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계약학과 스마트융합시스템공학과는 4차 산업혁명시대 맞춤형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2020년 3월에 석사과정을 설치하여 현재 7명의 석사학위를 배출하고, 현재 22명이 수학 중에 있다.
나. 교육목표
- 창의적 실무능력을 갖춘 스마트융합시스템 전문가 양성
- 스마트융합시스템공학 분야 종합지식을 갖춘 IT융합 전문 기술 인력 양성
- 컴퓨터/IT, 산업경영, 창의혁신 등의 특화된 융합 교육 과정을 통해 산업체에서 소통 능력이 원활한 공학인 양성
다. 교수명단
교수명
학위
전공
담당과목
정규만
공학박사
멀티미디어공학
디지털영상처리
류정탁
공학박사
전자공학
센서공학
문병현
공학박사
통신공학
정보통신개론
박세현
공학박사
멀티미디어공학
디지털영상처리
이동화
공학박사
시스템공학
자동화시스템
오유수
공학박사
HCI
인공지능
과목명
실험계획법
과목해설내용
산업정책 개발 또는 기술개발을 위해 다양한 실험을 통해 가설에 대한 검증을 실행합니다. 효율적으로 실험을 계획하고, 결과를 통계적으로 처리, 분석하는 것은 과학적 접근의 기본적이며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본 과목에서는 합리적인 실험의 계획과 실행, 정확한 결과처리 및 분석, 결과의 다양한 표현을 위한 제반 방법론과 응용을 다룹니다. 데이터 정리, 분포함수, 추정과 검정 등 기초적인 통계처리방법과 1원배치법, 2원배치법, 요인배치법, 직교배열법 등의 실험계획 및 분석 방법을 학습하며, MINITAB 통계분석 패키지들을 이용하여 위의 방법들을 활용합니다.
과목명
계측및신호처리
과목해설내용
최신 센서기술에 기반한 계측 신기술, 시스템 기술분야의 사례를 통하여 궁극적으로 단위 자동화 기술과 더불어 생산 품질 관리 및 대형기기 구조물의 보전 기술 기법을 연구한다.
과목명
메카트로닉스응용
과목해설내용
컴퓨터, 기계, 전기, 전자에 관한 지식을 종합하여 목적하는 바에 적합한 메카트로닉스 시스템을 디자인하고 이를 실현하는 방법을 연구한다. 다양한 시스템들 중 대상 시스템은 자동화시스템, 로봇시스템, 의료 시스템, 센서 시스템, 제어 시스템 등 수강자의 관심 영역에서 선택한다. 기본적으로 마이크로 프로세서, 구동부, 센서부, 기구부로 구성된 시스템이 지능에 의해 센서 신호를 해석하여 자율적으로 판단하여 구동부를 이용하여 기구부를 동작시키게 한다. 이 과목의 수강을 통하여 수강자는 시스템을 설계하고 해석하며, 가능하면 이를 실제로 구현한다.
과목명
지능형차량
과목해설내용
본 과목에서는 전기동력을 이용하여 구동되는 전기자동차(하이브리드 전기차, 플러그인하이브리드 전기차, 전기차, 수소연료전지차)의 기본 구조 및 동작원리를 학습하고, 전기자동차의 핵심적인 부품 및 주요 기술인 전동기, 전동기구동 인버터, 충전시스템, 전력계통연계, EMI/EMC 등의 기능 및 시스템 구성을 종합적으로 다룬다.
과목명
논문작성법
과목해설내용
좋은 연구논문을 작성하기 위해 알아야 할 필수요소들을 가르친다. 그 요소들은 대학원 학위 과정에 대한 올바른 이해, 좋은 연구를 하는 법, 좋은 발표를 하는법, 메모하는법, 연구논문 작성법, 특허 작성법, 기술적인 글 쓰는법, 논문 작성법, 사례조사 등을 포함한다.
과목명
영상처리알고리즘
과목해설내용
디지탈 영상신호의 획득, 처리, 출력 및 응용에 관계되는 제반 기초지식을 얻기 위하여 영상신호의 수학적 모델링, 샘플링, 공간 및 시간해상도, 인간 시각체계, 양자화 이론, 2차원 신호처리기초, 이차원변환, 주파수 분석기법, 필터링, 화질향상, 컬러공간 및 컬러변환, 컬러처리, 압축 및 복원기술을 소개하고, 이러한 기술들이 어떻게 사용되는 가를 다양한 실제 예들의 분석을 통해 학습한다.
과목명
로봇공학특론
과목해설내용
자율 이동 로봇은 인공 지능 이론을 가장 잘 적용하여 연구할 수 있는 대상 시스템의 하나이다. 본 과목에서는 이동 로봇이 지능을 가지고 센서 신호를 해석하고 이로부터 자율적으로 판단하여 스스로 적합한 동작을 결정하여 주어진 작업을 실현하는 방법에 관하여 학습하고 연구한다. 먼저 인공지능에 대하여 간단히 소개한다. 그리고 센서 신호를 해석하여 정보를 알아내는 방법, 주어진 목표 작업과 센서 정보를 이용하여 동작 계획을 하는 방법, 항법, 장애물 회피 등에 관하여 공부한다. 그리고 실제 실험을 통하여 기존의 기법들을 분석하고 좀 더 효율적인 방법들을 제안한다. 이를 통하여 이론과 실험이 융합된 실현 가능한 인공 지능에 관하여 공부한다.
과목명
산학프로젝트
과목해설내용
산업체에서 요구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산업체와 학교가 공동으로 진행하는 프로젝트로 현장실무형 전문인력으로 양성될 수 있도록 학습을 구성한다.
과목명
제어공학특론
과목해설내용
제어시스템 설계의 기준이 되는 평가함수을 제시하고 주어진 평가함수를 최소화하는 제어기를 구하는 방법을 강의한다. dynamic programmin, 변분법, Euler-Lagrange 식, Hamilton-Jacobi- Bellman 식, maximum principle등을 내용을 다룬다.
과목명
수치해석및모델링
과목해설내용
전자장(Electromagnetic field)을 수치해석적인 방법 특히 유한요소법(FEM)을 이용하여 계산하는 이론, 알고리즘에 대하여 다룬다. Variational method, Dirichlet, Neumann 경계조건, Rayleigh-Ritz method, Garlerkin`s method 등의 기초이론을 survey 하고, 유한요소, 이산화, 어셈블리 프로세스등을 다룬다. 이것을 토대로하여 정전장 및 정자장 해석이론을 정식화하고 상용화된 유한요소 패키지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 형상에서의 전기장, 자기장을 해석한다.
과목명
선형제어시스템
과목해설내용
연속시간 및 이산시간 선형시스템의 해석방법을 고찰한다. 컨벌루션, 동적 방정식의 해, 변환식, 그리고 선형대수에 대한 고찰을 한다. 상태공간상에서 시스템 기술에 중점을 둔다. 선형공간, 상태변수의 개념, 모드, 제어성, 관측성, 상태전이행렬, 상태궤환제어, 보상기 설계, 디커플링 등을 다룬다.
과목명
영상신호처리특론
과목해설내용
본 과목은 멀티미디어 특히 이미지, 동영상통신 및 여러 네트워크상에서 미디어 전송시 고려해야 할 영상 처리 및 영상 전송 기술에 대한 이론적 기초와 실제적 응용을 심도 있게 논의한다. 영상신호의 특성과 처리 이론, 동영상 코딩 이론 및 H.26x, MPEG-1/2/4 표준압축 기법, 영상통신 관련된 계층적 영상코딩, 전송 오류제어 기법, IP망상의 RTP/RTCP등의 스트리밍 통신프로토콜 기법들을 심도있게 다룬다.
과목명
자동화시스템특론
과목해설내용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전력시스템의 운용도 자유경쟁 체제의 전력시장이 형성되어 전기에너지의 거래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자동화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적응할 전력산업의 구조개편이 우리나라에서도 활발히 추진되고 있어 향후 정보통신 기술을 겸비한 전력계통운용을 위한 고급전문인력의 수요가 급증할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전문인력이 갖추어야 할 전력계통의 운용을 위한 자동화기술의 기초를 강의한다. 특히 경제적 전력계통의 운용과 다양한 최적조류계산 기법을 포함한 전기에너지의 자유경쟁시장에서 활용될 소프트웨어의 종류, 특성, 및 개발기법을 다룬다.
과목명
인공지능SW
과목해설내용
인공지능의 지식표현 기법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모델의 구조 표현과 모델 구성과 관리에 적용하고 전문가 시스템의 추론 방법을 이용하여 모델의 복잡한 상태 변이와 시뮬레이션 모델만으로 표현하고 해결할 수 없는 모델을 전문가 시스템을 시뮬레이션 모델 내에 삽입하여 구성한다.
과목명
현장프로젝트1
과목해설내용
본 과목은 재직자들이 현장에서 생기는 문제를 파악하는 능력을 키우는데 그 목표를 두고 있다. 현장에서 발생한 문제를 파악함으로써, 향후 연관된 과목에서 문제를 해결하는 기법을 배우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과목명
현장프로젝트2
과목해설내용
본 과목은 재직자들이 현장에서 생기는 문제를 파악하는 능력을 키우는데 그 목표를 두고 있다. 현장에서 발생한 문제를 파악함으로써, 향후 연관된 과목에서 문제를 해결하는 기법을 배우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과목명
인간과컴퓨터상호작용
과목해설내용
본 교과목은 인간과 컴퓨터 상호작용의 개념과 특징을 이해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 래피드 프로토타이핑, 멀티모달 인터페이스, 인공지능 상호작용 기법을 학습한다.
과목명
모바일앱프로그래밍
과목해설내용
본 교과목은 모바일 OS인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앱 개발 방법을 학습한다. 다양한 모바일 플랫폼의 특징을 이해하고 모바일 응용 프로그래밍 기법을 학습한다. 특히, 블록 코딩을 이용한 앱 개발 프로젝트 과제를 수행한다.
과목명
IoT프로젝트개발
과목해설내용
본 교과목은 아두이노를 이용하여 IoT 프로젝트를 개발하는 Project-Based Learning(PBL) 실습 과목이다. 학생들은 다양한 센서들과 아두이노를 연동하여 프로젝트를 개발하는 방법을 학습하고 프로젝트 개발 과제를 수행한다.
과목명
지능형센서융합시스템
과목해설내용
본 교과목은 다양한 지능형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센서 및 센서간 융합에 대해 다룬다. 세부적으로 지능형 센서의 하드웨어 및 센서의 특징과 이를 통한 인지 및 위치인식 알고리즘, 인공지능 응용, 하드웨어 플랫폼, 이종 센서간의 다양한 융합 알고리즘 기술 등의 내용으로 구성된다.
과목명
딥러닝특론
과목해설내용
본 교과목은 딥러닝 알고리즘의 구현을 위한 딥러닝 프레임워크의 설계에 대해 다룬다. 세부적으로 먼저 파이썬 기반의 프레임워크 및 C/C++ 기반의 프레임워크를 알아보고, 다양한 하드웨어 상에서의 프레임워크 설계를 통한 알고리즘 수행 및 로봇/자율주행 응용 등의 내용을 다룬다.
과목명
그래픽스특론
과목해설내용
컴퓨터 그래픽스 이론의 기본 연구 분야인 모델링, 렌더링, 애니메이션의 연구결과들에 대해 소개하고, 표준 그래픽스 파이프라인의 기본 구조가 게임엔진에서 어떻게 구현되어 활용되고 있는지를 학습한다. 다양한 그래픽 응용 소프트웨어들이 제공하는 기능들이 어떠한 이론을 기반으로 설계되었는지를 이해함으로써 관련 소프트웨어, 특히 게임엔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과목명
시스템모델링과시뮬레이션
과목해설내용
시스템 모델링 시뮬레이션은 대상이 되는 실세계 시스템의 동작 검증, 성능 분석과 운용 최적화에 사용되는 도구입니다. 본 교과목은 시뮬레이션 대상 시스템의 분류, 모델링의 기본 개념 및 모델 표현 방법, 시뮬레이션 알고리즘, 그리고 시뮬레이션 결과의 통계적 분석 등 모델링 시뮬레이션 전체 수명주기에 걸친 주요 이론들을 다룹니다.
과목명
신산업융합과기업가정신
과목해설내용
산업융합은 새로운 제품과 시장, 서비스를 창출하여 산업의 패러다임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는 글로벌 트랜드이다. 신산업융합론 과목에서는 창의적 산업융합 정책 발굴 및 지원, 산업융합 신시장창출 및 역량 강화 방안, 산업융합 촉진을 위한 정보제공 및 기반조성, 산업융합 선도기업 및 품목에 관한 사례연구, 산업융합 문화확산 및 산학연 연계를 통한 성과창출, 산업융합촉진법을 통한 본원적인 규제혁신 등을 다룬다. 주로 신산업융합정책 및 사례연구 중심으로 진행한다.
과목명
스마트융합특론
과목해설내용
본 과목에서는 스마트 융합 전자기기 개발 현황에 대해 공부하고 최신 기술 동향을 소개함으로써 향후 관련 연구에 대한 기초 자료 조사 방법을 배운다.
과목명
인공지능응용특론
과목해설내용
본 과목에서는 인공지능 기술의 기초 이론 및 응용을 학습하며,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응용 사례를 통하여 인공지능의 기본 개념 및 산업적인 유용성을 학습한다.
과목명
스마트영상미디어특론
과목해설내용
본 과목에서는 스마트 영상 미디어를 위한 기초 이론을 학습하며, 주로 Bayesian 추정, ML(maximum likelihood), PCA(principal component analysis) 등의 통계적 영상처리 기법을 소개한다.
⊙ 통합교과과정
'*'표시과목:석사과정생이 수강할 경우 공통 또는 전공과목으로 인정되며,박사과정생이 수강할 경우 보충과목으로 인정됨
전공과목
과목코드
과 목 명
이론시간
실기시간
학점
비고
10000
개별연구지도(Research Works)
1
0
1
10720
컴퓨터비전(Computer Vision)
3
0
3
10725
디지털제어(Digital Control)
0
3
3
10730
센서시스템설계(Sensor System Design)
3
0
3
11051
인간컴퓨터상호작용(Human Computer Interaction)
3
0
3
11241
통계적분석방법론(Statistical Decision Analysis)
3
0
3
11276
세미나(Seminar)
3
0
3
11548
실험계획법(Design of Experiments)
3
0
3
15599
계측및신호처리(Measurements and Signal Processing)
3
0
3
15611
메카트로닉스응용(Mechatronics Applications)
3
0
3
15625
지능형차량(Intelligent Vehicles)
3
0
3
16934
논문작성법(Writing Thesis)
2
0
2
17094
영상처리알고리즘(Image Processing Algorithm)
3
0
3
18255
로봇공학특론(Advanced Robotics)
3
0
3
19280
산학프로젝트(Industrial Project)
3
0
3
19813
제어공학특론(Advanced Control Engineering)
3
0
3
19814
수치해석및모델링(Numerical Analysis and Modeling)
3
0
3
19815
선형제어시스템(Linear Control System)
3
0
3
19816
영상신호처리특론(Advanced Image Processing)
3
0
3
19817
자동화시스템특론(Advanced Automation System)
3
0
3
19818
인공지능SW(Artificial Intelligence SW)
3
0
3
19822
현장프로젝트1(Field Project 1)
0
1
1
19823
현장프로젝트2(Field Project2)
0
1
1
19891
인간과컴퓨터상호작용(Human Computer Interaction)
3
0
3
19892
모바일앱프로그래밍(Mobile App Programming)
3
0
3
19893
IoT프로젝트개발(IoT Project Development)
3
0
3
19894
지능형센서융합시스템(Intelligent Sensor Fusion System)
3
0
3
19895
딥러닝특론(Advanced Deep Learning)
3
0
3
19896
그래픽스특론(Advanced Computer Graphics)
3
0
3
19958
시스템모델링과시뮬레이션(System Modeling and Simulation)
3
0
3
19960
신산업융합과기업가정신(New Industrial Convergence and Entrepreneurshi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