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지리적 현상들과 이론들에 관한 경험적 및 개념적 탐구를 통한 지리적 지식의 심화
⦁ 정보화·세계화과정에 따른 현실 변화과정을 지리학적으로 파악하고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의 배양
⦁ 지리적 현상들의 분석 및 정책입안 능력의 함양으로 지리관련 분야에 진출할 수 있는 지리학자 양성
교수명단
교수명
학위
전공
담당과목
최병두
문학박사
경제·정치지리학
사회지리학연구 정치지리학연구
손명원
문학박사
자연지리학(지형학)
지형학세미나 자연지리학세미나
임석희
문학박사
도시지리학
도시체계론 지역개발론 세계도시론
오정준
교육학박사
지리교육학 관광지리학
지리학사연구 문화지리학연구
이영아
철학박사
인문지리학
도시계획론
★ 교과과정 및 교과목해설은 교육과정 변경에 따라 변동이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교과구분명
과목코드
과목명
이론시간
실기시간
학점
비고
연구
10000
개별연구지도
1
0
1
0
전공
16284
경관생태학
3
0
3
0
전공
15500
경제지리학연구
3
0
3
0
전공
15637
공간정치경제학
3
0
3
0
전공
18391
관광지리학연구
3
0
3
0
전공
18392
관광환경론
3
0
3
0
전공
16278
교통지리학
3
0
3
0
전공
15643
구조지형학
3
0
3
0
전공
15513
기후지형학
3
0
3
0
전공
16281
기후환경론
3
0
3
0
전공
15638
도시경제지리학
3
0
3
0
전공
11177
도시계획론
3
0
3
0
전공
17945
도시관리론
3
0
3
0
전공
15639
도시사회지리학
3
0
3
0
전공
15501
도시지리학연구
3
0
3
0
전공
13108
도시체계론
3
0
3
0
전공
16285
동기후학
3
0
3
0
전공
15646
동양환경윤리론
3
0
3
0
전공
15510
문화지리학연구
3
0
3
0
전공
15502
사회지리학연구
3
0
3
0
전공
15506
산업입지론연구
3
0
3
0
전공
16282
생태지리학
3
0
3
0
전공
15654
세계도시론
3
0
3
0
전공
15512
세계지역구조연구
3
0
3
0
전공
16286
습지학
3
0
3
0
전공
15509
역사지리학연구
3
0
3
0
전공
15507
인구지리학연구
3
0
3
0
전공
16277
인문지리학세미나
3
0
3
0
전공
16276
자연지리학세미나
3
0
3
0
전공
16279
정보도시론
3
0
3
0
전공
15508
정치지리학연구
3
0
3
0
전공
16275
지리자료분석기법
3
0
3
0
전공
15505
지리정보시스템세미나
3
0
3
0
전공
16274
지리철학및방법론
3
0
3
0
전공
15497
지리학방법론
3
0
3
0
전공
15496
지리학사연구
3
0
3
0
전공
11417
지역개발론
3
0
3
0
전공
11360
지역연구방법론
3
0
3
0
전공
15498
지형학세미나
3
0
3
0
전공
15651
토지이용론
3
0
3
0
전공
15644
하천지형학
3
0
3
0
전공
16280
한국전통지리학
3
0
3
0
전공
15511
한국지리연구
3
0
3
0
전공
16283
한국지형연구
3
0
3
0
전공
15655
해외지역연구
3
0
3
0
전공
15499
환경지리학연구
3
0
3
0
"박사보충" 표시된 과목
- 석사과정생이 수강할 경우, 전공과목으로 인정되며,
- 박사과정생이 수강할 경우, 보충과목으로 인정됨
★ 교과과정 및 교과목해설은 교육과정 변경에 따라 변동이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과목코드
과목명
교과목영문명
교과목한글개요
10000
개별연구지도
Research Works
학위논문의 작성을 위하여 지도교수의 지도하에 각 개인별 연구주제에 관하여 연구한다.
16284
경관생태학
Landscape Ecology
경관을 구성하는 다양한 자연환경적 요소들을 분석하고, 이들 요소들이 상호 유기적 관계를 맺고 있는 방식과 발달과정을 이해하여 경관의 보전대책을 모색한다.
15500
경제지리학연구
Studies in Economic Geography
경제활동의 공간조직과 구조를 밝히고 지역적인 전개과정을 분석.이해하기 위한 과목이다. 세계경제의 차원에서 경제활동의 공간조직과 그 변화요인을 분석하고, 한국경제의 차원에서 경제활동의 지역적인 변화와 그 요인을 심층분석한다. 강의 및 토론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세계공간경제의 조직과 그 변화를 분석하고 이해한다. 둘째, 경제구조재편과 지역경제 변화과정을 분석한다. 셋째, 정보화, 기술변화, 국제화에 따른 산업구조변화, 공간조직과 구조의 변화를 분석하고 이해한다. 넷째, 정보서비스, 금융, 사업서비스 등 주요 생산자서비스, 해외직접투자, 첨단기술산업 등 특정 경제활동을 사례로 지역적, 세계적 전개과정을 심층분석하여 이들활동의 입지요인, 지역발전과 관계, 입지정책 등을 종합적으로 이해한다.
15637
공간정치경제학
Political Economy of Space
공간에 관한 정치경제학적 접근을 통해, 공간상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다양한 활동들을 이해하고자 한다. 정치경제적학적 접근방법의 변화과정과 최근 다양화되고 있는 세부 이론이나 모형들을 검토하고, 이를 적용한 지역 불균등발전론, 노동의 공간적 분업, 신산업지구 등에 관해 논의하고 또한 도시내부에서 발생하는 주거지분화, 지대문제, 교통 및 정보통신 문제들에 관해서도 정치경제학적으로 분석한다.
18391
관광지리학연구
Studies in tourism geography
18392
관광환경론
Theories of Tourism Environment
16278
교통지리학
Transportation Geography
대학원 석사과정과 박사과정생을 대상한 교과목으로, 지역과 도시의 교통 현상에 관한 연구 수행 능력을 기르는 것을 목표한다. 교수 내용은, 교통 현상의 지리적 범위에 따라 지역 교통과 도시 교통으로 나누고, 1) 지역 교통 부문에서는 교통망 분석법, 공간적 상호작용 및 입지-배분모형, 2) 도시 교통 분야세서는 교통과 도시 발달, 통행 형태, 교통과 도시 환경 문제, 도시 교통정책 등의 주제를 중심으로 구성되며, 3) 이 밖에 교통과 정보통신의 주제도 심층 연구한다. 수업은 선행 연구와 방법론에 대한 발표와 토론을 위주로 진행되며, 필요시 답사를 실시한다.
15643
구조지형학
Structural Geomorohology
지형의 골격을 이루는 지질구조와 그에 따른 대지형의 형성작용을 다룬다. 특히 판구조론과 조산운동, 대륙 대지의 습곡과 단층작용에 의해 형성된 지형 발달을 이해한다.
15513
기후지형학
Climatic Geomorphology
특정한 지형 생성지역의 기후적 특징을 이해하고 각 지형생성 지역에서 이루어지는 지형생성과정과 지형적 특성을 고찰하고 분석한다.
16281
기후환경론
Theories of Climatic Environment
기후는 지형 및 토양의 형성과 생물들의 진화 및 분포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기후의 분포와 특성을 이해하고 인간생활에 대한 영향을 살펴본다.
15638
도시경제지리학
Urban Economic Geography
도시지역내에서 이루어지는 경제활동의 입지와 그 변화에 대한 종합적 분석을통해 도시의 경제공간구조를 이해토록 하는 교과목이다. 주요 연구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도시지역 내에서 경제활동의 입지유형과 그 변화를 분석하여 도시공간구조의 형성과 변화를 이해한다. 둘째, 도시의 탈산업화에 따라 급성장하는 서비스업의 특성과 공간조직을 탐구한다. 셋째, 대도시지역내 지역노동시장과 공간분업의 특성과 변화를 분석한다. 넷째, 혁신환경, 생산네트워크, 집적경제 등의 도시경제이론을 탐구하고 도시구조의 변화와 경제활동의 공간조직 및 변화를 이해한다. 다섯째, 지속가능한 도시경제발전을 위한 방향을 종합적으로 탐구한다.
11177
도시계획론
Urban Planning Theory
도시의 발전 및 개발과 관련된 도시계획에 관하여 다양한 이론적 또는 개념적 주장들을 이해하고, 실제 도시계획이 이루어지는 과정 및 구체적 내용들을 살펴본다.
17945
도시관리론
Urban Management
15639
도시사회지리학
Urban Social Geography
도시라는 공간상에서 발생하는 사회현상을 분석하는 데 일차적인 목적이 주어진다. 여기서는 특히 도시내에서 행해지는 인간활동, 즉 노동, 급양, 교육, 여가 등의 존재기본기능이 도시라는 지역내에서 이루어지는 패턴을 분석하고 이의 요인들을 밝힌다. 구체적으로는 지역분화에 초점을 두면서 거주지 형태와 사회구조, 사회계층간의 갈등, 사회제도의 변화 등을 다룬다. 더 나아가서는 최근 도시문제의 주요한 부분을 이루고 있는 주거, 빈곤, 범죄, 복지 등을 지리학적 개념들로 재해석하여 대안까지도 모색해 본다.
15501
도시지리학연구
Studies in Urban Geography
도시에 관한 현상과 문제점을 지리공간적 차원에서 접근한다. 주요 연구내용은 도시의 발달, 도시형태와 design, 도시의 정치경제(정부), 도시사회와 문화, 도시의 미래 등 다양한 주제로 구성되며, 이들 주제를 통해서 도시의 총체적 이해와 지식을 함양한다.
13108
도시체계론
Theories of Urban System
본 강좌에서는 일련의 도시군을 대상으로 도시의 규모와 수의 분포, 도시의 지리적 분포 및 공간조직(구조)에 관한 도시연구를 중점적으로 다룬다. 특히 時-空的 맥락에서 도시체계의 발전적 성격/국가의 성장/지역발전 관계를 규명한다. 또한 도시체계내에서 개별 도시들간의 역할과 상호관계 등에 대한 도시의 이해를 지리공간적 차원에서 접근한다.
16285
동기후학
Dynamic Climatology
동적 기후인자들이 어떻게 기후를 형성하는가 분석하고, 특정 기후사변의 발생원인과 진행과정을 이해하여 미래의 기후이상을 예측한다.
15646
동양환경윤리론
Environmental Ethics in the Eastern World
당면한 환경위기를 극복하기 위하여, 사회경제 구조의 변화와 더불어, 환경에 대한 인간의 의식의 변화, 즉 환경윤리의 고양이 필요적이다. 환경에 대한 서구적 의식이 오늘날과 같은 심각한 환경위기를 초래했다는 점에서, 동양적 관점에서 환경윤리를 재조명하고자 한다.
15510
문화지리학연구
Studies in Cultural Geography
문화적 현상들의 유형과 프로세스 및 그 정치 경제적 배경들에 관하여 지리학적으로 고찰한다. 인종, 종교, 언어 등 고전적 문화지리학의 주제들뿐만 아니라 현대 거대도시들을 중심으로 새롭게 등장하고 있는 다양한 문화현상들과 그 복합을 이해하고 변화과정 및 그 의미를 파악한다.
15502
사회지리학연구
Studies in Social Geography
사회지리학의 주요한 연구방법론 및 지리학과 관련된 주요 사회이론들을 집중적으로 이해하고, 그 문제점을 고찰하며, 한국적 사회에 이의적용가능성을 고찰한다. 또한 현실 사회에서 발생하고 있는 다양한 사회 공간적 문제들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한다.
15506
산업입지론연구
Studies in Industrial Location
경제활동의 입지에 관한 여러 이론들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평가하며 실제 사회의 입지유형과 변화과정을 이해.분석하고자 한다. 전통적인 입지이론과 이에 관한 형태적 접근을 이해하고 나아가 최근에 정립된 입지이론들과 접근방법, 입지정책과 계획을 탐구한다. 또한 정보통신기술, 첨단기술 등 기술의 발달에 따른 산업입지유형과 산업공간조직의 변화를 분석하며, 산업의 세계화와 해외직접투자의 입지이론을 검토하고 실제 동향을 분석한다.
16282
생태지리학
Ecological Ecology
생태학과 자연 지리를 결합하여, 자연 환경을 이해하기 위한 기존의 개념 및 이론들을 고찰하고, 나아가 인간과 자연 간의 관계를 새롭게 정립할 수 있는 방법론을 모색한다.
15654
세계도시론
Theories ofGlobal Cities
공간적 통합화의 진전으로 인한 세계도시체계의 성립배경을 먼저 이해하고 이후의 발전과정을 지역적 차원에서 파악한다. 아울러 세계도시의 내부구조가 어떻게 변화해 가고 있는가를 각 지역의 사례를 통해 이해한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최종적으로는 우리나라의 서울이 갖는 세계 도시로서의 위상과 역할, 그리고 미래에 대한 전망을 탐색해 본다.
15512
세계지역구조연구
Studies in Retional Structure of the World
세계화의 진척에 의해 재편되고 있는 세계지역구조의 변화과정을 연구한다. 세계적 무역관계 및 공간적 분업의 특성과 그 변화과정을 고찰한다. 또한 유럽연합, 북미자유무역협정, ASPEC 등 주요 지역블록들의 특성과 그 생성 배경을 고찰하고, 각 블록 내부의 통합과정을 그 자체적으로 뿐만 아니라 블록간에 비교 연구하고 또한 블록간 관계에 관해서도 검토한다. 또한 이러한 블록체제 속에 속하지 못한 지역들(대표적으로 아프리카 등)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세계화 및 정보화의 가속화와 관련하여 앞으로 세계지역구조의 변화 전망을 살펴본다.
16286
습지학
Theories of Wetland
습지의 정의 및 분류, 습지의 형성과 생태적 기능, 습지의 사회경제적 가치를 분석하고 습지의 보전대책을 모색한다.
15509
역사지리학연구
Studies in Historical Geography
역사지리학의 주요 연구방법을 고찰하고, 한국에서의 역사지리학 연구방향과 방법을 모색한다. 역사지리학의 주요 주제들을 공간, 환경, 문화 등의 영역에서 이해하고, 이를 위해 필요한 다양한 자료들의 수집 및 독해 방법을 검토한다.
15507
인구지리학연구
Studies in Population Geography
지리적 현상으로써의 인구 분포와 변천 그리고 지역이 인구 구성 및 이와 관련된 다양한 현상들을 분석한다. 인구변화와 관련된 주요 요인들, 즉 출생, 사망, 이동을 고찰하고 특히 인구 이동에 중점을 두고 그 지리적 범위에 따라 발생하는 다양한 유형들을 이해한다.
16277
인문지리학세미나
Seminar in Human Geography
인문지리학, 영역의 주요 주제인 지리학의 발전과 방법론의 변천사, 인구와 도시의 발달, 자원의 분포와 개발, 입지와 공간 활동, 쇄신의 공간적 확산, 국토계획과 지역발전, 인간과 환경 등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고 나아가 인문지리 관련의 현실문제를 체계적으로 분석한다.
16276
자연지리학세미나
Seminar in Physical Geography
특정한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한 각론 형태의 지형학에서 탈피하여 통합적 시각에서 사P지역의 지형을 다루는 것을 목적이다. 물질의 특성과 풍화, 식생과 지형, 토양과 지형, 수문과 지형 등이 주요한 주제이며, 70년대 이후의 지형연구에 대한 비판도 비중 있게 다루어진다.
16279
정보도시론
Theories of Informational Cities
정보화시대의 도래와 함께 도시의 발달 또한 기존의 산업사회와는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산업사회의 도시가 2차 산업의 입지와 성장에 의존하여 왔다면 정보사회의 산업구조는 2차 산업에서 3차 산업으로 나아가 정보통신산업을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도시 또한 산업도시에서 이른바 정보도시로 변모하여 나가고 있다. 정보도시론은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이 도시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정보사회의 도시체계, 도시구조 등을 다룸으로써 도시지리학적 측면에서 정보사회의 여러 사회공간적 현상을 다룬다.
15508
정치지리학연구
Studies in Political Geography
세계체제, 국민국가, 지방정부 등 정치 공간적 단위체들의 정치적 활동의 유형과 그 과정에 대해 다양한 방법론과 이론 및 개념들을 검토하고, 현실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여러 가지 정치 지리적 현상들을 경험적으로 파악한다.
16275
지리자료분석기법
Analitical Methds of Geographical Deta
지표면은 다양한 자연 및 인문지리 현상들에 관한 자료들을 수집하며 이를 전산화하여 저장, 분석, 재현하고 방법들을 학습하고 새로운 방법들을 개발한다. 특히 컴퓨터를 이용한 통계처리 기법들을(예로 SPSS, SAS 등) 숙지하고 이를 이용하여 분석 및 해석하는 능력을 함양한다.
15505
지리정보시스템세미나
Seminar in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이 세미나는 국내외 사례연구와 학술지들을 중심으로 최근 GIS에서의 연구동향과 문제시되고 있는 분야를 심도 있게 다룬다. 세미나의 주제는 주로 광범위한 분야에서의 GIS의 응용실태, 방대한 자료의 처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문제, GIS 사용자를 위한 UI의 문제, 공간통계기법을 이용한 GIS 자료에 대한 심도 있는 분석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각 전공분야에 대한 다양한 주제를 제시함으로써 GIS를 이용한 분석기술에 대한 방법과 GIS의 응용에 대한 안목을 넓히고자한다.
16274
지리철학및방법론
Philosophical and Methodological Issues in Geography
현대지리학의 사조를 주요 작품을 중심으로 섭렵하고 한국의 지리학연구 추새와 세계 지리학연구 추세와의 관련성을 파악해본다. 지리학연구의 사회의 변화나 다른 학문분야의 추세와 어떻게 연결되어 가는지에 대해서도 살펴보며, 지리학연구에 있어 핵심이 되는 방법론에 대해 알아보고 새롭게 떠오르는 지리학 또는 사회과학 방법론의 응용가능성을 탐색한다. 또한 그러한 방법론이 어떠한 맥락에서 어떻게 등장하였으며, 한국적인 상황에서 그러한 방법론의 적용이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논의해본다. 방법론의 논의는 방법론에 관한 논의자체에서 그치는 게 아니라 각 방법론이 가장 잘 적응되었다고 판단되는 구체적인 연구결과물들을 검토하여 그 장점과 한계를 파악한다. 또한 미래의 지리학 연구의 방향설정에 있어서 어떠한 방법과 어떠한 철학적 입장이 유용할지 전망해 본다.
15497
지리학방법론
Philosophical and Methodological Issues in Geography
지리학 연구를 위해 제시 된다양한 방법론들을 알아보고 새롭게 제시되고 있는 지리학 및 사회과학 방법론의 응용가능성을 탐색한다. 특히 특정한 방법론이 어떠한 사회적 맥락에서 등장하였으며, 한국적인 상황에서 그 방법론의 적용이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논의해 본다.
15496
지리학사연구
Studies in the History of Geography
지리학의 발달과정을 주요 저서들을 중심으로 독해하고, 지리학의 미래를 전망한다. 지리학의 학문적 연구방향이 사회의 변화와 어떻게 연계되어 있는지를 살펴보고 한국의 지리학연구추세와 세계 지리학 연구추세와의 관련성을 파악해 본다.
11417
지역개발론
Theories of Regional Development
지역성장 및 개발정책과 관련된 제 이론을 살펴봄으로써 지역개발의 역할과 기능을 정립하여 정책적 차원에서 우리 나라와 외국의 경험을 비교.분석함으로써 지역개발의 이해를 높인다.
11360
지역연구방법론
Methodology in Regional Geography
한 지역에 대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이해는 본래 지리학이 추구해 온 목표였다. 이러한 목표를 이루기 위한 방법은 시대별, 지역별로 다소 상이한 형태를 띠며 발전해 왔다. 본 과목에서는 지역연구의 방법론이 전체 지리학의 발전과정 속에서 어떻게 변모해 왔는가를 고찰하고 각각의 방법론들이 지니는 장단점들을 파악해 봄으로써 지역연구의 새로운 방법론을 모색해 보는데 주안점을 둔다.
15498
지형학세미나
Seminar in Geomorphology
특정한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통합적 시작에서 주요 지형의 형성과 변화과정을 다루는 것이 목적이다 물질의 특성과 풍화, 식생과 지형, 토양과 지형, 수문과 지형 등이 주요한 주제이며, 최근 지형연구에서 제시된 다양한 주제들과 비판적 관점 및 대안적 해석에 대해서도 비중 있게 다루어진다.
15651
토지이용론
Theories of Land Use
도시 및 지역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다양한 토지이용의 양상과 이를 결정하는 경제적 및 정치적 활동들에 관하여 고찰한다. 특히 도시적 토지용을 위한 토지개발과정과 이를 좌우하는 정부의 토지정책에 관하여 연구하며, 농촌의 토지용 변화에 관해서도 관심을 가진다.
15644
하천지형학
FluvialGeomorphology
유역의 형상과 수문적 프로세스를 다루며, 그에 따른 지형적 변화를 고찰한다. 그리고 오늘날 기후변화로 인한 수문변화와 그에 따른 지형적 변화, 나아가 수자원 관리의 cmrausdop서 하천시스템 전반을 이해한다.
16280
한국전통지리학
Studies in Geography of Korean Tradition
한국 및 동양사항에서 나타나는 주요한 지리적 지식들과 주장들에 관하여 연구함으로써, 현대 서구적 지리학의 한계를 인식하고 이를 보완하거나 이와 접목할 수 있는 방법들을 고찰한다.
15511
한국지리연구
Studies in Geography of korea
한국의 국토공간과 각 지역들에 관하여 연구한다. 현재 한국의 국토공간 구조의 특성을 이해하고 또한 이에 영향을 미친 역사적 과정을 고찰한다. 또한 개별 지역들을 특성화하여 지역구분을 하고, 각 지역의 구체적 내용을 지역 지리적 관점에서 이해한다. 나아가 각 지역이 특성변화와 더불어 국토 공간구조의 미래를 전망한다.
16283
한국지형연구
Studies of Korean Landform
우리나라의 산악, 구릉, 평야, 해안 지방의 다양한 지형들의 분포를 살펴보고, 그 성인과 발달과정 및 그 지형이 나타내는 의미를 분석한다.
15655
해외지역연구
Studies in Foreign Area
중구, 일본, 러시아 등을 제외한 해외지역에 대한 과목으로서 주로 대륙 수준에서 강의가 진행되나 특별한 경우에는 국가 수준에서도 강의가 이루어 질 수 있다. 유럽, 아메리카, 아프리카, 동남부서남 아시아, 오세아니아 지역을 학기별로 한 지역을 선택하여 강의를 진행한다. 각 지역의 자연환경을 예비적으로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인문적 제특성을 지역별로 파악하며, 아울러 이의 형성요인들을 토론한다. 각 대륙의 전체 특성뿐만 아니라 대륙 내부에 존재하는 다양한 지역의 특성을 규명하는 것을 주된 과제로 삼는다.
15499
환경지리학연구
Studies in Environmental Geography
환경을 구성하는 요소들과 이들사이의 관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환경문제에 접근하는 과목이다. 전통적인 환경단위로서의 유역이 주요한 틀을 구성한다. 토지이용과 수문, 토양, 지형, 식생, 등 유역과 환경요소와 유역관리도 비중 있게 다루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