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원 과학교육학과는 2002년 3월에 석사 및 박사 과정이 설립되었으며 5개 전공(물리교육, 화학교육, 생물교육, 환경교육, 공통과학교육)으로 구성되었다. 이후 2005년 3월에 5개 전공을 2개로 통폐합(과학교육 및 환경교육)하였고, 석박사 통합과정 및 학석사 연계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학위종은 석박사 각각 과학교육학석사와 과학교육학박사(Ph.D)이며, 2002년 이래 현재(2022년)까지 석사 39명과 박사 13명을 배출하였다. 대학원 과학교육학과의 교육은 사범대학 물리교육과, 화학교육과, 생물교육과, 지구과학교육과 소속 전임교원이 담당하고 있다.
□ 교육목표
- 과학교육 및 환경교육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전문인력 양성
- 과학교육 및 환경교육 이론과 실천능력을 겸비한 전문 연구자 육성
통합교육과 비형식교육 환경을 선도하는 과학문화 전문인력 양성
□ 교수명단
교수명
최종학위명
전공
담당과목
김보혜
이학박사
무기화학
고급화학교육론
화학교육연구
김은주
이학박사
유기화학
고급화학교육론
화학교육연구
문동오
이학박사
세포생물학
고급생물교육론
생물교육특론
박종근
이학박사
생명과학
환경체험학습및지도
환경탐방교육및지도
송종원
이학박사
물리화학
고급화학교육론
화학교육연구
안성호
이학박사
천문우주학
과학탐방교육및지도
지구과학교육연구
유영억
공학박사
환경공학
환경실험실습교육
환경조사방법론
이정호
이학박사
육수학
환경체험학습및지도
환경체험교육론
이희조
공학박사
전파공학
고급물리교육론
물리교육연구
임성민
교육학박사
물리교육
과학교사교육론
비형식과학교육론
정진수
교육학박사
생물교육
과학교재론
과학교육통계연습
조영석
이학박사
분자생물학
생물교육특론
과학실험실습교육
정철
교육학박사
지구과학교육
환경프로그램탐구론
사회환경교육론
차정호
교육학박사
화학교육
화학교육
과학교육론
과학시청각교육및실습
현창호
이학박사
핵물리학
물리교육특론
과학교육세미나1
홍성욱
이학박사
고체물리학
융복합과학교육론
과학교육세미나2
★ 교과과정 및 교과목해설은 교육과정 변경에 따라 변동이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교과구분명
과목코드
과목명
이론시간
실기시간
학점
비고
연구
10000
개별연구지도
2
0
2
0
연구
10000
개별연구지도
1
0
1
0
전공
17327
고급과학교육특론
3
0
3
0
전공
17320
고급물리교육론
3
0
3
0
전공
17322
고급생물교육론
3
0
3
0
전공
17323
고급지구과학교육론
3
0
3
0
전공
17321
고급화학교육론
3
0
3
0
전공
17298
고급환경교육론
3
0
3
0
전공
17299
고급환경교육특론
3
0
3
박사보충
전공
17314
과학공연과경연지도
3
0
3
0
전공
18805
과학교사교육론
3
0
3
0
전공
16098
과학교수학습이론
3
0
3
박사보충
전공
18802
과학교육과교육공학
3
0
3
0
전공
16083
과학교육과정연구
3
0
3
0
전공
18810
과학교육논술지도
3
0
3
박사보충
전공
16082
과학교육론
3
0
3
박사보충
전공
17304
과학교육방법론
3
0
3
0
전공
17274
과학교육세미나1
3
0
3
0
전공
17275
과학교육세미나2
3
0
3
0
전공
17303
과학교육심리학
3
0
3
0
전공
18803
과학교육연구논문작성법
3
0
3
0
전공
17301
과학교육연구법
3
0
3
0
전공
18801
과학교육의질적연구
3
0
3
0
전공
17302
과학교육측정및평가
3
0
3
박사보충
전공
17307
과학교육통계연습
3
0
3
0
전공
17773
과학교육행정및정책
3
0
3
0
전공
17772
과학교재론
3
0
3
0
전공
18809
과학교재연구및지도법
3
0
3
박사보충
전공
17277
과학-기술-사회교육론
3
0
3
0
전공
17306
과학문화교육론
3
0
3
0
전공
17300
과학및과학교육철학
3
0
3
0
전공
17276
과학사및과학교육사
3
0
3
0
전공
17312
과학실험실습교육
3
0
3
0
전공
17316
과학영재교육론
3
0
3
0
전공
17308
과학탐구학습론
3
0
3
0
전공
17315
과학탐방교육및지도
3
0
3
0
전공
16128
대중과학교육론
3
0
3
0
전공
17774
물리교육연구
3
0
3
0
전공
17324
물리교육특론
3
0
3
0
전공
18806
비형식과학교육론
3
0
3
0
전공
18804
사회문화이론과과학교육
3
0
3
0
전공
17295
사회환경교육론
3
0
3
0
전공
17776
생물교육연구
3
0
3
0
전공
17326
생물교육특론
3
0
3
0
전공
17318
유아과학교육론
3
0
3
0
전공
17292
유아환경교육론
3
0
3
0
전공
18808
융복합과학교육론
3
0
3
0
전공
17777
지구과학교육연구
3
0
3
0
전공
17317
초등과학교육론
3
0
3
0
전공
17293
초등환경교육론
3
0
3
0
전공
18807
통합과학교육론
3
0
3
0
전공
17319
특수아과학교육론
3
0
3
0
전공
17297
특수아환경교육론
3
0
3
0
전공
17775
화학교육연구
3
0
3
0
전공
17325
화학교육특론
3
0
3
0
전공
17281
환경교수방법론
3
0
3
0
전공
17280
환경교육과정연구
3
0
3
0
전공
16094
환경교육론
3
0
3
박사보충
전공
17283
환경교육심리학
3
0
3
박사보충
전공
17279
환경교육연구
3
0
3
박사보충
전공
17278
환경교육철학
3
0
3
박사보충
전공
17282
환경교육측정및평가
3
0
3
0
전공
17289
환경매체교육및지도
3
0
3
박사보충
전공
17288
환경실험실습교육
3
0
3
0
전공
17285
환경조사방법론
3
0
3
0
전공
17284
환경체험교육론
3
0
3
0
전공
17290
환경체험학습및지도
3
0
3
0
전공
17291
환경탐방교육및지도
3
0
3
0
전공
17286
환경프로그램탐구론
3
0
3
0
"박사보충" 표시된 과목
- 석사과정생이 수강할 경우, 전공과목으로 인정되며,
- 박사과정생이 수강할 경우, 보충과목으로 인정됨
★ 교과과정 및 교과목해설은 교육과정 변경에 따라 변동이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과목코드
과목명
교과목 영문명
교과목 한글개요
10000
개별연구지도
Research Works
학위논문의 작성을 위하여 지도교수의 지도하에 각 개인별 연구주제에 관하여 연구한다.
10000
개별연구지도
Research Works
학위논문의 작성을 위하여 지도교수의 지도하에 각 개인별 연구주제에 관하여 연구한다.
17327
고급과학교육특론
Special Topics on Science Education
현대의 과학교육 관련 연구 동향 중에서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 각 세부 전공 영역별로 탐구, 교육과정, 학습지도, 평가 등의 내용을 심도있게 분석한다.
17320
고급물리교육론
Advanced Physics Education
현대의 물리학 및 물리교육 관련 연구 동향 중에서 물리교육탐구, 물리교육과정, 물리학습지도, 물리교육평가 등의 내용을 심도있게 탐색한다.
17322
고급생물교육론
Advanced Biology Education
현대의 생명과학 및 생물교육 관련 연구 동향 중-++에서 생물교육탐구, 생물교육과정, 생물학습지도, 생물교육평가 등의 내용을 심도있게 탐색한다.
17323
고급지구과학교육론
Advanced Earth Science Education
현대의 지구과학교육 관련 연구 동향 중에서 지구과학교육탐구, 지구과학교육과정, 지구과학학습지도, 지구과학교육평가 등의 내용을 심도있게 분석한다.
17321
고급화학교육론
Advanced Chemistry Education
현대의 화학 및 화학교육 관련 연구 동향 중에서 화학교육탐구, 화학교육과정, 화학학습지도, 화학교육평가 등의 내용을 심도있게 탐색한다.
17298
고급환경교육론
Advanced Environmental Education
현대의 환경교육 관련 연구 동향 중에서 지속가능한 환경교육, 환경교육과정, 환경교육 학습지도, 환경교육평가 등의 내용을 심도있게 탐색한다.
17299
고급환경교육특론
Special Topics Environmental Education
현대의 환경교육 관련 연구 동향 중에서 통합환경교육, 지구환경교육, 지속가능성을 위한 환경교육 등의 내용을 심도있게 분석한다.
17314
과학공연과경연지도
Instruction of Scientific Fair
과학탐구활동의 한 대안으로서 과학공연 및 과학경연의 의미와 의의를 논의하고, 다양한 사례연구 및 실천연구를 통하여 학교 안 및 학교밖 과학교육의 방안으로 과학공연 및 경연의 학습지도방안을 탐색한다.
18805
과학교사교육론
Study on Science Teacher Education
과학교사교육의 이론적 기초 및 실천 방법에 대하여 학습한다. 과학교사의 전문성 기준과 전문성 신장, 예비 과학교사 교육, 실천적 지식과 반성적 지식 등 과학교사교육의 주요 쟁점들을 분석하고 논의한다.
16098
과학교수학습이론
Teaching and Learning Theory of Science Education
행동주의, 인지주의, 구성주의 등 과학 교수학습에 영향을 미친 심리학적 배경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다양한 교수학습 이론을 분석하고 현대에 적합한 교수학습 이론을 개발한다.
18802
과학교육과교육공학
Science Education and Educational Technology
과학교육에서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교육공학 매체들의 특징과 응용에 대해 다룬다. 교육공학 매체들의 철학적, 심리학적 배경을 기초로 다양한 적용 방향에 대해 다룬다.
16083
과학교육과정연구
Study on Science Curriculum
국.내외 과학교육과정의 체제, 내용, 변천, 경향 등을 파악하고, 최근에 개편된 교과과정의 교육현장 적용에 관한 분석과 앞으로의 개정방향을 예측하여 교육과정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18810
과학교육논술지도
Teaching of Science Education Writing
과학 및 과학교육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논술을 연습하게 된다. 과학 관련 다양한 글에 대한 분석 작업부터 과학교육 관련 논제에 대한 글쓰기 등에 대한 연습을 통하여 과학적 사고와 글쓰기 능력을 기른다.
16082
과학교육론
Science Education
과학의 교과적 특성을 교육과정의 틀 속에서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과학의 학문적 성격, 일반교육의 틀 속에서의 과학의 기능과 역할, 과학 분야의 국내외 연구 및 개발의 동향 등의 문제를 이론적으로 파악한다.
17304
과학교육방법론
Teaching Methods of Science Education
과학 교수학습과 관련된 철학적, 심리학적 이론에 이해를 바탕으로 과학 교과를 지도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지도법의 이론을 학습하고 실천적 적용 능력을 기른다.
17274
과학교육세미나1
Seminars in Science Education I
중등학교 과학교육의 목표와 현장과학교육에 관한 최근의 연구주제에 관하여 이론과 실습을 병행하여 과학교육연구를 기반으로 하는 미래지향적 중등학교 과학교육 전문가로서의 능력을 기른다.
17275
과학교육세미나2
Seminars in Science Education II
과학교육의 최신 연구 결과와 논제들을 발표하고 토론하며 우리나라 과학교육에 적용방안을 모색함으로서 과학교육연구자로서의 연구 능력을 함양한다.
17303
과학교육심리학
Psychology of Science Education
학생들의 과학 학습 과정을 심리학적 관점에서 이해하는 교과목으로서, 발달심리학 및 사회심리학적 기초 이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실제 과학 교수학습 사례를 심리적 관점에서 분석한다.
18803
과학교육연구논문작성법
Academic Writing in Science Education
과학교육분야의 연구 논문을 국문 혹은 영문으로 작성하는 방법을 다룬다. 기존의 연구 논문들에 대한 분석과 논문 작성법에 지식을 바탕으로 자신의 관심 분야에 대한 글쓰기를 시도한다.
17301
과학교육연구법
Research Methods of Science Education
과학교육 연구에 필요한 표집, 평가, 실험 연구, 상관 연구 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국내외에서 발표된 과학교육 관련 논문들을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안목을 기른다.
18801
과학교육의질적연구
Qualitative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과학교육의 주요 연구 방법의 하나인 질적 연구 방법에 대하여 다룬다. 질적 연구와 관련된 철학적 배경을 살핀 후에 다양한 질적 연구 방법에 대해 다루고 연구 사례를 살핀다.
17302
과학교육측정및평가
Measurement and Evaluation of Science Ecucation
일반적인 평가 이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과학과 관련된 학생들의 인지적, 정의적, 심체적 영역을 타당하고 신뢰성 있게 측정하고 평가하는 방법들을 학습하고 적용하는 능력을 배양한다.
17307
과학교육통계연습
Tutorials in Statistics on Science Education
과학교육연구에 적용될 수 있는 기초통계에 대한 이론적 설명과 실습을 통하여 연구자료 분석 및 학위논문 작성 등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자 한다.
17773
과학교육행정및정책
Study on Policy and Administration of Science Education
학교교육 및 학교밖 과학교육에 대한 국가수준의 정책과 행재정 지원 점검 체제의 실태와 국내외의 사례를 분석하고 관련 연구들을 점검 논의함으로서, 수월성 추구를 위한 과학교육행정과 정책 방안에 대한 연구 기반의 제안을 도출한다.
17772
과학교재론
Practicum in Science Teaching Materials
과학 교수에 사용하는 과학교재의 유형과 특성을 이해하고 이러한 교재를 개발하고 활용하는 방법을 연구한다. 수업은 강의, 웍샵, 발표의 세 유형으로 구분된다. 강의는 이론 중심의 내용이 되고, 웍샵은 강의한 이론에 바탕을 두고 교재를 분석하거나 개발 계획을 작성하는 내용이 된다. 발표는 개발한 교재를 시범해 보이고 토론하는 내용이 된다.
18809
과학교재연구및지도법
Studies of Science Textbook and Methods
중학교 및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대한 다양한 분석을 통해 교과 내용의 숙지 및 교재의 특성에 대한 이해를 높힌다. 이를 바탕으로 중등학교에서 수업진행에 도움이 되는 여러 가지 지도방법을 학습한다.
17277
과학-기술-사회교육론
Theory of Science-Technology-Society
현대 과학교육의 큰 움직임 중의 하나인 STS 교육 운동의 사회적, 철학적 배경에 대하여 탐색한 후, STS 정신이 반영된 세계의 교육과정들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교육과정에의 시사점을 도출한다.
17306
과학문화교육론
Study on Science Culture Education
모든 사람을 위한 문화적 상황속의 과학교육으로서 과학문화교육을 개념화하고, 과학문화교육에 대한 이론적 연구를 바탕으로 과학문화교육의 실천적 사례를 연습하고 지도 능력을 배양한다.
17300
과학및과학교육철학
Philosophy of Science and Science Education
과학 및 과학교육의 본질적 특성에 비추어 과학과 과학교육학의 가치에 대하여 논의하고, 과학교육학의 성격, 목표, 그리고 방법에 대하여 철학적 방법을 통하여 논의한다.
17276
과학사및과학교육사
History of Science and Science Education
자연과학의 전반에 걸친 통합과학적 개념의 변천과정을 사회문화적 배경 및 역사적 맥락을 기초로 이해하고, 각 시대별로 과학교육의 변천과정도 함께 탐색한다.
17312
과학실험실습교육
Scientific Experiment Education
과학과의 목표와 지도방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현행 교육과정에 제시된 실험실습 내용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그 해결 방안을 모색한다.
17316
과학영재교육론
Science Education for Gifted Students
과학영재교육 대상자들의 심리학적 특성, 과학영재교육방법, 과학영재의 평가 등 과학영재의 교육과 관련된 이론을 논의하고 실천방안을 탐색한다.
17308
과학탐구학습론
Study on Scientific Inquiry in School
과학적 탐구의 과학교육적 배경과 의의를 논의하고, 학교과학교육의 목표이자 내용 및 방법으로서 과학적 탐구에 대한 실천적 연구를 통해 탐구지도 능력을 함양한다.
17315
과학탐방교육및지도
Instruction of Scientific Exploration
과학문화교육의 실천방안이자 과학탐구교육의 대안으로서 과학탐방교육을 소개하고 의미와 의의를 논의하며, 이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과학탐방교육의 실천방안을 연습한다.
16128
대중과학교육론
Understanding of Public Science Education
대중을 위한 과학교육 운동이 전개된 시대적, 철학적 배경을 이해하고, 전세계에서 진행되고 있는 대중을 위한 과학교육 사례들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상황에 적합한 대중과학교육의 방향을 모색한다.
17774
물리교육연구
Research in Physics Education
물리교육연구의 방법의 범위를 이해시키고, 물리교육연구에 관한 연구의 설계를 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또한 연구 자료의 통계적 처리 방법을 지도하여 독자적인 물리교육에 관해서 연구를 할 수 있도록 한다.
17324
물리교육특론
Special Topics on Physics Education
학교 물리교육의 질적 개선을 도모하기 위해 물리학의 특성 및 물리교수학습의 이론과 지도법에 관하여 현장교육과 최근의 연구동향을 비교하면서 분석한다.
18806
비형식과학교육론
Study on Informal Science Education
학교밖 과학 활동을 포함하는 다양한 유형의 비형식 과학교육의 이론과 실제에 대하여 학습한다. 학교교육의 비정규 교육과정을 포함하여, 과학관과 같은 비형식 교육 기관의 과학교육에 대하여 이론과 실제를 탐색한다.
18804
사회문화이론과과학교육
Sociocultural Theory and Science Education
과학교육연구의 이론적 근거로서, 특히 소수자를 위한 과학교육의 이론 및 실천 근거로서 사회문화적 이론을 학습하고 이를 바탕으로 과학교육연구의 방향을 탐색한다. 문화를 인간의 사회적 활동과 구조의 변화 과정으로 규정하는 문화인류학 및 사회학적 기초 개념을 학습 한다.
17295
사회환경교육론
Social Environmental Education
사회환경교육의 현황을 진단하고, 사회환경교육과 학교환경교육과의 바람직한 관계를 정립하고, 사회환경교육이 나아가야 할 지향점에 관하여 이론적 기초와 실제를 다룬다.
17776
생물교육연구
Research in Biology Education
생물교육연구의 방법의 범위를 이해시키고, 생물교육연구에 관한 연구의 설계를 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또한 연구 자료의 통계적 처리 방법을 지도하여 독자적인 생물 교육에 관해서 연구를 할 수 있도록 한다.
17326
생물교육특론
Special Topics on Biology Education
학교 생물교육의 질적 개선을 도모하기 위해 생물학의 특성 및 생물교수학습의 이론과 지도법에 관하여 현장교육과 최근의 연구동향을 비교하면서 분석한다.
17318
유아과학교육론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유아의 특성과 요구에 부합된 과학 교과를 지도하기 위하여 아동의 과학학습특성 이해, 과학교과의 내용 재구성, 과학교수학습방법 개발, 과학교재의 수정과 개발을 학습하고 실천방안을 탐색한다.
17292
유아환경교육론
Early Childhood Environmental Education
유아의 특성과 요구에 부합된 환경교육을 위한 환경교육 영역의 내용 재구성의 능력 신장과 교수학습 방법재고를 통하여 체험중심의 환경교육 지도가 되게 하고, 환경교육 운영의 유의점 등을 숙지할 수 있도록 한다.
18808
융복합과학교육론
Study on Trans-disciplinary Science Education
분과 과학의 통합 및 과학과 타 학문 분야 간의 융합을 기반으로 하는 과학교육의 이론과 실제를 학습한다. 이론적 배경과 더불어 국내외 융복합 과학교육과정의 동향과 실천 사례를 분석하고 학교 과학교육에서의 구체적인 실천 방안들을 탐색한다.
17777
지구과학교육연구
Research in Earth Science Education
지구과학교육연구의 방법의 범위를 이해시키고, 지구과학교육연구에 관한 연구의 설계를 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또한 연구 자료의 통계적 처리 방법을 지도하여 독자적인 지구과학교육에 관해서 연구를 할 수 있도록 한다.
17317
초등과학교육론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초등 과학 교과를 바람직하게 지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자연의 본질에 대한 이해를 돕고 일반 초등학교의 과학과 교육과정을 아동발달에 따라 지도할 수 있는 과학교과 지도 방법 및 최근 동향을 제시한다.
17293
초등환경교육론
Elementary Environmental Education
재량활동으로서의 초등 환경교육을 바람직하게 지도하는 것을 목적으로 환경의 본질에 대한 이해를 돕고 일반 초등학교의 환경교육 내용을 아동발달에 따라 지도할 수 있는 교과 지도 방법 및 최근 동향을 제시한다.
18807
통합과학교육론
Study on Inclusive Science Education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이 통합된 환경의 과학교육의 이론과 실제를 학습한다. 교수적 수정, 보편설계 학습이론, 교육공학적 접근 등 통합교육 환경의 과학교육의 이론을 학습하고 실제적인 접근 방법들을 탐색한다.
17319
특수아과학교육론
Scienc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pecial Needs
특수교육 대상자, 특히 장애학생의 특성과 요구에 맞는 과학 교과를 지도하기 위하여 장애학생의 과학학습특성 이해, 과학교과의 내용 재구성, 과학교수학습방법 개발, 과학교재의 수정과 개발을 학습하고 실천방안을 탐색한다.
17297
특수아환경교육론
Special Childhood Environmental Education
특수아의 특성과 요구에 부합된 환경교육을 지도하기 위한 환경교과의 내용 재구성 능력 신장과 교수학습 방법재고를 통하여 현장체험중심의 환경교과 지도가 되게 하고, 교과 운영의 유의점 등을 숙지할 수 있도록 한다.
17775
화학교육연구
Research in Chemistry Education
화학교육연구의 방법의 범위를 이해시키고, 화학교육연구에 관한 연구의 설계를 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또한 연구 자료의 통계적 처리 방법을 지도하여 독자적인 화학교육에 관해서 연구를 할 수 있도록 한다.
17325
화학교육특론
Special Topics on Chemistry Education
학교 화학교육의 질적 개선을 도모하기 위해 화학의 특성 및 화학교수학습의 이론과 지도법에 관하여 현장교육과 최근의 연구동향을 비교하면서 분석한다.
17281
환경교수방법론
Teaching Methods in Environmental Education
학교교육에서 환경 과목의 효율적 지도를 위한 다양한 교수학습방법을 고찰하고, 이론적 기초로써의 교수학습방법론을 다룬다. 이를 위하여 환경교수학습의 이론적 바탕이 되는 구성주의이론, 체험환경교육의 이해를 통하여 학교 및 사회환경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전략을 개발한다.
17280
환경교육과정연구
Research in Environmental Curriculum
환경교과의 목표, 내용, 지도, 평가 등 중등학교 환경과 교육과정의 전반적인 내용을 분석하고, 국내외 환경 교육과정을 비교함으로써 학교 현장에서의 교수학습 지도와 관련한 국내 환경과 교육과정의 구성 체제 및 내용을 분석한다.
16094
환경교육론
Environmental Education
환경의 교과적 특성을 교육과정의 틀 속에서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환경의 학문적 성격, 일반교육의 틀 속에서의 환경의 기능과 역할, 환경 분야의 국내외 연구 및 개발의 동향 등의 문제를 이론적으로 파악한다.
17283
환경교육심리학
Psychology of Environmental Education
환경교육의 다양한 영역을 심리학적 분야에서 해석하고 연구함으로써 학교 환경교육에서 수행되고 있는 교수학습방법의 이론적 기반을 제공하고, 환경교육연구 영역을 확장하는 능력을 함양한다.
17279
환경교육연구
Research in Environmental Education
환경교육 분야의 국내외 연구동향을 고찰, 분석하고 환경교육에 관한 최근의 연구 성과와 그 연구 동향을 주제별로 검토하여 특정주제에 관해 발표, 토의하여 환경교육연구의 전문적 기초를 함양한다.
17278
환경교육철학
Philosophy of Environmental Education
동양과 서양의 환경관 및 환경관의 역사적 변천과정에 대하여 알아보고, 교육철학으로서의 환경교육의 과거, 현재, 미래를 다룬다.
17282
환경교육측정및평가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Environmental Education
학교 환경교육 및 사회 환경교육에서 운영되고 있는 환경교육측정 및 평가 등의 원리를 이해하고, 바람직한 환경교육측정 및 평가에 대한 다양한 방법을 다룬다. 이를 위하여 현행 환경교육평가 방법 등을 살펴보고, 그 대안을 모색한다.
17289
환경매체교육및지도
Teaching Methods in Environmental Education
학교환경 및 사회환경교육 수업에 필요한 다양한 매체의 활용 및 지도 방법의 고찰을 통하여 효율적인 환경매체교육 및 지도 방안을 다룬다. 이를 위하여 환경 과목의 학습에 필요한 매체의 이론과 실제를 포함하여 학교 현장에 적용 가능한 매체자료의 개발 능력을 함양한다
17288
환경실험실습교육
Experiment and Practice in Environmental Education
환경교육의 실험실습교육을 위한 이론적 기초와 실험실습능력을 배양하도록 소재를 선정하여 실험내용, 실험의 진행, 기구의 사용방법, 결과보고서의 작성 방법 등을 연구하여 학생중심의 자기주도적 학습이 될 수 있도록 한다.
17285
환경조사방법론
Survey Methods in Environmental Education
환경교육의 이론적 체계화 및 그 실천방안의 모색, 조사방법론의 정립과 연구영역의 분류 및 영역별 연구성격을 파악하고 조사방법론의 이론과 실제를 탐색하여 연구능력을 배양한다.
17284
환경체험교육론
Theory of Experiential Environmental Education
환경에 대한 학습자의 인지적, 정의적, 심체적 특성의 함양에 효과적인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환경체험 위주의 학습법을 다루며, 특히 직접적인 환경체험을 통한 환경 감수성 함양과 소양 증진에 목표를 두고 환경체험교육의 이론 및 실제를 다룬다.
17290
환경체험학습및지도
Teaching Methods in Environmental Experiental Education
환경체험학습의 이론적 기초와 실제를 다루며, 학교환경 및 사회환경에서 실시되고 있는 환경체험학습의 실태를 분석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한다.
17291
환경탐방교육및지도
Teaching Methods in Environmental Field Trip
학교환경 및 사회환경 교육에서 실시되고 있는 다양한 환경탐방기관의 실태를 분석하고, 이들 기관의 효율적인 환경교육에의 활용 방안에 관한 이론과 실제를 현장 견학을 통하여 습득한다.
17286
환경프로그램탐구론
Inquiry of Environmental Programme
학교 환경교육 및 사회 환경교육에서 시행하고 있는 다양한 지역 환경프로그램의 실제 사례를 조사하고, 이들 환경프로그램의 내용과 장단점을 탐구함으로써 장소별, 시기별, 대상자에 적합한 환경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는 이론적 기초와 실제를 다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