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minar for the critical theory of Film and Drama)
교수
이희정
3
3
아동청소년문학창작연습
(Writing Practice of Literature for Children and Teenagers)
3
3
한국문학명작세미나
(Seminar for Korean Masterpiece)
부교수
엄기영
3
3
웹콘텐츠창작연습1
(Web Contents Creating Practice1)
부교수
엄기영
3
3
웹콘텐츠창작연습2
(Web Contents Creating Practice2)
교수
양진오
3
3
픽션과팩션
(Fiction and Faction)
부교수
엄기영
3
3
문예창작교육세미나1
(Seminar for Education of Creative Writing1)
부교수
엄기영
3
3
문예창작교육세미나2
(Seminar for Education of Creative Writing2)
교수
이희정
3
3
문예창작언어론
(Language for Creative Writing)
교수
이정복
3
3
문학과사투리
(Korean Literature and Dialect)
교수
정인호
3
3
■ 소설스토리텔링창작실기1 (Creative Practice of Novel1)
본 교과목에서 학습자들은 소설 창작에 필요한 기본적인 실기 방법을 익힌다. 소설 장르가 요구하는 형식과 내용을 실기로 배우면서 창작 역량을 키운다.
In this subject, learners learn the basic practical skills needed to create a novel. It develops its creative ability by learning the format and contents demanded by the novel genre through practical skills.
■ 소설스토리텔링창작실기2 (Creative Practice of Novel2)
본 교과목에서 학습자들은 소설 창작에 필요한 심화된 실기 방법을 익힌다. 소설 장르가 요구하는 형식과 내용을 실기로 배우면서 창작 역량을 심화한다.
In this subject, learners learn the advanced practical skills needed to create a novel. It deepens its creative ability by learning the format and contents demanded by the novel genre through practical skills.
■ 시창작실기1 (Creative Practice of Poet1)
본 교과목에서 학습자들은 시 창작에 필요한 기본적인 실기 방법을 익힌다. 시 장르가 요구하는 형식과 내용을 실기로 배우면서 창작 역량을 키운다.
In this subject, learners learn the basic practical skills needed to create poems. It develops its creative ability by learning the format and contents required by the genre of poetry through practical skills.
■ 시창작실기2 (Creative Practice of Poet2)
본 교과목에서 학습자들은 시설 창작에 필요한 심화된 실기 방법을 익힌다. 시 장르가 요구하는 형식과 내용을 실기로 배우면서 창작 역량을 심화한다.
In this subject, learners learn the advanced practical skills needed to create facilities. It deepens its creative ability by learning the format and contents demanded by the genre of poetry through practical skills.
■ 영화드라마비평이론세미나 (Seminar for the critical theory of Film and Drama)
영화와 드라마에 대한 비평이론을 검토하고, 이를 다양한 작품비평에 적용함으로써 비평 능력을 향상시킨다.
This course aims at studying critical theories of film and drama, applying critical theories to various works and improving the ability of critical theory.
■ 아동청소년문학창작연습 (Writing Practice of Literature for Children and Teenagers)
아동청소년문학이 가진 특징을 이해하고, 직접 창작함으로써 기본적인 창작 능력을 갖추도록 한다.
The aim of this subject lies in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literature for children and teenagers, writing a rough draft, and improving the basic ability of writing.
■ 한국문학명작세미나 (Seminar for Korean Masterpiece)
한국문학사에서 명작으로 평가받는 작품을 대상으로 그 창작 방법을 심도 있게 분석함으로써 창작의 과정을 이해하고, 창작 능력을 심화·향상시킨다.
This course aims at studying Korean Masterpiece, analysising its creative method, and improving the high ability of writing.
■ 웹콘텐츠창작연습1 (Web Contents Creating Practice1)
웹소설, 웹툰, 웹드라마와 같이 인터넷을 기반으로 창작·유통·향유되는 콘텐츠의 특성을 이해하고, 직접 창작함으로써 기본적인 창작 능력을 갖추도록 한다.
The aim of this subject lies in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web contents which are created, distributed and enjoyed through the Internet, creating a rough content, and improving the basic ability of creation.
■ 웹콘텐츠창작연습2 (Web Contents Creating Practice2)
웹소설, 웹툰, 웹드라마와 같이 인터넷을 기반으로 창작·유통·향유되는 콘텐츠의 특성을 이해하고, 직접 창작함으로써 창작 능력을 심화·향상시킨다.
The aim of this subject lies in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web contents which are created, distributed and enjoyed through the Internet, creating a rough content, and improving the high ability of creation.
■ 픽션과팩션 (Fiction and Faction)
문예창작과 콘텐츠창작의 중요한 방법으로 각광받고 있는 팩션서사작품을 분석함으로써 그 특징을 이해하고, 팩션서사 창작 능력을 갖추도록 한다.
Faction is the most noticeable method of narrative creation. This course aims at studying the faction works, understanding its characteristics, and improving the creative ability.
■ 문예창작교육세미나1 (Seminar for Education of Creative Writing1)
창의적인 문예창작교육을 위한 교수법을 검토하고 실습함으로써 교수법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기본적인 교수능력을 갖추도록 한다.
This course aims at studying teaching method for the creative writing, practicing teaching method, and improving the basic ability of teaching
■ 문예창작교육세미나2 (Seminar for Education of Creative Writing2)
창의적인 문예창작교육을 위한 교수법을 검토하고 실습함으로써 교수법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교수능력을 심화·향상시킨다.
This course aims at studying teaching method for the creative writing, practicing teaching method, and improving the high ability of teaching.
■ 문예창작언어론(Language for Creative Writing)
문예창작과 관련된 차별 표현, 비속어, 방언, 유행어 등 언어 사용의 효과와 문제점을 이해한다.
understand the effects and problems of language use such as expression of discrimination, slang, dialect, and buzzwords related to literary creation.
■ 문학과사투리 (Korean Literature and Dialect)
이 교과목은 문학작품을 창작함에 있어서 사투리를 적절하게 구사하는 방법을 탐구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먼저 경상도 사투리를 비롯한 각 사투리의 특징에 대해서 알아본다. 다음으로 사투리가 반영된 문학작품을 실제로 분석해 봄으로써 사투리의 사용 양상을 고찰할 것이다. 그리고 끝으로 사투리를 정확하게 표기하기 위한 사투리 표기법에 대해서도 함께 숙지하도록 한다.
This course aims to explore how to properly use the dialectal forms in the creation of literary works. First, we will look a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dialect, including the Gyeongsang dialect. Next, we will examine the usage patterns of the dialect by actually analyzing the literary works that reflect the dialects. And lastly, we will also familiarize ourselves with the dialect orthography to accurately transcribe the dialectal for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