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5. 10. 18. 컴퓨터정보공학과를 신설하였다. 학과에는 전산공학전공과 정보공학전공이 설치되어 있고, 석사과정은 통합 운영하며 박사과정은 전공별로 운영하고 있다. 현재 컴퓨터공학, 컴퓨터소프트웨어, 정보보호 분야를 축으로 컴퓨터 정보기술의 전 분야를 연구 및 교육하는 교수들과 대학원생들로 구성되어 있다.
교육목표
컴퓨터공학 및 소프트웨어 산업 기술 개발을 수행할 전문 연구인력 양성
컴퓨터 정보기술 기반구축을 위한 컴퓨터, 소프트웨어, 정보보호 핵심기술 개발인력 양성
컴퓨터 정보기술 전문가를 양성하여 지역사회 및 국가발전에 기여
교수명단
교수명
학위
전공
담당과목
강병도
이학박사
소프트웨어구조
프로그래밍언어특론
컴파일러구성특론
강신재
공학박사
자연어처리
자연언어처리특론 지능정보처리특론
김수연
공학박사
Technical MIS
시스템분석설계특론 정보자원관리론
김순철
공학박사
운영체제
운영체제특론 분산및병렬처리특론
김종완
공학박사
인공지능
인공지능특론
김지연
이학박사
사이버보안
정보보호특론
클라우드컴퓨팅특론
김창훈
공학박사
네트워크 보안
컴퓨터보안
남흥우
공학박사
컴퓨터 및 정보처리네트워크
머신러닝특론
이동통신네트워크특론
원희철
공학박사
모바일통신 이동통신
정보시스템특론
이미란
공학박사
인간컴퓨터상호작용
가상현실 및 메타버스
HCI특론
패턴인식특론
장중혁
공학박사
데이터공학 데이터베이스
전문가시스템특론 정보검색특론
진성근
공학박사
무선네트워크
시스템SW
최용호
이학박사
수치해석
알고리즘특론
컴퓨터암호특론
홍원기
공학박사
컴퓨터구조
컴퓨터구조론
임베디드시스템특론
★ 교과과정 및 교과목해설은 교육과정 변경에 따라 변동이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교과구분명
과목코드
과목명
이론시간
실기시간
학점
비고
연구
10000
개별연구지도
2
0
2
0
연구
10000
개별연구지도
1
0
1
0
전공
17066
HCI특론
3
0
3
0
전공
17084
데이터마이닝특론
3
0
3
0
전공
14392
데이터베이스론
3
0
3
박사보충
전공
11043
데이터베이스특론
3
0
3
0
전공
17071
멀티미디어시스템특론
3
0
3
0
전공
17073
분산및병렬처리특론
3
0
3
0
전공
17524
소프트웨어공학론
3
0
3
박사보충
전공
11046
소프트웨어공학특론
3
0
3
0
전공
17609
소프트웨어구조특론
3
0
3
0
전공
17069
소프트웨어품질보증특론
3
0
3
0
전공
10652
시스템분석설계특론
3
0
3
0
전공
17075
실시간처리시스템특론
3
0
3
0
전공
10959
알고리즘특론
3
0
3
0
전공
17525
운영체제론
3
0
3
박사보충
전공
17065
운영체제특론
3
0
3
0
전공
13574
의사결정지원시스템
3
0
3
0
전공
10731
인공지능특론
3
0
3
0
전공
17086
임베디드시스템특론
3
0
3
0
전공
17077
자연언어처리특론
3
0
3
0
전공
20187
확률및큐잉이론
3
0
3
0
전공
17079
정보검색특론
3
0
3
0
전공
17080
정보보호특론
3
0
3
0
전공
17526
정보시스템론
3
0
3
박사보충
전공
17081
정보시스템특론
3
0
3
0
전공
11086
정보자원관리론
3
0
3
0
전공
17082
지능정보처리특론
3
0
3
0
전공
20188
IoT특론
3
0
3
0
전공
13816
컴퓨터구조론
3
0
3
박사보충
전공
10734
컴퓨터구조특론
3
0
3
0
전공
10693
컴퓨터그래픽스특론
3
0
3
0
전공
10800
컴퓨터네트워크특론
3
0
3
0
전공
17083
컴퓨터보안특론
3
0
3
0
전공
11054
컴퓨터시스템성능평가
3
0
3
0
전공
17070
컴퓨터암호특론
3
0
3
0
전공
19701
클라우드컴퓨팅특론
3
0
3
0
전공
20189
AI융합사이버보안
3
0
3
0
전공
17523
프로그래밍언어론
3
0
3
박사보충
전공
10946
프로그래밍언어특론
3
0
3
0
전공
20190
디지털트윈보안시스템
3
0
3
0
전공
19981
머신러닝특론
3
0
3
0
전공
19982
이동통신네트워크특론
3
0
3
0
"박사보충" 표시된 과목
- 석사과정생이 수강할 경우, 전공과목으로 인정되며,
- 박사과정생이 수강할 경우, 보충과목으로 인정됨
★ 교과과정 및 교과목해설은 교육과정 변경에 따라 변동이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과목
코드
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교과목 한글개요
10000
개별연구지도
Research Works
학위논문의 작성을 위하여 지도교수의 지도하에 각 개인별 연구주제에 관하여 연구한다.
10000
개별연구지도
Research Works
학위논문의 작성을 위하여 지도교수의 지도하에 각 개인별 연구주제에 관하여 연구한다.
17066
HCI특론
Topics in Human Computer Interfaces
본 교과목에서는 인간과 컴퓨터간의 상호작용(HCI)과 그 응용에 관한 기본 개념을 소개한다. HCI는 여러 전문분야에 걸친 학문이므로, 관련 학문분야를 각각 소개한 후 그들이 어떻게 융합되는 가를 살펴본다. 이 과목의 목표는 미래의 인터페이스 디자이너가 될 학생들에게 중요한 관련 개념의 이해와 디자인에 관한 판단을 내리기 위한 전략 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17084
데이터마이닝특론
Topics in Data Mining
데이터마이닝은 방대한 양의 데이터 속에서 쉽게 드러나지 않는 유용한 정보를 찾아내는 과정이다. 특히 데이터간의 숨겨진 관계 또는 통계학적 방법을 통해 뽑아내기에는 너무나 복잡한 관계를 찾아내고, 이 관계를 바탕으로 미래를 예측하는 기술이다. 데이터마이닝은 데이터베이스, 통계학, 기계학습, 데이터 가시화 등 많은 분야에서 연구되고 있으며 유용한 기술들이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프로세스를 이루는 학문이다.
14392
데이터베이스론
Databases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이론적인 문제, 실현에 따른 문제들을 다룬다. 주요 주제로는 질의 최적화, 고장, 회복, 병행성 제어, 연역 데이터베이스, 객체지향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구조 등을 다룬다.
11043
데이터베이스특론
Topics in Databases
본 과목에서는 데이터베이스의 개념과 관계형, XML 데이터 설계, 질의언어, 스키마, 데이터베이스 튜닝,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디자인 등에 관해 배운다. 본 과목은 데이터베이스의 사용뿐 아니라 데이터베이스가 어떻게 작동되며, 어떻게 상호운용 되는지, 또 현재 연구가 되고 있는 이슈는 어떤 것이 있는지도 살펴본다.
17071
멀티미디어시스템특론
Topics in Multimedia Systems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설계에 따른 문제를 다룬다. 먼저 멀티미디어 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시스템구조(system architectures), 운영체제 및 서비스(operating system and services), 네트워크 통신, 정보시스템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설계 등에 관련된 기술을 습득한다. 다음으로 멀티미디어 서버 설계연구를 통하여 기술의 적용 방법 등에 대해서 배운다.
17073
분산및병렬처리특론
Topics in Distributed & Parallel Processing
병렬처리 컴퓨터 시스템의 원리 및 이와 관련된 제반 문제들(컴퓨터 구조, 운영체제, 상호연결, 네트워크 등)에 관해 토의하고, 분산 시스템에서 작업을 처리할 때 생겨나는 문제점의 해결방안 및 처리 방법 등을 소개한다.
17524
소프트웨어공학론
Software Engineering
컴퓨터시스템의 개발에서 유지.보수까지 전단계에 걸쳐 수반되는 기법 및 도구들에 관한 지식을 습득케 한다.
11046
소프트웨어공학특론
Software Engineering
소프트웨어개발계획수립, 소프트웨어개발기법 및 도구, 유지.보수, 시스템의 성능 측정기법들에 대한 고급 이론들을 연구한다.
17609
소프트웨어구조특론
Advanced Software Architectures
이 강좌는 소프트웨어 구조의 기본 개념을 소개한다. 소프트웨어 구조는 상세한 구현, 알고리즘, 자료표현과 달리 소프트웨어 시스템의 추상화된 관점이다. 소프트웨어 구조는 개발과 유지보수비용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17069
소프트웨어품질보증특론
Advanced Software Quality Assurance
소프트웨어 프로젝트는 적합한 생명주기에 따라 수행된다. 생명주기는 각 단계별로 정의된 개발행위들로 구성된다. 이 강좌는 개발 행위들의 품질 속성과 목적을 언급한다. 또한 프로젝트의 노력, 비용, 계획을 추정하는 도구를 소개한다.
10652
시스템분석설계특론
Advanced Systems Analysis & Design
정보시스템의 개발과 유지보수를 위한 시스템의 분석과 설계의 여러 기법들을 연구한다. 또한 최근 개발된 소프트웨어 개발과정을 관리하는 도구와 개발된 시스템의 평가기법 등을 포함된다.
17075
실시간처리시스템특론
Topics in Real Time Processing Systems
실시간 시스템이란 시스템의 정확성이 논리적이고 기능적인 특성과 더불어 시간적인 특성에 좌우되는 시스템을 말한다. 본 교과목에서는 이러한 실시간 시스템 구성을 위한 태스크 스케줄링, 프로그래밍 언어, 통신, 결함허용 등의 기법을 다룬다.
10959
알고리즘특론
Topics in Algorithms
계산 복잡도(computational complexity)를 고려한 효율적인 알고리즘의 설계 방법과 제시한 알고리즘의 정확도, 효율성을 검증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NP-Complete 이론에 대해 심도 있게 다룬다.
17525
운영체제론
Operating Systems
최근 운영체제의 스케줄링, 정보의 공유 및 보호, 장치 드라이버, 화일시스템과 I/O운영, 메모리 관리에 관련된 문제를 다룬다.
17065
운영체제특론
Topics in Operating Systems
운영체제의 프로세스구현, 동시성문제, 기억공간운영 및 스케줄링, 메모리와 프로세스의 구현에 관한 제반사항을 연구한다.
13574
의사결정지원시스템
Decision Support Systems
본 교과에서는 개인 및 그룹 DSS, EIS를 포함하는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의 이론적, 조직적 관점에서의 개요를 학습한다. 이를 위하여 DSS의 개념적 토대, 사례 예시, DSS 개발 방법, DSS 분야의 최신 토픽 등을 다룬다.
10731
인공지능특론
Advanced Artificial Intelligence
인공지능은 정보기술의 발달과 함께 사람들에게 커다란 흥미를 제공하는 분야이다. 본 강좌에서는 여러 가지 연구주제들 중에서도 특히 중요하거나 그 활용도가 높은 영역들, 즉 지식 표현과 논리, 문제해결, 탐색, 불확실성, 퍼지이론, 학습과 신경망, 시각, 에이전트 등에 관련된 기본 이론과 그의 응용이 깊이 있게 소개된다.
17086
임베디드시스템특론
Topics in Embedded Systems
본 과목에서는 임베디드 시스템과 관련한 최신 기술을 다룬다. 저전력, 실시간성, 보안성 등의 요구사항을 만족시키는 임베디드 시스템 설계 및 구현을 위한 체계적인 접근 방법과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적인 기법들을 습득한다.
17077
자연언어처리특론
Topics i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본 과목은 자연어처리(계산 언어학)에 관한 일반적인 개념들을 소개한다. 특히 말뭉치 기반의 언어학과 통계적 자연어처리에 중점을 둔다. Python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NLTK(Natural Language Toolkit)을 이용하여 자연어처리에 관한 프로그래밍 실습을 한다.
20187
확률 및 큐잉이론
Advanced Probability and Queueing Theory
본 과목에서는 확률모델, 랜덤변수에 대한 기초 강의, 그리고 마코브프로세스 등 확률과정의 수학적 정의 및 특성에 대해 학습한다. 아울러, 네트워크 분야의 다양한 응용을 위한 수학적 기반으로서 큐잉이론에 대해 학습한다.
17079
정보검색특론
Topics in Information Retrieval
정보검색 시스템구성을 위한 시스템의 설계, 구성 및 검색기법을 연구하며 한편 인터넷정보통신을 통한 검색시스템을 연구, 그 응용을 배운다.
17080
정보보호특론
Topics in Information Security
데이터 및 시스템의 천재지변이나 고의로 인한 장애를 보호하기 위해서 보안관리, 암호화기법, 컴퓨터 네트워크 보안등에 대해 연구한다.
17526
정보시스템론
Information Systems
다양한 정보시스템을 분석, 설계, 평가할 수 있는 능력을 습득하게 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정보시스템 환경을 이해하고 정보시스템의 이론 및 분석 방법을 학습하며 정보시스템의 다양한 평가방법을 익힌다.
17081
정보시스템특론
Topics in Information Systems
모든 단계의 관리층의 사무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 오프라인, 온라인, 온라인 실시간, 시분할, 의사결정 지원시스템 분산자료 처리 등을 연구한다.
11086
정보자원관리론
Information Resources Management
정보시스템을 설계, 구현, 운영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자원을 관리하기 위한 이론과 기법들을 학습한다. 정보자원관리는 경영정보시스템, 데이터베이스, 업무시스템 설계, 정보시스템 활용, 시스템 통합 등의 내용을 다룬다.
17082
지능정보처리특론
Topics in Intelligent Information Processing
지능형 정보처리는 정보기술의 발달과 함께 사람들에게 중요해지는 분야이다. 지능 정보처리에서는 인공지능을 외부 환경을 인지하고 행동을 수행하는 에이전트에 관한 연구로 파악하기 때문에, 지능형 에이전트에 관해서 중점적으로 학습한다. 또한 인터넷의 확산에 따른 최신 주제로 떠오른 시맨틱 웹에 관한 내용도 다룬다.
20188
IOT특론
Advanced IoT
본 과목에서는 IoT의 기반이 되는 센서 네트워크 프로토콜에 대하여 학습하고, 특히 에너지 절감 라우팅, 보안 기술, Sink 이동성 기술 등에 대하여 학습한다. 아울러, 네트워크 분야의 다양한 응용을 위한 저전력 통신 기술로서 NB-IoT 및 LTE-M에 대해 학습한다.
13816
컴퓨터구조론
Advanced Computer Architectures
고성능 컴퓨터 시스템의 구조에 대해서 배운다. 특히 프로세서 및 메모리의 계층구조 캐시 및 공유 메모리시스템(cache and share memory), 파이프라인 및 벡터 프로세서(pipeline and vector processor) 등에 대해서 배우고 어레이 프로세서 및 다중 프로세서와 같은 병렬 컴퓨터의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정보처리 기법을 습득한다.
10734
컴퓨터구조특론
Advanced Computer Architectures
고성능 컴퓨터시스템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러한 시스템에 관련된 사항을 중심으로 연구한다. 먼저 고성능 컴퓨터 시스템 구성을 위한 프로세서 설계 기법, 메모리 시스템의 구조 및 입출력 장치의 설계에 대한 이론을 습득한다. 또한, 파이프라인 이론, 명령어 수준에서의 병렬화 기법, 벡터 프로세서, 다중 프로세서, RISC 구조 및 상호연결망에 대해서 배운다.
10693
컴퓨터그래픽스특론
Topics in Computer Graphics
2차원 및 3차원 그래픽 구현, 3차원 음영 및 랜더링, 프랙탈 그래픽, 영아의 재구성, 객체지향 그래픽스 및 가상현실 모델링 등을 배우고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구축의 접근방법도 다룬다.
10800
컴퓨터네트워크특론
Advanced Computer Networks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7 계층을 중심으로 컴퓨터 네트워크의 구조와 각 계층의 동작 원리 및 특징을 살펴본다. 이와 함께 각 계층에서 사용되는 여러 가지 통신이론 및 적용 사례를 살펴보고 이들의 장단점을 비교 분석한다.
17083
컴퓨터보안특론
Topics in Computer Security
데이터 및 시스템을 고의적 혹은 실수에 의한 노출, 변조, 파괴 및 지체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보안관리, 응용시스템보안, 데이터베이스 보안, 컴퓨터보안, 네트워크보안 등을 연구한다.
11054
컴퓨터시스템성능평가
Computer Systems Performance Evaluation
컴퓨터시스템을 통계적 방법으로 분석하는 것으로, 확률모델, 큐잉이론, 추정과정, 운용과정의 비교, 표준상수 분석기법 원리로 성능을 평가하여 운영 조직 및 설계에 반영하도록 연구한다.
17070
컴퓨터암호특론
Topics in Computer Cryptology
정보의 보호 필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정보보호수단인 암호화 시스템과 키인관리 시스템 등 암호학에 관한 이론과 실제적용 등을 연구하여 보안체제를 유지하도록 하는데 있다.
19701
클라우드컴퓨터개론
cloud computing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의 성장과 함께 다양한 클라우드 컴퓨팅 관리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 관리 기술은 대규모의 서버 컴퓨터를 활용하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많은 가상머신과 응용 프로그램을 배포하고 수거하는 동작을 최적화된 운용환경을 고려하여 자동화한다. 클라우드 컴퓨팅에 관련된 최신 기술을 논문연구를 통하여 조사하고 성능 향상 방법을 제안 할 수 있도록 연구 능력을 기른다.
20189
AI융합사이버보안
Convergence of AI and Cybersecurity
본 과목은 사이버보안과 인공지능 분야가 융합된 교과목으로서 악성코드, 네트워크 침입 등 사이버 공격 탐지에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사이버 공격 데이터셋을 수집 및 처리하기 위한 사이버보안 지식과 머신러닝 활용 능력을 함께 함양할 수 있다.
17523
프로그래밍언어론
Programming Languages
이 과목에서는 현대 프로그래밍 언어의 설계, 정의, 구현, 사용 등에 관한 여러 가지 개념을 심도있게 다룬다. 문법과 의미를 정의하는 형식접근법이 프로그래밍 언어의 기본 개념을 기술하는 데 사용된다. 전통적, 함수적, 논리적, 병행 프로그램 패러다임 등을 모두 다룬다. 학생들은 특히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인터넷 응용을 지원하기 위한 플랫폼 독립적인 JAVA 언어를 실습한다.
10946
프로그래밍언어특론
Topics in Programming Languages
현대 프로그래밍 언어들의 설계, 정의, 구현 그리고 사용에 배경이 되는 개념들을 깊이 있게 다룬다. 프로그래밍 언어의 기본적인 개념들을 기술하는데 구문과 의미를 정의하는 형식 접근법들이 사용되고 있다. 순서형, 함수형, 객체지향형 프로그래밍을 포함한 다양한 패러다임을 학습한다. 특히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인터넷응용을 지원하는 플랫폼 독립 언어인 자바를 대상으로 실습도 병행한다.
20190
디지털트윈보안시스템
Digital Twin for Cybersecurity System
본 과목은 사이버보안과 디지털트윈 분야가 융합된 교과목으로서 사이버보안 솔루션 개발을 위해 디지털트윈을 활용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사물인터넷, 자율주행차, 주요기반시설 등 물리 시스템에 발생하는 사이버 공격을 디지털트윈 모델로 개발하기 위해 DEVS(Discrete EVent system Specification) 형식론을 학습하고, 물리 시스템과 실시간 상호작용을 통해 공격을 탐지하는 디지털트윈 솔루션을 개발한다.
19981
머신러닝특론
Advanced Machine Learning
머신러닝은 데이터로부터 숨겨져 있는 규칙을 찾아내는 방법을 연구하는 분야이다. 본 과목에서는 머신러닝의 분류, 모델훈련, 서포트 벡터 머신, 결정트리, 랜덤 포레스트, 신경망의 개념들을 배우고, 이를 모델링하여 실제 문제에 응용해 본다.
19982
이동통신네트워크특론
Advance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이동통신네트워크는 5G을 넘어서 6G/7G가 연구되고 있는 분야이다. 본 과목에서는 LTE, 5G/B5G 분야에 대한 MAC 계층, 신호 계층, 트래픽 전송 계층, 액세스 네트워크, 코어 네트워크 기술을 학습하고 이를 연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