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혁
1990.11.09. |
석사학위과정 회화과 (서양화, 동양화전공) 신설 |
1995.10.18 |
회화과를 미술학과로 학과명칭 변경 4개전공(회화, 응용미술, 산업디자인, 공예)신설 |
1999.11.02 |
미술학과를 미술·디자인학과로 명칭변경 미술·디자인학과 박사학위과정 신설 |
2005.05.12 |
석사과정 전공 명칭변경 서양화, 동양화전공 -> 회화전공 응용미술전공 -> 시각디자인전공, 영상애니메이션전공 공예전공 -> 공예디자인전공 |
2005.10.13 |
박사과정 전공 명칭변경 서양화, 동양화전공 -> 회화전공 응용미술전공 -> 시각디자인전공, 영상애니메이션전공 공예전공 -> 공예디자인전공 |
2008 |
전공 명칭변경 공예디자인전공 -> 생활조형디자인 |
2015.10.19 |
전공 명칭변경 회화전공 -> 현대미술전공 |
교육목표
현대 산업사회 전반에 대하여 창의적 기여를 할 수 있는 미술인 양성
국제화 시대에 주도적 역할을 할 조형전문가 양성
지역사회 및 국가 인류사회의 예술적 기여를 할 수 있는 고급인력양성
교수명단
교수명 |
학위 |
전공 |
담당과목 |
|
---|---|---|---|---|
구남진 |
미술학석사 |
동양화 |
동양화실기 및 이론 |
|
권주한 |
미술학박사 |
금속조형디자인 |
제품디자인소재연구1 |
|
김병문 |
미술학박사 |
금속제품디자인 |
제품디자인소재연구2 |
|
김시만 |
미술학석사 |
산업디자인 |
산업디자인연구과제 |
|
김정환 |
이학박사 |
가상공간디자인 |
문화콘텐츠연구 |
|
김진 |
미술학석사 |
서양화 |
서양화 실기 및 이론 |
|
박정자 |
미술학박사 |
금속공예 |
금속실기 및 이론 |
|
박진우 |
미술학석사 |
제품디자인 |
산업디자인분석연구 |
|
엄기서 |
이학박사 |
디지털콘텐츠디자인 |
시각커뮤니케이션연구 |
|
오진희 |
첨단영상학박사 |
3D애니메이션 |
영상·애니메이션특수연구 |
|
유상원 |
미술학박사 |
제품디자인 |
디자인마케팅연구 |
|
이해만 |
미술학박사 |
시각디자인 |
시각디자인연구방법론 |
시각디자인연구과제 |
임윤수 |
미술학박사 |
서양화 |
서양화 실기 및 이론 |
|
장진 |
미술철학석사 |
미술실기 및 이론 |
회화특론 |
회화창작론 |
장창식 |
광고홍보학박사 |
광고디자인 |
디자인마케팅연구 |
|
조유석 |
미술학박사 |
산업디자인 |
디자인방법론 |
|
최 영 |
미술학박사 |
회화 |
기초회화 |
|
최민규 |
미술학석사 |
2D애니메이션 |
영상·애니메이션연구과제 |
|
한동균 |
미술학석사 |
인터랙티브미디어디자인 |
시각디자인스튜디오 |
|
★ 교과과정 및 교과목해설은 교육과정 변경에 따라 변동이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교과구분명 |
과목코드 |
과목명 |
이론시간 |
실기시간 |
학점 |
비고 |
---|---|---|---|---|---|---|
연구 |
10000 |
개별연구지도 |
2 |
0 |
2 |
0 |
연구 |
10000 |
개별연구지도 |
1 |
0 |
1 |
0 |
전공 |
19759 |
게임영상콘텐츠특수연구1 |
3 |
0 |
3 |
0 |
전공 |
19760 |
게임영상콘텐츠특수연구2 |
3 |
0 |
3 |
0 |
전공 |
17229 |
동양미술사론 |
3 |
0 |
3 |
0 |
전공 |
15221 |
디자인마케팅연구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8984 |
디자인매니지먼트 |
3 |
0 |
3 |
0 |
전공 |
17630 |
디자인문화연구 |
3 |
0 |
3 |
0 |
전공 |
17625 |
디자인미래학 |
3 |
0 |
3 |
0 |
전공 |
11159 |
디자인방법론 |
3 |
0 |
3 |
0 |
전공 |
18977 |
디자인분석평가연구1 |
3 |
0 |
3 |
0 |
전공 |
18978 |
디자인분석평가연구2 |
3 |
0 |
3 |
0 |
전공 |
17623 |
디자인비지니스특론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7634 |
디자인사회학 |
3 |
0 |
3 |
0 |
전공 |
17629 |
디자인세미나 |
3 |
0 |
3 |
0 |
전공 |
17633 |
디자인조형특론 |
3 |
0 |
3 |
0 |
전공 |
19000 |
디자인컨셉과 표현연구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7631 |
디지털영상미학 |
3 |
0 |
3 |
0 |
전공 |
17273 |
디지털환경론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9670 |
리빙제품디자인1 |
3 |
0 |
3 |
0 |
전공 |
19673 |
리빙제품디자인2 |
3 |
0 |
3 |
0 |
전공 |
19674 |
리빙제품연구1 |
3 |
0 |
3 |
0 |
전공 |
19675 |
리빙제품연구2 |
3 |
0 |
3 |
0 |
전공 |
17632 |
문화컨텐츠연구 |
3 |
0 |
3 |
0 |
전공 |
17624 |
미디어특론 |
3 |
0 |
3 |
0 |
전공 |
17622 |
미술특론 |
3 |
0 |
3 |
0 |
전공 |
15201 |
산업디자인계획1 |
3 |
0 |
3 |
0 |
전공 |
15202 |
산업디자인계획2 |
3 |
0 |
3 |
0 |
전공 |
15203 |
산업디자인분석연구1 |
3 |
0 |
3 |
0 |
전공 |
15204 |
산업디자인분석연구2 |
3 |
0 |
3 |
0 |
전공 |
17257 |
산업디자인분석연구3 |
3 |
0 |
3 |
0 |
전공 |
17258 |
산업디자인연구과제1 |
3 |
0 |
3 |
0 |
전공 |
17259 |
산업디자인연구과제2 |
3 |
0 |
3 |
0 |
전공 |
17222 |
산업디자인특론 |
3 |
0 |
3 |
0 |
전공 |
17261 |
산업디자인특수연구1 |
3 |
0 |
3 |
0 |
전공 |
17262 |
산업디자인특수연구2 |
3 |
0 |
3 |
0 |
전공 |
17263 |
산업디자인특수연구3 |
3 |
0 |
3 |
0 |
전공 |
15238 |
상품미학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8987 |
생활제품디자인연구1 |
3 |
0 |
3 |
0 |
전공 |
18988 |
생활제품디자인연구2 |
3 |
0 |
3 |
0 |
전공 |
18989 |
생활제품디자인연구3 |
3 |
0 |
3 |
0 |
전공 |
17230 |
서양미술사론 |
3 |
0 |
3 |
0 |
전공 |
17245 |
시·공감각론1 |
3 |
0 |
3 |
0 |
전공 |
17246 |
시·공감각론2 |
3 |
0 |
3 |
0 |
전공 |
17233 |
시각디자인계획1 |
0 |
3 |
3 |
0 |
전공 |
17234 |
시각디자인계획2 |
3 |
0 |
3 |
0 |
전공 |
19002 |
시각디자인스튜디오1 |
3 |
0 |
3 |
0 |
전공 |
18980 |
시각디자인스튜디오2 |
3 |
0 |
3 |
0 |
전공 |
17238 |
시각디자인연구과제1 |
3 |
0 |
3 |
0 |
전공 |
17239 |
시각디자인연구과제2 |
3 |
0 |
3 |
0 |
전공 |
18981 |
시각디자인연구방법론1 |
3 |
0 |
3 |
0 |
전공 |
18982 |
시각디자인연구방법론2 |
3 |
0 |
3 |
0 |
전공 |
18983 |
시각디자인연구방법론3 |
3 |
0 |
3 |
0 |
전공 |
17221 |
시각매체특론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8975 |
시각커뮤니케이션연구1 |
3 |
0 |
3 |
0 |
전공 |
18976 |
시각커뮤니케이션연구2 |
3 |
0 |
3 |
0 |
전공 |
19752 |
영상매체연구방법론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9751 |
영상콘텐츠디자인특론 |
3 |
0 |
3 |
0 |
전공 |
19753 |
영상콘텐츠스토리텔링연구1 |
3 |
0 |
3 |
0 |
전공 |
19754 |
영상콘텐츠스토리텔링연구2 |
3 |
0 |
3 |
0 |
전공 |
19755 |
영상콘텐츠스토리텔링연구3 |
3 |
0 |
3 |
0 |
전공 |
19756 |
영상특수효과분석연구1 |
3 |
0 |
3 |
0 |
전공 |
19757 |
영상특수효과분석연구2 |
3 |
0 |
3 |
0 |
전공 |
19758 |
영상특수효과분석연구3 |
3 |
0 |
3 |
0 |
전공 |
18998 |
오브제연구 |
3 |
0 |
3 |
0 |
전공 |
18997 |
융합디자인연구 |
3 |
0 |
3 |
0 |
전공 |
19686 |
인터랙티브미디어연구1 |
3 |
0 |
3 |
0 |
전공 |
19687 |
인터랙티브미디어연구2 |
3 |
0 |
3 |
0 |
전공 |
19688 |
인터랙티브미디어연구3 |
3 |
0 |
3 |
0 |
전공 |
18992 |
제품디자인소재연구1 |
3 |
0 |
3 |
0 |
전공 |
18993 |
제품디자인소재연구2 |
3 |
0 |
3 |
0 |
전공 |
18994 |
제품디자인소재연구3 |
3 |
0 |
3 |
0 |
전공 |
18985 |
조형디자인기획1 |
3 |
0 |
3 |
0 |
전공 |
18986 |
조형디자인기획2 |
3 |
0 |
3 |
0 |
전공 |
18990 |
조형디자인스튜디오1 |
3 |
0 |
3 |
0 |
전공 |
18991 |
조형디자인스튜디오2 |
3 |
0 |
3 |
0 |
전공 |
18069 |
조형디자인연구특론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8974 |
조형디자인특론 |
3 |
0 |
3 |
0 |
전공 |
18070 |
조형디자인표현연구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7626 |
조형원리 |
3 |
0 |
3 |
0 |
전공 |
17627 |
창작연구1 |
3 |
0 |
3 |
0 |
전공 |
17628 |
창작연구2 |
3 |
0 |
3 |
0 |
전공 |
19761 |
콘텐츠미학연구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8720 |
티칭인턴 |
3 |
0 |
3 |
0 |
전공 |
17635 |
표현과매체 |
3 |
0 |
3 |
0 |
전공 |
17223 |
현대공예특론 |
3 |
0 |
3 |
0 |
전공 |
19110 |
현대예술론 |
3 |
0 |
3 |
0 |
전공 |
19111 |
현대회화연구론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9109 |
현대회화특론 |
3 |
0 |
3 |
0 |
전공 |
15189 |
회화분석연구1 |
3 |
0 |
3 |
0 |
전공 |
15190 |
회화분석연구2 |
3 |
0 |
3 |
0 |
전공 |
15191 |
회화분석연구3 |
3 |
0 |
3 |
0 |
전공 |
17224 |
회화창작1 |
3 |
0 |
3 |
0 |
전공 |
17231 |
회화창작2 |
3 |
0 |
3 |
0 |
전공 |
17232 |
회화창작3 |
3 |
0 |
3 |
0 |
전공 |
18763 |
회화창작론 |
3 |
0 |
3 |
박사보충 |
전공 |
17125 |
회화특론 |
3 |
0 |
3 |
0 |
전공 |
18762 |
회화표현론 |
3 |
0 |
3 |
박사보충 |
"박사보충" 표시된 과목
- 석사과정생이 수강할 경우, 전공과목으로 인정되며,
- 박사과정생이 수강할 경우, 보충과목으로 인정됨
★ 교과과정 및 교과목해설은 교육과정 변경에 따라 변동이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과목코드 |
과목명 |
교과목 영문명 |
교과목 한글개요 |
---|---|---|---|
10000 |
개별연구지도 |
Research Works |
학위논문의 작성을 위하여 지도교수의 지도하에 각 개인별 연구주제에 관하여 연구한다. |
10000 |
개별연구지도 |
Research Works |
학위논문의 작성을 위하여 지도교수의 지도하에 각 개인별 연구주제에 관하여 연구한다. |
19759 |
게임영상콘텐츠특수연구1 |
Special Research on Game Contents 1 |
게임 산업이 콘텐츠 산업 전반에 미치는 확장성과 가능성을 게임 발전사를 중심으로 연구한다. |
19760 |
게임영상콘텐츠특수연구2 |
Special Research on Game Contents 2 |
모바일, 콘솔, PC등 운용솔루션에 따라 변화하는 게임콘텐츠를 게임의 장르 중심으로 분석하고 사례를 통해 연구하고 이를 통해 융합미디어로의 확장 가능성을 제시한다. |
17229 |
동양미술사론 |
Theory of Oriental Art History |
동양미술사의 제경향을 각 시기 및 유파별로 사회적 배경 설명 및 작가론 작품론적 방법으로 분석연구한다. |
15221 |
디자인마케팅연구 |
Study of Design Marketing |
디자인 마케팅의 전략적, 실체적 가치를 중심으로 수용자에게 접근하는 토탈 마테팅 전략에 대하여 연구한다. |
18984 |
디자인매니지먼트 |
Design Management |
|
17630 |
디자인문화연구 |
Research of Design Culture |
디자인에 미치는 시대적 문화의 상관성을 인식하고 디자인과 관련한 문화적 이해와 현상 사례를 통하여 디자인의 적용과 표현 의미들에 대하여 연구한다. |
17625 |
디자인미래학 |
Future Research of Design |
여러분야간 학제적 협력 하에 미래의 인간과 사회 그리고 디자인을 연구한다. |
11159 |
디자인방법론 |
Theory of Design Method |
디자인의 합리적인 수행을 위하여 방법의 의의에서부터 디자인 프로세스에 이르기까지 제기되는 문제들을 이론적으로 추구하여 새로운 시대에 부합되는 디자인 방법의 정립을 위한 연구를 한다. |
18977 |
디자인분석평가연구1 |
Design Analysis Evaluation I |
|
18978 |
디자인분석평가연구2 |
Design Analysis Evaluation II |
|
17623 |
디자인비지니스특론 |
Theory of Design Business |
경영과 서비스 등을 디자인과 관련하여 보다 체계적이고 학술적으로 접근하여 디자인 서비스의 수준을 향상시키고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는 연구를 한다. |
17634 |
디자인사회학 |
Sociology of Design |
사회문화적 측면에서 현대디자인의 가치와 조망 |
17629 |
디자인세미나 |
Design Seminar |
디자인이 지향하는 다양한 연구과제와 사레분석에 대한 고찰로 발표 및 토론을 통하여 디자인에 대한 폭 넓은 시각과 프리젠테이션에 대한 스킬과 방법적인 능력을 갖도록 연구한다. |
17633 |
디자인조형특론 |
Theory of Design & Plastic Art |
생활과 예술, 그리고 산업으로서 디자인과 조형의 이론적 고찰과 논의 |
19000 |
디자인컨셉과 표현연구 |
Design Concept & Expression |
|
17631 |
디지털영상미학 |
Aesthetics of Digital Image |
영상의 역사, 발전과정 그리고 현대 디지털매체를 통한 영상표현에 관한 내용을 학습하고 영상의 시지각적 이론, 사회문화적 배경, 영상미학 등을 이해함으로써 다양한 기법을 통해 표현되는 현대영상의 아름다움을 이해 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
17273 |
디지털환경론 |
Theory of Digital Environment |
정보혁명과 인간환경과의 관계를 연구하는 과정으로써 디지털 환경 형성의 주요 인자로 해석하고 디지털 환경 속에서 생겨날 수 있는 여러 가지 상관관계와 혁신적인 가능성 또는 부정적인 현상에 대해 연구한다. |
19670 |
리빙제품디자인1 |
Living Product Design 1I |
공예디자이너로서 인성과 감성교육을 목표로 한다. |
산학협동체제의 강화및 현장견학을 통하여 미래산업사회에 참여할수있는 생활조형디자이너의 양성에 그 목적이 있다. |
|||
19673 |
리빙제품디자인2 |
Living Product Design2 |
공예디자이너로서 인성과 감성교육을 목표로 한다. |
산학협동체제의 강화및 현장견학을 통하여 미래산업사회에 참여할수있는 생활조형디자이너의 양성에 그 목적이 있다. |
|||
19674 |
리빙제품연구1 |
Research on Living Products 1 |
공예 조형의 기초적인 요소와 원리를 이용하여 평면 공간상에 표현함으로써, 형태력과 표현의 다양성을 높여 이론과 실습을 통해 폭넓은 감성교육으로 전문 인력을 양성한다. |
19675 |
리빙제품연구2 |
Research on Living Products2 |
공예 조형의 기초적인 요소와 원리를 이용하여 평면 공간상에 표현함으로써, 형태력과 표현의 다양성을 높여 이론과 실습을 통해 폭넓은 감성교육으로 전문 인력을 양성한다. |
17632 |
문화컨텐츠연구 |
Cultural Contents Study |
문화와 현대 디지털컨텐츠의 결합으로 표현되고 있는 문화컨텐츠디자인의 시지각적, 문화적 예술특성을 심도 있게 분석하고 이와 더불어 제작의도에 부합하는 창의적인 표현력과 그 기술적 배경에 대한 발전적인 비평과 토론을 실시한다. |
17624 |
미디어특론 |
Advanced Theory on Media |
예술적 메시지를 표현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하는 미디어의 고차원적인 표현 및 전개 방법론을 연구하는 교과목이다. 영상을 중심으로 하는 미디어를 통한 예술성 추구와 그 이론적 배경에서 시작하여 테크놀로지와 아트의 관계, 미디어 산업의 개요와 동향에 관한 전반적인 내용을 다루게 된다. |
17622 |
미술특론 |
Advanced Theory of Art |
우리나라 미술 사조를 이해, 분석, 검토하고 회화의 테마에 의한 과거, 현재, 미래를 연구하고자 한다. |
15201 |
산업디자인계획1 |
Industrial Design Plan I |
디자인 종합개발 프로그램과 고급방법론 및 계획과정의 본질에 관한 이해를 바탕으로 디자인계획을 구성하는 요소들의 개념과 응용 사례들을 중점적으로 다룬다. |
15202 |
산업디자인계획2 |
Industrial Design Plan II |
산업디자인계획1에 이어서 계속하여 개설된 과정으로 디자인 계획의 고급이론과 실제를 연구한다. |
15203 |
산업디자인분석연구1 |
Industrial Design Analysis I |
고도로 복잡하고 난해한 디자인 문제를 체계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구조와 분석적 방법과정을 연구하며 정성적, 정량적 디자인 실무 평가방법을 중점적으로 다룬다. |
15204 |
산업디자인분석연구2 |
Industrial Design Analysis II |
산업디자인분석연구2에 이어서 개설된 과정으로 고도로 복잡하고 난해한 디자인 문제를 체계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구조와 분석적 방법과정을 연구한다. |
17257 |
산업디자인분석연구3 |
Industrial Design Analysis III |
|
17258 |
산업디자인연구과제1 |
Industrial Design Research Project I |
합리적이고 산업적인 생산시스템 및 공정에 의해 생산될 수 있는 제품에 대하여 기획 분석, Idea 전개, 디자인 확정 및 제시단계에 이루어지는 과정을 통해서 실 제품화 될 수 있는 디자인과정을 연습한다. |
17259 |
산업디자인연구과제2 |
Industrial Design Research Project II |
산업디자인1에 이어서 계속 개설된 과정으로 합리적이고 산업적인 생산시스템 및 공정에 의해 생산될 수 있는 제품에 대하여 기획 분석, Idea 전개, 디자인 확정, 제시 단계로 이어지는 과정을 통해서 복합기능으로 실 제품화될 수 있는 디자인과정을 연습한다. |
17222 |
산업디자인특론 |
Advanced Theory of Industrial Design |
산업디자인의 학술적 이론을 고찰하고 실제적 디자인이 문제 해결과정과 방법을 조사 연구한다. |
17261 |
산업디자인특수연구1 |
Industrial Design Special Research I |
전 과정을 통하여 습득한 지식, 경험을 바탕으로 특수한 디자인 주제를 개발하는 과정으로써 그 결과를 학위논문에 응용할 수 있도록 한다. |
17262 |
산업디자인특수연구2 |
Industrial Design Special Research II |
산업디자인특수연구 2에 이어서 개설된 과정으로 전 과정을 통하여 습득한 지식, 경험을 바탕으로 특수한 디자인 주제를 개발하는 과정이다. |
17263 |
산업디자인특수연구3 |
Industrial Design Special Research III |
생산된 상품에 대해 모든 디자인과정의 시뮬레이션을 통해 연구, 분석한 후 실제 시장에서의 반응 등, 유통에서부터 폐기까지의 전 과정에의 문제점을 발견,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는데 있다. |
15238 |
상품미학 |
Aesthetics of Design Product |
과학기술의 진보와 생활양식의 변화에 부응할 수 있는 상품디자인 개발에 따른 미적 인식과 조형 의식 등 상품미학의 이론과 실제를 연구한다. |
18987 |
생활제품디자인연구1 |
Living Product Design Study I |
인간의 수공성을 강조하여 생활전반에 필요한 공예 제품을 디자인하여 제작하기위한 토대를 구축한다. |
18988 |
생활제품디자인연구2 |
Living Product Design Study II |
현대사회에서 획일화되고 산업화되어 양산되는 공예 관련한 제품은 인간의 감성과 격을 높이기 어렵다. 공예적 사고는 실용성과 아름다움을 추구한다. |
18989 |
생활제품디자인연구3 |
Living Product Design Study III |
공예 관련한 제품을 표현하는데 필요한 재료의 다양성과 그 재료마다의 특성을 살려 구성할 수 있는 기술, 아름답게 장식하는 표면처리등을 다양한 각도로 이해한다. |
17230 |
서양미술사론 |
Theory of Western Art History |
서양미술사의 제경향을 각 시기 및 유파별로 사회적 배경설명 및 작가론, 작품론적 방법으로 분석.연구한다. |
17245 |
시·공감각론1 |
Sensationalism of Time and Space I |
영상 애니메이션의 상황설정에 있어서 모든 살아 움직이는 것은 궁극적으로 일정한 시공을 점유한다는 가정하에 시뮬레이션되어지는 시간과 공간에 감각적 상호작용에 관하여 연구한다. |
17246 |
시·공감각론2 |
Sensationalism of Time and Space II |
시.공감각론 1에 의한 이론적 배경위에 영상애니메이션의 발상과 전개에 따르는 다양한 상황적 분석을 실제 제작 되어진 작품을 통하여 연구한다. |
17233 |
시각디자인계획1 |
Visual Design Plan I |
시각디자인 프로젝트의 기획과 전략수립, 프로세스 등의 계획과 본질에 관한 이해를 바탕으로 디자인계획의 구성요소와 응용 사례들을 중점적으로 연구한다. |
17234 |
시각디자인계획2 |
Visual Design Plan II |
시각디자인계획1과 연계되는 과정으로 시각디자인 프로젝트의 기획과 전략수립, 프로세스 등의 계획과 본질에 관한 이해를 바탕으로 디자인계획의 고급이론과 실제를 연구한다. |
19002 |
시각디자인스튜디오1 |
Visual Design Studio I |
|
18980 |
시각디자인스튜디오2 |
Visual Design Studio II |
|
17238 |
시각디자인연구과제1 |
Visual Design Research Project I |
시각디자인영역의 프로젝트를 계획, 집행, 운영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이론 및 실무를 연구하고, 실제 혹은 가상 연구과제를 설정하여 결과물을 도출해 본다. |
17239 |
시각디자인연구과제2 |
Visual Design Research Project II |
시각디자인연구과제1과 연계되는 과정으로써 시각디자인영역의 프로젝트를 계획, 집행, 운영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이론 및 실무를 연구하고, 실제 혹은 가상 연구과제를 설정하여 결과물을 도출해 본다. |
18981 |
시각디자인연구방법론1 |
Theory on Visual Design Study Method I |
|
18982 |
시각디자인연구방법론2 |
Theory on Visual Design Study Method II |
|
18983 |
시각디자인연구방법론3 |
Theory on visual Design Study Method III |
|
17221 |
시각매체특론 |
Advanced Theory of Media Communication |
시각매체의 다양한 이론적 접근을 통하여 실제 디자인의 효과적인 시각표현을 연구한다. |
18975 |
시각커뮤니케이션연구1 |
Visual Communication Workshop I |
|
18976 |
시각커뮤니케이션연구2 |
Visual Communication Worshop II |
|
19752 |
영상매체연구방법론 |
Image Media Research Methodology |
빠르게 변화하는 영상산업을 중심으로 영상매체의 활용 가능성과 의의를 탐색하고, 그 방법론을 모색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한다. |
19751 |
영상콘텐츠디자인특론 |
Advanced Video Content Design |
영화, 애니메이션, 게임, 광고 등 콘텐츠산업의 중심이 되는 영상콘텐츠의 영상표현에서 나타나는 조형적 특성과 시각매체로서의 가능성을 연구한다. |
19753 |
영상콘텐츠스토리텔링연구1 |
Video Content Storytelling Research I |
영상콘텐츠에서의 스토리텔링에 대해 집중적으로 연구한다. 게임, 애니메이션, 인터랙티브 TV용 콘텐츠 등 다양한 분야의 스토리텔링을 우수 사례를 중심으로 연구 및 분석한다. |
19754 |
영상콘텐츠스토리텔링연구2 |
Video Content Storytelling Research 2 |
영상콘텐츠의 산업적 성공과 완성도를 위한 스토리텔링의 요건에 대해 연구한다. 글로벌 콘텐츠로서 매체 복합적, 기술복합적이며 다국적인 경험재를 가진 기획과 스토리텔링의 사례를 분석해 본다. |
19755 |
영상콘텐츠스토리텔링연구3 |
Video Content Storytelling Research 3 |
디지털 테크놀로지에 스토리텔링을 접목해 새로운 디지털 스토리텔링 기술을 개발하는 융합형 디지털스토리텔링기술을 연구하고 분석한다. |
19756 |
영상특수효과분석연구1 |
Analysis of Video Special Effects 1 |
영상콘텐츠에서 활용되는 특수효과의 기원과 발전에 대해 연구한다. 특수효과의 발전으로 인해 영상표현의 확장성이 가져온 새로운 리얼리즘의 가능성을 연구한다. |
19757 |
영상특수효과분석연구2 |
Analysis of Video Special Effects 2 |
3D와 합성을 중심으로 한 특수효과의 기술 및 표현의 확장성을 연구한다. 영화, 애니메이션, 게임 등에서의 활용범위와 우수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해 본다. |
19758 |
영상특수효과분석연구3 |
Analysis of Video Special Effects 3 |
특수효과 기술 중심의 프로덕션 구성과 산업체계 구성을 위한 인프라 구성과 프로덕션 체계를 연구한다. 전문산업 구축을 위한 인력양성방안과 테크닉 구현을 위한 발전방안을 집중 연구한다. |
18998 |
오브제연구 |
Objet Study |
|
18997 |
융합디자인연구 |
Fusion Design Research |
|
19686 |
인터랙티브미디어연구1 |
Interactive media research1 |
인터랙티브미디어 연구1과 연계되는 과정으로써 디지털 미디어와 사용자와의 관계, 디지털 미디어와 디자인을 통한 사회문화적 변화를 연구한다. |
19687 |
인터랙티브미디어연구2 |
Interactive media research2 |
인터랙티브미디어 연구2와 연계되는 과정으로써 디지털 미디어와 사용자와의 관계, 디지털 미디어와 디자인을 통한 사회문화적 변화를 연구한다. |
19688 |
인터랙티브미디어연구3 |
Interactive media research3 |
인터랙티브미디어 연구3과 연계되는 과정으로써 디지털 미디어와 사용자와의 관계, 디지털 미디어와 디자인을 통한 사회문화적 변화를 연구한다. |
18992 |
제품디자인소재연구1 |
Product Design Material Research I |
공예디자인은 일상생활에 필요한 물건들을 보다 아름답고 현리하고 장식성있게 디자인하여 사용하는것을 말한다. 우리주변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장신구 디자인을 들 수 있다. |
18993 |
제품디자인소재연구2 |
Product Design Material Research II |
공예디자인은 일상생활에 필요한 물건들을 보다 아름답고 현리하고 장식성있게 디자인하여 사용하는것을 말한다. |
|
|||
|
|||
18994 |
제품디자인소재연구3 |
Product Design Material Research III |
우리주변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장신구 디자인을 들 수 있다. 또한 장신구들을 연구 분석하여 현대공예와의 차이점을 비교 연구 해 본다. |
|
|||
|
|||
|
|||
18985 |
조형디자인기획1 |
Formative Design Planning I |
공예디자인은 일상생활에 필요한 물건들을 보다 아름답고 현리하고 장식성있게 디자인하여 사용하는것을 말한다. 이는 우리주변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장신구 디자인을 들 수 있다. 전통공예디자인과현대공예디자인을접목시켜작품제작완성에목적이있다. |
18986 |
조형디자인기획2 |
Formative Design Planning II |
공예디자인은 일상생활에 필요한 물건들을 보다 아름답고 현리하고 장식성있게 디자인하여 사용하는것을 말한다. 이는 우리주변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장신구 디자인을 들 수 있다. 전통공예디자인과현대공예디자인을접목시켜작품제작완성에목적이있다. |
18990 |
조형디자인스튜디오1 |
Formative Design Studio I |
금속공예의 제작능력 및 다양한 테크닉연구에 중심을 두고 학부과정에서 배운 영역을 기초로 금속공예기법을 실체화하는 교과목이다 |
18991 |
조형디자인스튜디오2 |
Formative Design Studio II |
금속공예의 제작능력 및 다양한 테크닉연구에 중심을 두고 학부과정에서 배운 영역을 기초로 금속공예기법을 실체화하는 교과목이다 |
18069 |
조형디자인연구특론 |
Special Research Theory on the formative design |
디자인전반에 관한 기법및 디자인을 연구하는 과정이다. |
18974 |
조형디자인특론 |
Formative Design Theory |
디자인전반에 관한 기법및 디자인을 연구하는 과정이다. |
18070 |
조형디자인표현연구 |
Research on the formative design Expression |
디자인전반에 관한 기법및 디자인을 연구하는 과정이다. |
17626 |
조형원리 |
Principle of Plastic |
조형원리의 이론적, 실제적 연구를 통하여 이를 제반 디자인에 활용할 수 있는 평면적 조형능력을 기르고, 입체적, 공간적 환경에서의 조형원리와 구조에 관한 문제들을 실제과제를 통하여 연구한다. |
17627 |
창작연구1 |
Creative Analysis I |
표현양식을 실험과 탐색을 통하여 개발하고, 형식 기법 등을 연구하여 창의성의 개성적 발전을 추구한다. |
17628 |
창작연구2 |
Creative Analysis II |
표현양식을 실험과 탐색을 통하여 개발하고, 형식 기법 등을 연구하여 창의성의 개성적 발전을 추구한다. |
19761 |
콘텐츠미학연구 |
Research Content Aesthetics |
다양한 문화콘텐츠에서 나타나는 미학적 특성을 연구한다. 디지털 테크닉을 중심으로 변화하는 콘텐츠의 특성과 예술론적 관점에서 분석할 수 있는 표현의 가능성을 연구한다. |
18720 |
티칭인턴 |
Teaching Intern |
|
17635 |
표현과매체 |
Medium and Visual Presentation |
표현가능성을 심화시키기 위해서는 관련된 재료와 도구 그 자체의 경험을 통한 매개적인 미디어의 중요성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조형 예술 세계의 기본인 시각 언어적인 체계와 표현에 관련된 심화과정을 그 목표로 한다. |
17223 |
현대공예특론 |
Advanced Theory of Modern Crafts |
공예미술의 이론적 배경과 현대 미술에서의 공예의 위상과 특성을 연구하며 조형원리 전반에 관한 지식을 연구한다. |
19110 |
현대예술론 |
Theories on Contemporary Paintings |
전통적인 예술론과 최근에 예술론을 비교 분석함으로서 학생 개별 작품의 예술사적 위치를 확인하여 작품의 비평적 특징을 설정한다. |
19111 |
현대회화연구론 |
Studies on Contemporary Paintings |
현대회화양식 및 표현에 관한 탐색과정으로서 형태, 자연, 오브제로부터 출발하여 회화적 주제와 소재를 확장, 연구한다. |
19109 |
현대회화특론 |
Special Discourses on Contemporary Paintings |
현대회화를 이해, 분석, 검토하고 회화의 테마에 의한 과거, 현재, 미래를 연구한다. |
15189 |
회화분석연구1 |
Painting Analysis I |
작품분석에 해당하며,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주제 및 재료 조형성 등에 관하여 연구한다. |
15190 |
회화분석연구2 |
Painting Analysis II |
작품분석에 해당하며,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주제 및 재료 조형성 등에 관하여 연구한다. |
15191 |
회화분석연구3 |
Painting Analysis III |
작품분석에 해당하며,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주제 및 재료 조형성 등에 관하여 연구한다. |
17224 |
회화창작1 |
Creative Painting I |
조형사고를 다양하게 실험, 탐색하여 창의적 작품세계를 발전적으로 실험하고 연구한다. |
17231 |
회화창작2 |
Creative Painting II |
조형사고를 다양하게 실험, 탐색하여 창의적 작품세계를 발전적으로 실험하고 연구한다. |
17232 |
회화창작3 |
Creative Painting III |
추상적인 표현 양식을 창조적으로 개발 정립하여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 추진 연구한다. |
18763 |
회화창작론 |
Theories of Creative Painting |
|
17125 |
회화특론 |
Advanced Theory of Fine Arts |
우리나라 미술사조를 이해, 분석, 검토하고 회화의 테마에 의한 과거, 현재, 미래를 연구한다. |
18762 |
회화표현론 |
Theories of Painting Techniques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