관련 헌법내용, 사회복지관련 국회법, 사회복지관련 대통령령 그리고 사회복지관련 각종 시행령이 포함되어 있다. |
17495 |
사회복지조사론연구 |
사회복지조사론 연구는 인간사회에 존재하는 사회복지문제를 탐색, 기술, 분석, 예측할 목적으로 체계적, 실증적 도구를 계획적으로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는 분석과학 방법을 공부하는 과목이다. 조사의 개념은 사회적 심리적 변수들의 존재와 분포 그리고 상호관계를 발견하기 위하여 크고 작은 모집단(population or universe)으로부터 표본을 추출하고 조사하여 모집단을 연구하는 것이다. 혹은 설문이나 면접 등의 체계적 도구로 개인 또는 조직체 혹은 지역사회등과 직접적 접촉을 통해 인간모집단(human population)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으로서, 인간의 행위를 기술, 예측 하거나 혹은 특정 변수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자료를 계획적으로 수집하는 방법의 한 형태이다. 사회복지조사의 목적은 다음과 같이 7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① 사회 내에 존재하는 특정 사회현상이나 문제를 탐색(exploration) ② 어떤 집단 내지는 사건 또는 현상을 기술(description) ③ 변수와 변수간의 인과관계를 설명(causal explanation) ④ 가설을 검증(hypothesis testing) ⑤ 미래의 사건에 대한 예측(prediction) ⑥ 사회복지 지표의 개발(developing indicator) ⑦ 평가(evaluation) |
17497 |
사회복지법제론연구 |
본 교과목에서는 사회복지에 관련된 각종 복지 관련법을 체계적으로 연구하게 된다. 여기에는 사회복지관련 헌법내용, 사회복지관련 국회법, 사회복지관련 대통령령 그리고 사회복지관련 각종 시행령이 포함되어 있다. |
17722 |
평생교육질적분석특강 |
이 교과목은 평생교육 현장에서의 다양한 평생교육 현상에 대한 질적인 분석을 학습하는 교과목이다. 이를 위하여 질적 분석 방법에 대한 이해, 질적 분석 연구계획의 수립, 자료수집과 분석 등 질적분석 연구를 전체적으로 기획하고 수행하는 것을 이해하는 내용으로 구성된다. |
17723 |
평생교육질적분석연구 |
이 교과목은 평생교육이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현상에 대한 질적인 분석을 목적으로 하는 교과목이다. 이를 위하여 평생교육 현장에 대한 이해, 평생교육 실천에 대한 이해, 평생교육 질적 분석 방법에 대한 이해, 평생교육 현장에 대한 연구계획의 수립과 연구실천 방법 등에 대하여 학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17724 |
성인학습특강 |
이 교과목은 성인학습자에 대한 연구와 성인학습이론에 대한 연구를 목적으로 하는 교과목이다. 성인학습자들의 학습현상을 분석하고 이를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17725 |
성인학습연구 |
이 교과목은 성학습자에 대한 연구, 성인학습이론에 대한 연구, 성인학습현상에 대한 연구를 주요 목적으로 하는 교과목이다. 특히 이 교과목은 성인학습자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성인학습현상의 심층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
17728 |
*인적자원개발특강 |
HRD 분야의 개론으로 조직 내 교육 훈련의 개발, 실행과정 및 평가 등을 종합적으로 다뤄보고자 한다. 이에 본 교과목은 평생교육적 관점에서 인적자원을 종합적으로 개발하고 활용하기 위한 이론적 바탕을 학습하며 이를 토대로 실제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는데 목표를 둔다. |
17730 |
사회복지조사론특강 |
사회복지조사론 특강은 사회복지연구의 기본 틀을 습득하여 학생들이 석사논문을 작성하는 기본 지식을 함양할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교과내용은 연역법과 귀납법의 차이를 습득한다. 연역법에 근거한 이론의 검증을 배우기위한 연구문제와 가설의 설정, 변수의 종류를 습득하며 실질적인 연구에의 적용을 습득한다. 변수의 측정방법 및 측정도구의 신뢰도, 타당도, 개념정의, 조작정의 및 샘플링과 서베이 방법 등에 대해 습득한다. 가설의 검증방법으로 간단한 t-test, 카이자승검증, one way ANOVA 등을 습득한다. |
17943 |
*도시재생론 |
도시재생특별법의 도입에 따라 도시인구와 산업의 쇠퇴를 극복하고 도시를 재활성화 시키는 이론과 방법론을 연구하는 과목임. |
17952 |
도시재생론연구 |
본 과목은 도시인구와 산업의 쇠퇴를 극복하고 도시를 재활성화 시키는 고급수준의 이론과 방법론을 연구하는 과목임. |
18083 |
사회과학연구 |
사회과학방법론을 배운 후 학생들은 어떻게 연구하는지에 대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게 된다. 사회과학방법론은 사회과학연구의 기본 틀을 습득하여 학생들이 박사논문을 작성하는 기본 지식을 함양할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교과내용은 연역법과 귀납법의 차이를 습득한다. 연역법에 근거한 이론의 검증을 배우기위한 연구문제와 가설의 설정, 변수의 종류를 습득하며 실질적인 연구에의 적용을 습득한다. 변수의 측정방법 및 측정도구의 신뢰도, 타당도, 개념정의, 조작정의 및 샘플링과 서베이 방법 등에 대해 습득한다. 가설의 검증방법으로 간단한 t-test, 카이자승검증, one way ANOVA 등을 습득한다. |
18084 |
계량분석연구방법 |
현대사회문제의 물량적 성격과 컴퓨터 이용을 전제한 통계적 지식의 성장이 이와 같은 결과를 낳고 있다. 따라서 이 강의에서는 통계적 분석의 기본개념, 구체적 기법의 종류와 사용방법, 그리고 이들의 한계 등에 대하여 강의, 학습한다. |
18085 |
평생교육학세미나 |
이 교과목은 평생교육학에 대한 이해를 목적으로 하는 교과목이다. 이를 위하여 평생교육 개념에 대한 이해, 평생교육의 철학, 평생교육 등장배경, 학교교육과 평생교육 차이에 대한 이해, 평생교육학의 연구내용과 연구과제, 평생교육학의 학문으로서의 과제에 대한 이해를 돕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
18086 |
*평생교육프로그램개발세미나 |
이 교과목은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이해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과정과 절차에 대한 이해, 실제로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분석, 교육내용의 설정, 교육내용의 계획과 교육실행, 교육성과 평과와 결과의 분석과 피드백을 중심으로 하는 내용으로 구성된다. |
18087 |
평생교육프로그램개발연구 |
이 교과목은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개발하는 능력을 기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기관 현황의 분석과 학습자의 학습요구에 대한 분석,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기획과 프로그램 목적의 설정, 프로그램 교육내용의 선정과 조직, 평생교육 실행 계획의 수립, 평생교육의 실행 결과의 평가와 개선 등의 내용으로 구성된다. |
18088 |
*평생교육실습세미나 |
이 교과목은 평생교육 현장에서 평생교육사를 대상으로 평생교육사가 수행해야 하는 직무 역량을 교육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교과목이다.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기획과 운영, 평생교육 행정에 대한 이해, 성인학습자의 관리, 평생교육 교수 업무등에 대하여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18089 |
평생교육실습연구 |
이 교과목은 평생교육사들이 현장에서 평생교육 업무를 성실히 수행 할 수 있도록 하는 평생교육사로서의 직무수행 능력을 함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교과목이다. 이를 위하여 평생교육 기관 현장에서의 실무를 중심으로 하는 수업을 진행하여 그들의 실제적 직무수행 역량을 높이는 교과목이다. |
18090 |
평생교육방법세미나 |
이 교과목은 평생교육 필드에 있어서 성인학습자들에 대한 교육방법에 대한 이해를 목적으로 하는 교과목이다. 구체적으로 성인학습자에 대한 이해, 다양한 평생교육방법에 대한 이해와 현장에서의 적용 방법에 대한 이해를 목적으로 하는 교과목이다. |
18091 |
평생교육방법연구 |
이 교과목은 평생교육 영역에서 이루어지는 평생교육 현장에서 성인학습자들을 효과적으로 교육하는 방법에 대한 이해를 목적으로 하는 교과목이다. 특히 다양한 평생교육 방법의 장단점에 대한 이해를 목적으로 하는 교과목이다. 즉, 평생교육 방법의 이론과 실천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18092 |
*평생교육경영론세미나 |
이 교과목은 경영학 이론 중 평생교육경영학 이론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평생교육기관의 경영의 과제와 과정, 평생교육기관 경영의 원리를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18093 |
평생교육경영론연구 |
이 교과목은 평생교육경영학 이론에 대한 이해를 목적으로 한다. 특히, 평생교육 경영학의 원리에 대한 이해, 평생교육 기관 경영의 과업과 과제에 대한 이해를 목적으로 한다. |
18094 |
도시계량분석론 |
본 과목은 방법론에 관한 이러한 기초적 지식, 그리고 이를 이전에 배운 GIS활용능력과 결합함으로써 도시계획에 있어 중급 수준의 정량적 분석을 할 수 있게 하는데 목표가 있다. |
18095 |
도시계량분석연구 |
도시계획에 사용되는 자료는 지리정보뿐만 아니라 속성정보도 존재하며, 이 속성정보를 다루기 위해서는 연구조사방법론, 통계학 등의 기초지식이 필요하다. 본 과목은 방법론에관한 이러한 기초적 지식, 그리고 이를 이전에 배운 GIS활용능력과 결합함으로써 도시계획에 있어 중급 수준의 정량적 분석을 할 수 있게 하는데 목표가 있다 |
18096 |
도시통계론 |
수업은 도시의 경제적 현상에 대해서 이론적으로 학습하고 이를 토대로 실증적으로 도시의 변화와 추세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18097 |
도시통계연구 |
수업은 도시의 경제적 현상에 대해서 이론적으로 학습하고 이를 토대로 실증적으로 도시의 변화와 추세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더 심화적으로 분석하여 연구하는것을 목표로 한다. |
18098 |
토지정보론 |
토지에 관한 정보의 구축방법과 관리방법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활용하는 분야와 방법론에 대해 탐구한다. |
18099 |
토지정보연구 |
토지에 관한 정보의 구축방법과 관리방법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활용하는 분야와 방법론에 대해 연구한다. |
10000 |
개별연구지도 |
학위논문의 작성을 위하여 지도교수의 지도하에 각 개인별 연구주제에 관하여 연구한다. |
COPYRIGHT(C) 2016 BY DAEGU UNIVERSIT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