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활산업학은 재활과학대학 내 5개학과(물리치료, 작업치료, 언어치료, 직업재활, 재활공학)와 정보통신대학 및 공과대학, 산업디자인학과 내 여러 전공 교수들이 공동으로 참여하며 연구기관 또는 산업체와 연계한 학·연·산 협동과정으로 운영된다. 프로젝트 기반 교육을 통해 공학적 지식을 재활분야에 접목할 수 있는 융합혁신 창조형 실무 전문인력을 양성한다. 재활의료기기 특성 및 기술의 범위를 파악하여 중분류인 이동 및 생활지원기기, 신체기능복원기기를 기본으로 하며, 소분류는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 내 언어치료, 작업치료, 물리치료, 직업재활, 재활공학 전공교수진의 분야별로 도출 가능한 재활산업기기를 고려하여 5개의 전공 트랙으로 세분화하여 운영된다.
- 교육내용: 재활산업학은 창조융합형 재활산업기술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융복합형 교육과정으로 편성하고, 학제간 융합형 교육과정을 운영한다. 인턴쉽 교과를 통한 현장전문성을 강화하는 등 실무중심의 교육과정을 운영한다.
창조 융합형 재활산업기술 전문인력 양성
다학제적 재활산업전공트랙 및 융합형 교과커리큘럼 구축
기업수요 맞춤형 R/D 전문인력양성
전공
교수명
연락처
비고
기계자동차학부
김홍석
053-850-6683
이수철
053-850-6671
이동활
053-850-4579
전자전기공학부
도용태
053-850-6625
윤재중
053-850-6612
최병재
053-850-6633
정보통신공학부
김중규
053-850-6623
홍원기
053-850-6636
컴퓨터IT공학부
진성근
053-850-6579
산업디자인학과
김시만
053-850-6934
언어치료학과
김정완
053-850-4325
최양규
053-850-4323
김화수
053-850-4324
재활공학과
김용철
053-850-4342
물리치료학과
황보각
053-850-4356
작업치료학과
김환
053-850-4392
이선민
053-850-4394
재활산업학과
송정헌
053-850-5061
정희태
053-850-4292
★ 교과과정 및 교과목해설은 교육과정 변경에 따라 변동이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구분
교과목
학점
시간
전공
재활의학
3
재활산업과 ICT
3
재활공학론
Introduction of Rehabilitation Science & Technology
3
인지·의사소통장애
Cognitive Communication Disorders
3
생체역학
Biomechnics
3
재활제어인터페이스
Rehabilitation Control Interface
3
일상생활활동특론
Advanced Activities of Daily Living
3
보조기 및 의지학
Orthotics and Prosthetics
3
보조공학
Assistive Technology
3
앉기 및 자세 특론
Advanced Seating and Positioning
3
직업재활론
Introduction to Vocational Rehabilitation
3
의사소통 장애의 이해
3
재활과학론
Introduction to Rehabilitation
3
응용장애진단 및 평가
Applied Evaluation &Assessment for Disabled
3
임상운동학특론
Advanced Kinesiology
3
재활소프트웨어
Rehabilitation Software
3
인공지능특론
Advanced Artificial Intelligence
3
센서시스템설계
Sensor System Design
3
컴퓨터그래픽스
Computer Graphics
3
로봇공학
Roboics
3
전동기이론 및 설계특론
Advanced Moto Theory and Design
3
전기전자공학특론
3
무선센서네트워크특론
Advanced Wireless Sensor Network
3
메카트로닉스
Mechatronics
3
동적시스템해석
Dynamic System Analysis
3
자동화시스템설계
3
인증/표준화
3
인간공학기반디자인
3
산학프로젝트
3
현장실습/인턴쉽
Field Practice/Internship
2
전공세미나(1)
1
전공세미나(2)
1
전공세미나(3)
1
보충
통합재활론
Total rehabilitation
장애이해 및 재활
Introduction to Rehabilitation and Rehabilitation
장애진단 및 평가
Evaluation & Assessment
기능해부학
측정 및 평가
임상운동학
Introduction Kinesiology
아동언어장애
디지털공학
Digital Engineering
마이크로프로세서
Microprocessor
디지털제어
Digital Control System
컴퓨터프로그래밍
Computer Programming
전자회로
Electronic Circuit
자동제어
Automatic Control System
응용생체역학
Applied Biomechanics
동역학
시스템분석 및 설계
연구 - 개별연구지도
Research Works
1
0
★ 교과과정 및 교과목해설은 교육과정 변경에 따라 변동이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재활의학
장애가 있는 사람이 주어진 조건하에서 최대한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능력과 그의 취미, 직업, 교육 등의 잠재적 능력을 발달시켜주어 그 사람으로 하여금 가능한 한 정상에 가까운 생활을 할 수 있게 해주는 의학 분야인 재활의학의 기초지식을 학습
재활산업과 ICT
산업에 의해 대량생산되는 공산품의 형태적인 여러 특질을 결정하기 위한 조형활동에 대한 지식과 능력을 배양
재활공학론
재활공학을 위한 입문서로서, 역사, 종류, 대상자 등을 알아보고 실제 어떠한 도구들을 사용하고 적용할 수 있는지 분석
인지·의사소통장애
정상적인 노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인지, 음성(발성), 조음(발음), 언어, 삼킴 능력의 변화를 알아보고, 신경학적 장애가 있는 노인과 비교하여 정상 노인의 의사소통 특성은 어떠한 지 환자군과의 감별점 학습
생체역학
속도, 변위, 가속도, 힘, 토크를 포함한 역학적 개념을 적용하여 정상적인 인체 움직임을 분석. 특히 인체의 움직임과 이와 관련된 구조물의 운동형상학적/운동역학적 기초 개념을 이해
재활제어인터페이스
정상적인 운동능력을 사용하지 못하는 대상자들에게 원활한 일상생활이 가능하도록 하는 인간보조 시스템으로서, 신체의 안정성 유지, 지능형 보행보조 시스템, 인지 및 지각능력을 도와주는 착용형 센서장치 등을 제작하고 실제 대상자들에게 맞추어 재구성하여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재활 시스템으로 활용
일상생활활동특론
일상생활동작 가운데 신변돌보기, 보행, 손동작 등에 관한 다양한 유형을 이해하고 장애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일상생활동작의 불편함과 어려움을 적절한 방법으로 해소시켜주고, 경우에 따라 보조기구를 사용하여 일상생활 동작을 보상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과 기술 취득
보조기 및 의지학
보조기 및 의지의 착용 목적, 종류, 부착물 등을 알아보고 실제 사용자들에 대한 의견을 수렴함으로써 장·단점을 체크하여 세밀하게 제작 가능
보조공학
장애를 가진 사람들을 돕기 위한 도구나 장치를 의미하며(휠체어나 안내 지팡이 등), 이러한 도구나 장치 등을 제작하는 방법과 기술을 익힘. 최근에는 컴퓨터의 역할이 매우 커졌는데, 컴퓨터를 통하여 어려움을 보이는 사람들에게 읽기, 보기, 쓰기 등을 사용할 수 있게 함
앉기 및 자세 특론
휠체어 이용자의 변형의 예방, 욕창 예방, 근긴장도의 정상화를 위해 또한 운동을 증진시키기 위해 휠체어의 바른 자세 교육
직업재활론
일터에서의 독립적 수행과 근무자로서의 만족스러운 역할수행 촉진을 목적으로 한 포괄적인 서비스를 의미하며 직업재활서비스에는 급성기 상해와 질병관리, 작업강화(Work hardening),기능적 역량 평가(Functional Capacity Evaluation), 환경개선(Environmental Modification), 생활이행 직업프로그램(Transitional Work Program)등이 포함
의사소통 장애의 이해
의사소통장애의 광의적, 협의적 정의를 파악하고, 5대 의사소통장애 영역(아동언어발달, 조음, 말더듬, 신경언어, 음성)과 거기에서 파생된 다양한 의사소통장애 유형들에 대한 지식 학습. 이를 통해 각 의사소통장애 유형별로 관찰되는 의사소통 특성과 이에 대한 치료적 개입에 대해 모색
재활과학론
재활에 대해서 알아보고 장애의 심리를 적용해 보면서 실제 직업재활 환경에 대해서 학습 및 훈련
응용장애진단 및 평가
특수아동 및 재활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에 대해 알아보고 각 장애 영역에 맞는 진단 및 평가를 실습
임상운동학특론
인체의 동작을 신체 구조학, 기능학, 생리학, 수학, 물리학 등을 응용하여 연구
재활소프트웨어
재활을 위한 특정 목적의 소프트웨어 개발을 목적으로 하며, 실제 소프트웨어 학습과 재활에 대한 학습을 병행
인공지능특론
컴퓨터를 통한 인공지능을 위한 탐색, 표현, 하이브리드 지능 시스템, 데이터마이닝 등을 학습하고 인간의 지능에 해당하는 추론, 경험의 사용, 학습 등을 컴퓨터로 구현하는 방법 연구
센서시스템설계
센서시스템에 대한 기술과 이를 응용하기 위한 관련 기술들의 연구 및 기술에 대해 알아보고, 센서시스템을 응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연구
컴퓨터그래픽스
기본 프로그래밍 프리미티브로 구성된 툴을 사용하여 그래픽 알고리즘을 구현하며 그래픽 패키지인 일러스트레이터 및 3D MAX툴의 사용방법을 숙지시켜 산업 및 사회 현장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능력 향상
로봇공학
다관절형 로봇 매니퓰레이터에 대한 로봇기구학 해석 및 동역학 모델링 방법을 학습하며 로봇 제어를 위해 요구되는 경로계획, 피드백, 제어기 구성 및 로봇 운동 시뮬레이션 연구
전동기이론 및 설계특론
반도체 소자를 통하여 전력증폭기로서 inverter, chopper, cycloconverter 등을 사용하여 직류전동기, 동기전동기, 브러쉬 없는 직류 전동기. 스텝모터 등의 위치 및 속도제어를 중점적으로 다룸
전기전자공학특론
전기공학 분야에서는 직류 및 교류회로, 모터, 발전기 등에 대한 내용 학습. 전자공학 분야로는 디지털 공학의 기본이 되는 부울 대수, 조합 논리, 순차 논리 등을 기본적으로 다루며 나아가 프로그램 가능한 소자, 컴퓨터 및 디지털 신호처리 학습
무선센서네트워크특론
인간 중심지향적이면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컴퓨팅 환경에 접속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패러다임이 확대되면서 전 세계적으로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기술 연구
메카트로닉스
메카트로닉스를 구성하는 기계, 전기, 전자, 소프트웨어 요소들을 이해하고, 대표적인 공학용 응용프로그램인 MATLAB/Simulink를 이용한 제어시스템 분석 및 설계 방법 학습
동적시스템해석
제어분야를 전공하는 대상인을 위하여 기초부터 응용 분야까지 단계별 진행. 해법의 일관적 처리, 전달함수법과 상태공간법을 병행, 공업 실용 설계에 있어서의 명확한 적용예시, 제어시스템의 특성 등 분야 별 적용되고 있는 자동제어의 구성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제어계를 성질에 따라 분류, 분석하여 설계하고 응용
자동화시스템설계
자동화 시스템을 구성하고 프로그램하여 시스템을 운전하는 기술을 습득하고생산현장의 자동화부분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
인증/표준화
재활산업 분야의 시험/인증/표준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국제상호인증 기반 및 해외규격인증교육 및 지원체계 학습
인간공학기반디자인
산업생산물에서의 디자인의 역할과 이해를 높이며, 적극적이고 발전적인 의미로서 디자인의 역할을 연구하고 학습. 인간형상의 연구를 통하여 디자인에 접목
산학프로젝트
학생과 산업체 멘토, 그리고 교수가 함께 산업체의 필요성을 감안한 과제를 수행하는 실무 능력 배양
현장실습/인턴쉽
방학 중, 혹은 학기 중 개설, 재활산업과 관련된 기관이나 산업체에서 4주, 120시간 이상의 현장실무 경험 체득
전공세미나(1)
국내외 겸임교수에 의한 특정 주제 중심의 단기 몰입형 교과목으로, 현장실무능력 함양
전공세미나(2)
전공세미나(3)
개별연구지도
통합재활론
장애의 개념과 재활이론을 체계적으로 배우고, 우리나라의 재활현황을 장애개념과, 장애인의 수, 장애인에 대한 정책 학습
장애이해 및 재활
장애에 대한 의료적 이해를 위해 주요 질환에 대한 의학적 지식을 습득
장애진단 및 평가
재활산업 영역에서 필요로 하는 장애의 각종 평가방법(운동기능평가, 근력평가, 호흡기계평가 등)에 대한 학문적인 원리를 학습
기능해부학
관절의 운동을 중심으로 인체의 정상적 및 비정상적 운동 형태에 대하여 학습. 특히 관절운동학적 및 골 운동학적 분석을 통해서 개별 관절의 구조와 기능, 관절들 사이의 상호작용, 보행의 특성 등에 대하여 학습
측정 및 평가
현장에서 요구되는 신경학적 기능장애에 대한 측정과 평가에 이용되는 도구와 평가 기법들인 균형능력 측정법, 생체반응 측정법, 기능발달 측정법, 동작분석, 기능수준 평가법에 대하여 학습
임상운동학
인체에서 일어나는 각종 운동에 대한 물리학적 특성과 형태적 특성을 강의하여 비정상적 인체 운동 시 변화를 예측 및 측정
아동언어장애
아동의 언어발달과정에 대한 이론적 지식에 기반하여 언어장애아동의 특성을 구분하고 감별, 진단 평가 및 치료 방법에 대한 고민을 모색하고, 단순언어장애, 자폐, 지적장애, 청각장애 아동과 같이 언어치료 현장에서 빈번히 마주치게 되는 언어장애 아동들의 평가와 중재를 위한 다문화적, 다학제적 접근
디지털공학
디지털 집적회로에 대한 부품별 공작 원리를 이해. 디지털회로 이해를 위한 부품의 원리를 설명, 분석, 설계할 수 있는 능력 배양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내/외부 동작 이해와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 응용시스템을 분석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 응용보드 설계할 수 있는 기초 확립
디지털제어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컴퓨터나 마이크로컨트롤러를 이용. 디지털 논리를 바탕으로 제어 시스템을 해석함으로써 이론과 실제가 접목될 수 있도록 함. 이산시간 선형제어 시스템을 모델링하고 이를 해석. 시스템 해석과 설계를 위해 z-변환을 강의하며, 차분방정식을 이용해 시스템의 시간응답특성 학습
컴퓨터프로그래밍
공학 문제를 C/자바언어를 사용하여 컴퓨터로 프로그램화할 수 있는 능력 양성. C/자바 언어의 문법체계와 개념을 체계적으로 강의, 실습. 공부한 내용을 가지고 공학문제를 프로그래밍할 수 있는 능력 함양
전자회로
반도체 물성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이오드, BJT, FET, Op-AMP와 같은 기본 전자회로 소자에 대한 DC해석/bias 설계/저주파 이득계산을 학습. 전자회로 소자를 조합한 간단한 아날로그 회로를 해석하여 특성을 이해
자동제어
자동제어를 위한 기초지식/동적 시스템의 수학적 모델링과 안정성을 판별하는 방법을 학습. 제어기법에 필요한 MATLAB 등의 도구를 사용할 수 있는 능력 배양
응용생체역학
속도, 변위, 가속도, 힘, 토크를 포함한 생역학적 개념의 응용역학과 운동 형상학적 및 운동역학적 응용 개념을 학습함. 기본적인 운동법칙을 논리적으로 적용하여 생체움직임의 원리를 이해
동역학
동역학을 공부하는 기계계열 학생들을 위한 첫 번째 과목으로 움직이는 기계 구조물에 기본적인 운동법칙을 논리적으로 적용하여 그 해석 결과를 설명할 수 있는 능력을 습득
시스템분석 및 설계
정보 시스템 분석과 설계의 기본 개념과 기법들을 습득. 강의의 주제는 프로젝트 개시, 비즈니스 프로세스의 재설계, 시스템 모델링, 프로젝트 관리. 실제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관리해 봄으로써 정보 시스템의 분석 및 프로세스 모델링의 경험 취득