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창의적 인문지식과 디지털 문화기술(CT)을 기반으로 한 문화 분석능력과 콘텐츠 개발능력 배양.
2) 진취적 문화기획력과 현장 응용력을 갖춘 국제적 전문인력 배출.
3)문화콘텐츠 산업을 선도할 통합적 문화 안목과 종합적 실무 능력을 지닌 문화콘텐츠 전문가 양성.
다. 교수명단
연번
소속
직명
성명
학위명
전공
담당예정 교과목
1
중국어중국학과
교수
권응상
문학박사
중국어중국학
문화콘텐츠 정책연구 외
2
한국어문학부
교수
양진오
문학박사
국어국문학
지역문화콘텐츠연구 외
3
한국어문학부
교수
이희정
문학박사
한국문화
매체론 외
4
한국어문학부
교수
엄기영
문학박사
국어국문학
스토리텔링연구 외
5
유럽문화학과
교수
서요성
문학박사
독일학
예술사회학 외
▣ 문화예술학과
'*'표시과목:석사과정생이 수강할 경우 공통 또는 전공과목으로 인정되며,박사과정생이 수강할 경우 보충과목으로 인정됨
전공과목
과목코드
과 목 명
학점
시간
전공
20093
소설스토리텔링창작실기(1)(Creative Practice of Novel(1))
3
3-0
전공
20094
소설스토리텔링창작실기(2)(Creative Practice of Novel(2))
3
3-0
전공
20095
시창작실기(1)(Creative Practice of Poet(1))
3
3-0
전공
20096
시창작실기(2)(Creative Practice of Poet(2))
3
3-0
전공
20097
영화드라마비평이론세미나(Seminar for the critical theory of Film and Drama)
3
3-0
전공
20098
아동청소년문학창작연습(Writing Practice of Literature for Children and Teenagers)
3
3-0
전공
20099
한국문학명작세미나(Seminar for Korean Masterpiece)
3
3-0
전공
20100
웹콘텐츠창작연습(1)(Web Contents Creating Practice(1))
3
3-0
전공
20101
웹콘텐츠창작연습(2)(Web Contents Creating Practice(2))
3
3-0
전공
20102
픽션과팩션(Fiction and Faction)
3
3-0
전공
20103
문예창작교육세미나(1)(Seminar for Education of Creative Writing(1))
3
3-0
전공
20104
문예창작교육세미나(2)(Seminar for Education of Creative Writing(2))
3
3-0
전공
20105
문예창작언어론(Language for Creative Writing)
3
3-0
전공
20106
문학과사투리(Korean Literature and Dialect)
3
3-0
전공
20107
문화콘텐츠와스토리텔링연구(Cultural Contents and Storytelling)
3
3-0
전공
20108
문화테크놀리지연구(Research on the Cultural technology)
3
3-0
전공
20109
매체론(Theories of Media)
3
3-0
전공
20110
예술사회학(Sociology of the Arts)
3
3-0
전공
20111
문화콘텐츠산업연구(Research of Cultural Contents Industry)
3
3-0
전공
20112
문화콘텐츠정책연구(Research of Cultural Contents Policy)
3
3-0
전공
20113
콘텐츠저작권연구(Research on Contents Copyright)
3
3-0
전공
20114
문화마케팅론(Introduction to the Culture Marketing)
3
3-0
전공
20115
스토리텔링연구(A Study of storytelling)
3
3-0
전공
20116
공연및영상시나리오론(Research on the Cultural Studies)
3
3-0
전공
20117
현대명작강독(Reading Modern Texts)
3
3-0
전공
20118
지역문화콘텐츠연구(Research on Local Cultural Content Research)
3
3-0
전공
20119
디지털리터리시연구(Research on Digital Literacy)
3
3-0
■ 문화콘텐츠와 스토리텔링 연구(Cultural Contents and Storytelling)
스토리가 배제된 탁월한 문화콘텐츠는 없다. 공연/공간 콘텐츠, 영상 콘텐츠 등 다양한 장르와 매체에 따른 스토리텔링 기법을 탐구하고, 그것에 내재된 원리를 습득하여 문화콘텐츠를 기획/제작하는 데 토대로 삼는 능력을 함양한다.
No outstanding cultural content has been excluded from the story. It explores storytelling techniques according to various genres and media, such as performance/space contents and video contents, and develops the ability to develop the basis for planning and producing cultural contents by acquiring the principles inherent in them.
■ 문화테크놀리지연구(Research on the Cultural technology)
가상현실에서 Web 3.0에 이르기까지의 다양한 문화기술(CT)에 대해 소개하고, 문화콘텐츠 영역에서 효과적인 활용방안에 대해 논의한다.
It introduces a variety of cultural technologies (CTs) from virtual reality to Web 3.0, and discusses effective utilization in cultural content areas.
■ 매체론(Theories of Media)
영상, 공간, 방송, 인쇄, 디지털 등 다양한 문화콘텐츠 매체에 대한 원론적인 접근을 통하여 각 매체의 발전과정과 특성 및 기능에 대하여 살펴보고, 매체의 문화적 영향력과 그 의미를 연구한다. 또한 이를 통하여 매체와 수용자 사이의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연구한다.
Through a theoretical approach to various cultural content media such as video, space, broadcasting, printing, and digital, the development process,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each media are examined, and the cultural influence and meaning of the media are studied. It also studies communication strategies between media and receptors.
■ 예술사회학(Sociology of the Arts)
예술과 사회의 연관성 및 상호 작용에 대하여 연구한다. 예술의 범주와 정의에 대한 연구 및 예술이 어떻게 형성되고 소비되는지를 이해하고, 예술의 산업화를 탐색한다.
Study the relationship and interaction between art and society. Understand how the study and art of the categories and definitions of art is formed and consumed, and explore the industrialization of art.
■ 문화콘텐츠 산업연구(Research of Cultural Contents Industry)
문화콘텐츠 상품의 의의와 중요성 및 다양한 방법으로 전개되고 있는 문화콘텐츠 산업의 생성, 유통 및 발전방향에 대해 연구한다.
Research on the significance and importance of cultural content products and the direction of creation, distribution and development of cultural content industries developing in various ways.
■ 문화콘텐츠 정책연구(Research of Cultural Contents Policy)
문화정책의 성립 배경 및 정책 이론을 숙지한다. 또한 국내의 문화정책을 정밀 분석함으로써 국내 문화정책의 올바른 방향을 모색한다.
Familiarize yourself with the background of establishing cultural policy and the theory of policy. In addition, the government seeks the right direction of domestic cultural policies by analyzing them closely.
■ 콘텐츠저작권연구(Research on Contents Copyright)
문화콘텐츠의 접근성과 활용성을 강화하고 투명한 유통질서를 조성하기 위해서는 디지털매체 환경 변화에 대응하는 저작권 관리가 중요하다. 이에 다양한 실제 사례를 통해 현재 유통되고 있는 콘텐츠의 저작권에 대해 이해를 습득한다.
In order to strengthen accessibility and utilization of cultural contents and create a transparent distribution order, copyright management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digital media environment is important. Thus, through various real-world cases, the company gains an understanding of the copyright of the contents currently in circulation.
■ 문화마케팅론(Introduction to the Culture Marketing)
문화콘텐츠라는 상품에 대한 마케팅 방법과 그 과정을 연구한다. 다양한 문화콘텐츠 상품이 생산되고 소비되는 방식을 연구하여 문화콘텐츠의 효율적이고도 바람직한 유통 경로를 모색한다.
We study the marketing method and process of products called cultural contents. It seeks an efficient and desirable distribution path for cultural content by studying the way various cultural content products are produced and consumed.
■ 스토리텔링연구(A Study of storytelling)
CT의핵심이라고 일컬어지는 스토리텔링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고 스토리텔링이라는 용어가 실제현장에서 어떠한 기능과 범주로 사용되는지를 알아본다. 이를 위해 드라마, 영화, 뮤지컬, 공간 등 매체별 장르별 스토리텔링 사례를 조사 분석하고 실제 자료접근 및 콘텐츠화 과정을실습, 결과물을 만들도록 한다.
Understand the concept of storytelling, referred to as the core of CT, and find out what functions and categories the term storytelling is used in the field. To this end, storytelling cases by genre such as dramas, movies, musicals, and spaces are investigated and analyzed, and actual data access and contentization processes are practiced and results are made.
■ 공연 및 영상 시나리오론(Research on the Cultural Studies)
드라마의 일반 이론 습득과 영상매체를 통해 나타나는 다양한 시나리오의 형식에 대해 비교 탐구한다. 공연예술, 영화, TV드라마 등의 형성원리와 특성을 구체적으로 터득한다.
We compare and explore the general theory acquisition of dramas and the various types of scenarios that appear through video media. It specifically learns the principles and characteristics of performing arts, movies, and TV dramas.
■ 현대명작강독(Reading Modern Texts)
OSMU 가능성이 있는 현대의 명작을 분석하여 그것에 내재된 동시대의 문화 환경과 인간의 욕망을 파악한다. 아울러 다양한 장르로의 전이를 기획하여 콘텐츠 소스로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It analyzes contemporary masterpieces with potential OSMU and identifies the contemporary cultural environment and human desires inherent in them. In addition, the company plans transitions to various genres and seeks ways to utilize them as content sources.
■ 지역문화콘텐츠연구(Research on Local Cultural Content Research)
특정 지역의 예술, 전통, 민속, 생활 방식 등 유무형의 가치들을 가공하여 콘텐츠화 한 지역의 역사와 전통, 축제 및 지역 문화를 활용한 사례들을 살펴보고, 미래의 전망까지 탐구한다. 이를 통해 지역의 정체성과 문화적 가치를 살펴보고, 지역 브랜드 확장 방안을 모색한다.
It examines the history, traditions, folklore, and lifestyles of specific regions and examines the history, traditions, festivals, and local cultures of the region, and explores future prospects. Through this, it examines local identity and cultural values and seeks ways to expand local brands.
■ 디지털리터리시연구(Research on Digital Literacy)
디지털 시대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정보 이해 및 표현 능력. 디지털 기기를 활용하여 원하는 작업을 실행하고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지식과 능력을 탐구한다.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express information that is essential in the digital age. Exploring the knowledge and ability to execute desired tasks and obtain necessary information using digital devi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