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혁
전자공학과는 1992년 인가된 후 1995년 전기전자공학부로 명칭 변경되었다가, 1997년 정보통신공학과로 다시 변경되면서 박사과정도 인가되었다.
이후 2006. 3. 1자로 정보통신공학과의 4개 전공 중 전자공학, 제어계측전공을 분리하여 전자공학과 석·박사과정이 신설되었다.
교육목표
- 미래 전자 산업을 선도할 전문기술인 양성
- 첨단이론과 기술 습득을 통한 전자기기 설계능력 배양
- 인류 복지사회 구현을 위한 전자 기술개발 전문가 양성
교수명단
교수명 | 학위 | 전공 | 연구분야 | 담당과목 |
---|---|---|---|---|
도용태 | 공학박사 | 로봇공학 | 지능로봇, 인공지능응용, 기계시각, 자동화용 센서 | 로봇공학 센서시스템설계 |
이대식 | 공학박사 | 제어공학 | 자동화시스템, 마이크로프로세서 응용, 전력전자, 지능제어시스템, 로봇제어 | 디지털제어 제어이론특론 |
박철영 | 정보과학박사 | 인공신경회로망 | 집적회로설계(지능형 소자, FPGA 설계), RFID/USN(RFID 리더기, USN 기반 가스 센서 시스템) | 인공지능특론 디지탈집적회로설계 |
최병재 | 공학박사 | 지능제어 | 지능제어및시스템, 지능로봇, 퍼지논리시스템 | 지능제어특론 적응제어 |
류정탁 | 공학박사 | 센서공학 | 센서시스템 및 나노전자기술 | 박막소자 전자물성특론 |
김경기 | 공학박사 | SoC회로설계 및 설계자동화 | 지능형(인공지능) 시스템반도체 설계 및 설계 자동화 | 임베디드시스템 VLSI설계 |
문현원 | 공학박사 | 통신용 RF/Analog IC | RF/Analog IC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bio-medical application, PMIC | 디지털신호처리시스템 통신이론 |
이강현 | 공학박사 | 전력전자 및 전력전송 |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무선 충전 시스템, 전력변환 회로 | 응용전자회로 전자회로해석특론 |
정영호 | 공학박사 | 집적회로설계 | 저전력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 | 아날로그집적회로설계 |
박상욱 | 공학박사 | 정보통신공학 | 전자파환경, 무선충전/무선통신, 자율주행자동차, 생체전자 | 전자장론 |
정재우 | 공학박사 | 전기기기 | 전기자동차 구동 모터, 전동화 엑츄에이터, 에너지 변환 기기 | 자동제어 |
Office
- Tel : 053-850-6610
- Fax : 053-850-6619
- Address : 공과대학 5호관, 5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